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2477B1 -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2477B1
KR100492477B1 KR10-2002-0026418A KR20020026418A KR100492477B1 KR 100492477 B1 KR100492477 B1 KR 100492477B1 KR 20020026418 A KR20020026418 A KR 20020026418A KR 100492477 B1 KR100492477 B1 KR 100492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ed resin
pipe wall
wall member
connecting member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6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8312A (ko
Inventor
김홍기
이주형
Original Assignee
이주형
김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김홍기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10-2002-002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2477B1/ko
Publication of KR2003008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2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2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지중에 매설되어 하수관이나 배수관으로 사용되거나 전선보호관으로 사용되는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은, 압출기를 통해 사각단면을 갖는 발포수지 관벽부재를 압출해 내서 관체 성형드럼으로 진입시키는 단계와, 별도의 압출기를 통해서 상기 발포수지 관벽부재의 전체 외표면에 피복접합되는 형상의 합성수지재의 연결용 부재를 압출해 내서 상기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인접하여 드럼측으로 진입되도록 하는 단계와, 이들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연결용 부재가 드럼 외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대향면에 대하여 압착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두 부재간의 인접하는 대향면이 관체 성형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권회이송중에 서로 연결접착되어 발포수지 관벽부재가 연결용 부재에 둘러싸인 상태로 내,외주면이 평활한 이중벽 구조의 관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사각단면을 갖는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발포수지 관벽부재의 양측면 및 상하면의 전체면을 피폭하는 형상으로 압출되어 나오는 연결용 부재가 성형 드럼의 외주면에 공통으로 진입하여 나선상으로 권회이송되는 과정에서 이들 두 부재간의 접합을 통한 관체의 성형이 이루어짐에 따라 관체 성형공정의 단순화 및 관체 성형설비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a plastic pipe with double fly wall for underlaying in ground}
본 발명은 주로 지중에 매설되어 하수관이나 배수관으로 사용되거나 전선보호관으로 사용되는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압출기를 통해 사각단면으로 연속적으로 압출되어 나오는 발포수지 관벽부재를 관체 성형장치의 드럼으로 진입시킴과 병행하여 별도의 압출기를 통해서 소정 형상으로 압출되어 나오는 합성수지재의 연결용 부재를 드럼측으로 진입시켜 이들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연결용 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외측면과 상,하면이 서로 연결접착되면서 관체 성형드럼에 안내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발포수지 관벽부재가 연결용 부재에 둘러싸인 상태로 내,외주면이 평활한 이중벽 구조의 관체가 성형되도록 한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매설용 하수관이나 전선관으로는 내주면이 평활하고 외주면에는 나선형 돌조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합성수지 나선관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합성수지 나선관은 재료의 사용량을 증가시켜 관벽의 단면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지 않더라도 외주면에 구비된 나선형 돌조에 하중의 집중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증대된 강도를 나타내게 됨으로써 재료의 사용량을 최소화시킨 가운데 높은 내압강도를 얻을 수 있다는 면에서 최근에 이르기까지 대표적인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합성수지 나선관은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선형 돌조에 의해서 관연결 작업이 어렵고 또한 취급이 불편하다는 점과 나선형 요입부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내압강도를 나타냄에 기인하여 특별히 높은 내압강도가 요구되는 용도에의 적용에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상기 종래 합성수지 나선관에서 지적되고 있는 단점을 감안하여 개발된 새로운 종류의 관체로서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이 알려지고 있다. 이같은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은 중공의 원형 또는 각형의 소형 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압출하여 이를 관체 성형장치의 회전드럼 외주면상에 나선상으로 감아돌리는 과정에서 소형 파이프들 사이에 형성된 간극 내부로 용융 합성수지를 주입해서 이들 소형 파이프들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내,외주면이 평활하면서 관벽에 중공부가 나선상으로 연속된 이중벽 평활관이 얻어지게 되는 것으로, 이러한 이중벽관의 구조는 도1에 도시된 것과 같다.
