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741B1 -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 Google Patents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741B1
KR100492741B1 KR10-1998-0063409A KR19980063409A KR100492741B1 KR 100492741 B1 KR100492741 B1 KR 100492741B1 KR 19980063409 A KR19980063409 A KR 19980063409A KR 100492741 B1 KR100492741 B1 KR 100492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support body
spring
blocking function
railway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6693A (ko
Inventor
임채학
김원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로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로템
Priority to KR10-1998-0063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741B1/ko
Publication of KR20000046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7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25/00Window arrangements peculiar to rail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지지수단과 배수수단 및 개폐수단을 구비하고서 차체의 프레임(2)에 형성되는 포켓(5)의 하부면에 상기 지지수단을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측창(1)을 내리면 측창의 하단부에 눌려져 스프링(17)이 압축되면서 개폐수단이 개방되어 상기 포켓(5)내로 유입되는 물이 배수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한편, 상기 측창(1)을 올리면 스프링(17)의 탄발력에 의하여 개폐수단이 폐쇄되어 차량 하부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이 운전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되어 있어, 포켓으로 유입된 물의 배수기능을 함과 동시에, 운전실로의 소음전달로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키도록 되어 있어, 배수파이프로 인하여 운전실내의 소음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본 발명은 철도차량에 설치되는 배수밸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실에 설치되는 측창을 통해 포켓에 고여지게 되는 물을 간단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 바닥면을 통해 전달되는 소음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된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도차량의 운전실에 설치되는 측창은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창문을 승강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우천시 운전자가 창문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장시간 운전을 하거나 차량기지에서 차량을 물세척하는 경우 프레임에 형성된 창문을 내리기 위한 공간(창포켓으로 불리움)으로 빗물이나 세척수들이 고이게 되어 이를 배수시켜야 하는 바, 이를 위해 종래에는 포켓 바닥면에 파이프형상의 배수관을 설치하여 이 배수관을 통해 흘러든 물이 그대로 빠져나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배수관은 대개 차량의 바닥 아래까지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이 배수관을 통해 운전시 발생되는 트랙과의 마찰음이나 기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기계음이 운전실내로 전달되기 때문에 실내의 소음을 증가시키게 되는 하나의 요인 이 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배수기능을 함과 동시에 차량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각종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킴으로써 운전실내의 소음저감에 기여하도록 된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수단과 배수수단 및 개폐수단을 구비하고서 차체의 프레임에 형성되는 포켓의 하부면에 상기 지지수단을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상기 측창을 내리면 측창의 하단부에 눌려져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개폐수단이 개방되어 상기 포켓내로 유입되는 물이 배수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한편, 상기 측창을 올리면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하여 개폐수단이 폐쇄되어, 차량 하부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이 운전실내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창(1)이 설치되는 프레임(2)의 하부면(3)에 지지수단과 배수수단 및 개폐수단을 구비한 배수밸브(4)가 지지수단을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측창(1)을 내릴 때 측창의 하단부에 의해 개폐수단이 개방됨으로써 측창(1)의 이동공간인 포켓(5)내로 유입된 물이 배수수단을 통해 외부로 쉽게 배출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측창(1)을 올리게 되면 탄성력에 의하여 개폐수단이 폐쇄되어 차량의 하부면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이 운전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수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부에 관통공(6)이 형성된 원형의 상부지지몸체(7)와, 아래쪽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면서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고정부(8)를 구비한 하부지지몸체(9) 및, 이들 상부지지몸체(7)와 하부지지몸체(9)를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된 와이어메쉬(A)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와이어메쉬(A)는 상기 상부지지몸체(7)의 