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186B1 -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용지 - Google Patents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용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186B1
KR100494186B1 KR10-2002-0037133A KR20020037133A KR100494186B1 KR 100494186 B1 KR100494186 B1 KR 100494186B1 KR 20020037133 A KR20020037133 A KR 20020037133A KR 100494186 B1 KR100494186 B1 KR 100494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rinting
fabric
offset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7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1810A (ko
Inventor
김승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가
Priority to KR10-2002-0037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186B1/ko
Publication of KR20040001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1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4Conveyors; Paddle wheels; Endless belts

Abstract

본 발명은 옵셋(offset) 인쇄에 사용되는 직물용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조방법은 직물 및 배면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직물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직물에 배면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직물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전에 인쇄잉크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직물 또는 배면지, 또는 이들 모두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직물은 천연실크, 혼방실크 또는 인조실크인 것이 좋고, 이러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쇄용지는 옵셋인쇄에서 가장 처치곤란한 문제이며 원본 재현성을 떨어뜨리는 모아레 현상과 퍼짐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이를 뛰어 넘어 화가의 그림 원본과 같이 입체적이고 거의 동일한 색상과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용지{A MANUFACTURING METHOD OF TEXTILE PAPER FOR OFFSET-PRINTING AND THAT PAPER}
본 발명은 옵셋(offset) 인쇄에 사용되는 직물용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직물용지에 인쇄시 화가의 그림 원본과 같이 입체적이고 거의 동일한 색상과 감각을 느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인쇄에는 인쇄판의 형식과 인쇄기의 종류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먼저 인쇄판의 종류에 따라 서는 사용하는 판의 잉크가 묻는 화선부가 비화선 부분보다 높게 되어 있는 볼록판 인쇄(Relief Printing), 판면이 평평하여 화선부와 비화선부의 높이 차이가 없고 물과 기름의 반발작용을 이용하여 잉크가 화선부에만 묻도록 하는 평판인쇄(Lithographic Printing), 화선부가 오목하며 사진오목판과 조각오목판이 있는데 그 중 사진오목판을 그라비어(Gravure)판이라 하는 오목판 인쇄(Intaglio Printing), 사용하는 판이 화선부에 망사 구멍이 나타나게 제판한 것으로 이 망사 구멍으로 잉크가 통과하여 피 인쇄체에 부착되는 것으로 스크린 인쇄(Screen Process Printing)가 대표적인 공판인쇄(Stencil Printing)가 있다.
다음으로 인쇄기계의 종류에 따라 서 판반 위에 판을 놓고 잉크를 묻혀 여기에 종이를 올려놓고 압판으로 압력을 주어 인쇄하는 형식의 평압식 인쇄기, 판통에 판을 감아 붙이거나 둥근 판을 부착하여 인쇄잉크가 묻혀 압통과의 사이에 종이를 통과시켜 인쇄하는 윤전식 인쇄기, 사진, 아트 등 연속 계조가 들어간 고급인쇄방식에 속하는 것으로 평판(알루미늄 합금)에 필름이나 디지털 제판으로 고무판(고무 블랭킷)에 전이시킨 뒤 다시 고무판으로 종이에 전이시키는 인쇄방식으로 인쇄판과 용지가 직접 접촉하지 않고 블랭킷에 전달하여 인쇄(전사인쇄(轉寫印刷))하는 간접인쇄 방식의 옵셋인쇄기가 있다.
1905년 미국의 I.W.루벨이 우연한 기회에 고무 블랭킷을 중개(仲介)로 한 간접인쇄를 발명하고 이를 옵셋인쇄라고 명명하였다. 옵셋인쇄는 평판인쇄에 속하는 것으로, 금속평판인쇄(金屬平版印刷)는 대부분 옵셋인쇄에 의해 인쇄되므로 일반적으로 옵셋인쇄는 금속평판인쇄와 같은 뜻으로 쓰이고 있다. 옵셋인쇄는 인쇄효과가 탁월하고, 정밀한 인쇄물에 적합하며 대량생산에 적합하다.
