KR20180037851A -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7851A
KR20180037851A KR1020160128592A KR20160128592A KR20180037851A KR 20180037851 A KR20180037851 A KR 20180037851A KR 1020160128592 A KR1020160128592 A KR 1020160128592A KR 20160128592 A KR20160128592 A KR 20160128592A KR 20180037851 A KR20180037851 A KR 20180037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smart grid
block
grid system
block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8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8712B1 (ko
Inventor
이성훈
김태훈
이승원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8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871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7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7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8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8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3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cryptographic hash fun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0Public key, i.e. encryption algorithm being computationally infeasible to invert or user's encryption keys not requiring secre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6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certificates, e.g. public key certificate [PKC] or attribute certificate [AC]; Public key infrastructure [PKI]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은, 제1 서버, 복수의 제1 데이터집중장치들 및 복수의 제1 계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및 상기 제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N(N은 2이상 자연수)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구비하되, 인증에 참여하는 제1 ~ 제N 데이터집중장치들 또는 제1 ~ 제N 계기들의 인증 정보를 제1 ~ 제N 서버의 노드에 분산저장 하고, 일정 주기마다 동기화 하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기술을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SECURITY METHOD FOR SMART GRID SYSTEM USING BLOCK 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증을 위해 참여하는 모든 기기들이 인증정보를 분산 저장하고, 일정주기마다 동기화하여 기기들 간에 정보의 신뢰를 만들어가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들의 인증을 수행함으로, 외부의 해커들로부터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전체에 대한 보안 위협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안 구축 시 소요되는 추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Smart Grid System)은 전력회사와 수용가를 이어주는 양방향 시스템으로, 수용가 측에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기기들의 데이터를 중간단계의 데이터집중장치(DCU)를 통하여 수집한 후, 수집된 데이터를 전력회사 서버에 전송하고 반대로 서버에서 수용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양방향 인프라를 말한다.
스마트그리드 서버는 설치되는 다양한 장치들의 구성정보를 관리하고 최종적으로 그 장치들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취득, 저장, 처리하며 웹을 통하여 각 수용가의 전력사용 정보를 제공한다.
데이터집중장치(DCU)는 스마트 그리드에 있어서 수용가 측의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서버에 전달하는 데이터 수집 및 처리 중계 장치이다.
최근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구축이 활발히 진행됨에 따라 개방형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구성 기기에 대한 보안 위협 및 사이버 공격에 대한 대비책이 필요해진 상황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증서 기반의 스마트 그리드 기기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은 제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및 인증서 관리기관(10)을 포함한다.
제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은 제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은 서버1(110), 스마트 그리드 망(120)을 통해 서버1(110)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데이터집중장치들(DCU1(131), DCU2(132), DCU3(133)..) 및 복수개의 데이터집중장치들(DCU1(131), DCU2(132), DCU3(133)..) 각각에 연결되는 계기들(계기1(141), 계기2(142) ~ 계기5(145), 계기6(146)...)을 포함한다.
인증서 관리기관(10)은 인증서 검증기관(11), 인증서 등록기관(12) 및 인증서 발급기관(13)을 포함하여 아래와 같은 인증 절차를 갖는다.
우선, 인증서 발급기관(13)을 통해 발급된 인증서는 데이터집중장치들(131, 132, 133..)와 계기들(141, 142 ..)에 주입되는 제1 과정을 갖는다.
다음으로, 데이터집중장치들(131, 132, 133..)와 계기들(141, 142 ..)이 스마트 그리드 망(120)에 접속하기 위해서 서버1(110)에 인증서를 전송하면, 서버1(110)은 수신된 인증서를 인증서 검증기관(11)에서 검증하는 제2 과정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인증서가 검증되면 데이터집중장치들(131, 132, 133..) 또는 계기들(141, 142 ..)은 스마트 그리드 망(120)을 통해 서버1(110)에 정당하게 접속을 하여, 서버1(110)와 통신을 수행하는 제3 과정을 갖는다.
