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741B1 -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741B1
KR0158741B1 KR1019950060865A KR19950060865A KR0158741B1 KR 0158741 B1 KR0158741 B1 KR 0158741B1 KR 1019950060865 A KR1019950060865 A KR 1019950060865A KR 19950060865 A KR19950060865 A KR 19950060865A KR 0158741 B1 KR0158741 B1 KR 0158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transfer
rotat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0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496A (ko
Inventor
최병희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60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741B1/ko
Publication of KR9700584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4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납땜공정에서 납땜을 실시한 후의 인쇄회로기판을 다음 공정 즉, 인서키트 테스터 및 파형검사 조정기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자세를 적절한 형태로 조절한 상태에서 이송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쇄회로기판(2)을 경사진 형태로 이송하는 경사컨베이어(1)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평상태로 하여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3)로 이송함에 있어서, 프레임(10)과, 프레임(10)상에 힌지(22)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경사위치 또는 수평위치를 회전하는 회전플레이트(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0)를 경사위치 또는 수평위치로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3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50)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전수단(40)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50)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전수단(40)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컨베이어(3)로 이송하는 이송수단(60)과, 상기 어느 하나의 브라켓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반전수단(40)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반전모터(55)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장치의 구성을 보인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을 보인 정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고정수단의 구성을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수단의 구성을 보인 부분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경사컨베이어 2 : 인쇄회로기판
2a : 기준구멍 3 : 이송컨베이어
10 : 프레임 20 : 회전플레이트
30 : 회동실린더 32 : 수평위치감지센서
33 : 경사위치감지센서 40 : 반전수단
41 : 가이드플레이트 42 : 가이드부
43 : 연통공 44 : 이송홈
45 : 체인 46 : 체인구동용모터
47 : 감속부 48 : 축
49 : 고정실린더 50 : 브라켓
51 : 고정핀 52 : 회전도그
53 : 슬롯 54 : 반전감지센서
55 : 반전모터 56 : 진입감지센서
60 : 이송수단 61 : 이송실린더
62 : 이동구 63 : 가압레버
64 : 스프링 65 : 커버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납땜공정에서 납땜을 실시한 후의 인쇄회로기판을 다음 공정 즉, 인서키트 테스터 및 파형검사조정기로 이송하는 과정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자세를 적절한 형태로 조절한 상태에서 이송시켜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납땜(soldering)공정을 거친 인쇄회로 기판의 납땜상태를 여러 가지 형태로 확인하게 된다.
상기 납땜작업을 확인함에 있어서는 통상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경사를 갖는 경사컨베이어(1)에 의해 인쇄회로기판(2)을 이송시키며 작업자가 납땜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이상이 있는 부분에는 다시 작업자가 직접 수동납땜을 실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1)를 경사지게 설치하는 이유는 작업자가 인쇄회로기판의 확인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주로 평컨베이어벨트가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컨베이어(1)상으로 이송되는 인쇄회로기판(2)은 납땜부가 상부로 위치하게 된다. 이는 납땜공정에서 납땜을 마친 후에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180°반전시킨 상태에서 배출토록하여 작업자가 인쇄회로기판을 손으로 뒤집는 번거로움을 해소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경사컨베이어(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납땜작업 및 검사 완료된 인쇄회로기판(2)은 다음 공정 즉, 인쇄회로기판상에 장착된 전자부품의 장착위치의 정확도 및 전기적인 도전상태 등의 검사를 실시하는 인·서키트 테스터(in·circuit tester) 및 인쇄회로기판상의 가변볼륨등의 조정을 실시하는 파형검사조정기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경사컨베이어에 재치되어 있는 자세로부터 다음 공정에서 수행되는 검사에 필요한 자세로의 변환을 필요로 한다. 즉, 상기 인·서키트 테스터 및 파형검사조정기는 인쇄회로기판을 전자부품 장착면이 상부로 향하는 수평상태로 하여 검사를 실시하게 되므로, 경사컨베이어(1)상에서 납땜부가 상부로 위치하는 것은 물론 경사져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인쇄회로기판을 다음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3)상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180°의 반전과 수평상태로의 전환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상기한 바와 같이 경사컨베이어(1)상에서 이송컨베이어(3)로 인쇄회로기판(2)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요구되는 인쇄회로기판의 자세 전한을 작업자가 직접 수동으로 실시하고 있으므로 여러 가지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었다.
