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372B1 -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 Google Patents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372B1
KR100494372B1 KR10-2002-0060822A KR20020060822A KR100494372B1 KR 100494372 B1 KR100494372 B1 KR 100494372B1 KR 20020060822 A KR20020060822 A KR 20020060822A KR 100494372 B1 KR100494372 B1 KR 100494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late
vehicle
upper pla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0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31395A (ko
Inventor
이정권
Original Assignee
이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권 filed Critical 이정권
Priority to KR10-2002-0060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372B1/ko
Publication of KR20040031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31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372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2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 E04H6/06Small garages, e.g. for one or two cars with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단주차상판부에 주차되는 차량과 제2단주차상판부에 주차되는 차량간 상호 간섭없이 출입 가능하고, 제2단주차상판부에 주차시 차량의 동력을 이용 운전자나 관리자에 의한 인력으로 제2단주차상판부를 승강시키게 충진된 물을 이동시켜 무게 평형을 맞춰주므로서 주차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한 전원비사용에 따라 경제적운용과 골목길의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등에 설치할 수 있어 편의성 확대등으로 주차공간의 부족함을 해소할 수 있는 개별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로;
차량의 직진 동선에 대해 측면에 장방형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상에 위치되고 차량 주차시 수동조작에 의해 도로측으로 전,후진하게 설치된 제1단주차상판부와,
상기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상의 제1단주차상판부 구동과는 독립되어 도로측으로 전,후진 작동하게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에 롤러와 와이어로프를 구비하여 기립되어 설치되는 주차지지보부와,
상기 주차지지보부를 따라 승강하게 길이방향 양측에 와이어로프로 연결되어 매달아 설치한 일정 면적의 보조승강물탱크부와,
상기 보조승강물탱크부에 연결된 타단에 와이어로프로 주차지지보부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탑승 차량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펌프에 의해 상판물탱크의 물을 순환시켜 주차지지보를 승강하게 설치한 제2단주차상판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개별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를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2-STAGE PARKING DEVICE HAVING THE FUNCTION OF INDIVIDUAL PARKING }
본 발명은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1단주차상판부에 주차되는 차량과 제2단주차상판부에 주차되는 차량간 상호 간섭없이 출입 가능하고, 제2단주차상판부에 주차시 차량의 동력을 제2단주차상판부의 중량을 조정하여 수동으로 승강 작동시키게 되어 작동전원이 필요 없고, 이를 골목길의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등에 설치시 주차공간의 부족함을 해소할 수 있는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할 수 있는 공간은 크게 기계식주차건물과 지상주차장으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1개 층의 주차의 효율화는 높지 않으나, 복층화가 가능하므로 전체적인 주차공간의 효율성은 높였으나, 주차시 시간이 많이 걸리고, 한정된 공간과 차량 한 대를 주차하기 위해 고가의 고정비를 지급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기존의 주택가에서는 도입의 곤란함이 많다.
후자는 일반 주택가의 노면이나 도로변의 노면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이는 차량 한 대를 주차하려면 차량의 이동시 필요로 하는 공간까지 필요로 하므로 1면 1대의 주차공간에 더하여 토지공간 활용상 비효율성을 노출하고 있다.
이러한 불합리함을 제거하기 위해 다양한 복층주차장치(이단주차장치 포함)가 제안되고 있는데, 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9-5764호(공개번호 제2000-19312호)(고안의 명칭: 유압 리프트식 2,3단 주차설비)와 특허등록출원 제2001-15825호(공개번호 제2001-69474호)(발명의 명칭: 링크를 이용한 이단 주차설비)와 특허등록출원 제2001-45742호(공개번호 제2001-82483호)(발명의 명칭: 2단 주차설비), 특허출원번호 제 2002-11985호(공개번호 제 2002-33680호)(발명의 명칭: 복층 주차 장치), 실용신안출원번호 제 2000-7839호(고안의 명칭 : 차량 동력을 이용한 이단 주차 장치) 등이 출원되어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주차 장치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살펴보면; 상기 실용신안등록출원 제1999-5764호의 기술적 구성은 파레트를 상호 겹쳐지게 할 수 없는동시에 지면도 많이 확보하여야 하고, 부수적인 안전장치의 기술적 구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상기 특허등록출원 제2001-15825호의 기술적 구성은 지하 주차공간이 없다는 문제점과 아울러 차량을 2대 밖에 주차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상기 특허등록출원 제2001-45742호의 기술적 구성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지하에 주차할 공간이 없고, 부수적인 안전장치가 없으며, 차량을 2대 밖에 주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특허출원번호 제 2002-11985호의 기술적 구성은 주차장치의 설치시 지면을 일정 깊이로 매립하는 방식은 지하에 많은 시설이 매설된 도시 공간에서는 곤란하거니와, 주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주차해야 하므로 넓은 공간을 요하게 된다.
실용신안출원번호 제 2000-7839호(고안의 명칭 : 차량 동력을 이용한 이단 주차 장치)의 기술적 구성은 상하층 차량을 독립적으로 주차할 수 없다. 즉, 상층과 하층에 모두 입차한 경우 상층의 차량을 출차하려면 하층의 차량을 운전해서 자리를 비켜준 다음 상층의 차량을 출차하고 다시 하층의 차량을 주차시켜야 주차가 완료 된다.