하지만, 종래기술에 따른 인증서 기반의 스마트 그리드 기기 인증 방법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종래기술은 인증을 수행하기 위해 다양한 시스템들과 신뢰성 있는 제3의 인증기관에서 인증서 발급을 해야 하는데, 이 경우 만일 인증기관의 인증서들이 해커들에게 해킹으로 유출되는 사태가 발생하게 되면 인증 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주게 되어, 결국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전체에 대해 심각한 보안위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종래기술은 인증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시스템이 추가로 구축되어야 하는데, 이로 인해 비용이 추가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1378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증을 위해 참여하는 모든 기기들이 인증정보를 분산 저장하고, 일정주기마다 동기화하여 기기들 간에 정보의 신뢰를 만들어가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들의 인증을 수행함으로, 외부의 해커들로부터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전체에 대한 보안 위협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안 구축 시 소요되는 추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은, 제1 서버, 복수의 제1 데이터집중장치들 및 복수의 제1 계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및 상기 제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N(N은 2이상 자연수)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구비하되, 인증에 참여하는 제1 ~ 제N 데이터집중장치들 또는 제1 ~ 제N 계기들의 인증 정보를 제1 ~ 제N 서버의 노드에 분산저장 하고, 일정 주기마다 동기화 하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외부의 해커들로부터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전체에 대한 보안 위협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보안 구축 시 소요되는 추가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인증서 기반의 스마트 그리드 기기 인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생성을 통한 스마트 그리드 기기의 인증 절차를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스마트 그리드 기기 간의 블록체인 생성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서버1에서 DCU3으로 접근권한 부여 및 회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블록체인 생성 후 DCU3으로부터 서버1로 접근 허용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생성을 통한 스마트 그리드 기기의 인증 절차를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스마트 그리드 기기 간의 블록체인 생성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도 2 및 도 3a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인 생성을 통한 스마트 그리드 기기의 인증 절차를 설명한다.
우선, 접근 요청 기기인 DCU(DCU3, 133)로부터 제1 서버(110)로 스마트 그리드 망(120)을 통해 접근 권한을 요청하는 제1 과정(S10)을 갖는다.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접근 요청 기기인 데이터수집장치(DCU)가 DCU3(133)인 경우에 대해 이하 설명하며, 이 경우 DCU3(133)은 인증을 위한 키 쌍(key pair) 즉 공개키(권한 받기 용) 및 개인키(검증 용)를 기기 내부에 각각 저장한다.
다음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제1 서버(110)가 DCU3(133)의 기기 정보를 확인하는 제2 과정(S20)을 갖는다.
여기서 기기 정보는 이를테면, DCU3(133)의 기기 아이디 정보, 공개키(public key)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 경우 개인키는 DCU3(133)에서만 유일하게 가지고 있어야 하고, 다른 곳으로 전송하지 않으므로, 제1 서버(110)에는 DCU3(133)의 개인키를 갖고 있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제1 서버(110)가 DCU3(133)의 접근권한을 노드에 저장하는 제3 과정(S30)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제1 서버(110)가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제4 과정(S40)을 갖는다.
여기서 블록체인은 데이터를 저장하는 일종의 방식으로 논리적인 의미를 가지며, 이전 접근권한 정보를 그 이전 접근권한 정보의 해시 값을 모아 해시한 값과, 새로운 접근권한을 주기위한 정보를 다시 해시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스마트 그리드로의 접근 권한을 부여하기 위한 장치들(DCU, 계기 등)의 내역을 블록체인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 경우 저장하려는 내용의 위변조를 막기 위한 해시를 만들고, 그것과 같이 저장되면 블록체인이 생성 되었다고 한다.
이하 일반적인 블록체인(block chain)의 개념 및 특징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다.
블록체인(block chain)은 전자화폐인 비트코인(bitcoin)의 거래내역을 저장한 분산원장(Distributed ledger)으로, 암호기술을 이용하여 발행한 비트코인의 소유권 이전 내역을 저장하여 위변조를 막는 기술로 정의 될 있다.
또한 블록체인(block chain)은 거래(transaction), 검증(proof of work) 및 보상(incentive)의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는데 특징을 가지며, 이 과정에서 생긴 연속된 블록을 일컬어 블록체인(block chain)으로 통칭하고 있다.
여기서, 거래(transaction)는 암호기술을 이용하여 개인 대 개인으로 소유권 이전내역을 작성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검증(proof of work)은 10분마다 그 동안 일어난 거래를 모아 블록을 만들고 타임스탬프를 찍어 공신력을 부여 하는데, 이 과정을 채굴(Mining)이라 표현하고 있다.
