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363B1 - 회로기판용 마킹장치 - Google Patents

회로기판용 마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363B1
KR100494363B1 KR10-2002-0086954A KR20020086954A KR100494363B1 KR 100494363 B1 KR100494363 B1 KR 100494363B1 KR 20020086954 A KR20020086954 A KR 20020086954A KR 100494363 B1 KR100494363 B1 KR 100494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board
print head
belt unit
side bel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6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1168A (ko
Inventor
이주영
Original Assignee
이주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영 filed Critical 이주영
Priority to KR10-2002-0086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363B1/ko
Publication of KR20040061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0011Working of insulating substrates or insulating layers
    • H05K3/0017Etching of the substrate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5K3/0026Etching of the substrate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by laser abl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66Marks, test patterns or identific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회로기판용 마킹장치에 대한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회로기판 이송기구을 통해 공급된 회로기판의 직상부에서 상, 하 이동은 물론 프린트헤드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이송시켜 어떠한 위치라도 마킹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고, 더 나가서 상기 회로기판 이송기구의 폭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정위치에 마킹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프린트헤드의 일측에 회로기판을 향한 레이저 지시기를 설치하여 그 마킹 위치를 사전에 셋팅하기 용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사방의 지주(110) 상측에 메인 플레이트(120)가 구비된 설치대(100); 상기 설치대(100)의 메인 플레이트(120) 상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하되 일측의 고정측 벨트 유니트(210)와, 가변측 벨트 유니트(220), 상기 가변측 벨트 유니트(220)를 고정측 벨트 유니트(210)에 대해 거리조절할 수 있는 폭 조절수단(230)을 포함하는 회로기판 이송기구(200); 상기 회로기판 이송기구(200)의 상부에 마련하되, 헤드 브라켓(311)으로 수직 작동기구(320)에 고정되어 상, 하 승강이 가능한 프린트 헤드(310)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포함한 수직 작동기구(320)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로 이동기구(330)와, 상기한 수직 작동기구(320)를 포함하여 가로 이동기구(330)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세로 이동기구(340)와, 상기 세로 이동기구를 상기 메인 플레이트(120) 위에 지지시키기 위한 한 쌍의 지지기둥(350)으로 이루어진 프린트 헤드 이송수단(300); 상기한 프린트 헤드 이송수단(300)의 가로 이동기구(330)에 회로기판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발사할 수 있도록 레이저 빔 발생기(410)를 가지는 지시기(400);를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Description

회로기판용 마킹장치{MARKING APPARATUS FOR PRINT CIRCUIT BOARD}
본 발명은 회로기판용 마킹장치에 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회로기판 이송기구을 통해 공급된 회로기판의 직상부에서 프린트헤드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이송시켜 어떠한 위치라도 마킹이 가능하게 하고, 지시기를 설치하여 그 마킹 위치를 사전에 셋팅하기에 용이하도록 하고, 회로기판의 크기에 따라 이송수단의 폭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데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기판은 각종 전자부품을 식립하여 완성되는 것이며, 부품식립공정이 끝나는 즉시 생산관리 및 품질관리 차원에서 필요사항을 기록하기 위하여 마킹을 한다.
종래의 마킹방법으로는 기계적 스탬핑 마킹방법과 레이저 마킹방법이 알려져 있다.
전자의 기계적 스탬핑 마킹방법은 소정 펀치로 회로기판의 일정 영역을 타격하여 물리적으로 마킹부가 표시되도록 하는 방법으로서 생산성이 떨어지고, 정밀하지 못하며, 후자의 레이저 마킹방법은 고가의 레이저 장비와 로보트를 이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설비가 많이 든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새로운 프린팅 마킹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발명의 주된 목적은 회로기판 이송기구을 통해 공급된 회로기판의 직상부에서 상, 하 이동은 물론 프린트헤드를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이송시켜 어떠한 위치라도 마킹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고, 더 나가서 상기 회로기판 이송기구의 폭을 정밀하게 조절하여 정위치에 마킹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으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프린트헤드의 일측에 회로기판을 향한 레이저 지시기를 설치하여 그 마킹 위치를 사전에 셋팅하기 용이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사방의 지주 상측에 메인 플레이트가 구비된 설치대; 상기 설치대의 메인 플레이트 상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하되 일측의 고정측 벨트 유니트와, 가변측 벨트 유니트, 상기 가변측 벨트 유니트를 고정측 벨트 유니트에 대해 거리조절할 수 있는 폭 조절수단을 포함하는 회로기판 이송기구; 상기 회로기판 이송기구의 상부에 마련하되, 헤드 브라켓으로 수직 작동기구에 고정되어 상, 하 승강이 가능한 프린트 헤드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포함한 수직 작동기구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로 이동기구와, 상기한 수직 작동기구를 포함하여 가로 이동기구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세로 이동기구와, 상기 세로 이동기구를 상기 메인 플레이트 위에 지지시키기 위한 한 쌍의 지지기둥으로 이루어진 프린트 헤드 이송수단; 상기한 프린트 헤드 이송수단의 가로 이동기구에 회로기판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발사할 수 있도록 레이저 빔 발생기를 가지는 지시기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와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보듯이 본 발명은 사방의 지주(110) 상측에 메인 플레이트(120)가 구비된 설치대(100) 위에 마련되며, 크게 회로기판 이송기구(200)와, 헤드 이송수단(300)과, 지시기(400)로 나누어진다.