또한 주행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주차해야 하므로 폭이 좁은 일반 주택가의 노면에서는 사용하기 힘든 차량의 주차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단주차상판부에 주차되는 차량과 제2단주차상판부에 주차되는 차량간 상호 간섭없이 출입 가능하고, 제2단주차상판부에 주차시 차량의 동력을 제2단주차상판부의 중량(무게평형)을 조정하여 수동으로 승강 작동시키게 되어 작동전원이 필요 없고, 골목길등의 거주자 우선 주차 구역에 설치시 주차공간의 부족함을 해소할 수 있는 개별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직진 동선에 대해 측면에 장방형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상에 위치되고 차량 주차시 수동조작에 의해 도로측으로 전,후진하게 설치된 제1단주차상판부와,
상기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상의 제1단주차상판부 구동과는 독립되어 도로측으로 전,후진 작동하게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에 롤러와 와이어로프를 구비하여 기립되어 설치되는 주차지지보부와,
상기 주차지지보부를 따라 승강하게 길이방향 양측에 와이어로프로 연결되어 매달아 설치한 일정 면적의 보조승강물탱크부와,
상기 보조승강물탱크부에 연결된 타단에 와이어로프로 주차지지보부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탑승 차량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펌프에 의해 상판물탱크의 물을 순환시켜 주차지지보를 승강하게 설치한 제2단주차상판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개별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는 제1단주차상판부가 위치하게 마련된 공간부와, 이 공간부의 길이 방향인 좌,우 양측에 제2단주차상판부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게 마련된 가이드홈과, 상기 공간부의 내측으로 길이 방향 양측면에 일정 길이로 장착되어 제1단주차상판부에 이동을 안내하게 선단에 트랙바퀴를 구비하여 조립 설치되는 제1트랙바와, 상기 가이드홈에 설치된 제2트랙바와, 저면에 높낮이 조절다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단주차상판부는 차량이 탑재되게 일정 면적과 방지턱을 양측에 형성하고 길이 방향의 양단에 승하차경사부를 갖는 제1상판과, 이 제1상판의 일측 승하차경사부간 사이마다 보조바퀴를 설치하면서 저면 양측에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의 제1트랙바를 조립하여 전,후진을 안내하게 장착 형성되는 트랙가이드브라켓트와, 상기 트랙가이드브라켓트간의 사이 양측에 마련된 휠브라켓트에 상판을 지지하면서 이동을 용이하게 다수 장착된 1조의 상판이동휠과, 상기 제1상판의 전면측에 회동하게 수납되어 필요시를 기립시켜 전,후진을 용이하게 설치한 푸쉬풀손잡이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주차지지보부는 가이드홈의 장착된 트랙바와 전면에서 조립되어 전,후진 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승강물탱크 받침대를 형성한 제2단승하차경사부와, 이 제2단승하차경사부의 양단에 승강물탱크의 승강을 안내하게 일측면에 가이드바, 승강가이드홈, 고정멈춤홈을 형성한 기둥과, 이 기둥중 길이방향의 양측간에 와이어로프가 걸쳐지는 롤러를 구비하여 거치되는 풀리축과, 상기 풀리축간의 사이 기둥간을 각각 연결 지지되게 설치되는 지지판과, 상기 기둥중 어느 하나 일측에 장착한 시건장치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보조승강물탱크부는 기둥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바에 조립되어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측판을 구비하면서 와이어로프를 연결하게 연결링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제1쳄버와, 이 제1쳄버간을 연결하게 일측에 배치 설치되는 연통관과, 이 연통관의 타측 쳄버에 물의 유입과 배출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출입관과, 상기 제1쳄버내에 연통관과 유,출입관에 연결되는 워터백을 내장하면서 쳄버한 제1물탱크와,
상기 제1물탱크에 연통관으로 연결되면서 일정 간격을 두고 타측 기둥을 가이드측판에 의해 승강하고 와이어로프 연결링을 갖는 제2쳄버와, 이 제2쳄버내에 물이 충진되게 워터백으로 내장하여 구성된 제2물탱크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개별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2단주차상판부는 4기둥의 승강가이드홈을 타고 구르게 상판가이드바퀴를 측면에 장착하면서 내부에 공간부를 마련한 제2상판과, 이 제2상판의 내부에 제1,2물탱크와 동일한 체적으로 형성한 상판물탱크와, 상기 제2상판에 차륜이 위치하는 곳에 노출되면서 상판물탱크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를 작동시키게 연결 설치되는 롤러부와, 이 롤러부의 일측에 회전을 랙과 피니언기어에 의해 회전을 가변적으로 제한하게 롤러록킹부와, 상기 제2상판의 측면 상판가이드바퀴 각각의 일측에 탄성부재로 탄지 설치되어 기둥의 고정멈춤홈에 결합되는 락핀를 와이어로 당기게 설치된 레버를 작동손잡이를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개별출입차용 2단주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도2의 P-P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단주차상판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도4의 A-A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7은 도6의 B-B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차지지보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차지지보부의 제2승하차경사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차지지보부의 일부 절개한 측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지지보부에 적용되는 시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지지보부의 기둥내에 설치된 잠금볼트 락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승강물탱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14는 도13의 C-C'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15는 도14의 E-E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주차상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주차상판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주차상판부에 적용되는 유입관,배출관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9는 도17의 F-F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0은 도17의 유입관 밸브 스위치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록킹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2)는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 제1단주차상판부(20), 주차지지보부(30), 보조승강물탱크부(40), 제2단주차상판부(50)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는 차량의 직진 동선에 대해 측면에 장방형으로 지면에 설치되고 있다.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는 제1단주차상판부(20)가 위치하게 마련된 공간부바닦판(11)과, 이 공간부바닦판(11)의 길이 방향인 좌,우 양측에 제2단주차상판부(20)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게 마련된 가이드홈(12)과, 상기 공간부바닦판(11)의 내측으로 길이 방향 양측면에 일정 길이로 장착되어 제1단주차상판부(20)의 이동을 안내하게 선단에 트랙바퀴(13)를 구비하여 조립 설치되는 제1트렉바(14)와, 상기 가이드홈(12)에 일정 길이로 장착되어 주차지지보부(30)의 전,후진을 안내하는 제2트랙바(15)와, 상기 공간부바닦판(11)의 저면에 지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한 높낮이 조절다리(16)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가이드홈(12)에는 주차지지보부(30)의 전,후진시 사용을 제한하게 락브라켓트(18)를 돌출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공간부바닦판(11)과 가이드홈(12)면은 제1단주차상판부(20)와 주차지지보부(30)의 당김력을 저감하게 일정 기울기로 경사져 있으며, 또, 공간부 바닦판(11)과 가이드홈(12) 바닦면에는 제1단주차상판부(20)와 주차지지보부(30)의 도로측으로 구르는 것을 제한하게 바퀴정지돌기(19)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한 바퀴정지돌기(19)는 제1단주차상판부(20)와 주차지지보부(30)의 푸쉬풀 작동을 크게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돌출 형성하고 있다.
또,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의 설치시 경사도로등 지면이 평탄하지 않을때 바닦 저면에 적용되는 높낮이 조절다리(16)는 캡(161), 다리결합부(162), 높이조절부(163)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제1,2트랙바(14)(15)는 제1단주차상판부(20)나 주차지지보부(30)가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전,후진 작동이 이루어지게 설치되고 있다.
제1단주차상판부(20)는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상에 위치되고 차량 주차시 수동조작에 의해 도로측으로 전,후진하게 설치되고 있다.
상기 제1단주차상판부(20)는 차량이 탑재되게 일정 면적과 방지턱(21)을 양측에 형성하고 길이 방향의 양단에 승하차경사부(22)를 갖는 제1상판(23)과, 이 제1상판(23)의 일측 승하차경사부(22)간 사이마다 보조바퀴(24)를 설치하면서 저면 양측에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의 제1트랙바(14)를 조립하여 전,후진을 안내하게 장착 형성되는 트랙가이드브라켓트(25)와, 상기 트랙가이드브라켓트(25)간의 사이 양측에 마련된 휠브라켓트(26)에 제1상판(23)을 지지하면서 이동을 용이하게 다수 장착된 1조의 상판이동휠(27)과, 상기 제1상판(23)의 전면측에 회동하게 수납되어 필요시를 기립시켜 전,후진을 용이하게 설치한 푸쉬풀손잡이(28)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1단주차상판부(20)는 운전자나 관리자의 인력에 의해 전,후진시켜 직접 사용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보조바퀴(24)는 차량의 탑재나 출차측의 반대편쪽 승하차경사부(22)가 들리는 것을 보조적으로 방지하며, 제1상판(23)의 방지턱(21)은 운전자에 의한 주차브레이크의 오조작이나 부주의로 인해 차량이 전진하는 것으로 저지하기 위해 형성하고 있다.