보상(incentive)은 타임스탬프를 찍는 행위를 한 채굴자(Miner)에게 새로운 비트코인을 인센티브로 주어, 더 많은 사람들이 검증에 참여 할 수 있게 하는 동기 부여 수단으로 이용된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스마트 그리드 망을 유지하는 업체들의 서버가 블록체인을 저장하는 노드(node)가 되며, 각각의 노드에는 스마트그리드 망에 접근 허가를 요청하는 기기의 정보들이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블록체인에는 스마트 그리드 망에 접근을 요청한 기기에 대해 사전 공유 및 접근 합의된 기기의 정보와 대조하여 접근 권한(가상화폐가 아닌 정의된 숫자 또는 문자)이 해당 기기에 있다고 가정하고, 블록체인의 저장 알고리즘을 통해 접근 권한이 저장된다.
다음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제1 서버(110)가 제2 서버(210)로 블록 동기화 및 합의를 요청하는 제5 과정(S50)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블록 동기화 및 합의를 요청받은 제2 서버(210)는 자신이 생성한 블록체인을 다른 노드(서버3 등)와 블록체인을 동기화 시키는 제6 과정(S60)을 갖는다.
다음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제2 서버(210)는 제1 서버(110)로부터 요청된 블록을 검증하는 제7 과정(S70)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비트코인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 할 수 있는 Peer(여기서는 장치)의 제한이 없어 암호학적(난이도 높은 난수 찾기)으로 그 신뢰성을 유지하지만, 여기서는(제한적인 블록체인 네트워크) Peer에 참가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노드(스마트그리드를 네트워크를 유지하려는 업체 또는 기관의 노드) 간 합의를 통하여 그 신뢰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블록 검증의 과정은 접근권한 승인의 최종 단계로 특정 노드에서 생성된 접근권한이 부여된 블록체인의 내용을 다른 노드에서 위변조 사실이 없고, 그 접근 권한을 부여해도 되는 장치에 대해서 저장했는지를 검증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렇게 노드들이 검증을 완료하고 합의를 하면, 그 블록체인은 공신력을 발휘하며 해당되는 내역은 접근권한을 얻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제2 서버(210)는 블록생성 합의 결과를 제1 서버(110)로 전송하는 제8 과정(S80)을 갖는다.
마지막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대로, 제1 서버(110)에서 블록 인증을 완료하는 제9 과정(S90)을 갖는다.
즉 합의가 이루어진 추가 블록은 인증 처리 시 이용 가능한 상태가 되어 블록 인증이 완료 된다.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블록체인이 저장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대로, 블록이 서로 연결된 것처럼, 이전 블록과 연관되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이라고 부르며, 서버1에서 DCU3으로 접근권한 부여 및 회수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이를 부연하면, 스마트그리드 네트워크에 접근 허용하는 기기들에 대한 권한(token : 접근권한을 맵핑시킨 숫자 또는 문자)을 장치의 공개키/개인키로 서명(해시)하여 저장해서 권한을 부여하고 관리한다.
권한 회수는 블록체인에 토큰(token)의 소유가 없다는 내역을 같은 방식으로 저장하며, 권한 유무는 최종으로 저장되어 있는 내역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이 서버1에서 DCU3으로 접근권한 부여 및 회수가 진행되며, 이를 통해 서버1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정보를 이용하여 DCU3가 서버와 통신하거나, DCU3와 다른 스마트그리드 장비(전력량계 등)와 통신 할 때 통신하기 전에 서버1에 저장되어 있는 블록체인 정보를 이용하면 된다.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 블록체인 생성 후 DCU3으로부터 서버1로 접근 허용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c를 참조하면, 제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은 서버1(110), 스마트 그리드 망(120)을 통해 서버1(110)와 통신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데이터집중장치들(DCU1(131), DCU2(132), DCU3(133)..) 및 복수개의 데이터집중장치들(DCU1(131), DCU2(132), DCU3(133)..) 각각에 연결되는 계기들(계기1(141), 계기2(142) ~ 계기5(145), 계기6(146)...)을 포함하며, 기타 제2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등은 상기 제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구성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갖는다.