즉,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들어서 이송하고 있으므로 비교적 박판형태로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이 휨이 발생되어 납땜부가 떨어지는 등의 손상이 발생되고, 이는 나아가서 인쇄회로기판의 불량발생률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작업자가 일일이 인쇄회로기판의 자세를 전환하는 작업을 이루고 있는 것에 의해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수반되고 있었으며 최근 인쇄회로기판의 생산자동화 추세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하지 못한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있는 경사컨베이어상에 재치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을 다음공정으로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상으로 이송할 때 검사시 요구되는 자세로의 변환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하여 불량률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인쇄회로기판 제조의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쇄회로기판을 경사진 형태로 이송하는 경사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평상태로 하여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로 이송함에 있어서, 프레임과, 프레임상에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경사위치 또는 수평위치를 회전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를 경사위치 또는 수평위치로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와, 상기 회전플레이트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전수단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전수단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컨베이어로 이송하는 이송수단과, 상기 어느 하나의 브라켓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반전수단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전 수단은 중앙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와, 상기 축에 연결되어 각각의 가이드플레이트를 선택적으로 동시 회전시키는 반전모터와, 상기 각각의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에 결합되어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단을 안내하여 가이드플레이트사이로 유도하는 체인과, 각각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을 구동하는 체인구동용모터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체인상에 재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을 체인과 가이드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되는 이송홈내로 공급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핀을 이용하여 고정한 상태에서 반전시킴과 동시에 회동실린더에 의해 회전플레이트를 수평상태로하여 이송수단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을 다음공정으로 이송시키게 되므로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크게 프레임(10)과, 프레임(10)상에 힌지(22)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경사위치 또는 수평위치를 회전하는 회전플레이트(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0)를 경사위치 또는 수평위치로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3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50)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전수단(40)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50)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전수단(40)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컨베이어(3)로 이송하는 이송수단(60)과, 상기 어느 하나의 브라켓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반전수단(40)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반전모터(55)를 구비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인쇄회로기판(2)을 경사진 형태로 이송하는 경사컨베이어(1)의 하류단에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 실린더(30)는 일측이 상기 프레임(10)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플레이트(20)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회전플레이트 작동시의 각변화를 보상토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회동실린더(30)상에는 회전플레이트(20)가 수평위치에 있을 때의 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피스톤로드(31)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평위치감지센서(32)와, 회전플레이트(20)가 예정된 경사위치에 있을 때의 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피스톤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경사위치감지센서(33)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반전수단(40)은 중앙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브라켓(50)에 회전가능하게 축(48)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4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축(48)은 한쌍의 브라켓(50)과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41)를 모두 관통하되, 가이드플레이트(41)에는 고정되어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41)의 상대위치가 상호평행하게 배열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축(48)의 일측에는 선택적으로 축(48)을 회전시켜 각각의 가이드 플레이트(41)를 선택적으로 동시 회전시키는 반전모터(55)가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반전모터(55)의 동력을 감속하여 축(48)을 구동하는 감속부(47)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반전모터(55)를 감속모터 또는 저속구동으로 전기적 제어가 용이한 서보모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각의 한 상의 가이드플레이트(41)에는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단을 안내하여 가이드플레이트(41)사이로 유도하는 체인(45)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41)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체인(45)을 각각 구동하는 한 쌍의 체인구동용모터(46)가 구비된다. 