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3780B1 - 포장용 강,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포장용 강 또는 강 스트립 사용방법, 및 포장용 강으로 제조된 포장용 강재 제품 - Google Patents

포장용 강,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포장용 강 또는 강 스트립 사용방법, 및 포장용 강으로 제조된 포장용 강재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3780B1
KR100493780B1 KR10-1999-7001012A KR19997001012A KR100493780B1 KR 100493780 B1 KR100493780 B1 KR 100493780B1 KR 19997001012 A KR19997001012 A KR 19997001012A KR 100493780 B1 KR100493780 B1 KR 100493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trip
ppm
packaging
ro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9850A (ko
Inventor
에그버트 얀센
하스 마르텐 아리에 드
Original Assignee
코루스 스타알 베.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76333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9378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코루스 스타알 베.뷔. filed Critical 코루스 스타알 베.뷔.
Publication of KR20000029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3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Gripping Jigs, Holding Jigs, And Positioning Jigs (AREA)
  • Superconductor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하기의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강.
원소 최소* 최대* C Mn P S Si N ppm Al** B ppm Cu Sn Cr Ni Mo 140 5 40 250 20 20 30 30 50 50 40 10 40 40 10 * 특별한 말이 없으면 0.001%wt (단위) ** 산에 용해 가능
잔부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 여기서 0.4≤B/N≤1/2.

Description

포장용 강,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포장용 강 또는 강 스트립 사용방법, 및 포장용 강으로 제조된 포장용 강재 제품{PACKAGING STEEL,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ACKAGING STEEL STRIP, ITS USE AND PRODCUCT MADE FROM THE PACKAGING STEEL}
본 발명은 우수한 연신과 디프-드로잉(deep-drawing) 및 월-아이어닝(wall-ironing ) 가공성을 갖는, 특히 포장 용도에 적합한 스트립 또는 시이트 형태의 강과, 강 스트립 제조방법 및 이러한 강을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포장용 강은 코일로 권취되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연속적으로 열간압연되고, 산세되고, 냉간압연되고, 어닐링되고 그리고 일반적으로 템퍼-압연되거나 또는 추가로 냉간압연된 시이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강을 의미한다. 이 시이트 또는 스트립의 블랭크는 여러가지 성형 작업을 통해, 예를 들면 음료수 캔 또는 다른 물품 등과 같은 (반-마무리된) 제품으로 만들어지므로, 원하는 형상으로 하기 위해 평탄한 기본재는 재료변형을 크게 겪게된다. 음료수 캔을 제조하기 위해, 예를 들면 포장용 강 블랭크가 하나 이상의 단계에서 디프 드로잉되어 컵으로 성형되고, 컵의 벽은 보다 큰 높이/용량의 캔을 형성하기 위해 월-아이어닝 가공된다. 특히, 하나의 단계에서의 디프-드로잉 및 월-아이어닝 가공은 이상적으로 등방성(等方性)을 갖는 쉽게 성형가능한 재료를 필요로 한다.
도 1은 전술한 PSED 및 PSPD 직경을 나타내고,
도 2는 PSED 대 PSPD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에 프리-스핀-네크 형성된 캔이 도시되어 있다. 이 캔은 네크의 직경이 주몸체의 직경보다 작게 성형되며, 이 네크는 직경이 PSED인 원통형 부분과 그 단부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최대 직경이 PSPD인 바깥을 향한 플랜지를 구비한다. 이들 직경은 재료 품질에 따라 결정되지만, 네크가 충전후 뚜껑을 정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성공적인 캔 형성을 위해서는 임계적이다.
도 2에서, 각각의 백색의 사각형 표시는 본 발명에 따른 강 C로 만들어진 블랭크로 만들어진 프리-스핀-네크 캔의 PSPD 및 PSED의 값을 나타내며, 흑색의 사각형 표시는 비교예 강 D로 만들어진 것을 나타낸다. 이 경우 PSED 값이 56.1인 세로선은 PSED의 상한선을 나타내며 이 상한선 위에서 제조된 캔은 플랜지 기복이 있기 때문에 폐기된다.