이 경우 서버1(110)은 이미 생성된 블록체인을 가지고 있는데, DCU3(133)이 스마트 그리드 망(120)을 통해 서버1(110)로 접속 요청을 시작으로 하여 서버1(110)에 의해 접근을 허용 하여 DCU3(133)이 통신을 구현하는 세부 과정을 이하 설명한다.
우선, DCU3(133)이 스마트 그리드 망(120)을 통해 서버1(110)로 접속을 요청하는 제1 단계를 갖는다.
다음으로, 제1 서버(110)가 DCU3(133)의 기기 정보를 확인하는 제2 단계를 갖는다.
다음으로, 제1 서버(110)는 이미 생성된 블록체인을 확인하는 제3 단계를 갖는다.
다음으로, 제1 서버(110)는 접근 기기인 DCU3(133)의 권한을 검증하는 제4 단계를 갖는다.
이 경우 DCU3(133)의 권한 검증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도 3b의 제1 서버(110)로부터 DCU3(133)로의 권한 부여가 정당하게 이루어 졌는지를 판단하면 된다.
마지막으로, 제4 단계에서 DCU3(133)에게 정당한 권한이 부여되었다고 판단된 경우, 제1 서버(110)는 DCU3(133)의 접근을 허용하며, DCU3(133)은 제1 서버(110)에 접속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제5 단계를 갖는다.
즉 블록체인에 DCU3(133)이 접근권한(token의 소유권)이 저장되어 있는지 확인하여 접근권한이 있으면 통신을 시도 할 수 있다.
이 경우 스마트 그리드에 접속하려는 모든 기기들(DCU들, 계기들)은 같은 방법으로 접근권한을 블록체인을 통해 저장하고 그 권한으로 상호 통신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10 : 제1 서버
120 : 스마트 그리드 망
131 ~ 133 : 제1 데이터집중장치(DCU1) ~ 제3 데이터집중장치(DCU3)
141 ~ 146 : 제1 계기 ~ 제6 계기

Claims (5)

  1. 제1 서버, 복수의 제1 데이터집중장치들 및 복수의 제1 계기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및 상기 제1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N(N은 2이상 자연수)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을 구비하되,
    인증에 참여하는 제1 ~ 제N 데이터집중장치들 또는 제1 ~ 제N 계기들의 인증 정보를 제1 ~ 제N 서버의 노드에 분산저장 하고, 일정 주기마다 동기화 하는 블록체인 알고리즘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체인 알고리즘은,
    접근 요청 기기로부터 상기 제1 서버로 접근 권한을 요청하는 제1 과정;
    상기 제1 서버가 상기 접근 요청 기기의 기기 정보를 확인하는 제2 과정;
    상기 제1 서버가 상기 접근 요청 기기의 접근권한을 노드에 저장하는 제3 과정;
    상기 제1 서버가 블록체인을 생성하는 제4 과정;
    상기 제1 서버가 상기 제N 서버로 블록 동기화 및 합의를 요청하는 제5 과정;
    상기 제N 서버에서 자신이 생성한 블록체인을 다른 노드와 블록체인을 동기화 시키는 제6 과정;
    상기 제N 서버는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요청된 블록을 검증하는 제7 과정;
    상기 제N 서버는 블록생성 합의 결과를 상기 제1 서버로 전송하는 제8 과정; 및
    상기 제1 서버에서 블록 인증을 완료하는 제9 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정보는,
    기기 아이디 정보 및 공개키(public key)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에서,
    블록체인 생성은 거래(transaction), 검증(proof of work) 및 보상(incentive) 작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7 과정에서,
    상기 검증은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유지하는 노드 간의 합의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KR1020160128592A 2016-10-05 2016-10-05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KR101908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92A KR101908712B1 (ko) 2016-10-05 2016-10-05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8592A KR101908712B1 (ko) 2016-10-05 2016-10-05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7851A true KR20180037851A (ko) 2018-04-13
KR101908712B1 KR101908712B1 (ko) 2018-10-16

Family

ID=61974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8592A KR101908712B1 (ko) 2016-10-05 2016-10-05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8712B1 (ko)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50267A (zh) * 2018-05-14 2018-10-1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区块链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90010515A (ko) * 2018-11-22 2019-01-30 김경준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KR101997673B1 (ko) * 2018-12-06 2019-07-08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가상 블록체인을 갖는 듀얼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전자기기
KR102009160B1 (ko) * 2018-10-19 2019-08-09 빅픽처랩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정보 트러스트 엔진 시스템
WO2019203387A1 (ko) * 2018-04-20 2019-10-24 주식회사 시그마체인 블록체인 기반 블록 검증 방법
KR20190136245A (ko) * 2018-05-30 2019-12-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KR102054256B1 (ko) * 2019-01-11 2019-12-10 주식회사 에너닷 Ami 디바이스와 ami 디바이스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무결성 검증 방법