상기 회로기판 이송기구(200)는 고정측 벨트 유니트(210)와 가변측 벨트 유니트(220)가 상기한 메인 플레이트(120) 위에서 가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회로기판을 공급받고, 배출하는데 사용된다.
고정측 벨트 유니트(210)는 가이드 레일1(211)과, 이 가이드 레일1(211) 상에서 일측 끝단에 축착된 채 벨트 구동모터1(213)에 의해 회전하는 원동풀리1(214)와 타측 끝단에 축착된 종동풀리1(215)와, 이들 사이에 개입된 복수의 아이들 풀리1(216)에 걸린 벨트1(212)로 이루어진다.
또, 가변측 벨트 유니트(220)는 가이드 레일2(221)과, 이 가이드 레일2(221) 상에서 일측 끝단에 축착된 채 벨트 구동모터2(223)에 의해 회전하는 원동풀리2(224)와 타측 끝단에 축착된 종동풀리2(225)와, 이들 사이에 개입된 복수의 아이들 풀리2(226)에 걸린 벨트2(222)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고정측 벨트 유니트(210)의 벨트1(212)와 가변측 벨트 유니트(220)의 벨트2(222)가 각각의 구동모터(213)(223)에 의해 작동하면 그 벨트(212)(222)의 위에 얹힌 회로기판을 이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벨트 유니트들의 폭 조절수단(230)은 상기한 고정측 벨트 유니트(210) 및 가변측 벨트 유니트(220)의 가이드 레일1(211) 및 가이드 레일2(221)를 양측 단부에서 각각 관통한 한 쌍의 나사축(232)과, 상기 나사축(232)과 가변측 가이드 레일2(221)의 사이에 개입시킨 너트부재(234)와, 상기 나사축(232)을 구동시키기 위한 나사축 모터(233)와, 상기 나사축(232)들이 상호 같이 회전하도록 스프로켓(231)에 연결한 체인(235)으로 이루어 진다.
이때, 상기한 폭 조절수단(230)은 고정측 벨트 유니트(210)의 가이드 레일1(211)과 가변측 벨트 유니트(220)의 가이드 레일2(221)를 나사축(232)으로 연결하여 나사축 모터(233)를 구동하므로써 조절하되, 그 나사축(232)의 끝단에 회전수 감지를 위한 컨버터(236)를 구비한다.
따라서 나사축 모터(233)를 정/역회전시키면 그 나사축(232)이 정/역회전하므로 인해서 너트부재(234)로써 연결된 가변측 가이드 레일2(221)이 가이드봉(237)의 지지 안내를 받아 고정측 가이드 레일1(211)에 대하여 가까워지거나 멀어진다.
그리고 이때의 나사축(232) 회전은 컨버터(236)에 의해 정밀 감지되므로 양측 가이드 레일(211)(221) 사이를 이동하게될 회로기판의 폭에 상응하도록 매우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한 회로기판 이송기구(200)은 회로기판의 유입과 배출시 그 정지 유입상태와, 유입위치와, 배출상태 등을 판단하기 위한 스톱퍼나 감지센서 등을 하나 이상 복수로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는 바, 통상적인 실시 수단이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프린트 헤드 이송수단(300)은 상기 회로기판 이송기구(200)의 상부에 마련하되, 헤드 브라켓(311)으로써 수직 작동기구(320)에 고정하여 상, 하 승강이 가능한 프린트 헤드(310), 그리고 상기 프린트 헤드를 포함한 수직 작동기구(320) 전체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로 이동기구(330), 또 상기한 수직 작동기구(320) 전체를 포함하여 가로 이동기구(330)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세로 이동기구(340), 그리고 상기 세로 이동기구를 상기 메인 플레이트(120) 위에 설치하기 위한 한 쌍의 지지기둥(350)으로 이루어 진다.