도1은 종래 중공소형관 나선권회 타입의 이중벽 평활관에 대한 일부절결 정면도로서, 도시된 것과 같이, 종래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1)은 내주면(IS)과 외주면(OS)이 평활한 원통형으로서 그 관벽은 원형의 소형 파이프(2)가 서로 인접하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나선상으로 감겨지고 이들 소형 파이프(2) 사이의 간격부에 I자 빔(3)이 채워져서 전체적으로 이중벽을 이루는 평활관을 구성하고 있다.
상기 종래의 중공 소형관 나선권회 타입의 이중벽관은 내,외주면이 평활한 직관을 이룸에 따라 취급 및 연결작업성이 우수하고, 또한 관벽이 중공부가 연속되어 재료비가 절감되고 중량이 상대적으로 가볍다는 장점을 지님에 따라 지중매설용 하수관이나 배수관 등에 널리 사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 중공 소형관 나선권회 타입의 이중벽관은 상기의 여러 장점을 지니고 있긴 하나, 관벽이 중공부로 이루어져 있음에 기인하여 강한 토압이나 외력이 작용하는 지중에 매설되는 경우에는 요구되는 강도에 미치지 못하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에 따라, 합성수지 이중벽관이 지니고 있는 여러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강도의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시도한 새로운 구조의 관체가 특허 제291951호 및 제311687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 제291951호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전의 중공 소형파이프(21)를 연속적으로 압출해서 관체 성형드럼의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권회하여 인접하는 소형파이프(21) 사이를 연결용 접착수지(22) 등으로 연결접착해 나감으로써 대구경의 이중벽관(23)을 성형하는 과정과 근본적으로 동일한 제조과정을 수행하여 관체를 제작하되, 단지 중공 소형파이프(21)의 압출단계에서 그 소형파이프의 중공부로 발포수지(24)를 충진시켜 소형파이프(21)의 중공부가 발포수지로 채워지도록 한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리고, 상기 특허 제311687호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전의 소형의 중공파이프를 연속적으로 압출해서 성형 드럼의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감아돌려 관체를 성형할 때의 중공 소형관 대신에 원형 단면을 갖는 발포수지 원형단위체(31)를 압출해 내어 이를 관체 성형드럼의 외주면상에 나선상으로 감아돌려 그 발포수지 원형단위체(31) 사이의 간극에 수지주입용 노즐을 통해서 용융수지(32)를 채워넣고 롤러로 압착하여 성형이 이루어지는 내외면이 평활면을 이루는 직관으로서의 합성수지관(33)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발포수지를 관벽 구성부재로 사용한 두 종류의 합성수지 평활관중에서 전자의 중공 소형관 내부에 발포수지를 충진하여 구성된 관체의 경우에는 기존의 이중벽관과 동일한 관벽구조를 유지한 가운데 단지 소형 파이프의 중공부에 발포수지가 충진된 구조를 취함에 따라 종전의 이중벽관에 비해 강도의 보강효과는 충분히 기대되는 면이 있기는 하나, 관체의 제조시 소형 파이프의 압출과 병행하여 그 소형 파이프의 내부에 충진되는 발포수지의 압출을 위해서는 적어도 3대의 압출기를 필요로 하고 그에 따른 부가적인 공정을 필요로 하여 제조공정 및 설비의 복잡화가 초래되며, 또한 합성수지재 소형 파이프의 중공부로 충진되는 발포수지의 주입량 제어 및 발포상태 확인에 어려움이 따른다는 단점이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후자의 발포수지 원형단위체를 이용하여 얻어지는 발포 합성수지 평활관은 상기 소형관 내부에 발포수지가 충진된 이중벽관에 비해서 제조공정면에서 간편하게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긴 하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수지 원형 단위체의 상,하단부가 관체의 상,하 표면상에 나선상으로 노출되어 있어 관체의 각 부위별 강도에 있어 서로 상당한 차이를 드러낼 수 밖에 없고, 그와 같이 노출된 부위를 중심으로 한 용융수지와의 경계부 표면이 평탄면을 이루지 못하여 관체의 외관특성이 떨어짐은 물론 관체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유동성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높다. 