주차지지보부(30)는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상의 제1단주차상판부(20) 작동과는 독립되어 가이드홈(12)과 도로측간을 전,후진 작동하게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에 4개의 기둥(31)과 풀리(32), 시건장치(33), 제2승하차경사부(34)를 구비하여 기립 설치되고 있다.
주차지지보부(30)는 가이드홈(12)에 장착된 제2트랙바(15)와 전면에서 조립되는 트랙바홈통(35)을 형성하여 전,후진 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물탱크 받침대(36)를 형성한 제2승하차경사부(34)와, 이 제2승하차경사부(34)의 양단에 보조승강물탱크부(40)의 승강을 안내하게 일측면에 가이드바(37)과, 제2단주차상판부(50)의 승강을 안내하게 일측면에 승강가이드홈(38), 이 일측 상,하에 고정멈춤홈(39)을 형성한 기둥(31)과, 이 기둥(31)중 길이방향의 양측간에 와이어로프(321)가 걸쳐지는 풀리(32)를 구비하여 거치되는 풀리축(322)과, 상기 풀리축(322)간의 사이 기둥(31)간을 각각 연결 지지되게 설치되는 지지판(311)과, 상기 기둥(31)중 어느 하나 일측에 장착한 시건장치(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있다.
상기 기둥(31)의 하단에는 트랙바홈통(35)의 하측에 가이드홈(12)을 구르게 주차지지보 바퀴(313)을 구비하여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제2승하차경사부(34)는 기둥(31)간의 사이에 설치되면서 제2트랙바(15)를 안내하는 트랙바홈통(35)이 조립되면서 기둥(31)사이에 장착로드(312)로 장착 고정되면서 중간에 물탱크받침대(36)를 형성한 승하차경사프레임(341)과, 이 승하차경사프레임(341)의 물탱크받침대(36) 양측으로 경사부힌지축(342S)으로 좌,우로 회동하게 설치된 경사받침판(34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경사받침판(342)은 승하차경사프레임(341)측에 리턴스프링(343)을 개재하고 있으며, 타측은 지면과 접촉을 용이하게 하는 접지부(344)를 두고 있다.
제2승하차경사부(34)는 경사받침판(342)의 일측에 장착된 리턴스프링(343)이 장치되어 있어 지면과의 이격을 보정하여 주므로서 차량의 주차나 출차시 오르내림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시건장치(33)는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손잡이(331), 장치자물쇠(332), 인가자물쇠(333)가 통상의 기술에 의해 상호 연계되어 작동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상기 손잡이(331)에 와이어(334)로 연결되면서 일측의 주차지지보(30)에 탄성부재(335)로 탄지되는 록커(336)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록커(336)는 베이스가이드프레임부(10)의 가이드홈(12) 측벽에 돌출 형성된 락 브라켓트(18)에 록킹되어 주차지지보부(30)의 전,후진을 제한하고 있다.
참고적으로 장치자물쇠(332)나 인가자물쇠(333)를 구체적으로 도시생략하고 있지만 통상의 기술에 의해 장치자물쇠(332)는 해당 주차장치만의 작동에 관여하며, 인가자물쇠(333)와 장치자물쇠(332)는 상호 구속관계에 있어 인가된 사용자만이 사용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리고 주차지지보부(30)의 각 기둥(31)내에는 제2단주차상판부(50)의 작동을 제한하게 구속하는 잠금볼트 락부(314)를 설치하고 있다.
잠금볼트 락부(314)는 주차지지보부(30)의 각 기둥(31) 일측면에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의 가이드홈(12) 일측벽과 접촉하게 설치된 경첩형 푸쉬풀 플레이트(315)와, 이 푸쉬풀플레이트(315)에 돌출 형성되어 기둥(31)을 관통하는 푸쉬풀로드(316)와, 이 푸쉬풀로드(316)에 링크 연결되는 연동링크(317)에 의해 일정 길이로 기립 설치되는 롱로드(318)와, 이 롱로드(318)의 선단에 상측의 고정멈춤홈(39)에 진입한 락핀(51)의 락홀(51H)에 삽입되는 락로드헤드(319)와, 상기 연동로드(317)가 연결되는 롱로드(318)의 타단에 부착되면서 기둥(31)의 바닦면에 장착되어 당기게 설치된 인장스프링(3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보조승강물탱크부(40)는 주차지지보부(30)를 따라 승강하게 길이방향 양측에 와이어로프(321)로 연결되어 매달아 설치되고 있으며, 이동하는 물이 충진되어 무게평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일정 면적으로 형성되고 있다.
보조승강물탱크부(40)는 제1물탱크(41)와, 제2물탱크(42), 제1,2물탱크(41)(42)를 뒤틀림을 방지하면서 평행하게 지지하는 연결보강부재(43)와, 이 연결보강부재(43)와 병렬로 배치되어 제1,2물탱크(41)(42)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관(44)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제1물탱크(41)는 기둥(31)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바(37)에 조립되어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측판(45)을 구비하면서 와이어로프(321)를 연결하게 연결링(46)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제1쳄버(411)와, 이 제1쳄버(411)의 일측에 물의 유입과 배출이 가능하게 제2단주차상판부(50)와 관로로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제1쳄버(411)내에 연통관(44)과 유,출입에 관계하는 관로로 연결되는 워터백(412)을 내장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제2물탱크(42)는 제1물탱크(41)에 연통관(44)으로 연결되면서 일정 간격을 두고 타측 기둥(31)을 가이드측판(45)에 의해 승강하고 연결링(46)을 갖는 제2쳄버(421)와, 이 제2쳄버(421)내에 물이 충진이나 배출되게 연통관(44)으로 연결되는 워터백(412)을 내장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보조승강물탱크(40)는 제2단주차상판부(50)의 상승시 와이어로프(321)로 연결되어 반대로 하강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워터백(412)은 설계에 따라 선택적으로 채택하여 적용할 수 있으며, 여기에 구속되지는 않는다.