외주면에 탄력적으로 끼워지는 고정밴드(B)를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고정되어 상기 상부지지몸체(7)와 하부지지몸체(8)의 외주면상에 둘러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몸체고정부(8)를 포켓(5)의 하단부에 형성된 설치구멍(도시되지 않음)에 끼운다음 체결너트(10)를 매개로 고정시킴으로써 배수밸브(4)가 수직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수수단은 상부지지몸체(7)와 하부지지몸체(9)사이에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 1배수통로(11)와, 이 제 1배수통로(11)와 연통되면서 상기 하부지지몸체(7)와 몸체고정부(8)가 연장되는 부위에 상기 제 1배수통로(11)와 마찬가지로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 2배수통로(12) 및, 상기 몸체고정부(8)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2배수통로(11,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소정부위에 시이트부(13)가 형성된 배수출구(14)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개폐수단은 상부지지몸체(7)에 형성된 관통공(6)에 끼워지되 그 길이가 상기 시이트부(13)를 지나 배수출구(14)의 선단에 이를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 동작로드(15)와, 이 동작로드(15)의 상부선단에 부착된 누름플레이트(16), 하부선단에 부착된 고무패드(17) 및, 상기 동작로드(15)의 외주면상 즉, 누름플레이트(16)와 상부지지몸체(7)의 상부면사이에 끼워진 스프링(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는 본 발명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밸브(4)는 측창의 포켓(4)하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측창(1)의 하단면에 의해 개폐수단이 눌려지면 밸브(4)가 개방되어 포켓(4)내로 유입되는 물이 제 2배수통로(12) 또는 제 1,2배수통로(11,12)전체를 통해 동시에 배수되게 되고, 상기 측창(1)을 닫으면 스프링(18)의 탄발력에 의해 고무패드(17)가 시이트부(13)를 탄력적으로 눌러주게 됨에 따라, 배수기능이 정지됨과 동시에 차량하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운전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아주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창(1)이 내려지면 측창의 하단부가 누름플레이트(16)를 화살표방향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에 따라 동작로드(15)가 수직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스프링(18)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고무패드(17)가 시이트부(13)으로 부터 떨어져 배수출구(14)가 개방되게 되므로, 상기 제 2배수통로(12) 또는 제 1,2배수통로(11,12)전체를 통해 유입된 물이 배수출구(14)를 경유하여 차량바닥으로 빠져나가게 되는 바, 이때 상기 제 1배수통로(11)가 제 2배수통로(12)보다 큰 구경으로 이루어져 있기 유입된 물이 많을 때에는 제 1,2배수통로(11,12)로 동시에 빠져나가게 되는 한편, 유입되는 물이 소량인 경우에는 제 2배수통로(12)를 통해서만 빠져나가게 된다.
한편, 상기 측창(4)을 닫게 되면 동작로드(15)가 다시 원위치 되면서 고무패드(17)가 시이트부(13)와 밀착되므로 차량바닥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배수출구(14)를 통해 운전실내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되게 되는 바, 즉, 측창(4)을 닫으면 상기 스프링(18)자체의 탄발력을 매개로 동작로드(15)가 밀려올라가게 되고 스프링(18)의 탄발력에 상당하는 압력으로 고무패드(17)가 시이트부(13)에 밀착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동작로드(15)는 스프링(18)의 장력 즉, 스프링상수를 적절하게 조절함으로써 동작로드(15)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장기간 반복적인 사용에 의하여 스프링(18)의 장력이 변화되면 이를 다시 세것으로 교환해줌으로써 완벽한 일폐기능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되고, 또 조립상의 오차 및 측창의 크기변동시에도 이에 맞추어 동작로드(15)의 이동거리를 적절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개폐수단을 선택적으로 개방 및 폐쇄시키면서 포켓으로 유입된 물의 배수기능을 함과 동시에, 운전실로의 소음전달로를 효과적으로 차단시키도록 되어 있어, 배수파이프로 인하여 운전실내의 소음이 증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잇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수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수밸브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반단면도이다.
1 --- 측창, 2 --- 프레임,
3 --- 하부면, 4 --- 배수밸브,
5 --- 포켓, 6 --- 관통공,
7 --- 상부지지몸체, 8 --- 몸체고정부,
9 --- 하부지지몸체, 10 --- 체결너트,
11 --- 제 1배수통로, 12 --- 제 2배수통로,
13 --- 시이트부, 14 --- 배수출구,
15 --- 동작로드, 16 --- 누름플레이트,
17 --- 고무패드, 18 --- 스프링,

Claims (7)

  1. 지지수단과 배수수단 및 개폐수단을 구비하고서 차체의 프레임(2)에 형성되는 포켓(5)의 하부면에 지지수단을 매개로 수직방향으로 고정설치되어, 측창(1)을 내리면 상기 측창의 하단부에 눌려져 스프링(18)이 압축되면서 상기 개폐수단이 개방되어 상기 포켓(5)내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스프링(18) 아래쪽에 위치한 배수출구(14)를 통해 배출되는 한편, 상기 측창(1)을 올리면 상기 스프링(18)의 탄발력에 의하여 상기 개폐수단이 폐쇄되어 차량 하부에서 발생되는 각종 소음이 운전실내로 전달되는 것을 막아주도록 된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이 중심부에 관통공(6)이 형성된 원형의 상부지지몸체(7)와, 아래쪽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형성되면서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고정부(8)를 구비한 하부지지몸체(9) 및, 이들 상부지지몸체(7)와 하부지지몸체(9)를 소정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설치된 와이어메쉬(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이 