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0515A -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0515A
KR20190010515A KR1020180145132A KR20180145132A KR20190010515A KR 20190010515 A KR20190010515 A KR 20190010515A KR 1020180145132 A KR1020180145132 A KR 1020180145132A KR 20180145132 A KR20180145132 A KR 20180145132A KR 20190010515 A KR20190010515 A KR 201900105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hain
blocks
management
op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7987B1 (ko
Inventor
김경준
Original Assignee
김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준 filed Critical 김경준
Priority to KR1020180145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9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59Inter-group management mechanisms, e.g. splitting, merging or interconnection of 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04L67/1046Join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블록의 헤더에 이전 블록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TCP/IP)를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된 블록생성주기 마다 운영체인부의 운영 블록들 중 생성 시점이 가장 빠른 운영 블록이 자신의 헤더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체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운영체인부에서는 동기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되, 관리체인부에서는 동기화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블록들을 이원화하여 관리 및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기화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초당 트랜잭션 수(TPS)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퍼블릭(Public) 방식으로 운영되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접근성이 우수하고, 관리체인부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됨으로써 동기화 시간 및 초당 트랜잭션 수(TPS)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체인 관리시스템{Management system for blockchain}
본 발명은 블록체인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로는 블록의 헤더에 이전 블록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기반으로 블록들을 관리체인부 및 운영체인부로 이원화하여 관리 및 운영함으로써 동기화 속도 및 초당 트랜잭션 수(TPS, Transaction Per Second)를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블록체인은 P2P(Peer-to-peer) 네트워크에 참여한 피어들 또는 트랜잭션을 생성하기 위한 참여자들이 P2P 네트워크에서 생성된 모든 블록을 복제해 저장하도록 이루어지는 컴퓨터 기반의 탈중앙화된 분산 시스템이다.
종래에는 중앙 집중형 서버에서 데이터 기록, 저장 및 관리가 이루어지는 반면, 블록체인은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가 거래 내역이 저장된 블록들을 공유하며 다수의 노드들이 블록들을 대조하는 방식으로 검증을 수행하기 때문에 데이터 위조 및 해킹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어 보안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특히 최근 들어 가장 큰 이슈인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온라인 가상 화폐에는 블록체인 기술이 적용되어 온라인 가상 화폐의 보안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블록체인은 단순히 온라인 가상화폐에만 적용되는 기술이 아니라, 다른 파일 시스템에 적용될 경우, 데이터베이스(DB)의 유지보수 및 보안에 따른 막대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그 사용 분야 및 수요도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블록체인은 운영 및 관리방식에 따라, 모든 유저들의 진입 및 퇴출이 가능하며 생성주기에 따라 동기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는 퍼블릭(Public) 방식과, 승인된 노드에 한해서만 진입 및 퇴출이 가능하며 동기화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프라이빗(Private) 방식으로 분류된다.
이때 퍼블릭 방식은 모든 유저들의 진입 및 퇴출이 가능하여 진입 장벽이 높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이 가능하며, 모든 사용자의 정보를 공유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은 장점을 가지나, 모든 블록들이 체인처럼 연결됨에 따라 블록들의 수량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합의 난이도를 조정하여 높여야하기 때문에 블록 생성 시 검증에 소요되는 시간이 지체되어 초당 트랜잭션 수량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과부하가 발생하며, 특히 동기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동기화 시간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단점을 갖는다. 예를 들어 2018년 01월 기준으로 비트코인은 블록 동기화 시간이 대략 14일 정도, 이더리움은 블록 동기화 시간이 대략 8일 정도가 소요된다.
이에 반하여 프라이빗 방식은 퍼블릭 방식과 비교하여 동기화 시간 및 초당 트랜잭션 수가 우수한 장점을 가지나, 승인된 노드들에 의해서만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높은 단점을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블록체인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의 종래의 블록체인(100)은 기 설정된 블록생성주기 마다 생성되되, 블록생성주기 동안 거래된 트랜잭션 정보가 저장되는 블록(101)들과, 블록(101)들 사이의 데이터 링크인 체인(103)으로 이루어진다.