상기 워터백(412)는 신축성과 내수성, 내구성, 기밀성을 갖는 재질로 내용물의 누수 방지와 유동성 도모를 고려한 것이면 가능하며, 에어배출등은 통상의 기술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제2단주차상판부(50)는 보조승강물탱크부(40) 양측에 와이어로프(321)로 주차지지보부(30)에 매달리게 설치되며, 탑승 차량의 동력으로 펌프(52)를 구동시켜 상판물탱크(53)에 충진된 물을 이동시켜 무게평행을 맞추어주므로서 인력에 의해 제2상판(54)을 들어 올리거나 하강시켜 주차를 행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제2단주차상판부(50)는 4기둥의 승강가이드홈(38)을 타고 구르게 상판가이드바퀴(541)를 측면에 장착하면서 내부에 공간부를 마련한 제2상판(54)과, 이 제2상판(54)의 내부에 제1,2물탱크(531)(532)와 동일한 체적으로 형성한 상판물탱크(53)와, 상기 제2상판(54)에 차륜이 위치하는 곳에 노출되면서 상판물탱크(53)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52)를 작동시키게 연결 설치되는 롤러부(55)와, 이 롤러부(55)의 일측에 회전을 랙과 피니언기어에 의해 회전을 가변적으로 제한하게 롤러록킹부(56)와, 상기 제2상판(54)의 측면 상판가이드바퀴(541) 각각의 일측에 탄성부재(511)로 탄지 설치되어 기둥의 고정멈춤홈(39)에 결합되는 락핀(51)를 와이어(512)로 당기게 설치된 레버(513)를 작동손잡이(514)에 장착 구성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제2단주차상판부(50)는 차량의 동력을 이용 유동물질인 물을 이동시켜 무게평형을 맞추어주므로서 관리자나 운전자의 인력으로 제2단주차상판부(50)의 작동손잡이(514)를 잡고 상승시켜 주차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제2단주차상판부(50)에서 제2상판(54)과 승강보조물탱크부(40)는 주차지지보부(30)의 풀리(32)에 거치되는 와이어로프(321)로 연결되어 있어 상호 연동하여 승강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상판(54)과 보조승강물탱크부(40)에 연결 배치되는 유동물질 배출관(57)은 각 펌프(52)에 연결포트(571, 572, 573, 574)를 통해 연결되고 있다.
유동물질 배출관(57)은 보조승강물탱크부(40)의 제1물탱크(41)와 상판물탱크(53)간에 연결되어 제1물탱크(41)로 물을 공급하는 관이다.
상기 유동물질 배출관(57)에는 배출관밸브(575)와 배출관 계량기(576)를 설치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체크하게 하고 있다.
유동물질 유입관(58)은 보조승강물탱크(40)로 부터 유입관 밸브(581)와 리셋기능과 첵크밸브를 구비한 유입관 계량기(582)를 설치하고 있어 보조승강물탱크부(40)의 제1탱크(41)로 이동하는 물의 량을 체크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유입관 밸브 스위치판(583)은 차량의 출차시 누르고 지나가게 제2상판(54)에 노출 설치되고 있으며, 가압시 유입관 밸브(58)를 개구하게 설치되고 있어 상승상태인 보조승강물탱부(40)의 제1,2물탱크(41)42)로부터 물의 유입을 가능하게 하여 제2상판(54)을 하강상태를 유지하게 하고 있다.
상기 유입관 밸브 스위치판(583)는 연결막대(584)로 연결된 유입관 밸브레버(585)과 이에 의해 통상의 개폐 기능을 갖는 유입관 밸브(58)를 연동하게 구성하고 있다.
상기 유입관 밸브 스위치판(583)은 가압시 연결막대(584)가 지레작용을 하여 유입관 밸브(58)를 회동시켜 개구하게 되어 있으며, 고정장치(586)에 힌지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유입관밸브레버(585)의 회전하여 락핀(51)의 후퇴를 저지하므로서 작동손잡이(514)의 레버(513) 조작을 정지시켜 제2상판(54)의 상승을 제한하게 설치되고 있다.
또, 제2단주차상판부(50)의 작동손잡이(514)의 레버(513)는 와이어(512)로 락핀(51)과 연결되어 탄성부재(511)로 탄지되는 락핀(51)를 당겨 고정멈춤홈(39)로부터 후퇴시켜 제2상판(54)를 승강하게 하고 있다.
롤러부(55)는 진입한 차량의 차륜이 자리했을 경우 구동하는 차량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설치되고 있으며, 회전축에는 베벨기어(551)를 장착하여 동력을 전달하게 하여 원심력펌프(52)를 구동시키고 있다.
상기 원심력펌프(52)의 구동시 물은 유동물질 배출관(57)을 통해 배출관 밸브(575) 배출관계량기(576)를 거쳐 보조승강물탱크부(40)로 물을 이동시키게 하고 있다.
그리고 롤러락제어페달(59)은 프로론트페달(59F)와 리어페달(59R)로 형성되어 프론트페달(59F) 답단시 연동하는 화동전달축(591) 일측에는 롤러부(55)의 회전을 제한하는 랙기어(592)와 피니언기어(593)간의 치합을 단속하게 승강 작동하는 링크부재(594)가 상승하게 연결 설치하고 있다.
상기한 랙기어(592)는 복수의 롤러부(55)에 설치된 피니언기어(593)와 치합하게 에스자형으로 형성되고 있어 피니언기어(593)와 치합하므로서 롤러부(55)의 회전을 단속하게 되어 있다.
반대로 리어페달(59R)을 답단하면 롤러부(55)의 락상태를 해제하게 되는등 차량의 롤러부(55) 통과나 롤러부(55)상에 위치함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롤러락제어페달(59)의 답단시 로드(595)를 통해 연동하는 회동전달축(591)을 회전시켜 배출관밸브(575)의 개구와 아울러 링크부재(594)의 하강을 유도하여 피니언기어(593)와 랙기어(592)를 분리시켜 롤러부(55)를 공회전 가능 상태로 유지하여 상판물탱크(53)의 물을 보조승강물탱크부(40)에 공급하여 무게평형을 도모하게 하고 있다.
이때 롤러부(55) 상에 위치한 차량이 전륜구동인 경우에는 연결포트(571), (572)를 통해 주도적으로 배출시켜 보조승강물탱크부(40)에 공급하게 되고, 후륜구동인 경우에는 연결포트(573)(574)를 통해 유동물질을 배출시켜 공급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작용은 통상의 시건장치(33)에 의해 사용승인이 허가되어 있음을 전제로 하여 설명하면,
예를 들어 제1,2단주차상판부(20)(50) 모두 주차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단주차상판부(20)를 이용 주차하고자 할때에는 푸쉬풀 손잡이(28)를 세워 제1상판(23)을 도로측으로 당기면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에 장착된 제1트랙바(14)에 의해 안내되고 상판이동휠(27)에 의해 공간부바닦판(11)나 지면과 접촉하여 용이하게 구르게 되어 전진하게 된다.
