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770B1 -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770B1
KR100494770B1 KR10-2002-0021227A KR20020021227A KR100494770B1 KR 100494770 B1 KR100494770 B1 KR 100494770B1 KR 20020021227 A KR20020021227 A KR 20020021227A KR 100494770 B1 KR100494770 B1 KR 100494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negative post
wire
vehicle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1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2756A (ko
Inventor
이용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21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77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7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4Arrangement of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가 와이어를 매개로 트랜스미션에 접지됨과 더불어 상기 와이어의 중간부가 스트립되어 차체의 접지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 자동차의 각종 부하를 통과한 접지전류가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를 경유하지 않고 차체에서 트랜스미션으로 직접 흐르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에 구비된 각종 전자부품에 안정된 접지전압레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전장시스템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A grounding structure of negative post of vehicle battery}
본 발명은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를 케이블을 사용하여 차체 및/또는 트랜스미션에 접지하는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의 개략도이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의 음극 포스트(-)는 제1와이어(11)를 매개로 트랜스미션(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더불어 제2와이어(12)를 매개로 차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시동시에는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0)의 접지전류가 제1와이어(11)를 통해 직접 트랜스미션(20)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시동후에 자동차에 구비된 각종 부하를 통과한 접지전류는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1차로 차체(30)의 접지점을 통과한 다음 제2와이어(12)와 배터리(10)의 음극 포스트(-) 및 제1와이어(11)를 거쳐 최종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접지점인 트랜스미션(20)으로 흐르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지구조는, 부하를 통과한 접지전류가 직접 트랜스미션으로 흐르지 못하고,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를 경유함에 따라 전압강하 현상이 크게 발생하고, 상대적으로 자동차에 구비된 각종 부하가 접지되는 차체의 접지전압레벨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에 구비된 엔진전자제어유니트와 같은 각종 전장부품류에 구비된 내부 로직에서, 예를 들자면 5volt 전압 이상의 신호를 "하이"레벨로 인식하고, 그 이하의 전압을 "로우"레벨이라고 인식하는 내부로직에서, 5volt의 전압이 정상적으로 인가됨에도 불구하고 접지전압레벨이 높아짐에 따라 그 보다 낮은 4.5volt가 인가되는 것으로 인식하게 되어, "하이"레벨의 신호를 "로우" 레벨의 신호로 오판정하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접지 구조는,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에 2개의 와이어를 압착 고정하여야 함에 따라 작업성이 나쁠 뿐만 아니라 상기 음극 포스트의 사이즈를 축소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각종 부하를 통과한 접지전류가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를 경유하지 않고 차체에서 트랜스미션으로 직접 흐르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에 구비된 각종 전자부품에 안정된 접지전압레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전장시스템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에 1개의 와이어만을 압착 고정함에 따라 작업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음극 포스트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는,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가 와이어를 매개로 트랜스미션에 접지됨과 더불어 상기 와이어의 중간부가 스트립되어 차체의 접지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의 개략도이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100)의 음극 포스트(-)가 와이어(110)를 매개로 트랜스미션(200)에 접지됨과 더불어 상기 와이어(110)의 중간부가 스트립(strip)되어 차체(300)의 접지점(31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시동시에는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배터리(100)의 접지전류가 와이어(110)와 차체(300)의 접지점(310)을 통해 트랜스미션(200)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시동시에 차체(300)의 접지점(310)에 대전류가 흐르지만 이와 같은 접지전류는 순간적으로 발생되고, 시동이 걸린 다음에는 발생되지 않으므로, 자동차에 구비된 각종 전장부품들의 접지전압레벨에 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또한, 시동후에는 자동차에 구비된 각종 부하를 통과한 접지전류가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흐르게 된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헤드램프 조작스위치(41)를 "온"시키면 헤드램프릴레이(42)가 턴온되어 전류가 헤드램프(43)로 공급되어, 헤드램프(43)가 점등된다.
이때, 상기 헤드램프(43)를 통과한 접지전류는 차체(300)의 접지점으로 흐르게 되는데, 상기 접지점을 통과한 다음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를 통과하지 않고 차량에서 가장 안정된 접지점인 트랜스미션(200)으로 직접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 구조에서, 차체의 각 접지점별 접지전압레벨을 측정한 결과 전반적으로 전부하 작동시에 70mvolt 수준으로 유지되어 매우 안정적인 수치를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의 각종 부하를 통과한 접지전류가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를 경유하지 않고 차체에서 트랜스미션으로 직접 흐르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에 구비된 각종 전자부품에 안정된 접지전압레벨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전장시스템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에 1개의 와이어만을 압착 고정함에 따라 작업성이 좋을 뿐만 아니라 음극 포스트의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배터리 110 : 와이어
200 : 트랜스미션 300 : 차체
310 : 접지점

