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303B1 - 오수의호기성처리조용폭기장치및그폭기장치를구비한오수의호기성처리조 - Google Patents

오수의호기성처리조용폭기장치및그폭기장치를구비한오수의호기성처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303B1
KR100494303B1 KR10-1998-0000520A KR19980000520A KR100494303B1 KR 100494303 B1 KR100494303 B1 KR 100494303B1 KR 19980000520 A KR19980000520 A KR 19980000520A KR 100494303 B1 KR100494303 B1 KR 100494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casing
aerobic treatment
treatment tank
impe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0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0456A (ko
Inventor
미츠히코 오가사와라
히로후미 이노우에
요네조 다무라
다케시 가메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19980070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0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3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담체농도 분포의 불균일 및 담체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장치의 배치에 따른 처리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호기성 처리조용 폭기장치 및 상기 폭기장치를 구비한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부유 상태로 유지한 미생물을 고정화한 담체(2)를 가지는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1)내에 설치되는 폭기장치(10)에 있어서, 폭기장치(10)는 케이싱(14)과, 케이싱(14)내에 형성된 피처리 액체의 유로내에 설치된 임펠러(17)를 구비하고, 임펠러(17)의 날개부(17a)와 날개부(17a)가 상대하는 케이싱(14)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C)를 담체(2)의 최대 지름 또는 최대 치수보다 크게 설정하였다.

Description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용 폭기장치 및 그 폭기장치를 구비한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
본 발명은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용 폭기장치 및 상기 폭기장치를 구비한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수, 배설물, 산업 배수 등의 유기성 배수를 미생물 고정화 담체를 이용하여 생물학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호기성 처리조와, 상기 호기성 처리조에 설치되는 폭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활성 오니법, 생물막법, 고정화 미생물법 등의 보급이 현저하나, 토지이용의 효율화가 요구되고 있는 국내에 있어서는 보다 작은 면적으로 처리가 가능한 고성능 오수 처리장치의 개발이 급선무이다.
이 중에서 특히 미생물 고정화 담체를 이용하는 오수 처리장치는 담체 소재의 성능향상과 함께 주목을 끌고 있다.
본건 출원인은 도 9에 나타내는 고정화 담체를 이용한 오수 처리장치의 개발을 행하여 왔다. 도 9에 있어서, 부호 1은 호기성 처리조(이하, 호기 탱크라 함)이며, 호기 탱크(1)내에는 부유 상태로 유지한 미생물을 고정화한 다수의 담체(2)가 수용되어 있다. 호기 탱크(1)의 저부에는 디퓨저나 산기관으로 이루어지는 미세 기포의 산기 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산기 장치(3)는 급기관(5)을 개재하여 블로워(blower; 4)에 접속되어 있다. 피처리액(7)은 유입관(7)으로부터 호기 탱크(1)내로 유입하고, 호기 처리된 처리액은 처리액 유출관(8)에서 유출한다. 유출관(8)의 입구부에는 처리액으로부터 담체(2)를 분리하기 위한 담체 분리기(6)가 설치되어 있다.
본건 출원인은 도 9에 나타내는 고정화 담체를 이용한 오수 처리장치용의 개발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기술적 과제에 마주쳤다.
즉 고정화 담체가 피처리액과 함께 생물 반응조를 유하하는 결과, 반응조의 선단부의 담체 농도가 저하하고, 말단부의 담체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 및 호기 반응조의 저부 전체에 걸쳐 배치한 산기 장치와 콘크리트 저부의 간극에 담체가 퇴적하여 계획 예상 담체량을 대폭으로 상회하는 담체의 주입률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 담체의 치우침으로 인하여 처리 성능이 현저한 저하를 초래하였다.