이에 더하여, 관체의 내주면으로 드러난 발포수지 원형단위체 부위에서는 그 내부를 흐르는 유체중에 포함된 모래 등의 고형입자와의 마찰에 의해 상대적으로 마모가 급속하게 진행되어 관벽이 서서히 패여지는 현상이 발생됨에 따라 그 패여진 부위에서 유체의 소용돌이가 발생되어 유동성 저하를 피할 수 없으며, 관벽손상에 따르는 사용수명의 단축 역시도 불가피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에서 지적되고 있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압출기를 통해 사각단면을 갖는 발포수지 관벽부재를 압출해 내서 관체 성형장치의 드럼으로 진입시킴과 병행하여 별도의 압출기를 통해서 압출되어 나오는 합성수지재의 연결용 부재를 드럼측으로 진입시켜 이들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연결용 부재가 서로 연결접착되어 발포수지 관벽부재가 연결용 부재에 둘러싸인 상태로 내,외주면이 평활한 이중벽 구조의 관체가 성형되도록 한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 합성수지 나선관 제조장치에 포함되어 있는 압출기 및 성형드럼 등을 그대로 활용하여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특징의 하나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은, 관벽 내부에 발포수지가 나선상으로 충진된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출기를 통해 사각단면을 갖는 발포수지 관벽부재를 압출해 내서 냉각과정을 거친 후 관체 성형드럼으로 진입시키는 단계와,
별도의 압출기를 통해서 상기 발포수지 관벽부재의 전체 외표면에 피복접합되는 형상의 합성수지재의 연결용 부재를 압출해 내서 상기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인접하여 드럼측으로 진입되도록 하는 단계와,
이들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연결용 부재가 드럼 외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대향면에 대하여 압착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두 부재간의 인접하는 대향면이 관체 성형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권회이송중에 서로 연결접착되어 발포수지 관벽부재가 연결용 부재에 둘러싸인 상태로 내,외주면이 평활한 이중벽 구조의 관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발포수지 관벽부재는 통상의 성형 압출기에 합성수지 원료입자와 발포액(또는 발포입자)을 혼합공급하여 용융시킨 후 사각의 압출공을 통해서 압출해 냄에 의해서 형성되고, 이와 같이 압출기를 빠져나온 용융 또는 반용융 상태의 발포수지 관벽부재는 곧바로 관체 성형드럼으로 진입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정확한 형태로의 성형과 냉각을 위해 압출기와 성형드럼 사이의 관벽부재 이송로중에 진공성형장치와 냉각장치를 설치하여 성형드럼측으로의 이송중에 성형 및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성형이 완료되어 성형드럼측으로 진입되는 발포수지 관벽부재의 단면형태는 이후 공정에서 연결용 부재와의 밀착접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네모서리 부위가 직각인 것보다는 원호상의 둥근 모서리를 구비한 상태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발포수지 관벽부재 성형용 압출기와는 별도로 관체 성형드럼의 일외측에는 연결용 부재의 압출을 위한 압출기가 설치되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소정 형상의 연결용 부재를 연속적으로 압출해 내어 관체 성형드럼측으로 진입되도록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용 부재는 관체 성형드럼의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권회되어 이송되는 사각단면의 발포수지 관벽부재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데 일차적인 기능을 갖는 부재로서, 이를 위해 서로 인접 대향하는 발포수지 관벽부재 사이의 틈새에 위치하여 양 관벽부재의 대향면을 연결시키는 수직벽부와, 수직벽부의 상,하단부로부터 수평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발포수지 관벽부재의 상,하 표면부에 접착되는 수평벽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연결용 부재는 단일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두개의 부재가 별도로 압출되어 이후에 서로 융착접합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연결용 부재의 구체적인 형태로는 수직벽부를 중심으로 상단부와 하단부에 수평벽부가 일외측으로 연장형성되되 그 수평벽부 형성방향이 서로 반대인 ""형 또는 ""단면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상,하 수평벽부의 길이는 발포수지 관벽부재의 폭과 동등하거나 그 이상의 길이가 되도록 하여 관체의 성형후 그 상,하면이 연결용 부재의 수평벽부로 이루어진 평탄면이 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리고, 연결용 부재는 두개의 부재가 별도로 압출되어 나와서 성형드럼상에서 나선상으로 권회되는 발포수지 관벽부재의 연결접착 대상면에 순차적으로 접착되어 최종적으로 연결용 부재 상호간 및 연결용 부재와 발포수지 관벽부잭간의 연결접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분할된 연결용 부재는 수직벽부의 상단부 또는 하단부중 어느 일측단부에만이 수평벽부가 대칭적으로 연장되어진 "T"자형 또는 "ㅗ"자형 연결용 부재 본체와 수평벽부가 형성되지 않는 수직벽부의 단부에 접착되는 "ㅡ"형의 평대형 연결용 부재로 이루어진다.