이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강 사용의 두가지 효과를 명확히 나타낸다. 첫번째로, 본 발명에 따른 강으로 만들어진 캔의 PSED 및 PSPD의 변화 및 이에 따른 재료 특성의 변화가 적고, 두번째로 본 발명에 따른 강으로 만들어진 캔은 낮은 PSED 값을 나타내므로 낮은 폐기율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사정 및 상기 강의 등급을 개선하기 위한 계속되는 시도를 하면서 연구는 특히 이하의 특성의 조합을 지향하게 되었다.
- 높은 r-값(Lankford value)
- 전문 용어로서 각각 "에지/중심" 및 "코일 길이에 따른" 특성의 작은 스프레드(spread)라고도 하는, 스트립 폭 전체뿐만 아니라 스트립 길이를 따라 가능한 작은 기계적 특성의 변화.
실험에 의하면 매우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는 강 등급은 -어닐링되고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냉간압연, 예를 들면 템퍼-압연된 조건에서- 강이 이하의 조성을 가질 때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원소 최소* 최대*
C Mn P S Si N ppm Al** B ppm Cu Sn Cr Ni Mo 140 5 40 250 20 20 30 30 50 50 40 10 40 40 10
* 특별한 말이 없으면 0.001wt% (단위) ** 산에 용해 가능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 여기서 0.4≤ B/N≤1.2.
이 강은 개선된 수준의 연신, 디프-드로잉성 및 월-아이어닝 가공성 및 매우 작은 스프레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조성은 이하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원소 최소* 최대*
C Mn P S Si N ppm Al** B ppm Cu Sn Cr Ni Mo 10 140 15 8 40 200 20 20, 바람직하게 10 30 25 35 25 40 10 40 40 10
* 특별한 말이 없으면 0.001wt% (단위) ** 산에 용해 가능
상기와 같이 한정된 범위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하의 목표 값이 주어질 수 있음을 알았다.
삭제
원소 목표* +/-30%
C Mn N ppm Al** B ppm 20 160 20 25 0.8 N
* 특별한 말이 없으면 0.001%wt (단위) ** 산에 용해 가능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기계적 특성이 얻어질 수 있기 때문에, 예를 들면 강재 음료수 캔 등의 경량화에 매우 적합한 0.35mm 보다 얇고 심지어 0.18mm 보다 얇은 박판 재료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삭제
강 스트립은 냉간압연되고, 어닐링되고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냉간압연된 스트립 또는 시이트 형태이고, 스트립의 에지 영역의 결정입자 크기인 Gs-에지 및 스트립의 중심 영역의 결정입자 크기인 Gs-중심 사이의 차이가 0.5 ASTM 단위 보다 적고, 스트립의 에지 영역의 r-값인 r-에지와 스트립의 중심 영역의 r-값인 r-중심 사이의 차이가 0.2 단위보다 적고 바람직하게는 0.1 단위보다 적고, 스트립의 에지 영역의 항복점인 Rp-에지와 스트립의 중심 영역의 항복점인 Rp-중심 사이의 차이가 20N/mm2 보다 적고, 평균 r-값이 적어도 1.3 이상인 경우 특히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강을 절단하여 얻은 블랭크로 연신, 디프-드로잉, 드로잉 및 월-아이어닝 가공한 제품의 제조는 이하와 같이 하면 매우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으로부터 어닐링된 강 스트립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이하의 단계로 구성된 방법에 의해 추가적으로 구현된다.
- 마무리압연온도에서의 마무리압연 및 권취온도에서의 권취를 포함하는 열간압연;
- 산세;
- 냉간-압연;
- 어닐링, 바람직하게는 연속 어닐링;
- 그리고 선택적으로 추가적인 냉간압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0.6%의 압하율의 냉간 압연;
여기서, 상기 마무리압연온도는 Ar3-10℃ 보다 높게 선택되고 권취온도는 700℃ 보다 낮게 선택된다.