블록(101)은 기 설정된 블록생성주기 마다 신규 생성되며, 블록생성주기 동안 거래된 트랜잭션 정보가 저장된다. 이때 신규 생성된 블록은 이전 블록의 다음 자리에 배치되어 체인(103)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또한 블록(10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1011)와, 바디(1013)로 이루어진다.
이때 헤더(1011)에는 블록 헤더 버전, 이전 블록의 해시 값, 머클트리(Merkle Tree)의 모든 거래 내역을 요약한 데이터, 블록 생성 시간, 블록 생성에 필요한 작업증명의 난이도, 작업 증명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카운터들이 저장되고, 바디(1013)에는 블록생성주기 동안 거래되었던 트랜잭션 정보가 저장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블록체인(100)은 블록생성주기 마다 신규 블록이 생성되기 때문에 블록의 수량은 시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게 된다. 이때 다수의 검증 노드들은 블록 생성 시 블록들을 대조하여 검증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블록의 수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동기화 시간이 과도하게 지체되어 각 블록의 동기화 시점이 불일치하는 현상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초당 트랜잭션 수(TPS, Transaction Per Second)가 저하되며 과부하가 발생하는 단점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블록체인은 기존에는 기대할 수 없었던 우수한 유지 보수 및 보안성을 갖고 있으나, 블록들의 수량에 비례하여 동기화 시간 및 초당 트랜잭션 수(TPS)가 과도하게 떨어지는 단점으로 인해 그 기대치만큼이나 해결 과제가 매우 시급한 실정이고, 이에 따라 블록체인의 동기화 시간을 절감시키면서 초당 트랜잭션 수(TPS)를 개선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 과제는 각 블록의 헤더에 이전 블록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TCP/IP)를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된 블록생성주기 마다 운영체인부의 운영 블록들 중 생성 시점이 가장 빠른 운영 블록이 자신의 헤더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체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블록들을 이원화하여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는 블록체인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해결 과제는 운영체인부에서는 동기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되, 관리체인부에서는 동기화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동기화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당 트랜잭션 수(TPS)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 과제는 퍼블릭(Public) 방식으로 운영되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이 가능할뿐만 아니라 접근성이 우수한 블록체인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 과제는 관리체인부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됨으로써 동기화 시간 및 초당 트랜잭션 수(TPS)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는 블록체인 관리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블록들을 n개의 체인부로 분리하여 관리하기 위한 블록체인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기 설정된 주기(T)동안 생성된 블록들인 운영 블록(B1)들과, 상기 운영 블록(B1)들의 데이터 링크인 체인(C)을 포함하는 운영체인부; 상기 주기(T) 이전에 생성된 블록들인 관리 블록(B2)들과, 상기 관리 블록(B2)들의 데이터 링크인 체인(C)을 포함하는 관리체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들 각각의 헤더에는 이전 블록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운영체인부의 상기 운영 블록(B1)들은 기 설정된 블록생성주기 마다 생성된 블록이 신규로 추가되되, 생성 시점이 가장 빠른 운영 블록인 이동 대상 블록이 자신의 헤더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관리체인부로 이동한 후 관리 블록들 중 이전 블록에 대응되는 관리 블록의 다음 자리에 체인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운영체인부의 상기 운영 블록(B1)들은 동기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리체인부의 상기 관리 블록(B2)들은 동기화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운영체인부 및 상기 관리체인부는 퍼블릭(Public) 블록체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블록들 각각의 헤더에는 블록 헤더의 버전 정보(version)와, 이전 블록의 해시 값(Previous Hash), 머클트리(Merkle Tree)의 모든 거래 내역을 요약한 데이터(Merkle Root), 블록 생성 시간(Time), 블록 생성에 필요한 작업 증명의 난이도(Bits), 작업 증명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카운터(Nonce) 정보들,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운영체인부는 기 설정된 주기(T-1), ...(T-N) 동안 생성된 블록들인 제1, ...