한편, 성형 압출기를 통해서 사각단면 형상으로 압출되어 나오는 반용융 상태의 발포수지 관벽부재는 곧바로 성형 드럼의 외주면으로 진입되도록 할 수도 있겠으나, 그러한 경우에는 반용융 상태로서 자체 형상의 유지가 어려운 관벽부재를 제대로 가이드하기에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송중에 형태의 변형이 초래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압출기와 성형드럼 사이의 발포수지 관벽부재 이동로상에 냉각 및 성형장치를 설치하여 냉각에 냉각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생산공정면에서 유리하다.
냉각 및 성형이 이루어진 상태로 성형 드럼의 외주면으로 연속적으로 진입되는 발포수지 관벽부재는 성형드럼의 초입부측에 구비된 가이드에 안내되어 회전 드럼상에 나선상으로 권회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발포수지 관벽부재의 성형 드럼에의 나선상 권회와 병행하여 별도의 압출기를 통해서 압출되어 나오는 연결용 부재 역시 성형 드럼으로 진입되어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함께 성형 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권회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용 부재와 발포수지 관벽부재는 발포성분의 유무차이를 제외하면 근본적으로 동일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상호간에 어느 정도의 열과 압력이 작용하기만 하면 서로간에 용이하게 융착접합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연결용 부재간의 연결이 모든 접착대상 영역에서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긴밀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연결용부재가 성형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그 접착대상면 전체 영역이 서로 밀착접촉되도록 하여야 할 것인 바, 이는 본 발명의 경우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연결용 부재가 성형드럼에 다다랐을 때 이를 안내하는 가이드의 설치위치와 가이드의 접촉면과 성형드럼의 회전축이 이루는 각도의 조절을 통해서 달성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연결용 부재는 적어도 어느 한 부재의 표면부가 반용융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상기 두 부재의 나선상 이송간에 접착대상면으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서 접합대상면에 별도의 접착용 수지나 접착제를 공급하지 않더라도 접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포수지 관벽부재나 연결용 부재는 적어도 어느 일측 부재의 접합대상면에 대하여 형태적 변형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가열을 행하여 접착대상면을 연화 내지는 반용융 상태로 전환하거나, 압출기를 빠져 나온 연결용 부재의 현열을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본 발명은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도면을 바탕으로 한 설명에 의해서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 제조방법의 수행에 사용되는 관체 제조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전체구조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이중벽관의 제조과정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관벽부재 성형용 압출기(40)를 통해서 발포수지 관벽부재(41)가 사각단면을 띠도록 압출되어 나오게 되고, 이어서 압출되어 나온 반융융 상태 내지 고화전 상태의 발포수지 관벽부재(41)는 싸이징 장치(42)와 냉각장치(43)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네모서리 부위가 둥근 사각형의 단면을 띠도록 성형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냉각되어 고화된 상태로 성형드럼(44)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성형드럼(44)의 외주면측으로 진입된 발포수지 관벽부재(41)는 성형드럼의 초입부상에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45)에 안내되어 회전하는 성형드럼(44)의 외주면에 나선상으로 권회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성형드럼(44)의 일외측에는 상기 관벽부재 성형용 압출기(40)와 별도로 연결용 부재 성형용 압출기(46)가 설치되어 성형드럼(44)측으로 소정 형상의 연결용 부재(47)를 압출해 내어 연속적으로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연결용 부재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자 형상으로서 상기 성형드럼(44)의 외주면으로 진입하여 권회되는 발포수지 관벽부재(41)와 인접한 상태로 성형 드럼측으로 진입하게 된다.