바람직한 방법에 있어서, 마무리-압연 온도는 825℃ 보다 높게 선택되고 권취온도는 690℃ 보다 낮게 선택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무리압연온도는 900±30℃로 선택되고 권취온도는 670℃±20℃로 선택된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어닐링전 전체 냉간 압하율은 85% 또는 그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태양에 있어서, 어닐링후 >5%의 압하율, 또는 심지어 10-20%의 압하율로 추가로 냉간압연된다.
이러한 방법은 매우 우수한 성형특성을 갖는 강 스트립을 생성한다. 어닐링 후 추가적인 냉간압연, 예를 들면 템퍼 압연되는 경우, 적어도 0.6%의 압하율로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목표 값은 마무리-압연 온도 900℃로 선택되고 권취온도에 대하여는 목표값이 670℃로 선택된다. 이는 강 시이트가 매우 쉽게 가공가능하고 균질하도록 하는 기초를 제공한다. 템퍼-압연이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라 10-20%의 압하율로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높은 변형 정도는 매우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강 등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 등급은, 예를 들면 투-피스(two-piece) 캔의 몸체 제조에서와 같이 포장용 강이 Sn을 포함하는 코팅재로 코팅되고 이후 계속해서 디프-드로잉 및 월-아이어닝 가공되는 용도 등의 드로잉 및 월-아이어닝 가공(DWI) 되는 포장용 강 용도에 완벽하게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강의 우수한 기계적 특성은 상기와 같은 캔이 보다 가볍게 만들어질 수 있게 하므로, 재료 소비의 감소와 포장 무게의 감소 요구등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강의 연신, 디프-드로잉과 드로잉 및 월-아이어닝 가공 용도로의 사용, 스트립 또는 시이트의 일면 또는 양쪽면에 Sn, Cr, 래카, 유기 코팅, 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코팅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을 구비하는 강,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강으로 연신되고, 디프 드로잉 또는 드로잉과 월-아이어닝 가공된 제품에 의해 구현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표 1 내지 표 5에 나타낸 상세한 실험결과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실험에서, 연속 주조 강은 마무리-압연온도 900℃로 열간-압연기로 압연되고, 625, 670 및 690℃의 목표값 권취온도에서 권취되었다. 이후, 강을 종래의 산세 라인에서 산세하고 88-89% 압하율로 냉간압연하고, 그 후 연속 어닐링하였다. 어닐링후 0.8%의 압하율로 템퍼-냉간 압연하거나 4% 및 6%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였다. 강을 종래의 전기주석도금 라인에서 주석도금하였다.
테스트 강, 화학 조성 0.001wt% 및 특별히 언급된 것은 wt.ppm
C Mn S Al* B ppm N ppm CT (℃) 비고
A 24 202 7 26 16 24 625 본발명예
B 23 191 7 34 20 29 690 본발명예
C 16 171 5 28 8 22 690 본발명예
D 25 200 <12 35 - 20 670 비교예
Al* : 산 용해가능한 알루미늄
CT : 열간 압연후 권취온도
강 C의 화학 조성, 열간압연 조건에서 0.001wt% 및 특별히 언급된 것은 wt. ppm
위치 C Mn Al* B ppm B* ppm N ppm N* ppm
스트립 중심 16 171 28 8 1 22 <2
스트립 에지 16 173 28 8 1 17 <2
AL* : 산용해가능 알루미늄
B* : 산용해가능 붕소
N* : 고정되지 않은 질소 강 C의 결정입자 크기, 열간 압연 및 냉간 압연, 어닐링 조건
위치 결정입자 크기(ASTM)`
열간 압연 냉간 압연
스트립 중심 9.0 11.5
스트립 에지 9.0 11.5
강 C의 기계적 특성, 냉간압연, 어닐링, 템퍼 압연(압하율 0.8%) 조건
위치 스트립 중심 스트립 에지
방향 길이 방향 경사 폭 방향 길이 방향
r-값 테스트 1 테스트 2 테스트 3 평 균 1.57 1.58 1.58 1.58 1.68 1.68 1.80 1.72 1.83 1.80 1.82 1.82 1.49 1.49 1.42 1.47
Reh(Rp) 테스트 1 테스트 2 테스트 3 평 균 237 238 238 238 234 235 235 235 236 235 235 235 247 247 247 247
Rm 테스트 1 테스트 2 테스트 3 평 균 360 362 362 361 354 354 356 355 359 356 358 358 358 358 357 358
상기 표 4에서, r-값은 랭크포드-값을 의미하고, Reh(Rp)는 N/mm2로 나타낸 항복점, Rm은 N/mm2로 나타낸 인장강도를 의미한다.