제N 운영블록들과, 상기 제1, ..., 제N 운영블록들의 데이터 링크인 체인(C)을 포함하는 제1, ..., 제N 운영체인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관리체인부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과제와 해결 수단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각 블록의 헤더에 이전 블록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TCP/IP)를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된 블록생성주기 마다 운영체인부의 운영 블록들 중 생성 시점이 가장 빠른 운영 블록이 자신의 헤더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체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운영체인부에서는 동기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되, 관리체인부에서는 동기화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블록들을 이원화하여 관리 및 운영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동기화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초당 트랜잭션 수(TPS)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퍼블릭(Public) 방식이 적용되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접근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관리체인부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됨으로써 동기화 시간 및 초당 트랜잭션 수(TPS)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블록체인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블록체인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현재 주기의 블록체인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b)는 다음 주기에서 운영 블록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블록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블록체인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블록체인(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생성된 블록들을 관리 및 운영하는 운영체인부(3)와, 현재 시점으로부터 주기(T) 이전에 생성된 블록들을 관리 및 운영하는 관리체인부(5)와, 이들 사이의 데이터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1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주기(T)는 한 개의 블록이 생성되는 주기를 의미하는 블록생성주기의 n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블록체인(1)이 단일 운영체인부 및 단일 관리체인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운영체인부 및 관리체인부는 2개 이상의 체인부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고, 이러한 체인부의 수량은 블록들의 수량 및 동기화 시간 등의 다양한 외부 변수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통신망(10)은 운영체인부(3) 및 관리체인부(5) 사이의 데이터 이동 경로를 제공하며, 상세하게로는 근거리 통신망(LAN), 광역통신망(WAN) 등의 유무선 네트워크(Network)망, 이동통신망, LTE, 4G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
운영체인부(3)는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생성되었던 블록들인 운영 블록(B1)들과, 운영 블록(B1)들 사이의 데이터 링크에 해당하는 체인(C)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소수의 운영 블록(B1)들만을 관리 및 운영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블록체인은 블록생성주기 마다 신규 블록이 생성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신규 생성된 블록이 운영체인부(3)의 신규 운영 블록으로 추가되게 된다.
또한 운영체인부(3)는 블록생성주기 마다 운영 블록(B1)들 중 생성 시점이 가장 빠른 운영 블록(이하 이동 대상 블록이라고 함)(B1)이 통신망(10)을 통해 관리체인부(5)로 이동하게 된다.
즉 운영체인부(3)는 블록생성주기 마다 1개의 신규 운영 블록이 추가됨과 동시에 1개의 운영블록(이동대상블록)이 관리체인부로 이동함으로써 동일한 수량의 운영 블록들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블록체인에서는 신규 블록은 이전 블록의 해시 값을 통해 이전 블록의 다음 자리에 배치되어 체인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블록들이 서로 다른 운영 방식을 갖는 운영체인부(3) 및 관리체인부(5)로 이원화되어 관리되기 때문에 운영체인부(3)의 운영 블록이 관리체인부(5)로 이동하기 위한 기술 및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각 블록의 헤더에 이전 블록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TCP/IP)를 저장하도록 블록의 프로토콜을 변경함으로써 이동 대상 블록이 자신의 헤더에 저장된 이전 블록의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기반 및 참조하여 관리체인부(5)로 간단하고 신속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하였고, 따라서 블록들을 운영체인부(3) 및 관리체인부(5)에서 이원화하여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의 블록들은 기 설정된 주기(T) 동안에는 운영 블록(B1)으로 운영되되, 주기(T)가 경과한 이후부터는 관리 블록(B2)으로 운영되게 된다.
또한 운영체인부(3)는 공지된 퍼블릭 방식(Public) 방식과 동일하게 점진적으로 각 블록을 동기화시킨다. 이때 운영체인부(3)는 기 설정된 수량(N)의 운영 블록(B1)들만을 관리하기 때문에 점진적 방식으로 동기화가 이루어지더라도 운영 블록(B1)들 각각의 동기화 시점을 일치화시킬 수 있게 된다.
관리체인부(5)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T) 이전에 생성되었던 블록들인 관리 블록(B2)들과, 관리 블록(B2)들 사이의 데이터 링크에 해당하는 체인(C)으로 이루어진다.
즉 관리체인부(5)는 생성된 모든 블록들 중 운영 블록(B1)들을 제외한 블록들을 관리 및 운영한다.