이로 인해 담체 유하 방지벽을 배치하거나 별도 교반 이송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검토되어 왔으나, 처리 용량이나 설비비, 운전비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이들은 담체의 파괴를 염려하기 때문에 폭기수단으로서 산소 용존율이 높으나, 교반력이 그다지 없는 디퓨저나 산기관에 의한 전면 폭기조 등을 이용하여 처리를 행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시점에 있어서는 교반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가지는 미생물 고정화 담체가 여러가지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담체 농도 분포의 불균일 및 담체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장치의 배치에 따르는 처리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호기성 처리조용 폭기장치 및 상기 폭기장치를 구비한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폭기장치를 담체가 통과할 때의 담체의 손상, 파괴 및 소모를 억제할 수 있는 호기성 처리조용 폭기장치 및 상기 폭기장치를 구비한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형태는 부유 상태로 유지한 미생물을 고정화한 담체를 가지는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내에 설치되는 폭기장치로서 상기 폭기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형성된 피처리 액체의 유로내에 설치된 임펠러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가 상대하는 상기 케이싱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상기 담체의 최대 지름 또는 최대 치수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형태는 부유 상태로 유지한 미생물을 고정화한 담체를 가지는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에 있어서, 조 내를 균일하게 폭기 혼합할 수 있는 위치에 폭기 장치를 1기 또는 복수기 배치하고, 상기 폭기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형성된 피처리 액체의 유로내에 설치된 임펠러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가 상대하는 상기 케이싱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상기 담체의 최대 지름 또는 최대 치수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호기성 처리조는 오수를 순환식 질화 탈질소 또는 탈질소·탈인처리하는 처리장치에 있어서의 호기성 처리조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 내 흐름에 의하여 호기성 처리조의 흐름 끝부에 담체가 집적한다는 종래 방법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 이용되어 온 디퓨저나 산기관에 의한 미세기포에 의한 전면 폭기방식과 같은 간단한 산기 장치가 아니라, 교반류를 형성하는 능력이 우수한 수중 에어레이터로 이루어지는 폭기 장치를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교반 기능이 우수한 폭기 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호기조 저부에 침적한 채 기능을 발휘하지 않는 여분의 담체를 투입하지 않고 호기조내를 균일하게 교반함으로써 담체의 치우침도 대폭 개선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여 호기조에 폭기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미세 기포에 의한 전면 폭기방식에 비하면, 경년 변화에 의한 산소 용해효율의 저하가 없기 때문에 호기조에 있어서 높은 처리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폭기 장치에 있어서는 임펠러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가 상대하는 케이싱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담체의 최대 지름 또는 최대 치수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담체가 임펠러의 날개부와 케이싱 사이에 끼이는 일이 없어 담체 자신의 손상이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담체의 최대 지름이란, 담체가 구형체 또는 타원체 등인 경우에 최대 바깥 지름을 말한다. 그리고 담체의 최대 치수란 담체가 직육면체, 정육면체 또는 각뿔 등인 경우에 상대하는 2점이 가장 긴 경우의 최대 치수를 말한다.
또한 본 발명의 폭기장치에 있어서는 임펠러의 날개부를 코팅재로 피복하거나 또는 날개부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담체가 임펠러를 통과할 때, 임펠러의 날개부에 접촉하였다고 하여도 접촉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담체 표면의 질화균 등의 미생물이 박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담체 자신의 손상이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고정화 담체로서는 모래, 활성탄, 폴리우레탄폼, 폴리비닐 알콜,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에틸렌글리콜, 셀룰로스 등의 유동성 담체가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들 담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담체로의 미생물 고정화 수단으로서는 부착 고정화법이 일반적이나, 포괄 고정화법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담체의 형상은 구형체, 타원체, 직육면체, 정육면체, 각뿔 등 여러가지의 것이 있다.
또한 호기조의 유출단에는 담체의 유출을 방지하는 네트, 글레칭, 펀칭플레이트 등의 다공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담체 유출 방지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
또 본 발명의 호기성 처리조는 예를 들어 무산소 공정, 호기 공정, 침전 공정을 순차 연결하고, 호기 공정 유출수를 무산소 공정으로 순환하고, 침전 공정의 침전 오니를 무산소 공정으로 반송하는 순환식 질화 탈질소법 및 그 장치, 또는 다시 상기 무산소 공정 전에 혐기 공정을 마련하고, 침전 공정의 침전 오니를 혐기 공정으로 반송하는 탈질소·탈인 활성 오니법 및 장치에 있어서의 호기 공정 및 호기성 처리조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폭기장치의 설치는 조의 형상에 의하여 균일한 폭기를 행할 수 있도록 대수, 배치를 적절히 선정할 수 있다.