이에 운전자는 차량을 제1상판(23)의 방지턱(21)에 걸리게 주차시킨 후 하차하여 다시 푸쉬풀손잡이(28)를 잡고 베이스 가이드 프레임부(10)측으로 밀어 넣으면 주차가 완료되며, 이에 따른 출차는 주차의 역순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사용자가 제1단주차상판부(20)에 주차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2단주차상판부(50)를 이용 주차하고자 할때에는;
제2상판(54)의 일측에 마련된 작동손잡이(514)의 레버(513)를 잡고 당겨 제2상판(54)과 보조승강물탱크부(40)가 구비된 주차지지보부(30)를 제2트랙바(15)와 주차지지보바퀴(313)를 이용 도로측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주차지지보부(313)의 제2승하차경사부(34)를 타고 제2상판(54)의 롤러부(55)상에 차륜이 위치하게 되면 운전자측 도어를 열고 롤러락제어페달(56)의 프론트페달(59F)을 밟아 롤러록킹부(56)의 링크부재(594)를 다운시켜 랙기어(592)와 피니언기어(593)를 분리하여 차량의 동력으로 롤러부(55)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상판(54)의 상판물탱크(53)의 물 일정량(차량의 무게에 대비되는 량)이 구동하는 펌프(52)에 의해 배출관(57)을 거쳐 보조승강물탱크부(40)의 제1물탱크(41)와 제2물탱크(42)순으로 충진이 완료됨을 배출관 계량기(576)을 통해 확인한후 작동손잡이(514)의 레버(513)를 당기게 되면 기둥(31)의 하단 고정멈춤홈(39)에 탄지되어 결합된 제2상판(54)의 락핀(51)이 후퇴되면서 운전자의 힘으로 작동손잡이(514)와 레버(513)를 동시에 잡고서 위로 밀어 올린다.
이때 상기 펌프(52)는 탑재된 차량이 전륜구동이면 연결포트(571)(572)가 연결되는 전륜측 펌프(521)가 구동하게 되고, 후륜 구동차량이면 연결포트(573)(574)가 연결된 후륜측 펌프(522)의 구동으로 펌핑하게 된다.
즉, 배출관 밸브(575)의 개구로 상승 상태인 보조승강물탱크부(40)에 물이 배출관(57)을 통해 하강상태인 제2상판(54) 상판물탱크(53)의 물을 이동시켜 차량이 탑재측의 중량과 보조승강물탱크(40)측의 중량간 무게평형을 맞추면 인력에 의해 차량이 탑재된 제2단주차상판부(50)를 주차지지보부(20)의 승강가이드홈(38)을 따라 상판가이드바퀴(541)로 안내되어 큰 힘 들이지 않고 들어 올릴 수 있게 됨을 이용한 주차장인바;
다시말해 보조승강물탱크(40)의 무게와 물의 무게 합(P)과 제2상판(54)의 무게와 상판물탱크(53) 속의 물의 합(Q)을 같으면, 주차지지보부(30)의 풀리(32)에 와이어로프(321)로 거치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손잡이(514)를 잡고 보조승강물탱크(40)와 제2상판(54)의 위치를 용이하게 교환 가능하다.
그러면 배출관(57)을 통해 상판물탱크(53)로 유입되는 물의 량이 더 이상 내려오지 않을 정도의 시간이 흐르면(배출관 계량기(50b)의 숫자 증가가 멈춘 시점), P와 Q의 무게는 같아진다.
즉, 부피는 물질의 밀도에 의해 무게로 환산되므로, P와 Q의 무게를 같도록 하여 상판물탱크(53)를 신축성이 없고 구겨질 수 있으며 침투성이 없으면서 일정 부피를 유지를 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나 에프알피등으로 제작함도 가능하며, 어느 재질에 제한 받지 않는다.
상기 보조승강물탱크(40)로 배출관(57)을 통해 물을 이동시킬 때 배출관 계량기(576)를 통해 이동된 물의량을 판단할 수 있게 하고 있어 작동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인력에 의해 상승한 제2상판(54)이 어느정도 상승하여 멈추게 되면 작동손잡이(514)의 레버(513)을 놓게 되면 탄성부재(511)로 탄지된 락핀(51)이 전진하여 기둥(31)의 상부 고정멈춤홈(39)과 결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손잡이(514)를 잡고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측으로 밀어넣으면 주차지지보부(30)의 기둥(31)의 하단 전면측에 돌출된 경첩형 푸쉬풀플레이트(315)가 가이드홈(12)의 측면에 접촉되면서 눌리어 롤로드(318)을 상승시켜 락로드헤드(319)를 락핀(51)의 락핀홀(51H)에 진입시켜 제2상판(54)을 견고하게 고정시킴으로서 2층의 주차를 완료하게 된다.
상기 주차지지보부(30)가 가이드홈(12)으로 전진하게 되면 돌출된 락브라켓트(18)에 기둥(31)내의 록커(336)과 록킹되어 제2단주차상판부(50)의 사용을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제2단주차상판부(50)의 탑재 차량의 출차시는 기본적으로 주차의 역순으로 이루어지지만 시건장치(33)의 손잡이(333)를 돌려 록커(336)를 락브라켓트(18)로부터 후퇴시킨다.
다음은 작동손잡이(514)를 잡고 주차지지보부(30)를 도로측으로 인출시키면 경첩형 푸쉬풀플레이트(315)가 돌출되면서 락핀(51)로부터 락로드헤드(319)가 빠지게 되며, 가압되는 레버(513)에 의해 고정멈춤홈(39)에서 락핀(51)의 분리와 더블어 제2상판(54)을 하강시켜 락핀(510으로 하여금 하단측의 고정멈춤홈(39)에 결합시켜 고정상태에 둔다.
이후 탑재 주차된 차량을 출차하면서 유입관 밸브 스위치판(583)을 누른후 출차하면 유입관밸브(581)이 개구되어 유입관(58)을 통해 보조승강물탱크(40)의 물이 제2상판(58)의 상판물탱크(53)로 유입된다.
이때 관리자나 운전자는 유입관 계량기(582)를 보고 제2상판(54)과 보조승강물탱크(40)간의 무게평형이 이루어지는 시점에서 유입관밸브레버(585)를 수동 조작하여 차단한 후, 주차할 차량이 있는 경우는 상기한 주차 경우에 작동시키면 되고, 주차할 차량이 없는 경우는 작동손잡이(514)와 레버(513)을 잡고서 주차의 경우의 순으로 작동시켜 베이스 가이드 프레임부(10)에 밀어 넣으면 도로측의 주행에 방해를 주지 않는 상태로 고정시키게 된다.
참고적으로 주차시 차량의 과구동에 의해 물이 보조승강물탱크부(40)로 올라간 경우에는 유입관 밸브 레버(585)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적절한 양의 유동물질을 상판물탱크(53)로 유입시켜 무게평형을 조정하면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상판(54)에 주차시나 출차시 차량의 차륜이 롤러부(55)에 올라 서거나 빠져나갈때 롤러락제어페달(59)의 리어페달(59R)을 밟아 롤러부(55)를 고정시킨후 주차를 행하게 하므로서 차량의 출차나 주차를 안정되게 한다.
또, 보조승강물탱크(40)가 하강하여 탱크받침대(36)에 있게 되면 제2단주차상판부(50)는 상승하여 상단 고정멈춤홈(39)에 고정되어 주차를 안정하게 하거나 주차대기 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한 시건장치(33)는 통상의 기술에 의해 설치되고 있으며, 그 사용 또한 통상의 관리범위나 사용자의 사용범위를 제한하는 등의 규정은 통상의 범위내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한다.