KR20190138120A (ko) * 2018-06-04 2019-12-12 채령 양자암호키 4차 행렬 해시함수 블럭체인 스마트 그리드 배전반 제어시스템 감시 cctv 방재 감시카메라
KR102055391B1 (ko) * 2018-07-04 2019-12-12 김도영 그리드 컴퓨팅 참여의 증명 시스템
KR20190138116A (ko) * 2018-06-04 2019-12-12 채령 양자난수 및 의사난수를 결합한 다차원 행렬 해시함수 블럭체인 스마트 블럭 배전반 제어시스템
KR20200002337A (ko) * 2018-06-29 2020-01-0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데이터 공유방식 고장진단 및 자동복구 시스템
KR20200007349A (ko) * 2018-07-13 2020-01-22 문석민 블록체인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23961A (ko) * 2018-08-27 2020-03-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WO2020057158A1 (zh) * 2018-09-18 2020-03-2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KR20200048246A (ko) * 2018-10-29 2020-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분산 원장 관리 방법
KR20200087666A (ko) * 2019-10-23 2020-07-21 주식회사 에너닷 Ami 디바이스와 ami 디바이스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무결성 검증 방법
KR20200101504A (ko) * 2019-01-29 2020-08-28 주식회사 크로스앵글 블록체인 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36481A (ko) * 2018-07-24 2020-12-07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디지털 인증서 관리 방법, 장치, 컴퓨터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00142389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위즈블 블록체인 실시간 생태계 운영 방법 및 시스템
WO2021141150A1 (ko) * 2020-01-07 2021-07-15 문석민 블록체인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US11265146B2 (en) 2019-01-04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anaging data based on block chain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848B1 (ko) * 2019-03-27 2019-10-29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가상 블록체인을 갖는 듀얼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전자기기 운용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154B1 (ko) * 2001-04-27 2005-06-20 주식회사 케이티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13788A (ko) 2009-08-03 2011-02-10 최호림 스마트그리드 단말장치 및 그 단말장치의 가입자 인증방법
KR101512502B1 (ko) * 2013-12-19 2015-04-16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하드웨어 보안모듈이 적용된 ami 보안 시스템
KR101637854B1 (ko) * 2015-10-16 2016-07-0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방법 및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6154B1 (ko) * 2001-04-27 2005-06-20 주식회사 케이티 제휴 사이트 간 통합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013788A (ko) 2009-08-03 2011-02-10 최호림 스마트그리드 단말장치 및 그 단말장치의 가입자 인증방법
KR101512502B1 (ko) * 2013-12-19 2015-04-16 한전케이디엔 주식회사 하드웨어 보안모듈이 적용된 ami 보안 시스템
KR101637854B1 (ko) * 2015-10-16 2016-07-08 주식회사 코인플러그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방법 및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방법

Cited B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03387A1 (ko) * 2018-04-20 2019-10-24 주식회사 시그마체인 블록체인 기반 블록 검증 방법
CN108650267B (zh) * 2018-05-14 2021-02-09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区块链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8650267A (zh) * 2018-05-14 2018-10-12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区块链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KR20190136245A (ko) * 2018-05-30 2019-12-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블록체인 기반 컨텐츠 관리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시스템
KR20190138120A (ko) * 2018-06-04 2019-12-12 채령 양자암호키 4차 행렬 해시함수 블럭체인 스마트 그리드 배전반 제어시스템 감시 cctv 방재 감시카메라
KR20190138116A (ko) * 2018-06-04 2019-12-12 채령 양자난수 및 의사난수를 결합한 다차원 행렬 해시함수 블럭체인 스마트 블럭 배전반 제어시스템
KR20200002337A (ko) * 2018-06-29 2020-01-08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데이터 공유방식 고장진단 및 자동복구 시스템