또 유입수의 유수의 영향에 의하여 극히 장기적으로는 담체가 유출단에 치우쳐 처리 성능이 안정화하지 않게 되는 일도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담체를 포함하는 혼합액을 유입부로 반송하여 처리 성능을 안정시킬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을 혐기 호기 처리에 사용하는 경우, 담체를 포함하는 혼합액은 반송지에 있어서, 담체는 호기조로, 혼합액은 혐기조로 되돌아 가도록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분별하여 반송하면, 펌프 능력은 증대한다.
또 호기조 말단에 구비하는 이송 펌프로서는 일축 나사 펌프 및 에어리스트 펌프 등의 특수 사양의 펌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경우의 이송수량은 주파수 제어에 의한 모터 회전수의 변경등으로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송에 있어서는 펌프 이외에는 담체 및 생물막의 파괴 없이 이송할 수 있는 수단을 적절히 사용하여도 된다. 또한 담체 이송관 도중에 액체 사이클론이나 트론멜체와 같은 담체의 분리 수단을 구비하고, 이송수를 전단에 설치한 각 처리 장치로 담체를 호기조로 분배하여도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용 폭기 장치 및 상기 폭기장치를 구비한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의 일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이하, 호기 탱크라 함)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부호 1은 호기 탱크이고, 호기 탱크(1)내에는 부유 상태로 유지한 질화균 등의 미생물을 고정화한 다수의 담체(2)가 수용되어 있다. 호기 탱크(1)의 저부에는 2기의 수중 에어레이터로 이루어지는 폭기 장치(10)가 구비되어 있다. 폭기장치(10)는 급기관(5)을 개재하여 블로워(4)에 접속되어 있다. 급기관(5)에는 공기 풍량계(9)가 설치되어 있다.
피처리액(오수)(7)은 유입관(7)에서 호기 탱크(1)내로 유입하고, 호기 처리된 처리액은 처리액 유출관(8)에서 유출한다. 유출관(8)의 입구부에는 처리액으로부터 담체(2)를 분리하기 위한 담체 분리기(6)가 설치되어 있다. 피처리액의 유하에 따라 서서히 담체(2)가 유출단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호기 탱크(1)의 말단부에는 담체와 순환 질화액(11)을 이송하는 담체 이송 펌프(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담체 이송 펌프(3)를 설치하고 담체(2)를 이송함으로써, 담체 농도의 미세조정도 가능하게 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호기 탱크(1)에 저류판 등의 간막이판을 넣지 않고 호기 탱크의 평면 치수의 세로와 가로의 길이를 가능한 한 1 : 1이 되도록 파선부(40)의 전반, 후반에 각 1대씩의 수중 에어레이터로 이루어지는 폭기장치(10)를 배치하고 있다.
이 호기 탱크(1)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순환류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화 담체(2)는 이와 같은 순환류에 의하여 간막이판이 없어도 담체는 어느 정도 탱크내 전반에 걸쳐 균일 분산한다.
다음에 폭기 장치(10)의 일예를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폭기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폭기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예의 폭기장치는 하방 분출식의 폭기장치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기장치(10)는 피처리액의 유로를 형성하는 흡입 케이싱(12)과 토출 케이싱(13)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14)과, 케이싱(14)에 지지되어 있는 모터(15)와, 공기실 케이싱(16)과, 케이싱(14)내에 형성된 피처리액의 유로내에 설치된 임펠러(17)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실 케이싱(16)내에는 공기실(19)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기실(19)에는 블로워(4)(도 1 참조)에 접속된 급기관(5)을 개재하여 공기 또는 산소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모터(15)를 구동하면, 임펠러(17)의 회전에 의하여 담체(2)를 포함하는 조 내의 처리액은 상부의 흡입 케이싱(12)으로부터 유입되어 임펠러(17)내의 유로를 아래쪽으로 흐르고, 하부의 토출 케이싱(13)의 토출구(13a)로부터 조 내로 토출된다. 