Claims (1)

  1.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가 와이어를 매개로 트랜스미션에 접지됨과 더불어 상기 와이어의 중간부가 스트립되어 차체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자동차의 각종 전기부하는 차체에 접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
KR10-2002-0021227A 2002-04-18 2002-04-18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 KR100494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227A KR100494770B1 (ko) 2002-04-18 2002-04-18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1227A KR100494770B1 (ko) 2002-04-18 2002-04-18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756A KR20030082756A (ko) 2003-10-23
KR100494770B1 true KR100494770B1 (ko) 2005-06-13

Family

ID=3237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1227A KR100494770B1 (ko) 2002-04-18 2002-04-18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7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8176A (ja) * 1995-03-31 1996-10-15 Suzuki Motor Corp 車両用アース線の接続構造
KR100215336B1 (ko) * 1996-10-18 1999-08-16 류종열 자동차 접지 장치
KR20040007340A (ko) * 2002-07-15 2004-01-2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어스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8176A (ja) * 1995-03-31 1996-10-15 Suzuki Motor Corp 車両用アース線の接続構造
KR100215336B1 (ko) * 1996-10-18 1999-08-16 류종열 자동차 접지 장치
KR20040007340A (ko) * 2002-07-15 2004-01-24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량용 어스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2756A (ko) 2003-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125482A (ja) 自動車用電気系統
JPH05278536A (ja) 自動車の機内回路電圧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この方法を実行する装置
JP6426956B2 (ja) 車両用電力供給システム
KR100188385B1 (ko) 차량용 교류발전기 제어 유닛
KR100494770B1 (ko) 자동차 배터리의 음극 포스트 접지 구조
JP6426955B2 (ja) 車両用電力供給システム
JP2002010471A (ja) 過電流遮断装置
EP0740396A3 (en) Voltage regulator of vehicle alternator
BR9905118A (pt) Circuito de alimentação elétrica de um motor de arranque, e, arranque de veìculo automóvel
WO2019053952A1 (ja) 異常検出装置
JP5778512B2 (ja) 車両用ランプの制御装置
KR20030044637A (ko) 주간 주행등 제어 장치
JP2001229738A (ja) 車載ワイヤハーネス及び車載ワイヤハーネスの軽量共線化方法
JP2008149952A (ja) 車両配線システム
KR200243695Y1 (ko) 자동차용 릴레이
JPH09204940A (ja) フラットケーブルの電子部品実装方法
JP3092472B2 (ja) 自動車用ワイヤハーネスの電力供給装置
KR20130101940A (ko) 차량의 발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312154B1 (ko) 자동차용 능동형 퓨우즈
JP2001028832A (ja) Dc/dcコンバータ保護装置
JP2869538B2 (ja) 放電加工機の放電電流供給装置
KR0119193Y1 (ko) 퓨즈와 릴레이 내장형 컨넥터
JP2004364361A (ja) 車載電源装置
KR100569968B1 (ko) 차량의 전원 직접 공급장치
JP3909827B2 (ja) 車両用電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