삭제
삭제
삭제
하나의 열에서 각 수치간의 작은 변화는 폭에 따라 기계적 특성의 변화가 매우 작음을 나타낸다.
주의할 만 한것은 r-값이 높지만 지시된 방향에서 변화가 작다는 것이며, 여기서 "길이방향"은 압연방향을 의미하며 "경사"는 압연방향의 45°방향을 의미하고 "폭방향"은 압연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 영역과 에지 영역간에 기계적 특성의 변화가 적다는 것이다. 강 A, B, 및 C의 항복점 및 결정입자 크기, 템퍼 압연(0.8% 압하율)조건
항복점 N/mm2 ASTM 비고
중심 에지 중심 에지
A 258 256 11 11 본발명예
B 237 235 11 11 본발명예
C 262 256 11 12 비교예
강 B 및 D의 항복점, 어닐링 및 어닐링후 다른 압하율 조건으로 압연
어닐링후 냉간 압하율 % 항복점 N/mm2
중심 에지
B 1 231 233
B 4 283 281
B 6 330 333
D 1 258 268
삭제
삭제
비교 테스트에서, 표 1의 강 C 및 D는 적은 변형 및 큰 변형 작업 수행시 테스트되었다. 여기까지 주석 도금된 원형 블랭크는 머리부터 끝까지, 중심 및 에지로 취해지는 영역간 직경이 동일한 스트립이 컵으로 드로잉되고, 이 컵은 월-아이어닝 가공되고 손질되며 프리-스핀-네크(pre-spin-neck)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프리-스핀-네크 캔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잘 알려진 33 cl. 66mm 직경의 음료수 캔으로 만들어지는 형태이다. 프리-스핀-네크 캔에서, 프리-스핀- 에지 직경(PSED)(mm) 및 프리-스핀 플러그 직경(PSPD)(mm)이 결정된다.

Claims (18)

  1. 하기의 조성을 갖는 시이트 또는 스트립 형태의 포장용 강으로써,
    상기 시이트 또는 스트립은 냉간압연 및 어닐링되거나 추가로 냉간압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원소 최소* (0.001wt%) 최대* (0.001wt%) C Mn P S Si N ppm Al** B ppm Cu Sn Cr Ni Mo 140 5 ppm 40 250 20 20 30 30 ppm 50 50 ppm 40 10 40 40 10 * 특별한 말이 없으면 0.001wt% (단위) ** 산에 용해 가능
    잔부는 Fe 및 불가피한 불순물
    여기서 0.4 ≤B/N ≤1.2 이고, 스트립의 에지 영역의 결정입자 크기 Gs-에지와 스트립의 중심 영역의 결정입자 크기 Gs-중심 사이의 차이가 0.5 ASTM 단위 미만.