한편, 급기관(5)을 거쳐 공기실(19)로 공급된 공기는 아래쪽 유로(22)를 거쳐 최하부의 분사구(23)로부터 케이싱(14)내의 유로의 피처리액중에 분출되고, 피처리액과 혼합 교반되어 기액혼상류로서 토출구(13a)로부터 호기 탱크(1)내로 보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펠러(17)의 날개부(17a)와 상기 날개부(17a)가 상대하는 케이싱(14)의 내주면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C)는 담체(2)의 최대 지름 또는 최대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이로써 담체(2)가 임펠러(17)의 날개부(17a)와 케이싱(14) 사이에 끼이지 않아 담체 자신의 손상이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이 클리어런스(C)는 종래예에 있어서는 케이싱의 내부 지름이 300mm인 경우, 약 1.5mm이었던 것이 본 발명에서는 케이싱의 내부 지름이 300mm인 경우, 약 4mm이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담체(2)의 사이즈는 최대 지름 또는 최대 치수가 4mm미만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임펠러(17)는 축류 임펠러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임펠러(17)의 날개부(17a)는 코팅재(18)에 의하여 피복되어 있다. 이 코팅재(18)는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의 수지재로 구성되어 있다. 임펠러(17)의 날개부(17a)는 코팅재(18)에 의하여 매끄럽게 되어 있다. 그리고 코팅재(18)의 재질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담체(2)와 접촉하였을 때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임펠러의 날개부를 코팅재에 의하여 피복함으로써 날개부 표면을 매끄럽게 하였으나, 임펠러의 날개부를 연마에 의하여 매끄럽게 형성하여도 된다. 또 임펠러의 날개부 전체를 수지재의 성형에 의하여 형성하고 날개부 표면이 매끄럽게 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폭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실 케이싱(16)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기실 케이싱(16)의 가장자리부(16a) 및 모서리부(16b)는 각이 없는 라운드형상의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담체(2)가 가장자리부(16a)나 모서리부(16b)에 접촉하였다고 하여도 담체(2)가 손상 또는 소모되는 일이 없다. 도 6에 있어서는 공기실 케이싱(16)만을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피처리 액체의 유로를 구성하는 모든 부재의 가장자리부 또는 모서리부를 각이 없는 라운드형상의 곡면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 때문에 피처리액 중의 담체(2)가 케이싱(14)내의 유로속을 흐르는 동안에 담체(2)의 손상 또는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폭기장치(10)의 다른 예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폭기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폭기 장치는 상방 분출식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기장치(10)는 피처리액의 유로를 형성하는 흡입 케이싱(32)과 토출 케이싱(33)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34)과, 케이싱(34)에 지지되어 있는 모터(15)와, 공기실 케이싱(36)과, 케이싱(34)내에 형성된 피처리액의 유로내에 마련된 임펠러(17)를 구비하고 있다. 공기실 케이싱(36)내에는 공기실(39)이 형성되어 있고, 이 공기실(39)에는 블로워(4)(도 1참조)에 접속된 급기관(5)을 개재하여 공기 또는 산소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모터(15)를 구동하면, 임펠러(17)의 회전에 의하여 담체(2)를 포함하는 조 내의 처리액은 하부의 흡입 케이싱(32)으로부터 유입하여 임펠러(17)내의 유로를 위쪽으로 흐르고, 상부 토출 케이싱(33)의 토출구(33a)로부터 조 내로 토출된다. 한편, 급기관(5)을 거쳐 공기실(39)로 공급된 공기는 분사구(43)로부터 케이싱(34)내 유로의 피처리액 속으로 분출되고, 피처리액과 혼합 교반하여 기액 혼상류로서 토출구(33a)로부터 호기 탱크(1)내로 보내진다.
본 실시예의 폭기장치(10)에 있어서도 임펠러(17)의 날개부(17a)와 케이싱(34)의 상대하는 부분의 클리어런스(C)는 담체(2)의 최대 지름 또는 최대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 임펠러(17)의 구성은 도 5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내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종래의 미세 기포의 산기 장치 대신, 수중 에어레이터로 이루어지는 폭기 장치(10)를 설치함으로써 경년 변화에 관계없이 안정된 산소 용해 효율을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높은 처리 성능을 얻을 수 있음과 동시에 유지 관리, 점검 작업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호기성 처리조를 이용한 순환식 질화 탈질소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순환식 질화 탈질소법에 이용한 장치의 개략 종단면도이다.