이 체인구동용모터(46)는 동기구동하여 상기 한쌍의 체인 이송량을 동일하게 유지하여야 한다.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의 선단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2)의 진입완료위치를 감지하는 진입감지센서(56)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반전수단(40)은 진입된 인쇄회로기판(2)을 선택적으로 고정 또는 해제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 고정수단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41)일측 상세하게는 상부를 상호 대향절곡하여 상기 체인(45)과의 사이에 각각 이송홈(44)을 형성하는 가이드부(42)가 구비된다. 이 가이드부(42)에는 이송홈(44)측을 향해 진퇴작동하는 고정핀(51)을 갖는 고정실린더(49)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인쇄 회로기판(2)상에는 상기 고정핀(51)의 출입을 허용하는 기준구멍(2a)이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2)에는 상기 고정핀(51)이 이송홈(44)내로의 진입을 허용하는 연통공(4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핀(51)은 연통공(43)을 통해 이송홈(44)내로 삽입되어 이송홈(44)상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기준구멍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고정핀(51)의 선단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기준구멍(2a)으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함이 바람직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핀(51)의 선단을 테이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의 축상에 결합되어 축(48)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도그(52)가 구비된다. 이 회전도그(52)는 원판상에 빛을 통과시키는 180°간격의 슬롯(53)을 구비하고,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상에는 회전도그(52)에 빛을 조사하여 상기 슬롯(53)의 감지유무에 따라 회전도그(52)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반전감지센서(5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도그(52)는 빛을 흡수하는 흑체로 구성하고, 슬롯의 위치에는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도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이송수단(60)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플레이트(20)상면에 인쇄회로기판(2)의 이송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하는 이동구(62)를 갖는 이송실린더(61)가 설치된다. 상기 이동구(62)에는 선택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후단을 가압하게 되는 가압레버(63)가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있다. 상기 가압레버(63)는 이동구(62)에 대해 항시 수직상태를 유지하려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힘을 갖도록 스프링(64)탄지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실린더(61)의 후진단에는 이동구(62)의 후진이 상기 스프링(64)을 탄압하며 가압레버(63)를 수평상태로하여 수용하는 커버(65)가 설치되어 인쇄회로기판(2)의 진입시 가압레버(63)와의 간섭을 회피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경사컨베이어(1)로부터 인쇄회로기판이 이동하여 이송홈(44)내로 진입하게 되면 체인구동용모터(46)가 회전하여 체인이 인쇄회로기판의 이송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2)의 진입을 허용하게 된다. 이때 이송실린더(61)는 후진상태에 있어 가압레버(63)가 커버(65)내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므로 가압레버(63)와의 간섭없이 진입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2)의 진입이 완료되면 진입감지센서(56)가 진입완료신호를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인가하게 되므로 제어부에서는 고정실린더(49)를 작동시켜 고정핀(51)이 연통공(43)을 통해 이송홈(44)내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2)의 기준구멍(2a)으로 삽입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은 이송홈(44)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의 신호에 의해 반전모터(55)가 구동하게 되면 축(48)을 기준으로 가이드플레이트(41) 및 그에 연결되는 체인구동용모터(46), 체인(45), 고정실린더(49)가 일체로 회전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은 반전감지센서(54)가 회전도그(52)의 슬롯을 검출하는 신호에 의해 멈추게 되므로 180°의 이루게된다. 따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2)은 진입상태에서 180°반전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회동실린더(30)가 작동하여 회전플레이트(20)가 수평측으로 회전을 시작하게 되고, 이 회전은 수평위치감지센서(32)가 온 되는 시점까지 진행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20)가 수평을 이루게 되면 이에 지지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2)역시 수평을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반전동작과 수평상태로의 전환동작은 각 독립적으로 구동되지만 동작순서는 상호 바뀔 수도 있으며 나아가서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작업시간의 단축에 유리하게 작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반전 및 수평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먼저 고정실린더(49)가 후퇴하여 고정핀(51)을 인쇄회로기판(2)의 기준구멍(2a)으로부터 이탈시켜 인쇄회로기판을 자유상태로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인쇄회로기판(2)의 양단은 가이드부(42)상에 얹혀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인쇄회로기판(2)은 이송실린더(61)의 전진동작에 의해 이송컨베이어(3)상으로 투입되어 진다. 즉, 이송실린더(61)가 인쇄회로기판(2)의 진행 방향으로 작동을 개시하게 되면 커버(65)내에 수용되어 있던 가압레버(63)가 커버(65)로부터 이탈됨에 따라 스프링(64)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회동하며 커버(65)로부터의 이탈이 완료되는 시점에서는 완전히 수직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레버(63)의 상단은 인쇄회로기판(2)의 후단에 걸리게 되므로 이동구(62)의 이동방향에 따라 인쇄회로기판(2)을 이동시켜 예정된 위치 즉, 이송컨베이어(3)상으로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이송컨베이어(3) 또한 인쇄회로기판(2)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며 인쇄회로기판의 진입을 허용하여 다음공정 즉, 인·서키트 테스터 또는 파형검사 조정기로의 공급을 이루게 된다.