상부지지몸체(7)와 하부지지몸체(9)사이에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 1배수통로(11)와, 이 제 1배수통로(11)와 연통되면서 상기 하부지지몸체(7)와 몸체고정부(8)가 연장되는 부위에 중심축에 대해 방사상으로 형성된 제 2배수통로(12) 및, 상기 몸체고정부(8)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 1,2배수통로(11,1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면서 소정부위에 시이트부(13)가 형성된 배수출구(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은 시이트부(13)를 지나 배수출구(14)의 선단에 이를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지면서 하부지지몸체(7)에 형성된 관통공(6)에 수평방향으로 끼워진 동작로드(15)와, 이 동작로드(15)의 상부선단에 고정된 누름플레이트(16), 하부선단에 부착된 고무패드(17) 및, 상기 누름플레이트(16)와 상부지지몸체(7)의 상부면사이에 끼워진 스프링(18)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기 제 1배수통로(11)가 제 2배수통로(12)보다 상대적으로 큰 구경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메쉬(A)가 상부지지몸체(7)와 하부지지몸체(9)의 외주면에 둘러진 상태로 설치되어, 제 1배수통로(11)와 제 2배수통로(12)로 유입된 물이 와이어메쉬를 경유하여 배출출구(14)로 빠져나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17)의 장력으로 동작로드(15)의 행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KR10-1998-0063409A 1998-12-31 1998-12-31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KR100492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409A KR100492741B1 (ko) 1998-12-31 1998-12-31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409A KR100492741B1 (ko) 1998-12-31 1998-12-31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693A KR20000046693A (ko) 2000-07-25
KR100492741B1 true KR100492741B1 (ko) 2005-10-26

Family

ID=19569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409A KR100492741B1 (ko) 1998-12-31 1998-12-31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52403B1 (de) 2018-03-20 2022-03-02 Siemens Mobility GmbH Entwässerungsvorrichtung für ein fenster
CN108583601B (zh) * 2018-06-28 2023-09-12 株洲联诚集团控股股份有限公司 一种机车电动侧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949Y1 (ko) * 1987-05-13 1991-02-13 정우송 버스 자동 안내 방송기구의 제어장치
JPH03193553A (ja) * 1989-12-25 1991-08-23 Kawasaki Heavy Ind Ltd 落とし窓装置
JPH08192742A (ja) * 1994-09-09 1996-07-30 Hagenuk Fahrzeugklima Gmbh 高速列車用圧力防護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H09226372A (ja) * 1996-02-29 1997-09-02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車両用ドアの気密装置
KR980007795U (ko) * 1998-02-28 1998-04-30 정진복 소음장치<소음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0949Y1 (ko) * 1987-05-13 1991-02-13 정우송 버스 자동 안내 방송기구의 제어장치
JPH03193553A (ja) * 1989-12-25 1991-08-23 Kawasaki Heavy Ind Ltd 落とし窓装置
JPH08192742A (ja) * 1994-09-09 1996-07-30 Hagenuk Fahrzeugklima Gmbh 高速列車用圧力防護システム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H09226372A (ja) * 1996-02-29 1997-09-02 Nippon Sharyo Seizo Kaisha Ltd 車両用ドアの気密装置
KR980007795U (ko) * 1998-02-28 1998-04-30 정진복 소음장치<소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693A (ko) 2000-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4204B1 (ko) 배수구 악취 방지 및 이물질 유입 방지 장치
KR100492741B1 (ko) 소음차단기능을 갖춘 철도차량의 배수밸브
DE502005004503D1 (de) Hubvorrichtung für das Dach eines Nutzfahrzeugaufbaus
KR200242636Y1 (ko) 리프트 슬라이딩 창문의 배수 구조
EP1149978A1 (en) Door assembly and method for covering the edge of a door opening
KR200214049Y1 (ko) 차량의 트렁크내 물유입방지장치
US5167257A (en) Exhaust directing valve mechanism for a vehicle
JPS63101180A (ja) 車体パネルの排水構造
US11912109B2 (en) Flush glass apparatus
KR100931214B1 (ko) 차량 도어의 배수장치
KR200208400Y1 (ko) 자동차의 선루프 하우징 구조
KR200276842Y1 (ko) 미서기 창호용 방음부재
KR200193972Y1 (ko) 세면기용 자동폽업장치
KR013959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배수구조
JP2001020265A (ja) 扉体のストッパー
KR200153382Y1 (ko) 차량용 윈도우 글래스 레귤레이터의 스톱퍼 장착구조
KR200268398Y1 (ko) 배수로용 그릴 덮개
CN116837945A (zh) 弹跳式下水器及水槽
JP531117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における排水構造
KR0115887Y1 (ko) 자동차용 도어의 배수장치
JPH03292217A (ja) 車両用スライド窓装置
KR19980049876U (ko) 오염물 및 방음 차단구조를 갖춘 선 루프 배수관 연결조인트의 어셈블리
KR20030006076A (ko) 자동차 선 루프 프레임의 드레인 호스 연결용 파이프
KR19980047037A (ko) 후드의 오버슬램 완충장치
KR20030000622A (ko) 자동차용 도어 글래스 그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