또한 관리체인부(5)는 블록생성주기 마다 운영체인부(3)의 이동 대상 블록(B1)이 이동하게 되고, 이동된 이동 대상 블록(B1)은 관리 블록(B2)들 중 가장 최근에 생성된 관리 블록(B2)의 다음 자리에 배치되어 체인(C)에 의해 연결된다. 즉 관리체인부(5)는 블록생성주기 마다 신규 관리 블록(B2)이 추가로 연결되게 된다.
또한 관리체인부(5)의 관리 블록(B2)들은 공지된 프라이빗(Private) 방식과 동일하게 실시간으로 동기화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블록체인(1)은 점진적 동기화 방식으로 운영되는 운영체인부(3)와, 실시간 동기화 방식으로 운영되는 관리체인부(5)로 이루어지되, 각 블록의 헤더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통해 블록생성주기 마다 자동으로 블록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동기화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초당 트랜잭션 수(센)를 개선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도 4의 (a)는 현재 주기의 블록체인을 나타내는 예시도이고, (b)는 다음 주기에서 운영 블록의 이동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의 (a), (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블록체인(1)을 살펴보면, 블록체인(1)의 운영체인부(3)는 현재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생성되었던 블록들인 운영 블록(B1)들을 포함한다. 이때 운영 블록(B1)들은 체인(C)에 의해 연결되어 서로 정보를 공유한다. 이때 본 발명의 블록(B1), (B2)들의 각 헤더에는 이전 블록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TCP/IP)가 저장된다.
또한 블록체인(1)은 블록생성주기가 경과하면, 운영 블록(B1)들 중 생성 시점이 가장 느린 블록의 다음 자리로 신규 생성된 블록이 추가되며, 운영 블록(B1)들 중 생성 시점이 가장 빠른 블록인 이동 대상 블록이 자신의 헤더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TCP/IP)를 통해 관리체인부(5)로 이동한 후, 이전 블록인 관리 블록(B2)의 다음 자리에 배치되어 체인(C)으로 연결된 후 관리체인부(5)에 의해 관리 및 운영되게 된다.
도 5는 도 3의 블록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블록(B)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더(310)와, 바디(320)로 이루어진다.
헤더(310)에는 블록 헤더의 버전 정보(version)와, 이전 블록의 해시 값(Previous Hash), 머클트리(Merkle Tree)의 모든 거래 내역을 요약한 데이터(Merkle Root), 블록 생성 시간(Time), 블록 생성에 필요한 작업 증명의 난이도(Bits), 작업 증명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카운터(Nonce) 정보들이 저장되고, 이러한 정보들은 블록체인에 있어서 공지된 기술 및 내용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헤더(310)에는 이전 블록과 연동되는 통신 프로토콜 정보(TCP/IP)(311)가 더 저장된다.
즉 본 발명의 블록체인(1)을 운영체인부(3) 및 관리체인부(5)로 이원화하여 운영하기 위해서는, 운영체인부(3) 및 관리체인부(5) 사이를 연계시키기 위한 기술이 필수적으로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블록(B)의 헤더(310)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311)를 이용하여 블록들을 이원화하여 관리 및 운영할 수 있는 것이다.
바디(320)에는 트랜잭션 정보가 저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6의 블록체인(90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이고, 블록체인(900)은 운영체인부(3)와, 제1, ..., 제N 관리체인부(5-1), ..., (5-N)들로 이루어진다.
운영체인부(3)는 도 3과 4에서 전술하였던 운영체인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블록생성주기 마다 이동 대상 블록이 자신의 헤더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참조하여 제1 관리체인부(5-1)의 이전 블록 다음의 위치로 이동한다.
제1, ..., 제N 관리체인부(5-1), ..., (5-N)들은 도 3과 4에서 전술하였던 관리체인부(5)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각 관리체인부는 블록생성주기 마다 관리블록(B2)들 중 생성 시점이 가장 빠른 관리 블록을 자신의 헤더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참조하여 다른 관리체인부로 이동시킨다.