도 8에 있어서, 호기 탱크(1)는 본 발명의 호기 탱크를 이용하고 있고, 부호 25는 무산소 탱크, 부호 27은 담체와 질화 순환액의 분리 장치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의 구성 요소는 동일 부호를 이용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을 이용하여 질화 탈질소법을 설명하면, 오수는 유입관(7)으로부터 분리 장치(27)로 담체와 질화 순환액으로 분리된 후의 질화 순환액(28)과 함께 무산소 탱크(25)로 유입하고, 탈질소 처리를 받은 후, 무산소 탱크(25)와 호기 탱크(1)를 간막이하는 벽(29)의 상부에 설치한 유입구로부터 호기 탱크(1)로 유입한다.
호기 탱크(1)에서는 폭기장치(10)에 의하여 순환류가 생성되고, 도 1 및 도 2의 실시예에서 기재한 작용효과에 의하여 충분히 질화 처리를 받아 처리수는 담체 분리기(6)를 통하여 유출한다. 유출단에 설치한 담체 이송 펌프(3)에 의하여 담체 플러스 질화 순환액(11)은 분리 장치(27)에 의하여 담체와 질화 순환액으로 분리되어 질화 순환액(28)은 무산소 탱크(25)로 순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생물 고정화 담체를 이용하는 수처리 장치에 있어서, 담체 농도분포의 형성을 방지·해소할 수 있고, 또한 조 내의 산소 공급 속도를 균일화하였기 때문에 조 전체에 있어서 높은 처리 성능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폭기장치에 있어서는 임펠러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가 상대하는 케이싱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담체의 최대 지름 또는 최대 치수 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담체가 임펠러의 날개부와 케이싱 사이에 끼이지 않아 담체 자신의 손상이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임펠러의 날개부를 코팅재로 피복하거나 또는 날개부 표면을 매끄럽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담체가 임펠러를 통과할 때 임펠러의 날개부에 접촉하였다고 하여도 접촉시의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담체 표면의 질화균 등의 미생물이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담체 자신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호기성 처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폭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폭기장치의 일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폭기장치에 있어서의 임펠러의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폭기장치에 있어서의 공기실 케이싱의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폭기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질화 탈질소법에 이용한 장치의 개략 종단면도,
도 9는 종래의 담체를 이용한 호기성 처리조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호기탱크 2 : 담체
3 : 담체 이송펌프 4 : 블로워
5 : 급기관 6 : 담체 분리기
7 : 피처리액 8 : 유출관
10 : 폭기장치 12, 32 : 흡입 케이싱
13, 33 : 토출 케이싱 14, 34 : 케이싱
15 : 모터 16, 36 : 공기실 케이싱
17 : 임펠러 17a : 날개부
19, 39 : 공기실 18 : 코팅재
25 : 무산소 탱크 27 : 분리 장치
29 : 간막이벽

Claims (6)

  1. 부유 상태로 유지한 미생물을 고정화한 담체를 가지는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 내에 설치되는 폭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폭기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형성된 피처리액체의 유로내에 설치된 임펠러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가 상대하는 상기 케이싱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상기 담체의 최대 지름 또는 최대 치수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용 폭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날개부를 코딩재로 피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용 폭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날개부 표면은 연마에 의하여 매끄럽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용 폭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날개부 표면은 수지재의 성형에 의하여 매끄럽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용 폭기장치.
  5. 상기 피처리액체의 유로를 구성하는 부재의 가장자리부 또는 모서리부를 각이 없는 원형을 띤 곡면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용 폭기장치.
  6. 부유 상태로 유지한 미생물을 고정화한 담체를 가지는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에 있어서,
    상기 조내를 균일하게 폭기 혼합할 수 있는 위치에 폭기장치를 1기 또는 복수기 설치하고,
    상기 폭기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형성된 피처리액체의 유로내에 설치된 임펠러를 구비하고, 상기 임펠러의 날개부와 상기 날개부가 상대하는 상기 케이싱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상기 담체의 최대 지름 또는 최대 치수보다 크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호기성 처리조.