옵셋인쇄기는 인쇄판을 감는 판동(版胴) ·고무블랭킷 ·압동의 3개의 원통으로 조립되어 있다. 판면의 비화선부(非畵線部)에 잉크의 부착을 막는 적심물을 주는 장치가 있는 것이 옵셋인쇄기의 특색이며, 모두 윤전식 인쇄기이다. 적심물을 쓰지 않는 옵셋인쇄를 드라이 옵셋(dry offset)이라고 하며, 인쇄판이 볼록판이나 그라비어판에 의한 옵셋인쇄에는 이 형식의 것이 있다. 또한 옵셋인쇄기에는 동시에 2색 이상을 인쇄할 수 있는 다색기(多色機), 종이의 양면을 인쇄하는 양면인쇄기도 있다.
이와 같은 옵셋인쇄에서는 원색분해시에 사용되는 분해필름에 있어 각 색깔마다 망점각도가 있는데(적(Magenta)은 45도, 먹(blacK)은 15도, 황(Yellow)은 90도, 청(Cyan)은 75도), 이렇게 CMYK에 따라 각각 분해필름의 망점의 각도를 다르게 하는 것은 각각의 색깔을 인쇄할 때 모아레(moire) 현상(반점현상이라 하며, 이는 인쇄할 때 각각의 색깔이 겹치는 현상이다)이 발생한다는 것과 잉크의 수분으로 인한 퍼짐현상이 발생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현상은 5도 이상의 별색으로 인쇄하는 경우 원본 그림의 특성에 따른 아주 미세한 부분을 별색으로 처리하지 못하게 한다는 문제점을 일으켜 왔다. 따라서 옵셋인쇄에서는 이러한 모아레 현상을 제거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개량되어 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모아레 현상과 퍼짐현상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하여 출원된 특허출원 제2001-79786호 「칼라 옵셋 인쇄방법」에서 제안된 새로운 인쇄방법의 연장선상에 놓인 것으로, 새로운 인쇄용지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옵셋인쇄에서 제기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모아레현상과 퍼짐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인쇄용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본 발명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쇄용지를 이용한 인쇄물을 통하여 모아레 현상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그림 원본과 같이 입체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은 직물 및 배면지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직물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직물에 배면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직물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전에 인쇄잉크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직물 또는 배면지, 또는 이들 모두를 코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직물은 천연실크, 혼방실크 또는 인조실크인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인 도 1에서, 먼저 직물 및 배면지를 준비한다(S10). 종래의 인쇄용지는 보통의 백상지, 중질지, 아트지, 특수인쇄용지 등이 사용되었다. 원료로는 목재표백화학펄프(BKP)이나, 사탕수수, 볏짚, 대나무 따위로 만든 표백화학펄프가 보조로 사용되기도 하며, 최고급 용지에는 솜섬유와 인피섬유도 사용하고 있다. 인쇄용지의 품질등급은 표백화학펄프에 대한 표백쇄목펄프(BGP)의 배합률에 따라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100% 표백화학펄프를 사용하였을 때 백상지(특급), 100% 미만∼15% 이상의 표백화학펄프를 배합 사용하였을 때 중질지(1~3급)라고 한다. 아트지는 백상지와 같이 표백화학펄프만을 사용하여 초조한 원지에 인쇄적성을 높이기 위하여 일면 또는 양면에 고령토와 같은 광물질을 발라 광택을 낸 가공지로서 고급인쇄물 제작에 쓰인다. 근래에는 중질지 생산시와 같이 표백화학펄프와 표백쇄목펄프를 혼용하여 생산한 원지를 사용하여 광물질을 바른 경량 코트지가 개발되어 생산원가의 절감은 물론 아트지가 주는 딱딱한 감촉을 보완해주고 있다. 특수 인쇄용지로는 증권용지, 은행권용지, 그라비어용지 등 특수한 인쇄물에 쓰이는 것으로서 질기면서 고급스럽고 인쇄적성이 좋아야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직물은 면, 실크와 같은 천연섬유, 이들의 혼방섬유, 또는 레이온,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아세테이트계, 우레탄계, 아크릴계 등의 인조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면지는 일반 종이 또는 일반 스티커에 사용되는 종이일 수 있다.
다음으로 준비된 직물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S20). 상기 접착제는 아교, PE-30풀, OPP풀, 밀풀, 규산 또는 풀리졸과 같은 것일 수 있다.