그리고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주차상판부 제2상판의 다른 실시예인 하중식 제3상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주차상판부 제2상판의 다른 실시예인 하중식 제3상판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하중식 제3상판에 적용된 배출관밸브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 도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하중식 제3상판의 누름하중판을 도시한 되면이고, 도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하중식 제3상판의 누름하중판이 차륜에 의해 눌림을 도시한 도면이다.
차량 하중식 제3상판(61)은 제2상판(54)의 상부 일정 면적에 배치되게 분절되어 다수 조립된 하중누름판(62)과, 이 하중누름판(62)의 진입측에 차량의 통과시 눌리게 설치된 배출관 밸브스위치판(63)과, 상기 하중누름판(62)의 출차측에 차량의 통과시 눌리게 설치된 유입관 밸브스위치판(64)과, 상기 하중 누름판(62)의 일측에 배출관밸브(575)를 차단하게 설치한 배출관답단레버(65)를 설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하중식 제3상판(61)에는 상판물탱크(53)를 일정 체적을 갖는 다중쳄버(66)로 형성하고 양측에 마주하게 물의 유입과 배출을 제어하는 첵크밸브(67)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다중쳄버(66)는 진입하는 차량의 하중에 의해 일정 범위내에서 신장하게 설치된 하중누름판(62)에 의해 가압됨에 따라 배출관(57)을 통해 물을 보조승강물탱크부(40)로 공급하게 되어 있다.
즉, 하중식 제3상판(61)에 차량이 올라와 서서히 전진하면서 하중누름판(62)을 전체적으로 누르게 되면 다중쳄버(66)의 쳄버(661)를 일정 각도로 비스듬하게 형성하고 있음에 따라 우측에서 좌측으로 점차적으로 하나의 쳄버(661)를 완전히 가압하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쳄버(661)내의 물은 역류를 방지하는 첵크밸브(67)를 통해 배출됨에 따라 배출관(57)을 통해 보조승강물탱크부(40)로 공급하게 되어 있다.
상기 하중누름판(62)은 장방형으로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 곡률로 휘어져 형성되면서 여러 개가 서로 연결되어 차량 탑재면적에 해당되는 만큼 설치되고 있다.
그리고 하중누름판(62)간의 연결은 양측에 형성된 장공(621)을 통해 연결핀(622)과 너트(623)로 체결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하중누름판(62)은 차량의 진입전에 물이 충진된 다중쳄버(66)에 의해 떠받쳐져 있다가 차량의 진입으로 인해 차량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장공(621)의 범위내에서 늘어나게 되면서 다중쳄버(66)를 누르게 되어 있다.
상기 하중식 제3상판(61)에 적용되는 다중쳄버(66)는 신축성은 없지만 체적은 변경 가능한 연성재질로 형성되고 있다,
또 다중쳄버(66)는 측벽(611)에 의해 장착됨이 유지되고 배출관(57)과 유입관(58)이 연결되는 양측벽의 외측에 각각 물의 일방향 유동을 위해 첵크밸브(67)를 설치하여 물의 공급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상기 다중쳄버(66)의 쳄버(661) 가압시 과압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쳄버당 쳄버(661)간을 연통시킨 유로포트(662)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하중식 제3상판(61)에 적용되는 다중쳄버(66)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쳄버(661)로 다수개로 나누어 형성하게 된 이유는 먼저 쳄버(661)를 하나로 형성할 경우, 넓게 1개의 쳄버(661)로 형성하여 가압할때는 가압부위가 국부적이기 때문에 배출되는 물의 양과 배출속도가 완만한데 반해 일정 면적에 여러개의 쳄버(661)를 형성하여 다중쳄버(66)로 형성하면 1개의 쳄버를 집중적으로 가압시킬 수 있어 배출 물의 양과 배출속도를 신속하게 할 수 있는 등 차량의 하중과 속도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다.
상기 배출관 밸브 스위치판(63)은 차량이 진입하는 측에 설치되고 있으며, 차량의 차륜이 답단하게 되면 하강하는 랙기어(631)가 피니언기어(632)를 회전시키게 되고, 따라서 피니언기어축(633)도 회전하여 랙기어(632)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기어축(633)의 회전시 타측에 설치된 스톱퍼(634)를 밀어 락핀(51)의 후퇴를 방지하게 되어 있으며, 또, 동시에 일방향으로 이동시킨 랙기어(632)에 연결된 배출관밸브(575)로 하여금 배출관(57)을 개구하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배출관답단레버(65)는 배출관 밸브스위치판(63)과 상호 연동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하중식 제3상판(61)의 작동손잡이(514) 일측에 설치되면서 배출관 밸브(575)와 연결되고 있어 밟을 경우 배출관 밸브(575)를 닫아 물의 배출을 차단하고 있다.
그리고 배출관답단레버(65)는 차량유무에 따른 하중식 제3상판(61)과 보조승강물탱크부(40)간의 무게 평형에 근접함을 운전자나 관리자가 배출관 계량기(576)를 보고 판단하여 답단했을때 배출관 밸브(575)를 차단하게 되어 있으며, 이는 승강 작동중 물의 이동으로 인한 무게 평형의 변화를 막아 작동의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차량의 출차측에 설치되는 유입관밸브 스위치판(583)은 차량의 출차후 유입관밸브(581)를 열어주게 설치되어 차량의 출차로 인한 무게평형을 보정하게 하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는 차량 하중식 제3상판(61)의 작용중 구별되는 부분만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주차될 차량이 배출관밸브 스위치판(63)을 가압하면서 진입하면 배출관밸브(575)를 작동시켜 배출관(57)을 열어 주게 된다.
이후 차량의 차륜이 하중누름판(62)에 진입하면서 눌리게 되는 하중누름판(62)은 저부의 다중쳄버(66)의 쳄버(661)들을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쳄버(661)내의 물은 배출관(57)측의 첵크밸브(67)를 통해 이동하여 역류하지 않고 보조승강물탱크부(40)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면 운전자는 배출관 계량기(576)를 보고 판단하여 무게평형에 도달하게 될때 배출관답단레버(65)를 밟아 배출관밸브(575)로 하여금 배출관(57)을 차단한 후, 작동손잡이(514)의 레버(513)를 쥐어 락핀(51)을 주차지지보부(30)의 하측 고정멈춤홈(39)에서 후퇴시킨 상태에서 하중식 제3상판(61)을 들어 올린다.
이는 다중쳄버(66)의 물이 보조승강물탱크부(40)로 공급된 상태임에 따라 제3상판(61)과의 무게평형이 이루어져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도 제3상판(61)을 밀어 올릴 수 있게 된다.
상기 하중식 제3상판(61)을 밀어 올린 후 작동손잡이(514)의 레버(513)를 놓게 되면 락핀(51)이 탄성부재(511)에 의해 전진하여 상측 고정멈춤홈(39)과 결합하여 1차적으로 고정된다.