  2.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의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원소 최소* (0.001wt%) 최대* (0.001wt%) C Mn P S Si N ppm Al** B ppm Cu Sn Cr Ni Mo 10 140 15 8 ppm 40 200 20 20 30 25 ppm 35 25 ppm 40 10 40 40 10 * 특별한 말이 없으면 0.001%wt (단위) ** 산에 용해 가능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다음 원소에 대하여 이하의 표준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원소 표준* +/-30% C Mn N ppm Al** B ppm 20 160 20 25 0.8 N * 특별한 말이 없으면 0.001%wt (단위) ** 산에 용해 가능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의 에지 영역의 r-값인 r-에지와 스트립의 중심 영역의 r-값인 r-중심 사이의 차이가 0.2 단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립의 에지 영역의 항복점인 Rp-에지와 스트립의 중심 영역의 항복점인 Rp-중심 사이의 차이가 20N/mm2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평균 r-값이 1.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포장용 강으로부터 어닐링된 강 스트립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 마무리압연 온도에서의 마무리압연 및 권취온도에서의 권취를 포함하는 열간압연;
    - 산세;
    - 냉간압연;
    - 어닐링 또는 연속 어닐링하거나 추가로 냉간압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마무리압연 온도는 Ar3-10℃ 보다 높게 선택되고 권취온도는 700℃ 보다 낮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압연 온도는 825℃ 보다 높게 선택되고, 권취온도는 690℃ 보다 낮게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마무리압연 온도는 900 ±30℃로 선택되고, 권취온도는 670℃ ±20℃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10.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닐링전 전체 냉간 압하율이 8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닐링 후 추가로 냉간압연이 5% 초과의 압하율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어닐링 후 추가로 냉간압연이 10-20%의 압하율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13.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포장용 강, 또는 제 7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얻은 포장용 강 스트립을 연신, 디프-드로잉 및 드로잉과 월-아이어닝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또는 포장용 강 스트립 사용방법.
  14. 스트립 또는 시이트의 일면 또는 양쪽면에 Sn, Cr, 래커, 유기 코팅, 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코팅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코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또는 제 7 항 내지 제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얻은 포장용 강.
  15.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제 14 항에 따른 강, 또는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 또는 사용방법에 의해 얻은 강으로부터 만들어지며, 연신되고, 디프-드로잉 또는 드로잉 및 월-아이어닝 가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재 제품.
  16. 제 1 항에 있어서,
    하기의 조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원소 최소* (0.001wt%) 최대* (0.001wt%) C Mn P S Si N ppm Al** B ppm Cu Sn Cr Ni Mo 10140 158 ppm 4020020103025 ppm3525 ppm4010404010 * 0.001wt%(단위)** 산에 용해 가능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에지 영역의 r-값인 r-에지와 스트립의 중심 영역의 r-값인 r-중심 사이의 차이가 0.1 단위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후 0.6% 이상의 압하율로 냉간압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KR10-1999-7001012A 1996-08-08 1997-08-08 포장용 강,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포장용 강 또는 강 스트립 사용방법, 및 포장용 강으로 제조된 포장용 강재 제품 KR1004937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3762A NL1003762C2 (nl) 1996-08-08 1996-08-08 Staalsoort, staalband e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daarvan.
NL1003762 1996-08-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850A KR20000029850A (ko) 2000-05-25
KR100493780B1 true KR100493780B1 (ko) 2005-06-08

Family

ID=19763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012A KR100493780B1 (ko) 1996-08-08 1997-08-08 포장용 강,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포장용 강 또는 강 스트립 사용방법, 및 포장용 강으로 제조된 포장용 강재 제품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EP (1) EP0917594B1 (ko)
KR (1) KR100493780B1 (ko)
CN (1) CN1077145C (ko)
AT (1) ATE197820T1 (ko)
AU (1) AU712399B2 (ko)
DE (1) DE69703623T2 (ko)
DK (1) DK0917594T3 (ko)
ES (1) ES2152702T3 (ko)
GR (1) GR3035459T3 (ko)
NL (1) NL1003762C2 (ko)
PT (1) PT917594E (ko)
WO (1) WO1998006881A1 (ko)