발포수지 관벽부재(41)와 연결용 부재(47)는 성형드럼(44)측으로의 진입초기에는 어느 정도 틈새가 존재하게 되나 이후 나선상으로 권회되어 이송되는 과정에서 점차적으로 그 틈새가 좁아들게 되고 급기야는 서로간의 접착대상면이 서로 밀착되기에 이르고 이에 더하여 부재 상호간을 밀어붙이는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발포수지 관벽부재(41)와 연결용 부재(47)간의 권회이송간 밀착상태로의 전환은 이들 두 부재가 성형드럼에 대하여 진입하는 각도 내지는 이들 부재를 안내하는 가이드의 설치각도 조절 등을 통해서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발포수지 관벽부재(41)나 연결용 부재(47)는 이들 부재 상호간의 접착면에 대한 접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두 부재중에서 어느 일측의 부재에 대하여 성형드럼(44)에의 진입 직전에 접착대상면에 대한 가열을 행하여 그 표면을 연화 내지는 형태의 변형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부분적인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 부재중에서 어느 한 부재만에 대하여 가열을 행하는 경우라면 연결용 부재(47)를 택하여 가열하는 것이 유리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연결용 부재에 대하여 별도의 가열을 행할 필요가 없이 냉각상태 조절을 통해서 압출기(47)를 빠져 나올때 지니고 있는 잠열(현열)을 이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수지 관벽부재(41)의 외측면은 ""자형 연결용 부재(47)의 수직벽부(47a) 양면상에 밀착되어 접합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와 병행하여 발포수지 관벽부재(41)의 상,하면은 연결용 부재의 상,하단부에 수평으로 연장형성된 수평벽부(47b)의 내면과 밀착되어 접착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의 발포수지 관벽부재(41)와 연결용 부재(47) 상호간의 대향 접착면에 대한 밀착접착은 이들 두 부재가 성형드럼(44)의 외주면을 타고 나선형으로 권회되는 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발포수지 관벽부재(41)의 외측면과 연결용 부재(47)의 수직벽부(47a)간 밀착은 이들 두 부재의 나선상 이동간에 작용하는 접착 대향면간의 압착력에 의해서 충분히 이루어지게 되며, 발포수지 관벽부재(41) 상,하면과 연결용 부재(47)의 수평벽부(47b)간의 밀착접합은 상기 수평벽부(47b)의 외표면에 접촉하면서 접착면측으로 압착력을 가하는 압착롤러(48)에 의해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압착롤러(48)는 발포수지 관벽부재(41)의 상,하면과 연결용 부재(47)간의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성형이 완료된 관체의 외주면이 평탄면을 구비하도록 하는 역할을 겸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용 부재(47)의 수평벽부(47b) 길이는 인접하는 연결용 부재의 수평벽부와 단부간에 서로 밀착된 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는 길이가 되도록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수평벽부의 단부면이 경사면을 이루도록 하여 인접하는 경사상 단부면과 겹쳐진 상태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발포수지 관벽부재(41)와 연결용 부재(47)간의 모든 접합대상 부위에서의 접합이 완료되어짐과 동시에 그 내경이 성형드럼(44)의 외경과 일치하는 원통형 직관으로서의 합성수지 이중벽관(49)의 성형이 완료되며, 후속공정으로서 성형이 완료된 관체는 성형 드럼의 내,외측 또는 내측이나 외측중 일측에 설치되어 냉각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된 냉각장치(도면 미도시)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어서 냉각이 완료된 상태의 성형 드럼을 벗어난 관체는 필요길이로의 절단이 이루어짐으로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른 관체의 제작이 완료된다.