KR10-1998-0000520A 1997-01-13 1998-01-12 오수의호기성처리조용폭기장치및그폭기장치를구비한오수의호기성처리조 KR100494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5917 1997-01-13
JP9-15917 1997-01-13
JP01591797A JP3894606B2 (ja) 1997-01-13 1997-01-13 汚水の好気性処理槽用曝気装置及び該曝気装置を備えた汚水の好気性処理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0456A KR19980070456A (ko) 1998-10-26
KR100494303B1 true KR100494303B1 (ko) 2005-09-02

Family

ID=11902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0520A KR100494303B1 (ko) 1997-01-13 1998-01-12 오수의호기성처리조용폭기장치및그폭기장치를구비한오수의호기성처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894606B2 (ko)
KR (1) KR100494303B1 (ko)
CN (1) CN109490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775B1 (ko) * 2001-07-04 2004-07-30 (주)담덕 다공성여재를 이용한 하수의 3차처리 장치 및 방법
JP5851134B2 (ja) * 2011-07-08 2016-02-03 株式会社西原環境 汚泥消化装置
JP6661129B2 (ja) * 2017-04-25 2020-03-11 株式会社エコ・プラン 拡散装置および拡散方法
JP7061473B2 (ja) * 2018-02-05 2022-04-28 正志 豊岡 廃水処理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6994A (en) * 1981-02-17 1982-08-24 Mitsui Miike Mach Co Ltd Aeration tank for activated sludge treatment
JPS6397293A (ja) * 1986-10-14 1988-04-27 Negorogumi:Kk 循環水流接触酸化による畜舎汚水処理方法
WO1996037444A1 (fr) * 1995-05-23 1996-11-28 Ebara Corporation Procede de traitement aerobie des eaux usees et bassin de traitement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12936A (en) * 1981-07-03 1985-04-23 Ebara Corporation Aeration apparatus
JP3537879B2 (ja) * 1994-09-14 2004-06-14 株式会社エイブル 好気性微生物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36994A (en) * 1981-02-17 1982-08-24 Mitsui Miike Mach Co Ltd Aeration tank for activated sludge treatment
JPS6397293A (ja) * 1986-10-14 1988-04-27 Negorogumi:Kk 循環水流接触酸化による畜舎汚水処理方法
WO1996037444A1 (fr) * 1995-05-23 1996-11-28 Ebara Corporation Procede de traitement aerobie des eaux usees et bassin de trait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904C (zh) 2002-11-27
CN1188079A (zh) 1998-07-22
KR19980070456A (ko) 1998-10-26
JP3894606B2 (ja) 2007-03-22
JPH10192882A (ja) 1998-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9056B1 (ko) 오수의호기성처리방법및처리조
US7374675B2 (en) Mixer for use in wastewater treatment processes
US7524419B2 (en) Mixer for use with media in wastewater treatment
JP2003136087A (ja) 排水処理方法および排水処理装置
JP5597002B2 (ja) 排水処理装置及び排水処理方法
KR100494303B1 (ko) 오수의호기성처리조용폭기장치및그폭기장치를구비한오수의호기성처리조
KR101127077B1 (ko) 마이크로 버블 디퓨져
JP3136902B2 (ja) 汚水の処理方法
JPH07108295A (ja) 廃水の加圧ばっ気処理装置
JP3900997B2 (ja) 旋回流曝気装置
KR101019092B1 (ko) 인 제거를 위한 하폐수의 고도 수처리 장치 및 방법
JP2003053378A (ja) 分離膜を用いた水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7289891A (ja) 排水処理装置及び排水処理方法
KR100246814B1 (ko) 하수의 영양소 제거장치
JPH06328089A (ja) 水処理装置
KR20020086777A (ko)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회분식하폐수처리장치 및 그 방법
KR100352177B1 (ko) 오염물질의 분해 및 분리를 위한 폐수처리 장치
KR102431357B1 (ko) 바이오 필름의 두께를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담체
JPH07136678A (ja) 汚水処理方法及び汚水処理槽
US20220234926A1 (en) System for microorganism based treatment of wastewater
JP3455597B2 (ja) 流動床式廃水処理方法及び装置
US11406943B1 (en) Apparatus for treating fluids having improved aeration efficiency and dual function operation
JP2000334490A (ja) 生物学的脱窒脱リン装置
KR100221850B1 (ko) 하, 폐수처리에서의 영양염류의 제거방법 및 장치
JPH1147786A (ja) 窒素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