즉 제1, ..., 제N-1 관리체인부(5-1), ..., (5-(N-1)들은 기 설정된 수량의 블록들을 관리 및 운영하되, 제N 관리체인부(5-N)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블록들의 수량이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만약 블록들의 수량이 증가하면 각 관리체인부에서 관리될 관리 블록들의 수량을 재설정함으로써 관리 블록들에서 실시간으로 동기화가 이루어지더라도 최종 관리체인부에서 과중화 및 과부하를 적절하게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블록체인(1)은 각 블록의 헤더에 이전 블록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TCP/IP)를 저장함과 동시에 저장된 블록생성주기 마다 운영체인부의 운영 블록들 중 생성 시점이 가장 빠른 운영 블록이 자신의 헤더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기반으로 관리체인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운영체인부에서는 동기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되, 관리체인부에서는 동기화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블록들을 이원화하여 관리 및 운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기화 시간을 현저히 절감시킬 수 있으며, 초당 트랜잭션 수(TPS)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1)은 퍼블릭(Public) 방식으로 운영되어 다양한 어플리케이션과의 연동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접근성이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블록체인(1)은 관리체인부(5)가 적어도 2개 이상으로 구성됨으로써 동기화 시간 및 초당 트랜잭션 수(TPS)를 더욱 개선시킬 수 있다.
1:블록체인 3:운영 체인부
5:관리 체인부 10:통신망
B:블록 B1:운영블록
B2:관리블록 C:체인
310:헤더 311:통신 프로토콜 정보
320:바디

Claims (5)

  1. 블록들을 n개의 체인부로 분리하여 관리하기 위한 블록체인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기 설정된 주기(T) 동안 생성된 블록들인 운영 블록(B1)들과, 상기 운영 블록(B1)들의 데이터 링크인 체인(C)을 포함하는 운영체인부;
    상기 주기(T) 이전에 생성된 블록들인 관리 블록(B2)들과, 상기 관리 블록(B2)들의 데이터 링크인 체인(C)을 포함하는 관리체인부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들 각각의 헤더에는 이전 블록과 연동하기 위한 통신 프로토콜 정보가 저장되고,
    상기 운영체인부의 상기 운영 블록(B1)들은
    기 설정된 블록생성주기 마다 생성된 블록이 신규로 추가되되, 생성 시점이 가장 빠른 운영 블록인 이동 대상 블록이 자신의 헤더에 저장된 통신 프로토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관리체인부로 이동한 후 관리 블록들 중 이전 블록에 대응되는 관리 블록의 다음 자리에 체인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2.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체인부의 상기 운영 블록(B1)들은 동기화가 점진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리체인부의 상기 관리 블록(B2)들은 동기화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3. 청구항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운영체인부 및 상기 관리체인부는 퍼블릭(Public) 블록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들 각각의 헤더에는
    블록 헤더의 버전 정보(version)와, 이전 블록의 해시 값(Previous Hash), 머클 트리(Merkle Tree)의 모든 거래 내역을 요약한 데이터(Merkle Root), 블록 생성 시간(Time), 블록 생성에 필요한 작업 증명의 난이도(Bits), 작업 증명 알고리즘에 사용되는 카운터(Nonce) 정보들, 상기 통신 프로토콜 정보가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5. 청구항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체인부는 2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KR1020180145132A 2018-11-22 2018-11-22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KR102217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32A KR102217987B1 (ko) 2018-11-22 2018-11-22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132A KR102217987B1 (ko) 2018-11-22 2018-11-22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515A true KR20190010515A (ko) 2019-01-30
KR102217987B1 KR102217987B1 (ko) 2021-02-18

Family

ID=65277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132A KR102217987B1 (ko) 2018-11-22 2018-11-22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98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9089A (zh) * 2019-03-27 2019-07-26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数据同步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113408A (zh) * 2019-04-30 2019-08-09 杭州复杂美科技有限公司 一种区块同步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10149323A (zh) * 2019-05-06 2019-08-20 山东公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千万级tps合约处理能力的处理装置
CN110866288A (zh) * 2019-11-18 2020-03-06 广州安加互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保护方法、系统及终端
KR20210058018A (ko) 2019-11-13 2021-05-24 (주)인프라케이 블록체인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온라인시험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73810A (ko) * 2019-12-11 2021-06-21 지송학 데이터 자기주권화를 위한 블록체인 구조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851A (ko) * 2016-10-05 2018-04-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KR101851261B1 (ko) * 2017-06-09 2018-04-23 씨토 주식회사 사설 블록체인 데이터 기반 중앙집중형 원격검침 보안시스템