도6과 도7은 본 발명의 방법에서 적용되는 연결용 부재의 다른 실시예 구조를 이용하여 관체의 성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들 연결용 부재는 전번 실시예의 단일체로 이루어진 ""자형 연결용 부재에 비해 어느 일측의 수평벽부를 이루는 평대형 연결용 부재(57b)가 일측단부에 수평벽부(57aa)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용 부재 본체(57a)와는 별도로 압출되어 나온 후 성형드럼을 타고 나선상으로 권회이송되는 과정에서 이들 연결용 부재 본체(57a)와 평대형 연결용 부재(57b)간의 연결접합과 병행하여 발포수지 관벽부재(41)의 전체 외주면상에 접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6에 도시된 연결용 부재는 상부 수평벽부를 이루는 평대형 연결용 부재(57b)가 하부 수평벽부와 수직벽부로 이루어진 연결용 부재 본체(57a)와 별도로 압출되어 나오는 형태이고, 도7의 연결용 부재는 하부 수평벽부를 이루는 평대형 연결용 부재(57a)가 상부 수평벽부와 수직벽부로 이루어진 연결용 부재 본체(57b)와 별도로 압출되어 나오는 구조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벽 내부에 발포수지가 충진된 구조의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을 제조함에 있어서, 사각단면을 갖는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발포수지 관벽부재의 양측면 및 상하면의 전체면을 피폭하는 형상으로 압출되어 나오는 연결용 부재가 성형 드럼의 외주면에 공통으로 진입하여 나선상으로 권회이송되는 과정에서 이들 두 부재간의 접합을 통한 관체의 성형이 이루어짐에 따라 관체 성형공정의 단순화 및 관체 성형설비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서 성형이 완료된 합성수지 이중벽관은 사각의 발포수지 관벽부재 상,하면이 평대형의 띠형상을 취하는 연결용 부재의 수평벽부에 의해서 완전하게 피복접착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국부적인 강도의 차이를 보이는 영역이 없이 전 영역에서 균일한 강도를 나타냄과 아울러 관체의 내주면은 물론 외표면이 평활한 평탄면을 구비하여 관체 내부를 흐르는 유체에 대한 저항성이 최소화되는 한편 미려한 외표면을 나타내어 관체의 품질특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도1는 종래 중공 소형관 나선권회 타입의 합성수지 이중벽관에 대한 일부절결 정면도.
도2는 합성수지 피복 발포수지 나선권회 타입의 합성수지 이중벽관에 대한 일부절결 정면도.