ZA (1) ZA9771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8888A (ja) * 1998-11-25 2000-06-13 Okamoto Ind Inc マット
DE10117118C1 (de) * 2001-04-06 2002-07-11 Thyssenkrupp Stahl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ut umformfähigem Feinstblech und Verwendung eines Stahls
JP5812048B2 (ja) 2013-07-09 2015-11-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焼入れ性および加工性に優れる高炭素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190202B1 (en) 2013-07-09 2022-03-30 JFE Steel Corporation High-carbon hot-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900712B2 (ja) * 2014-03-28 2016-04-06 Jfeスチール株式会社 缶用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8173A (en) * 1972-04-03 1976-10-26 Nippon Steel Corporation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method thereof
EP0592267A1 (fr) * 1992-10-05 1994-04-13 Sollac Acier pour emballage à ouverture par rupture d'une ligne de moindre résistanc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44486B2 (ko) * 1971-09-30 1976-11-29
FR2179008B1 (ko) * 1972-04-03 1975-12-26 Nippon Steel Corp
US4348229A (en) * 1980-08-22 1982-09-07 Nippon Steel Corporation Enamelling steel sheet
EP0612857B1 (en) * 1992-09-14 1999-07-28 Nippon Steel Corporation Ferrite single phase cold rolled steel sheet or fused zinc plated steel sheet for cold non-ageing deep draw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8173A (en) * 1972-04-03 1976-10-26 Nippon Steel Corporation Cold 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method thereof
EP0592267A1 (fr) * 1992-10-05 1994-04-13 Sollac Acier pour emballage à ouverture par rupture d'une ligne de moindre résist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917594T3 (da) 2001-03-26
ATE197820T1 (de) 2000-12-15
WO1998006881A1 (en) 1998-02-19
DE69703623D1 (de) 2001-01-04
ES2152702T3 (es) 2001-02-01
GR3035459T3 (en) 2001-05-31
KR20000029850A (ko) 2000-05-25
ZA977108B (en) 1998-03-03
AU712399B2 (en) 1999-11-04
EP0917594B1 (en) 2000-11-29
CN1230231A (zh) 1999-09-29
EP0917594A1 (en) 1999-05-26
CN1077145C (zh) 2002-01-02
NL1003762C2 (nl) 1998-03-04
PT917594E (pt) 2001-05-31
AU4379797A (en) 1998-03-06
DE69703623T2 (de) 200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9306A (en) Method for making a steel sheet suitable as a material for can making
CN106086643A (zh) 一种高强高延伸率的镀锡原板及其二次冷轧方法
KR900004405B1 (ko) 스트레쳐 스트레인(Stretcher strain)을 발생시키지 않는 표면처리용 모재 강판의 제조방법
JPS58144430A (ja) プレス成形性にすぐれた冷延鋼板の製造方法
EP0816524B1 (en) Steel sheet for excellent panel appearance and dent resistance after forming
EP0612857B1 (en) Ferrite single phase cold rolled steel sheet or fused zinc plated steel sheet for cold non-ageing deep drawi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6334910B1 (en) Resin-coated steel sheet suitable for use in thin-walled deep-drawn ironed can and steel sheet therefor
KR100493780B1 (ko) 포장용 강, 포장용 강 스트립 제조방법, 포장용 강 또는 강 스트립 사용방법, 및 포장용 강으로 제조된 포장용 강재 제품
CA2060044C (en) Method for making a steel sheet useful in making a high strength drawn and ironed can
JPS5938336A (ja) 降伏強度が高く、絞り加工性に優れた缶用極薄鋼板の製造方法
US5704997A (en) Process for preparing a steel strip and novel steel strip
JP3996754B2 (ja) イヤリング性の極めて優れた絞り缶用鋼板
JP2002088446A (ja) 異方性の優れた電池外筒成形用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349155B1 (ko) 시효특성 및 가공성이 우수한 표면처리 도금원판의 제조방법
KR20030035697A (ko) 시효성, 내부식성 및 내꺽임성이 우수한 고강도 주석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H03150316A (ja) 深絞り用冷延鋼板の製造方法
KR100711360B1 (ko) 프레스 가공성이 우수한 심가공용 고강도 냉연강판의제조방법
KR20090068906A (ko) 주석 도금 원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368255B1 (ko) 평면이방성이적은석도강판용냉연강판의제조방법
KR100946132B1 (ko) 주석도금 원판의 제조방법
KR100369233B1 (ko) 내압강도가 우수한 2피스 캔용 강판의 제조방법
JPS6280250A (ja) 耐リジング性に優れる加工用温間圧延薄鋼板とその製造方法
KR20030050704A (ko) 드로잉성 및 장출 성형성이 향상되는 극저탄소강과 이를이용한 고강도 냉연 또는 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JPS6280252A (ja) 耐リジング性に優れる加工用温間圧延薄鋼板の製造方法
JPS631021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