KR20180075450A (ko) * 2018-06-15 2018-07-04 정기영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포함한 p2p 전송 기반의 데이터 마켓 플레이스의 구성 및 그 방법
KR20180079847A (ko) * 2017-01-03 2018-07-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과 dht를 이용한 p2p 거래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37851A (ko) * 2016-10-05 2018-04-13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블록체인을 이용한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의 보안 방법
KR20180079847A (ko) * 2017-01-03 2018-07-1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블록체인과 dht를 이용한 p2p 거래 방법 및 장치
KR101851261B1 (ko) * 2017-06-09 2018-04-23 씨토 주식회사 사설 블록체인 데이터 기반 중앙집중형 원격검침 보안시스템
KR20180075450A (ko) * 2018-06-15 2018-07-04 정기영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 결제 기능을 포함한 p2p 전송 기반의 데이터 마켓 플레이스의 구성 및 그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59089A (zh) * 2019-03-27 2019-07-26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数据同步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059089B (zh) * 2019-03-27 2021-01-22 深圳前海达闼云端智能科技有限公司 数据同步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113408A (zh) * 2019-04-30 2019-08-09 杭州复杂美科技有限公司 一种区块同步方法、设备和存储介质
CN110149323A (zh) * 2019-05-06 2019-08-20 山东公链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千万级tps合约处理能力的处理装置
KR20210058018A (ko) 2019-11-13 2021-05-24 (주)인프라케이 블록체인과 인공지능을 활용한 온라인시험 평가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866288A (zh) * 2019-11-18 2020-03-06 广州安加互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保护方法、系统及终端
CN110866288B (zh) * 2019-11-18 2023-01-10 广州安加互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区块链的数据保护方法、系统及终端
KR20210073810A (ko) * 2019-12-11 2021-06-21 지송학 데이터 자기주권화를 위한 블록체인 구조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987B1 (ko) 2021-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10515A (ko) 블록체인 관리시스템
Mingxiao et al. A review on consensus algorithm of blockchain
JP7408619B2 (ja) ブロックチェーンネットワークにおいて大規模分散メモリプールを管理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実装されたシステム及び方法
EP3817291B1 (en) Block chain maintenance method and device, server,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WO2019195639A1 (en) Programmatic creation of blockchains
EP3731494B1 (en) Blockchain maintaining method and apparatus, server,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Miraz et al. Application of blockchain in booking and registration systems of securities exchanges
EP4002181A1 (en) A consensus method and framework for a blockchain system
KR101986081B1 (ko) 블록체인에서 특정 노드들간 블록을 공유 및 검증하는 방법
CN110569246B (zh) 区块链节点信息同步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Wang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blockchain consensus algorithms
CN111654364A (zh) 应用区块链加密技术实现数据安全通信方法
JP2018018348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作成する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2241553B (zh) 一种基于多账本架构的区块链隐私保护方法及系统
Pillai et al. Securing firmware in Internet of Things using blockchain
CN112995211A (zh) 基于区块链网络的数据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Xi et al. [Retracted] A Comprehensive Survey on Sharding in Blockchains
Lin et al. Blockchain based unified authentication with zero-knowledge proof in heterogeneous MEC
Grybniak et al. Waterfall: a scalable distributed ledger technology
CN114328518A (zh) 基于utxo模型的低存储消耗的方法和系统
CN111414421B (zh) 一种分段式区块链存储方法和存储装置
KR20190086301A (ko) 블록 체인을 이용한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53013A (ko) 하이브리드 작업증명/지분증명 분산 합의 알고리즘의 구현 방법
Wang et al. The impact of propagation delay to different selfish miners in proof-of-work blockchains
KR102332814B1 (ko) 데이터 자기주권화를 위한 블록체인 구조를 포함하는 블록체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