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720B1 -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 - Google Patents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720B1
KR100492720B1 KR10-2002-0042407A KR20020042407A KR100492720B1 KR 100492720 B1 KR100492720 B1 KR 100492720B1 KR 20020042407 A KR20020042407 A KR 20020042407A KR 100492720 B1 KR100492720 B1 KR 100492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tential well
photodiode
excess electrons
image sensor
cmo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2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8732A (ko
Inventor
임근혁
장훈
Original Assignee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부아남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2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720B1/ko
Publication of KR20040008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8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7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3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lines or gate-electrodes
    • H01L27/14607Geometry of the photosensitiv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01L27/1461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photosensitive are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MOS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3개의 트랜지스터에서 과잉 전자를 저장하는 N+의 포텐셜 웰을 핀 포토다이오드 영역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만듬으로써, 빛에 의해 핀 포토다이오드에서 만들어진 과잉 전자가 저장될 포텐셜 웰까지 이동할 때 바로 옆에 있는 포텐셜 셀로 이동하기 때문에 거리가 아주 짧아지게 되고 따라서 빛에 의해 생기는 과잉 전자의 재결합에 의한 손실이 적어지게 되기 때문에 핀 포토 다이오드 동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CMOS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은 P형 기판 위에 포토 다이오드를 형성하며, 상기 P형 기판과 포토 다이오드 사이에는 제 1 N+ 포텐셜 웰을 형성하고, 상기 포토 다이오드의 외곽부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제 1 N+ 포텐셜 웰보다 깊게 형성된 제 2 N+ 포텐셜 웰을 형성하여, 빛에 의해 상기 제 1 N+ 포텐셜 웰에서 생성된 과잉 전자가 가까이 있는 제 2 N+ 포텐셜 웰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METHOD OF MAKING PINNED PHOTO DIODE OF CMOS IMAGE SENSOR}
본 발명은 CMOS 이미지 센서(Image Sensor)의 핀 포토 다이오드(pinned photo diode) 형성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추가적인 비용 없이 성능이 향상된 핀 포토 다이오드를 형성할 수 있는 CMOS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도 1은 종래의 3개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포토 다이오드의 레이아웃 도면으로, 빛에 의해 형성된 과잉 전자가 어떤 경로로 이동해 가는지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2는 도 1의 A-A' 선을 절취한 단면도로서, 종래의 방법에 의한 핀 포토 다이오드의 단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핀 포토 다이오드(1)에서 빛에 의해 생성된 과잉 전자가 깊게 형성된 제 2 N+ 포텐셜 웰(7a)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Unit Pixel)는, 도 1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포토다이오드(Photodiode; PD)와 네 개의 NMOS로 구성되며, 네 개의 NMOS는 포토다이오드(PD)에서 집속된 광전하(Photo-generated charge)를 플로팅디퓨젼영역(Floating Diffusion; FD)(미도시)으로 운송하기 위한 트랜스퍼 트랜지스터(Transfer transistor)(미도시), 원하는 값으로 노드의 전위를 세팅하고 전하를 배출하여 플로팅디퓨젼영역(FD)을 리셋(Reset)시키기 위한 리셋트랜지스터(Reset transistor)(6), 소오스팔로워-버퍼증폭기(Source Follower Buffer Amplif ier) 역할을 하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Drive transistor)(3), 스위칭으로 어드레싱(Addressing)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선택 트랜지스터(Select transistor)(2)로 구성된다. 또한, 전원전압 라인(5), 제 1및 제 2N+ 포텐셜 웰(potential well) 영역(7b)(7a)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면부호 4는 콘택을 나타낸다. 여기서 트랜스퍼 트랜지스터 및 리셋트랜지스터(6)는 네이티브 트랜지스터(Native NMOS)를 이용하고 드라이브 트랜지스터(3) 및 선택 트랜지스터(2)는 일반적인 트랜지스터(Normal NMOS)를 이용하며, 리셋 트랜지스터(6)는 CDS(Correlated Double Sampling)를 위한 트랜지스터이다. 