KR102055391B1 (ko) * 2018-07-04 2019-12-12 김도영 그리드 컴퓨팅 참여의 증명 시스템
KR20200007349A (ko) * 2018-07-13 2020-01-22 문석민 블록체인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US11349674B2 (en) 2018-07-24 2022-05-31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gital certificat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KR20200136481A (ko) * 2018-07-24 2020-12-07 텐센트 테크놀로지(센젠) 컴퍼니 리미티드 디지털 인증서 관리 방법, 장치, 컴퓨터 기기 및 저장 매체
KR20200023961A (ko) * 2018-08-27 2020-03-06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블록체인을 이용한 다이아몬드 거래이력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WO2020057158A1 (zh) * 2018-09-18 2020-03-2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区块链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介质
US11381385B2 (en) 2018-09-18 2022-07-05 Baidu Online Network Technology (Beijing) Co., Ltd. Data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blockchain, and storage medium
KR102009160B1 (ko) * 2018-10-19 2019-08-09 빅픽처랩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정보 트러스트 엔진 시스템
KR20200048246A (ko) * 2018-10-29 2020-05-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블록체인 기반 분산 원장 관리 방법
KR20190010515A (ko) * 2018-11-22 2019-01-30 김경준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KR101997673B1 (ko) * 2018-12-06 2019-07-08 주식회사 푸시풀시스템 가상 블록체인을 갖는 듀얼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전자기기
US11265146B2 (en) 2019-01-04 2022-03-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managing data based on block chain and method for managing data
KR102054256B1 (ko) * 2019-01-11 2019-12-10 주식회사 에너닷 Ami 디바이스와 ami 디바이스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무결성 검증 방법
KR20200101504A (ko) * 2019-01-29 2020-08-28 주식회사 크로스앵글 블록체인 상의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00142389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위즈블 블록체인 실시간 생태계 운영 방법 및 시스템
KR20200087666A (ko) * 2019-10-23 2020-07-21 주식회사 에너닷 Ami 디바이스와 ami 디바이스 무결성 검증 시스템 및 무결성 검증 방법
WO2021141150A1 (ko) * 2020-01-07 2021-07-15 문석민 블록체인 기반의 무선 네트워크 운영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8712B1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712B1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EP3486817B1 (en) Blockchain-based identity authentication methods, computer program products and nodes
CN109196816B (zh) 使用区块链的公钥基础结构
CN110537346B (zh) 安全去中心化域名系统
CN106972931B (zh) 一种pki中证书透明化的方法
CN108092982B (zh) 一种基于联盟链的数据存储方法及系统
KR100962399B1 (ko) 익명 공개 키 기반구조 제공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제공 방법
JP6285454B2 (ja) エンティティ・ネットワーク・トランスレーション(ent)
CN100546245C (zh) 跨安全域的网络认证和密钥分配方法
KR102177848B1 (ko) 액세스 요청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1189827B (zh) 综合认证和管理服务提供者、终端和用户身份模块的方法以及使用该方法的系统和终端
CN102377788B (zh) 单点登录系统及其单点登录方法
CN110677376B (zh) 认证方法、相关设备和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H06223041A (ja) 広域環境利用者認証方式
CN105791272A (zh) 一种物联网中的安全通信方法及装置
WO2020050390A1 (ja) 権利者端末、利用者端末、権利者プログラム、利用者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利用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利用方法
CN102624740A (zh) 一种数据交互方法及客户端、服务器
CN101527634B (zh) 账户信息与证书绑定的系统和方法
CN103312691A (zh) 一种云平台的认证与接入方法及系统
CN105516980A (zh) 一种基于Restful架构的无线传感器网络令牌认证方法
CN109478214A (zh) 用于证书注册的装置和方法
CN102025503A (zh) 一种集群环境下数据安全实现方法和一种高安全性的集群
CN103916363A (zh) 加密机的通讯安全管理方法和系统
Rana et al. Implementation of security and privacy in ePassports and the extended access control infrastructure
Ozcelik et al. Cryptorevocate: A cryptographic accumulator based distributed certificate revocation li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