이후 주차지지보부(30)를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측으로 밀게 되면 주차지지보의 하단 측면에 돌출된 경첩형 푸쉬풀플레이트(315)가 가이드홈(12)의 측면에 접촉하면서 휘퇴하여 연동링크(317)를 수직자세로 전환시키면서 스프링(320)을 인장하여 롱로드(318)를 상측으로 밀어 선단의 락헤드로드(319)가 락핀홀(51H)에 결합되어 안정된 주차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차량 하중식 제3상판(61)의 출차시는 주차의 역순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은 기존 주택지 이면도로와 기타 노면 주차공간에 변화를 주지 않으며, 주차방향에도 합치되면서 공간활용도를 2배로 증가시키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 별도의 전력 공급을 필요로 하지 않음으로 차량 대당 주차고정비가 매우 적어 저렴하며, 운영비용 저렴하여 경제적 운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차량의 동력과 하중에 의해 유동물질인 물을 유동시킨 후 무게평형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승강조정하여 차량을 쉽게 2층에 올릴 수 있는 등 주차장치 산업에 유용한 발명이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2의 P-P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1단주차상판부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도4의 A-A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도5의 B-B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차지지보부를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차지지보부의 제2승하차경사부를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차지지보부의 일부 절개한 측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주차지지보부에 적용되는 시건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에 따른 주차지지보부의 기둥내에 설치된 잠금볼트 락부를 도시한 도면.
도1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승강물탱크를 도시한 사시도.
도14는 도13의 C-C'를 도시한 도면.
도15는 도14의 E-E를 도시한 도면
도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주차상판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주차상판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주차상판부에 적용되는 유입관,배출관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19는 도16의 F-F'를 도시한 도면.
도20은 도16의 유입관 밸브 스위치판을 도시한 도면.
도2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록킹부를 도시한 도면.
도22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주차상판부 제2상판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 하중식 제3상판을 도시한 도면.
도2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주차상판부 제2상판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 하중식 제3상판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2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 하중식 제3상판에 적용된 배출관밸브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 하중식 2단주차장치의 제3상판에 적용된 누름하중판을 도시한 되면.
도2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차량 하중식 2단주차장치의 제3상판에 적용된 누름하중판이 차륜에 의해 눌림을 도시한 되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10: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
11:공간부바닦판 12:가이드홈
13:트랙바퀴 14,15:제1,2트렉바
16:높낮이 조절다리 18:락브라켓트
19;바퀴정지돌기 20:제1단주차상판부
21:방지턱 22:승하차경사부
23:제1상판 24:보조바퀴
25:트랙가이드브라켓트 26:휠브라켓트
27:상판이동휠 28:푸쉬풀손잡이
30:주차지지보부 31:기둥
32:풀리 33:시건장치
34:제2승하차경사부 35:트랙바홈통
36:물탱크 받침대 37:가이드바
38:승강가이드홈 39:고정멈춤홈
40:보조승강물탱크부 41:제1물탱크
42:제2물탱크 43:연결보강부재
44:연통관 45:가이드측판
46:연결링 50:제2단주차상판부
51:락핀 52;펌프
53:상판물탱크 54:제2상판
55:롤러부 56:롤러록킹부
57:배출관 58:유입관
59:롤러락제어페달

Claims (9)

  1. 차량의 직진 동선에 대해 측면에 장방형으로 지면에 설치되는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와,
    상기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상에 위치되고 차량 주차시 수동조작에 의해 도로측으로 전,후진하게 설치된 제1단주차상판부와,
    상기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상의 제1단주차상판부 구동과는 독립되어 도로측으로 전,후진 작동하게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에 롤러와 와이어로프를 구비하여 기립되어 설치되는 주차지지보부와,
    상기 주차지지보부를 따라 승강하게 길이방향 양측에 와이어로프로 연결되어 매달아 설치한 일정 면적의 보조승강물탱크부와,
    상기 보조승강물탱크부에 연결된 타단에 와이어로프로 주차지지보부에 매달리게 설치되어 탑승 차량의 동력으로 구동되는 펌프에 의해 상판물탱크의 물을 순환시켜 주차지지보를 승강하게 설치한 제2단주차상판부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는 제1단주차상판부(20)가 위치하게 마련된 공간부바닦판(11)과, 이 공간부바닦판(11)의 길이 방향인 좌,우 양측에 제2단주차상판부(20)의 전,후진 이동을 안내하게 마련된 가이드홈(12)과, 상기 공간부바닦판(11)의 내측으로 길이 방향 양측면에 일정 길이로 장착되어 제1단주차상판부(20)의 이동을 안내하게 선단에 트랙바퀴(13)를 구비하여 조립 설치되는 제1트렉바(14)와, 상기 가이드홈(12)에 일정 길이로 장착되어 주차지지보부(30)의 전,후진을 안내하는 제2트랙바(15)와, 상기 공간부바닦판(11)의 저면에 지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 가능한 높낮이 조절다리(16)로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주차상판부(20)는 차량이 탑재되게 일정 면적과 방지턱(21)을 양측에 형성하고 길이 방향의 양단에 승하차경사부(22)를 갖는 제1상판(23)과, 이 제1상판(23)의 일측 승하차경사부(22)간 사이마다 보조바퀴(24)를 설치하면서 저면 양측에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10)의 제1트랙바(14)를 조립하여 전,후진을 안내하게 장착 형성되는 트랙가이드브라켓트(25)와, 상기 트랙가이드브라켓트(25)간의 사이 양측에 마련된 휠브라켓트(26)에 제1상판(23)을 지지하면서 이동을 용이하게 다수 장착된 1조의 상판이동휠(27)과, 상기 제1상판(23)의 전면측에 회동하게 수납되어 필요시를 기립시켜 전,후진을 용이하게 설치한 푸쉬풀손잡이(28)를 포함한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지지보부(30)는 가이드홈(12)에 장착된 제2트랙바(15)와 전면에서 조립되는 트랙바홈통(35)을 형성하여 전,후진 이동을 용이하게 하면서 물탱크 받침대(36)를 형성한 제2승하차경사부(34)와, 이 제2승하차경사부(34)의 양단에 보조승강물탱크부(40)의 승강을 안내하게 일측면에 가이드바(37)과, 제2단주차상판부(50)의 승강을 안내하게 일측면에 승강가이드홈(38), 이 일측 상,하에 고정멈춤홈(39)을 형성한 기둥(31)과, 이 기둥(31)중 길이방향의 양측간에 와이어로프(321)가 걸쳐지는 풀리(32)를 구비하여 거치되는 풀리축(322)과, 상기 풀리축(322)간의 사이 기둥(31)간을 각각 연결 지지되게 설치되는 지지판(311)과, 상기 기둥(31)중 어느 하나 일측에 장착한 시건장치(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승강물탱크부(40)는 기둥(31) 일측에 마련된 가이드바(37)에 조립되어 승강을 용이하게 하는 가이드측판(45)을 구비하면서 와이어로프(321)를 연결하게 연결링(46)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제1쳄버(411)와, 이 제1쳄버(411)의 일측에 물의 유입과 배출이 가능하게 제2단주차상판부(50)와 관로로 연결되고 있으며, 상기 제1쳄버(411)내에 연통관(44)과 유,출입에 관계하는 관로로 연결되는 워터백(412)을 내장하여 이루어지는 제1물탱크(41)와,
    상기 제1물탱크(41)에 연통관(44)으로 연결되면서 일정 간격을 두고 타측 기둥(31)을 가이드측판(45)에 의해 승강하고 연결링(46)을 갖는 제2쳄버(421)와, 이 제2쳄버(421)내에 물이 충진이나 배출되게 연통관(44)으로 연결되는 워터백(412)을 내장하여 이루어지는 제2물탱크(42)와,
    상기 제1,2물탱크(410(42)간에 연결되어 뒤틀림 방지하는 연결보강부재(43)와,
    상기 연결보강부재(43)와 병렬로 배치되어 제1,2물탱크(41)(42)간을 연통시키는 연통관(44)으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개별출차용 2단주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주차상판부(50)는 4기둥의 승강가이드홈(38)을 타고 구르게 상판가이드바퀴(541)를 측면에 장착하면서 내부에 공간부를 마련한 제2상판(54)과, 이 제2상판(54)의 내부에 제1,2물탱크(531)(532)와 동일한 체적으로 형성한 상판물탱크(53)와, 상기 제2상판(54)에 차륜이 위치하는 곳에 노출되면서 상판물탱크(53)의 물을 펌핑하는 펌프(52)를 작동시키게 연결 설치되는 롤러부(55)와, 이 롤러부(55)의 일측에 회전을 랙과 피니언기어에 의해 회전을 가변적으로 제한하게 롤러록킹부(56)와, 상기 제2상판(54)의 측면 상판가이드바퀴(541) 각각의 일측에 탄성부재(511)로 탄지 설치되어 기둥의 고정멈춤홈(39)에 결합되는 락핀(51)를 와이어(512)로 당기게 설치된 레버(513)를 작동손잡이(514)에 장착 구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출차용 2단 주차장치.