상기와 같은 CMOS 이미지센서의 단위화소(Unit Pixel)는 네이티브 트랜지스터(Native Transistor)를 사용하여 포토다이오드영역(1)에서 가시광선파장대역의 광을 감지한 후 감지된 광전하(Photogenerated charge)를 플로우팅디퓨전영역(FD)으로, 즉 드라이브 트랜지스터(3)의 게이트(미도시)로 전달한 양을 출력단(Vout)에서 전기적신호로 출력한다.여기서, 상기 감지된 광전하의 생성 및 저장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 포토 다이오드(도전형은 P형 기판인 경우 P형에 해당됨)는 화소 영역에 빛을 받으면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과잉 전자(e)가 생성되고, 이 과잉 전자(e)는  제 1N+포텐셜 웰(7b) 을 거쳐 제 2N+포텐셜 웰(7a) 에 저장된다. 즉,  3 개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핀 포토다이오드에서는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제 1포텐셜 웰(7b)보다 더 깊은 제 2포텐셜 웰(7a)을 리셋 트랜지스터 바로 옆에 만들어 놓아서 과잉 전자가 생성되는 곳으로 안정(stable)한 상태로 가려고 하는 전자의 성질을 이용하며,  이와 같이 더 깊은 제 2N+포텐셜 웰(7a)에 저장했다가 콘택을 이용해 선택 트랜지스터(2)의 게이트로 전달한다. 이때, 전자를 끌어 당겨 저장하게 되는 포텐셜 웰(potential well)은 포토 다이오드 영역 한쪽에 형성시키며, 빛에 의해 생성된 전자가 생성된 위치에서 드라이브 트랜지스터를 통해 끌려 가는 포텐셜 웰까지 거리가 멀기 때문에 이동하는 과정에 재결합(recombination) 될 가능성이 높아 트랜지스터의 동작 특성이 상당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소자의 동작 특성에도 안 좋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러면, 이러한 문제점들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서, 종래의 포토 다이오드는 P형 기판(8)과 포토 다이오드 영역(1) 사이에 N형 불순물 영역인 제 1 N+ 포텐셜 웰(potential well) 영역(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P형 기판(8)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포토 다이오드 영역(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리셋 트랜지스터(6)가 형성된 쪽의 P형 기판(8) 위에 상기 제 1 N+ 포텐셜 웰(7b)보다 깊은 제 2 N+ 포텐셜 웰(potential well)(7a)이 형성되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와 같이, 종래에 사용하고 있는 핀 포토 다이오드(pinned photo diode)는 화소 영역에 빛을 받으면 포토 다이오드 영역에 과잉 전자(e)가 생성되고, 이 과잉 전자(e)는 또다른 포텐셜 웰(제 1 및 제 2N+ 포텐셜 웰(7b)(7a))에 저장된다. 즉, 3 개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핀 포토다이오드에서는 포토 다이오드 영역의 제 1포텐셜 웰(7b)보다 더 깊은 제 2포텐셜 웰(7a)을 리셋 트랜지스터 바로 옆에 만들어 놓아서 과잉 전자가 생성되는 곳으로 안정(stable)한 상태로 가려고 하는 전자의 성질을 이용하며, 이와 같이 더 깊은 제 2N+포텐셜 웰(7a)에 저장했다가 콘택을 이용해 흘려보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그러나, 이 깊은 포텐셜 웰을 핀 포토다이오드 한쪽 모서리에 위치한 리셋 트랜지스터 옆에 만들어 놓았기 때문에 핀 포토다이오드에서 빛에 의해 만들어진 과잉 전자들이 저장될 포텐셜 웰까지 이동하는 과정에서 재결합 될 가능성이 상당히 높은 단점이 있었다. 이것은 포토다이오드의 포토 커런트(photo current)가 줄어들어 트랜지스터의 동작 특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어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3개의 트랜지스터에서 과잉 전자를 저장하는 제 2N+의 포텐셜 웰을 핀 포토다이오드 영역의 외곽부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만듬으로써, 빛에 의해 핀 포토다이오드에서 만들어진 과잉 전자가 저장될 포텐셜 웰까지의 평균 이동거리를 최소화시켜 핀 포토 다이오드 동작을 향상시킬 수 있는 CMOS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CMOS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은, P형 기판에 핀 포토 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P형 기판과 상기 핀 포토 다이오드 사이에 제 1 N+ 포텐셜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N+ 포텐셜 웰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N+ 포텐셜 웰 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상기 핀 포토 다이오드의 외곽부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 2 N+ 포텐셜 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빛에 의해 상기 제 1 N+ 포텐셜 웰에서 생성된 과잉 전자가 상기 제 2 N+ 포텐셜 웰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그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3개의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포토 다이오드의 레이아웃 도면으로, 빛에 의해 형성된 과잉 전자가 어떤 경로로 이동해 가는지를 나타내고 있다.또한, 도 4는 도 3의 B-B' 선을 절취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한 핀 포토 다이오드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은,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P형 기판(18)에 P형 불순물층인 핀 포토 다이오드(11)를 형성한다.이어, P형 기판(18)과 상기 핀 포토 다이오드(11) 사이에 제 1 N+ 포텐셜 웰(17a)을 형성한다.