이 때, 각각의 세로 이동기구(340)와, 가로 이동기구(330)와, 수직 작동기구(320) 들은 통상적인 수단 즉, 안내 레일이라든지, 이송나사축이라든지, 구동 액튜에이터, 위치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는 것이며, 여러가지 실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므로 대표적인 실시예의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지시기(400)는 레이저 빔 발생기(410)와, 이 레이저 빔 발생기(410)를 끼울 수 있는 홀딩부(420)와 힌지구멍(421)과 조절장공(422)을 가지는 체결부(430)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한 힌지구멍(421)과 조절장공(422)을 이용하여 체결부(430)를 고정하되, 상기한 조절장공(422)의 범위 내에서 지시기(400)의 각도를 조절하여 회로기판을 향하는 레이저 빔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트 헤드(310)가 회로기판(P) 위의 임의의 위치 상에 프린팅을 하는 상태를 기준으로 그 프린팅 위치에 조사되도록 미리 셋팅할 수 있다.
이 지시기(400)의 기본적인 용도는 회로기판의 종류가 달라질 때, 마킹 위치를 실제 프린팅하지 않고도 즉시 알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00은 프린트 헤드용 케이블의 안내수단이고, 600은 전, 후방 도어이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 상태를 설명한다.
회로기판(P)이 회로기판 이송기구(200)의 양측 가이드 레일(211)(221) 사이로 공급되면 헤드 이송수단(300)이 작동하여 헤드(310)가 회로기판의 마킹하고자 하는 정위치로 이동되고, 헤드(310)에 의한 프린팅으로 마킹을 실시한다.
마킹작업이 완료되면 헤드(310)는 일정 위치로 다시 복귀하고, 이와 동시에 회로기판 이송기구(200)는 다음의 회로기판을 공급받는다.
이때, 상기한 헤드(310)의 복귀는 최소한의 복귀가 되도록 수직 작동기구(320)만을 작동시키며, 그 외에 가로 이동기구(330) 및 세로 이동기구(340)는 회로기판의 종류가 바뀌지 않는 한 사전에 정해진 위치에서 특별히 복귀할 필요는 없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회로기판 이송기구을 통해 공급된 회로기판의 직상부에 프린트 헤드를 상, 하 이동은 물론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헤드 이송수단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회로기판의 어떠한 위치라도 마킹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헤드 이송수단은 회로기판의 종류가 바뀌는데 대하여 거의 완벽하게 헤드 위치를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고, 특히 회로기판 이송기구에는 가변측 벨트 유니트를 고정측 벨트 유니트에 대해 폭조절을 실시하되, 그 나사축에 정밀조절수단을 구비하여 매우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의 마킹작업에 일조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린트 헤드의 일측에 회로기판을 향한 레이저 빔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레이저 빔 지시기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다른 종류의 회로기판을 대상으로 프린트 위치 확인 작업시 실제 프린팅을 하지 않고 매우 간단하게 테스트를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로기판 이송기구를 보인 부분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지시기를 보인 부분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헤드 이송수단을 보인 부분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0 : 설치대 110 : 지주
120 : 메인 플레이트 200 : 회로기판 이송기구
210 : 고정측 벨트 유니트 211 : 가이드 레일1
212 : 벨트1 213 : 벨트 구동모터1
214 : 원동풀리1 215 : 종동풀리1
220 : 가변측 벨트 유니트 221 : 가이드 레일2
222 : 벨트2 223 : 벨트 구동모터2
224 : 원동풀리2 225 : 종동풀리2
230 : 폭 조절수단 231 : 스프로켓
232 : 나사축 233 : 나사축 모터
234 : 너트부재 300 : 헤드 이송수단
310 : 헤드 311 : 헤드 브라켓
320 : 수직 작동기구 330 : 가로 이동기구
340 : 세로 이동기구 350 : 지지기둥
400 : 지시기 410 : 레이저 빔 발생기
420 : 홀딩부 421 : 힌지구멍
422 : 조절장공 430 : 체결부

Claims (3)

  1. 사방의 지주(110) 상측에 메인 플레이트(120)가 구비된 설치대(100);
    상기 설치대(100)의 메인 플레이트(120) 상부에서 가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도록 설치하되 일측의 고정측 벨트 유니트(210)와; 가변측 벨트 유니트(220), 상기 가변측 벨트 유니트(220)를 고정측 벨트 유니트(210)에 대해 거리조절할 수 있도록 하며, 고정측 벨트 유니트(210)의 가이드 레일1(211)과 가변측 벨트 유니트(220)의 가이드 레일2(221)를 나사축(232)으로 연결하여 나사축 모터(233)를 구동하므로써 조절하되, 그 나사축(232)의 끝단에 회전수 감지를 위한 컨버터(236)를 구비한 폭 조절수단(230)을 포함하는 회로기판 이송기구(200);