상기 이송홈(44)으로부터 배출되는 인쇄회로기판(2)은 가이드부(42)에 의해 안내되며 배출을 이루게 되므로 체인(45)과의 간섭은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인쇄회로기판(2)을 배출을 마친 이송실린더(61)는 다시 후진하게 되고, 이때 가압레버(63)는 커버(65)에 의해 수평상태로 회동하며 커버내측에 수용되고, 회동실린더(30) 및 반전모터(55)가 구동하여 다시 최초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다음의 인쇄회로기판을 받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회로기판을 다음공정 즉, 인·서키트 테스터 및 파형검사 조정기로 공급하는 이송컨베이어상으로 이송할 때 상기 장치에서의 검사시 요구되는 자세로의 변환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을 수용하는 이송홈상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함과 동시에 그 조립체 일체를 반전시키고, 반전된 인쇄회로기판을 수평상태로 전환하여 다음공정으로 이송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함과 동시에 180°반전시키는 반전수단과, 상기 반전수단을 경사상태 또는 수평상태로 위치변환시키는 회전플레이트를 구비하여 상기 경사컨베이어상의 인쇄회로기판의 반전과 수평전환을 가능케 하고, 상기 수평과 전환을 이룬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수단으로 이송컨베이어상으로 투입토록 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을 자동화함으로써 작업자가 직접 손으로 인쇄회로기판을 취급하므로 인한 인쇄회로기판의 변형 및 납땜부위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한 불량률 또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검사시 요구되는 자세로의 변환을 자동으로 실시할 수 있게 하여 인쇄회로기판 제조의 자동화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Claims (13)

  1. 인쇄회로기판(2)을 경사진 형태로 이송하는 경사컨베이어(1)로부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수평상태로 하여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3)로 이송함에 있어서, 프레임(10)과, 프레임(10)상에 힌지(22)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경사위치 또는 수평위치를 회전하는 회전플레이트(2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0)를 경사위치 또는 수평위치로 회동시키는 회동실린더(30)와, 상기 회전플레이트(20)에 고정되는 한 쌍의 브라켓(50)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반전수단(40)과, 상기 한 쌍의 브라켓(50)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반전수단(40)상의 인쇄회로기판을 이송컨베이어(3)로 이송하는 이송수단(60)과, 상기 어느 하나의 브라켓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반전수단(40)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반전모터(55)를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수단(40)은, 중앙부가 각각 상기 한 쌍의 브라켓(50)에 회전가능하게 축(48)결합되는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41)와, 상기 축(48)에 연결되어 각각의 가이드플레이트(41)를 선택적으로 동시 회전시키는 반전모터(55)와, 상기 각각의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41)에 결합되어 각각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양단을 안내하여 가이드플레이트사이로 유도하는 체인(45)과, 각각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41)에 결합되어 상기 체인(45)을 구동하는 체인구동용모터(46)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에 고정되어 체인상에 재치되는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플레이트(41) 일측을 대향절곡하여 상기 체인(45)과의 사이에 각각 이송홈(44)을 형성하는 가이드부(42)와, 상기 가이드부(42)에 고정되어 이송홈(44)측으로 향해 진퇴작동하는 고정핀(51)을 구비한 고정실린더(49)와, 상기 인쇄회로기판(2)상에 형성되는 기준구멍(2a)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51)은 가이드부(42)에 형성되는 연통공(43)을 통해 이송홈(44)내로 삽입되어 이송홈상에 위치하는 인쇄회로기판의 기준구멍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51)의 선단은 반구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51)의 선단은 테이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의 이송장치.