그런다음, 상기 기판의 핀 포토 다이오드의 양측 외곽부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하되, 제 1 N+ 포텐셜 웰(17a)과 연결되어 제 1 N+ 포텐셜 웰(17a)의 깊이보다도 깊게 제 2 N+ 포텐셜 웰(17b)을 형성한다. 따라서, 빛에 의해 제 1 N+ 포텐셜 웰(17a)에서 생성된 과잉 전자(ⓔ로 표시됨)(excess electron)가 제 2 N+ 포텐셜 웰(17b)로 이동하게 되며, 기존의 경우에 비해 과잉 전자(e)의 평균 이동거리가 훨씬 짧아져 과잉 전자들끼리 재결합할 확률은 훨씬 줄어들게 된다.즉, 본 발명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잉 전자(excess electron)를 저장하는 제 2N+ 포텐셜 웰 영역(17b)은 핀 포토 다이오드(11)의 외곽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N+ 포텐셜 웰 영역(17b)의 전위에 의해 제 2N+ 포텐셜 웰 영역(17b)과 연결된 드라이브 트랜지스터(13)가 동작되며, 콘택(14)을 통해 전원전압라인(15)의 전원전압을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CMOS 이미지센서는, 공지의 것과 마찬가지로, 도 3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P형기판(18)의 단위화소 내에 1개의 P형 핀 포토 다이오드(11)와 4개의 NMOS트랜지스터로 구성되며, 상기 4개의 트랜지스터는 트랜스퍼게이트(미도시), 리셋게이트(16), 드라이브게이트(13), 및 셀렉트게이트(13)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전압 라인(15)에는 선택 트랜지스터(12)와 리셋 트랜지스터(16)가 연결되어 있다.상술한 바와 같이, 발명에서는 P형 기판(18)과 포토 다이오드 (11) 사이에 N형 불순물 영역인 제 1 N+ 포텐셜 웰(potential well) 영역(17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토 다이오드(11)의 외곽에 해당되는 P형 기판(18) 에는 상기 제 1 N+ 포텐셜 웰(17a)보다 깊게 제 2 N+ 포텐셜 웰(potential well)(17b)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빛에 의해 상기 제 1 N+ 포텐셜 웰(17a)에서 생성된 과잉 전자(e)가 가까이 있는 제 2 N+ 포텐셜 웰(17b)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따라서, 종래의 경우(도 2)보다 과잉 전자(e)의 평균 이동거리가 훨씬 짧기 때문에 이들 과잉 전자가 재결합 할 확률은 훨씬 줄어들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빛에 의해 생기는 과잉 전자의 재결합에 의한 손실이 적어지게 되고 핀 포토 다이오드 동작을 향상시킬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CMOS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은, 3개의 트랜지스터에서 과잉 전자를 저장하는 제 1N+ 포텐셜 웰을 핀 포토 다이오드 주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 2N+ 포텐셜 웰을 형성함으로써, 빛에 의해 핀 포토 다이오드에서 만들어진 과잉 전자(e)가 저장될 제 1포텐셜 웰까지 이동할 때 바로 옆에 있는 제 2포텐셜 웰로 이동하기 때문에 거리가 아주 짧아지게 된다. 이로써 과잉전자들 끼리의 재결합 확률이 훨씬 줄어들게 된다. 그러므로, 빛에 의해 생기는 과잉 전자의 재결합에 의한 손실이 적어지게 되고 핀 포토 다이오드 동작을 향상시킬 수 있다.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레이아웃 도면
도 2는 도 1의 A-A' 선을 절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레이아웃 도면
도 4는 도 3의 B-B' 선을 절취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포토 다이오드 12 : 선택 트랜지스터
13 : 드라이브 트랜지스터 14 : 콘택
15 : 전원전압 라인 16 : 리셋 트랜지스터
17a : 제 1 N+ 포텐셜 웰 영역 17b : 제 2 N+ 포텐셜 웰 영역
18 : P형 기판

Claims (1)

  1. P형 기판에 핀 포토 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P형 기판과 상기 핀 포토 다이오드 사이에 제 1 N+ 포텐셜 웰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N+ 포텐셜 웰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N+ 포텐셜 웰 보다 깊게 형성되며, 상기 기판의 상기 핀 포토 다이오드의 외곽부위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된 제 2 N+ 포텐셜 웰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핀 포토 다이오드에서 빛에 의해 상기 제 1 N+ 포텐셜 웰에서 생성된 과잉 전자가 상기 제 2 N+ 포텐셜 웰로 이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MOS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