다음 단계로 접착제가 도포된 직물에 배면지를 부착한다(S30). 이러한 배면지 부착공정은 일반적으로 롤러를 사용한 가압공정을 통하여, 또는 이에 가열공정을 병행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배면지 부착공정은 옵셋인쇄시에 직물의 흐물흐물함으로 인하여 가공성이 나쁜 것을 보완함으로써 어느 정도의 경직성을 부여하여 인쇄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이러한 배면지 부착공정은 인쇄지 잉크가 새어나와 인쇄용지를 얼룩지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직물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S20) 전에 접착제가 도포될 직물면을 코팅하는 것이 좋다(S15). 이는 인쇄잉크의 과도한 스며듦으로 인하여 인쇄상태가 나빠지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잉크가 원하지 않는 부분에 묻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코팅가공을 배면지에 하는 것으로도 달성 가능하다. 이러한 코팅은 PP(Poly Propylene)를 이용한 라미네이팅(laminating) 코팅, 투명한 코팅전용 화공약품으로 광택을 내는 오버(over) 코팅 또는 코팅전용 자외선 잉크과 자외선조명을 이용한 UV 코팅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은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에 사용되는 직물로는 천연실크, 혼방실크 또는 인조실크와 같은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는 종이와 유사한 질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직조구조의 세밀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인쇄에 사용될 경우 인쇄과정에서 늘어짐이 없어야 하고 장기간 보관시에도 최초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직물이어야 하므로 혼방실크 또는 인조실크(예: 레이온, 큐프라, 폴리노직과 같은 셀룰로이즈 섬유)가 보다 적당하다.
도 2와 도 3은 특허출원 제2001-79786호 「칼라 옵셋 인쇄방법」을 이용한 인쇄물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특허출원의 인쇄방법은 스캐너에 의하여 칼라필름을 RGB분해하고 상기 RGB분해한 데이터를 매킨토시(mackintosh)프로그램이 장착된 컴퓨터로 송신하고 상기 매킨토시에서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이미지처리하여 일정한 수 이상의 색으로 분판처리하며 상기 일정한 수 이상의 색으로 분판처리된 색상을 각각 리터치하고 상기 리터치된 각각의 색상을 진폭변조(AM변조) 또는 주파수변조(FM)방식으로 출력전환하고 상기 프로그램상 분판처리된 일정한 수 이상의 색을 인쇄필름 상에 각각의 색으로 분판처리하여 인쇄하는 과정을 거친다. 특히 상기 분판처리는 퍼플(Purple), 오렌지(Orange), 옐로우(Yellow), 블랙(blacK), 핑크(Pink), 블루(Blue), 그린(Green) 7가지색을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인쇄방법에 의한 인쇄물은 선명하고 뚜렷한 질감과 입체감이 나타날 뿐 아니라 종래의 인쇄기술에서는 발색이 불가능한 높은 채도 및 명도의 영역까지 발색범위가 넓어져서 자색, 녹색계가 선명하며, 오렌지, 그린, 바이올렛, 자색과 같은 미묘한 색조를 재현할 수 있어 색채재현이 까다로운 미술 작품집, 사진 작품집, 카탈로그 등에 적합하다.
도 2는 이러한 새로운 인쇄방법을 이용하여 종래의 종이에 행한 인쇄물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용지, 특히 합성실크를 이용한 인쇄물로서, 도 2의 것이 종래의 옵셋인쇄방법에 의한 인쇄물에 비하여 현저함에도 불구하고, 도 3과 비교하여 보면, 특히 미술작품과 같은 입체감과 질감이 재현성을 요구하는 것에서는 보다 현격한 우수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인쇄용지는 옵셋인쇄에서 가장 처치곤란한 문제이며 원본 재현성을 떨어뜨리는 모아레 현상과 퍼짐현상을 제거할 수 있게 함은 물론, 이를 뛰어 넘어 화가의 그림 원본과 같이 입체적이고 거의 동일한 색상과 질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직물용지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공정도이고,
도 2는 특허출원 제2001-79786호에 따른 칼라옵셋 인쇄방법에 의하여 종래 일반 인쇄용지에 인쇄한 인쇄물을 나타내고,
도 3은 특허출원 제2001-79786호에 따른 칼라옵셋 인쇄방법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쇄용지에 인쇄한 인쇄물을 나타낸 것이다.