  7. 베이스 가이드프레임부, 제1단주차상판부, 주차지지보부, 보조승강물탱크부와, 제2단주차상판부를 포한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개별 출차용 2단 주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단주차상판부의 제2상판(54) 상부에 일정 면적에 배치되게 분절되어 다수 조립된 하중누름판(62)과, 이 하중누름판(62)의 진입측에 차량의 통과시 눌리게 설치된 배출관 밸브스위치판(63)과, 상기 하중누름판(62)의 출차측에 차량의 통과시 눌리게 설치된 유입관 밸브스위치판(64)과, 상기 하중 누름판(62)의 일측에 배출관밸브(575)를 차단하게 설치한 배출관답단레버(65)으로 하중식 제3상판(61)을 구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출차용 2단 주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누름판(62)은 장방형으로 길이 방향에 대해 일정 곡률로 휘어져 형성되면서 여러 개가 서로 연결되어 차량 탑재면적에 해당되는 만큼 설치되게 연결은 양측에 형성된 장공(621)을 통해 연결핀(622)과 너트(623)로 체결되어 이루어지며, 차량의 진입전에 물이 충진된 다중쳄버(66)에 의해 떠받쳐져 있다가 차량의 진입으로 인해 차량하중이 작용하게 되면 장공(621)의 범위내에서 늘어나게 되면서 다중쳄버(66)를 누르게 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출차용 2단 주차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다중쳄버(66)는 신축성은 없지만 체적은 변경 가능한 연성재질로 형성되면서 측벽(611)에 의해 장착됨이 유지되고 배출관(57)과 유입관(58)이 연결되는 양측벽의 외측에 각각 물의 일방향 유동을 위해 첵크밸브(67)를 설치하여 물의 공급과 유입을 용이하게 하고, 가압시 과압력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2개의 쳄버당 쳄버(661)간을 연통시킨 유로포트(662)를 형성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출차용 2단 주차장치.
KR10-2002-0060822A 2002-10-05 2002-10-05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KR100494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822A KR100494372B1 (ko) 2002-10-05 2002-10-05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0822A KR100494372B1 (ko) 2002-10-05 2002-10-05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395A KR20040031395A (ko) 2004-04-13
KR100494372B1 true KR100494372B1 (ko) 2005-06-10

Family

ID=3733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0822A KR100494372B1 (ko) 2002-10-05 2002-10-05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3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30582B (zh) * 2022-05-30 2023-11-21 青岛黄海学院 一种立体式地下停车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5376U (ja) * 1991-02-19 1992-09-10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立体式駐車装置
KR19980037492A (ko) * 1996-11-19 1998-08-05 민덕주 단주식 2단 주차장치
KR19990005765U (ko) * 1997-07-21 1999-02-18 이해규 물주머니를 이용한 차량이송장치
KR20020033680A (ko) * 2002-03-06 2002-05-07 최광철 복층 주차 장치
KR20030020080A (ko) * 2001-09-01 2003-03-08 노구현 자동차 주차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05376U (ja) * 1991-02-19 1992-09-10 株式会社ホンダアクセス 立体式駐車装置
KR19980037492A (ko) * 1996-11-19 1998-08-05 민덕주 단주식 2단 주차장치
KR19990005765U (ko) * 1997-07-21 1999-02-18 이해규 물주머니를 이용한 차량이송장치
KR20030020080A (ko) * 2001-09-01 2003-03-08 노구현 자동차 주차장치
KR20020033680A (ko) * 2002-03-06 2002-05-07 최광철 복층 주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31395A (ko) 2004-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3899B2 (en) Lift-slide parking system
US5322143A (en) Vehicle lift and locking mechanism for use therewith
AU614909B2 (en) Vehicle parking system
CN113795453A (zh) 三层车辆升降机
KR102395114B1 (ko) 차량용 2단 주차설비
US2538517A (en) Self-lifting car elevator
US10287792B2 (en) Suspension lift
KR100494372B1 (ko) 개별 출입차용 2단 주차장치
US3520423A (en) Vehicle storage apparatus
US3893576A (en) Rotating platform elevator
CN211286860U (zh) 泊车平台及使用该泊车平台的停车场
CN2343253Y (zh) 垂直循环式立体停车库
KR20090077251A (ko) 주차장치
US6739821B2 (en) Vertical conveyor device for various sized payloads
KR19980037492A (ko) 단주식 2단 주차장치
AU758072B1 (en) Emergency moving device of an elevator
JPH0223711Y2 (ko)
CN216196987U (zh) 地坑式停车设备
CN111593913B (zh) 一种海绵城市智慧升降路面
KR910004974Y1 (ko) 자동차용 주차빌딩
CN218661524U (zh) 一种房车车库升降结构
CN2310130Y (zh) 升降式地下存车装置
JPS6313327Y2 (ko)
JP2566122B2 (ja) 可動床の昇降装置
KR940005910Y1 (ko)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