KR10-2002-0042407A 2002-07-19 2002-07-19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 KR100492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407A KR100492720B1 (ko) 2002-07-19 2002-07-19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2407A KR100492720B1 (ko) 2002-07-19 2002-07-19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732A KR20040008732A (ko) 2004-01-31
KR100492720B1 true KR100492720B1 (ko) 2005-06-07

Family

ID=3731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2407A KR100492720B1 (ko) 2002-07-19 2002-07-19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891B1 (ko) 2005-10-04 2007-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4467A (ko) * 1992-05-12 1993-12-22 오오가 노리오 증폭형 고체 촬상장치
KR20000034227A (ko) * 1998-11-28 2000-06-15 김영환 고체 촬상 소자의 제조방법
KR20000041451A (ko) * 1998-12-22 2000-07-15 김영환 개선된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KR20010061353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45165A (ko) * 2000-12-08 2002-06-19 박종섭 전자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및 그제조 방법
KR20020049860A (ko) * 2000-12-20 2002-06-26 박용 씨모스 이미지 센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24467A (ko) * 1992-05-12 1993-12-22 오오가 노리오 증폭형 고체 촬상장치
KR20000034227A (ko) * 1998-11-28 2000-06-15 김영환 고체 촬상 소자의 제조방법
KR20000041451A (ko) * 1998-12-22 2000-07-15 김영환 개선된 이미지센서 제조방법
KR20010061353A (ko) * 1999-12-28 2001-07-07 박종섭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45165A (ko) * 2000-12-08 2002-06-19 박종섭 전자운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및 그제조 방법
KR20020049860A (ko) * 2000-12-20 2002-06-26 박용 씨모스 이미지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8732A (ko) 200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672B1 (ko) 다중 플로팅디퓨젼영역을 구비하는 씨모스 이미지센서
KR100541320B1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다이오드 및 그 형성 방법
KR100381026B1 (ko) 펀치전압과 포토다이오드의 집전양을 증가시킬 수 있는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EP2752877B1 (en) Unit pixel and light receiving element for image sensor
JP4445390B2 (ja) 低暗電流ホトダイオードを具える画素センサ
CN103930993A (zh) 图像传感器的单位像素及其光电探测器
KR100761824B1 (ko)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 방법
JP2003142675A (ja) Cmosイメージセンサ
KR20040071841A (ko) 넓은 동작 범위를 갖는 광 화상 수신용 디바이스
CN111710688A (zh) 一种探测器像素单元、图像传感器和探测方法
US6410901B1 (en) Image sensor having blooming effect preventing circuitry
JP2004253670A (ja) 固体撮像装置
WO2022070655A1 (ja) フォトディテクタ、フォトディテクタアレイおよび駆動方法
KR20080023774A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포토 다이오드
KR100492720B1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의 핀 포토 다이오드 형성 방법
US11411042B2 (en) Image sensor with variant gate dielectric layers
KR100523233B1 (ko)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센싱 방법
KR100521968B1 (ko) 씨모스 이미지센서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93295A (ko) 시모스 이미지센서의 포토다이오드의 제조방법
KR20070073207A (ko) CMOS이미지 센서에 있어부스팅(Boosting)회로를 구비한 APS
JP2005158834A (ja) 光半導体装置
KR100460760B1 (ko) 암전류 특성과 필팩터를 향상시킨 시모스 이미지센서의단위화소
KR100431749B1 (ko) 이미지센서
CN115529429A (zh) 图像感测装置
KR20040092737A (ko) 데드존 특성과 암전류 특성을 향상시킨 이미지센서 및 그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