도3은 원형 단면의 발포수지 나선권회 타입의 합성수지 이중벽관에 대한 일부절결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방법에 수행에 사용되는 합성수지 이중벽관 제조장치의 개략구조도.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방법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6 및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방법에 따른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과정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46 .압출기
41. 발포수지 관벽부재
42. 싸이징 장치
43. 냉각장치
44. 성형드럼
45. 가이드
47, 57. 연결용 부재
48. 압착롤러
49. 합성수지 이중벽관

Claims (3)

  1. 관벽 내부에 발포수지가 나선상으로 충진된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압출기를 통해 사각단면을 갖는 발포수지 관벽부재를 압출해 내서 관체 성형드럼으로 진입시키는 단계와;
    별도의 압출기를 통해서 상기 발포수지 관벽부재의 전체 외표면에 피복접합되며 발포수지 관벽부재의 측면과 평행한 수직벽부를 중심으로 해서 각각 그 상단부 및 하단부상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수평벽부가 각각 연장형성된 "" 형상의 연결용 부재를 압출해 내서 상기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인접하여 드럼측으로 진입되도록 하는 단계와;
    이들 발포수지 관벽부재와 연결용 부재가 드럼 외주면을 따라 나선상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대향면에 대하여 압착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두 부재간의 인접하는 대향면이 관체 성형드럼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 권회이송중에 서로 연결 접착되어 발포수지 관벽부재가 연결용 부재에 둘러쌓인 상태로 내,외주면이 평활한 이중벽 구조의 관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02-0026418A 2002-05-14 2002-05-14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 KR100492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418A KR100492477B1 (ko) 2002-05-14 2002-05-14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6418A KR100492477B1 (ko) 2002-05-14 2002-05-14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312A KR20030088312A (ko) 2003-11-19
KR100492477B1 true KR100492477B1 (ko) 2005-05-31

Family

ID=3238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6418A KR100492477B1 (ko) 2002-05-14 2002-05-14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247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551A (en) * 1982-12-14 1985-07-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Double-walled, flexible hose
KR20000014032A (ko) * 1998-08-17 2000-03-06 이정국 발포수지를 보강재로 하는 하수관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71715A (ko) * 2000-04-17 2000-11-25 계형산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KR200265512Y1 (ko) * 2001-11-20 2002-02-21 대림산업 주식회사 보강제를 포함하는 고강도 하수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551A (en) * 1982-12-14 1985-07-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Double-walled, flexible hose
KR20000014032A (ko) * 1998-08-17 2000-03-06 이정국 발포수지를 보강재로 하는 하수관 구조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71715A (ko) * 2000-04-17 2000-11-25 계형산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KR200265512Y1 (ko) * 2001-11-20 2002-02-21 대림산업 주식회사 보강제를 포함하는 고강도 하수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8312A (ko) 2003-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27981B2 (en) Pipe with an outer wrap
CN109140059B (zh) 中空壁管材及其制造方法
KR100492477B1 (ko)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
KR200255575Y1 (ko) 합성수지 이중벽관
KR20050055656A (ko) 강성을 보강한 합성수지 다중벽관
CN102052523A (zh) 用于塑钢缠绕管的钢带增强复合搭接带材
CN101539223A (zh) 双壁塑料管道、双壁塑料管道的制造方法及挤出模具
CN210240810U (zh) 高耐磨复合增强聚乙烯结构壁缠绕管
KR0136249B1 (ko)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0231581Y1 (ko) 합성수지 삼중벽 평활관
KR100422901B1 (ko)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KR100278849B1 (ko) 보강층을 갖는 합성수지 나선형 중공관 및 제조방법
KR100533456B1 (ko) 폐폴리에틸렌 솔리드 하수관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352642Y1 (ko) 터널형 구조 복합관
CN209991020U (zh) 异形带材及缠绕型内肋波纹管及其生产的专用装置
KR102089038B1 (ko) 강성향상과 외경 보강형 다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632779B1 (ko) 프로파일 나선형 합성수지관 코팅 직관 파이프
KR100261847B1 (ko) 이중벽하수관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460701B1 (ko) 이중 프로파일관을 이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이중벽관
KR101260678B1 (ko) 고강도 발포형 다중벽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와 그 고강도 발포형 다중벽관
KR100565538B1 (ko)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2314376B1 (ko) 이종재질로 구성된 이중벽관 제조방법
KR200311988Y1 (ko)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KR100573318B1 (ko) 적층 프로파일관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이중벽관, 그 제조방법 및 제조 장치
KR102231564B1 (ko) 다중벽관과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