  7. 제1항 또는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의 축상에 결합되어 축(48)과 함께 회전하는 회전도그(52)와, 상기 가이드플레이트(41)상에 결합되어 회전도그(52)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반전감지센서(5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도그(52)는 원판상에 빛을 통과시키는 180°간격의 슬롯(53)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실린더(30)는 일측은 상기 프레임(10)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회전플레이트(20) 상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작동시의 각 변화를 보상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실린더(30)상에는 회전플레이트(20)가 수평위치에 있을 때의 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피스톤로드(31)의 위치를 감지하는 수평위치감지센서(32)와, 회전플레이트(20)가 예정된 경사위치에 있을 때의 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피스톤로드의 위치를 감지하는 경사위치감지센서(33)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전모터(55)의 동력을 감속하여 축(48)을 구동하는 감속부(47)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60)은 인쇄회로기판(2)의 이송방향으로 직선왕복 이동하는 이동구(62)를 갖는 이송실린더(61)와, 상기 이동구(62)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는 가압레버(63)와 상기 가압레버(63)가 항시 수직상태를 유지하려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64)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실린더(61)의 후진단에는 상기 스프링(64)을 탄압하며 가압레버(63)를 수평상태로하여 수용하는 커버(65)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KR1019950060865A 1995-12-28 1995-12-28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KR0158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0865A KR0158741B1 (ko) 1995-12-28 1995-12-28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0865A KR0158741B1 (ko) 1995-12-28 1995-12-28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496A KR970058496A (ko) 1997-07-31
KR0158741B1 true KR0158741B1 (ko) 1998-12-15

Family

ID=19445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0865A KR0158741B1 (ko) 1995-12-28 1995-12-28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7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643A (ko) * 1996-11-29 1998-08-17 김광호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슬로프 콘베어장치
KR101056141B1 (ko) * 2008-11-13 2011-08-11 주식회사 다한이엔지 피씨비 기판 레이저 마킹 장치
KR101056143B1 (ko) * 2008-11-13 2011-08-11 주식회사 다한이엔지 피씨비 기판 레이저 양면 마킹장치
US10026985B2 (en) 2014-10-21 2018-07-1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activat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s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1643A (ko) * 1996-11-29 1998-08-17 김광호 다기종 혼류 프린트 보드 어셈블리 생산 시스템의 슬로프 콘베어장치
KR101056141B1 (ko) * 2008-11-13 2011-08-11 주식회사 다한이엔지 피씨비 기판 레이저 마킹 장치
KR101056143B1 (ko) * 2008-11-13 2011-08-11 주식회사 다한이엔지 피씨비 기판 레이저 양면 마킹장치
US10026985B2 (en) 2014-10-21 2018-07-17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activat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s
US10886555B2 (en) 2014-10-21 2021-01-05 Hyundai Motor Company Apparatus for activating membrane 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496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215B2 (en) Method and program for obtaining positioning errors of printed-wiring board, and electronic-circuit-component mounting system
US6971158B2 (en) Electric-component mounting system including movable substrate-holding device
US6256869B1 (en) Electronic-component mounting system
KR0158741B1 (ko) 인쇄회로기판 이송장치
US6062795A (en) Wafer ring feeding apparatus
CN215146442U (zh) 一种蜗杆总成的自动上料系统
CN113560871A (zh) 智能双工位在线锁螺丝机的双工位锁螺丝装置
CN212221571U (zh) 自动翻板机构
JP2000138087A (ja) 端子圧着用アプリケータ自動交換装置
CN113423259B (zh) 自动铆压设备
JPH0428493B2 (ko)
KR102258824B1 (ko) 스크린프린터용 얼라인테이블 구동장치
KR100354104B1 (ko) 엘시디 패널 위치 정렬장치
CN109727800B (zh) 行程开关组装系统
CN108581423B (zh) 马达轴组件组装装置
JP2000140960A (ja) 端子圧着用アプリケータ自動交換装置
CN210781559U (zh) 一种pcb板送料机构
KR100438446B1 (ko) 캐리어업다운유니트장치
KR970000950Y1 (ko) 금박인쇄기
CN218634433U (zh) 一种led贴片机
KR100279965B1 (ko) 수직 방향 위치 결정 장치
KR200176968Y1 (ko) 리드 프레임 역전장치
KR100292787B1 (ko) 모듈디바이스용전기적접촉및탈장장치
JPS59201774A (ja) 自動組立装置
KR930004874B1 (ko) 부품 부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