Claims (4)

  1. 직물 및 배면지를 준비하는 단계(S10);
    인쇄잉크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직물 또는 배면지, 또는 이들 모두를 코팅하는 단계(S15);
    상기 직물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S20);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직물에 배면지를 부착하는 단계(S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천연실크, 혼방실크 또는 인조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
  4. 제1항 또는 제3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옵셋인쇄용 직물용지.
KR10-2002-0037133A 2002-06-28 2002-06-28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용지 KR100494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133A KR100494186B1 (ko) 2002-06-28 2002-06-28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용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7133A KR100494186B1 (ko) 2002-06-28 2002-06-28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용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810A KR20040001810A (ko) 2004-01-07
KR100494186B1 true KR100494186B1 (ko) 2005-06-10

Family

ID=37313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7133A KR100494186B1 (ko) 2002-06-28 2002-06-28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용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1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644B1 (ko) * 2011-04-11 2013-04-01 이춘식 연질 원단의 옵셋 인쇄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인쇄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230A (ja) * 1993-03-03 1994-09-13 Buyoudou:Kk オフセット印刷方法、およびオフセット印刷物
JPH07223356A (ja) * 1994-02-15 1995-08-22 Saitoutoshiki Design Shitsu:Kk 高密度ミニ印刷物
JP2001159090A (ja) * 1999-09-21 2001-06-12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オフセット印刷用不織布
JP2001254283A (ja) * 2000-03-08 2001-09-21 Hokushin Cloth:Kk インクジェット用生地
KR20020037087A (ko) * 2000-11-13 2002-05-18 송두환 연질원단의 유브이옵셋인쇄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5230A (ja) * 1993-03-03 1994-09-13 Buyoudou:Kk オフセット印刷方法、およびオフセット印刷物
JPH07223356A (ja) * 1994-02-15 1995-08-22 Saitoutoshiki Design Shitsu:Kk 高密度ミニ印刷物
JP2001159090A (ja) * 1999-09-21 2001-06-12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オフセット印刷用不織布
JP2001254283A (ja) * 2000-03-08 2001-09-21 Hokushin Cloth:Kk インクジェット用生地
KR20020037087A (ko) * 2000-11-13 2002-05-18 송두환 연질원단의 유브이옵셋인쇄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1810A (ko) 2004-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757166B (zh) 一种最大化非涂布纸印刷色域的色彩管理方法及装置
JP2004505822A (ja) 可変局部特性を有する印刷された基材
KR100494186B1 (ko) 옵셋인쇄용 직물용지의 제조방법 및 그 직물용지
US5429047A (en) Method of printing color images on textured surfaces
CN103287136A (zh) 烟标的印刷方法
KR100494352B1 (ko) 칼라 옵셋 인쇄방법 및 이를 위한 직물용지
TWM575586U (zh) 使用分色數位前導技術的印刷系統
JP4184555B2 (ja) レインボー印刷可能なフレキソ印刷方法
US4600629A (en) Selectively absorbent mask printing process
US6544370B1 (en) Puff heat transfer
US6749996B2 (en) Puff heat transfer
KR20060125316A (ko) 별색 인쇄를 위한 옵셋인쇄방법
EP2395740A1 (en) A method for printing on tissue paper
DE60127788T2 (de) Farbprüfen mittels Tintenstrahldruck
JPH01294038A (ja) 新聞紙のカラー印刷方法
JP3757142B2 (ja) 軸装、額装用版画用紙
US8879116B2 (en) Hollow do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s
GB2078173A (en) Method of making colour patterns on material
WO1988005094A1 (fr) Procede perfectionne d'impression offset sur feuilles en tissu de polyamide ou de polyester, feuilles imprimees ainsi obtenues et leurs applications
JP2770589B2 (ja) スクリーン印刷による盛り上げ印刷方法
JP2607427B2 (ja) 長尺布帛の染色方法
JP7105534B2 (ja) スクリーン印刷方法
SU1452712A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 художественного изображени
Zjakic et al. The colour characteristics of modern printing
US20070081175A1 (en) Hollow dot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