    상기 회로기판 이송기구(200)의 상부에 마련하되, 헤드 브라켓(311)으로 수직 작동기구(320)에 고정되어 상,하 승강이 가능한 프린트 헤드(310)와, 상기 프린트 헤드를 포함한 수직 작동기구(320)를 가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가로 이동기구(330)와, 상기한 수직 작동기구(320)를 포함하여 가로 이동기구(330)를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세로 이동기구(340)와, 상기 세로 이동기구를 상기 메인 플레이트(120) 위에 지지시키기 위한 한 쌍의 지지기둥(350)으로 이루어진 프린트 헤드 이송수단(300);
    상기한 프린트 헤드 이송수단(300)의 가로 이동기구(330)에 회로기판을 향하여 레이저 빔을 발사할 수 있도록 레이저 빔 발생기(410)를 가지는 지시기(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마킹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시기(400)는 레이저 빔 발생기(410)와, 이 레이저 빔 발생기(410)를 끼울 수 있는 홀딩부(420)와 힌지구멍(421)과 조절장공(422)을 가지는 체결부(430)로 구성하여 상기 레이저 빔 발생기의 조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기판용 마킹장치
KR10-2002-0086954A 2002-12-30 2002-12-30 회로기판용 마킹장치 KR100494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954A KR100494363B1 (ko) 2002-12-30 2002-12-30 회로기판용 마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6954A KR100494363B1 (ko) 2002-12-30 2002-12-30 회로기판용 마킹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168A KR20040061168A (ko) 2004-07-07
KR100494363B1 true KR100494363B1 (ko) 2005-06-13

Family

ID=37352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6954A KR100494363B1 (ko) 2002-12-30 2002-12-30 회로기판용 마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3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139B1 (ko) * 2006-09-15 2008-06-09 배억순 스프링의 마킹장치
KR101397959B1 (ko) * 2013-10-30 2014-05-28 최종성 마스크프레임의 평면에 정보를 마킹하는 평면형 레이저 마킹장치
CN107969072B (zh) * 2017-12-10 2020-03-31 上海御渡半导体科技有限公司 一种电路板的多功能打标机的使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168A (ko) 2004-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8968B2 (en) Vertical marking system
EP0367185B1 (en) Multiple piercing apparatus and method
CN218983623U (zh) 一种pcb板激光打标板材输送装置
KR100494363B1 (ko) 회로기판용 마킹장치
US4719810A (en) Drive mechanism for electrical component placement head
US6546833B1 (en) Flexible circuit cutting apparatus and method having indexing and registration mechanism
US6460692B2 (en) Dual lane conveying apparatus
US5303810A (en) Magazine rack and positional adjustment system therefor
EP0474268A1 (en) Method of registering screens in an automatic printing machine and apparatus for the same
KR101429335B1 (ko) 자동 다축 천공장치
CN115258612A (zh) 一种自动摆正上料v槽分板机
WO2019224897A1 (ja) サイドクランプ装置
KR101065276B1 (ko) 스크린 인쇄기에서의 인쇄물 정렬장치
KR0158741B1 (ko)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CN218930850U (zh) 一种能够检测不同尺寸pcb的pcb检测装置
JPH04354196A (ja) 多層プリント基板の固定分離装置
KR100279965B1 (ko) 수직 방향 위치 결정 장치
JP2801028B2 (ja) 電子部品実装機における基板の給排出装置
KR200212591Y1 (ko) 반도체용 트레이 레이저 마킹 머신의 소자정렬장치ㅛ
JPS6117767Y2 (ko)
CN217319729U (zh) 丝网印刷机及其网架定位机构
CN220560876U (zh) 一种气压壶装配自动流水线
KR970061386A (ko) 창호바퀴 자동조립장치
KR950007503Y1 (ko) 전자동 pcb테스터의 측정부구동장치
KR20070081977A (ko) 칩 마운터 컨베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