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1715A -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715A
KR20000071715A KR1020000020179A KR20000020179A KR20000071715A KR 20000071715 A KR20000071715 A KR 20000071715A KR 1020000020179 A KR1020000020179 A KR 1020000020179A KR 20000020179 A KR20000020179 A KR 20000020179A KR 20000071715 A KR20000071715 A KR 20000071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spiral pipe
extruder
adhesive resin
waste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0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2997B1 (ko
Inventor
계형산
우명남
최선웅
Original Assignee
계형산
우명남
최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형산, 우명남, 최선웅 filed Critical 계형산
Priority to JP2000612109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04500996A/ja
Priority to PCT/KR2000/000354 priority patent/WO2000062992A1/en
Priority to AU41488/00A priority patent/AU4148800A/en
Priority to KR1020000020179A priority patent/KR100352997B1/ko
Priority to CN00806354A priority patent/CN1434759A/zh
Publication of KR20000071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7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9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9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02Meth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ompres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3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 B29C48/0015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producing hollow articles having components brought in contact outside the extrusion die
    • B29C48/0016Extrusion moulding in several steps, i.e. components merging outside the die producing hollow articles having components brought in contact outside the extrusion die using a plurality of extrusion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이나 배수관으로 사용되는 스파이럴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폐플라스틱이나 폐필름 등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내부가 채워지는 사각형의 프로파일을 성형하고 양측의 보조압출기를 통해 수지 및 접착수지를 공급하여 프로파일을 접착시키는 공정을 통해서 성형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폐플라스틱과 농업부산물인 볏짚, 왕겨 등과, 임업부산물인 톱밥, 나무조각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 등과 같은 여러종류의 충전재를 원료로 사용하여 압출성형기에서 180∼250℃의 가공온도로 사각의 프로파일을 갖는 용융압출성형을 하고, 프로파일의 한쪽 혹은 양쪽에서 보조압출기를 통해 공급되는 수지 및 접착수지에 의해 와인더의 외측에서 프로파일과 단일체의 접착수지층을 이루도록 하여 스파이럴 파이프를 성형시키되 용융되지 않은 내층과 용융된 외층 프로파일의 외측면을 감싸는 접착수지층이 H빔 형태로 성형됨으로써 외압에 견고하여 파손되지 않으며, 쓸모 없던 폐플라스틱을 귀중한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Spiral pipe using waste plastic material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하수관이나 배수관으로 사용되는 스파이럴 파이프(Spiral pipe)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플라스틱과 농업부산물 및 임업부산물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와 같은 충전재를 용융혼련(鎔融混練 ; Melt-blending)하여 사각 형태의 프로파일을 성형하고, 상기 프로파일을 수지 및 접착수지로 감싸서 접착시키되 프로파일 사이의 수지접착면이 H빔 형태가 되게 하여 외압, 충격 및 하중에 견고하도록 개량된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관이나 배수관으로 사용되는 관은 특허출원 제93-17640호로 제안된 "관 및 그 제조방법"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다수개의 회전 로울러에 원자재를 공급하면서 권취되도록 하며, 원자재 사이의 내, 외측면에 접착원료를 공급하면서 상기 로울러로 접착시키고, 냉각수 분사노즐을 통해 냉각수를 분사시키는 것에 의해 겔 상태의 원자재 접착원료를 냉각시켜 관을 형성한 것으로, 관의 내, 외부에 요철없는 I자형 접착 구조를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방법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출기(3)에서 원료를 공급하면서 진공냉각조(20)를 통하여 내부에 사각형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프로파일(23)을 성형하고, 프로파일(23)이 와인더(6)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보조압출성형기(21)를 통하여 접착원료수지층(22)을 공급하게 되면 로울러(7)에 의하여 압착되면서 스파이럴 파이프(102)를 성형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한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장치(101)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기존 방법에 의하면 사각의 프로파일(23)을 성형하기 위해 진공냉각조(20)를 거치게 되고, 이미 성형된 프로파일(23)의 접착을 위해 보조압출기(21)를 사용하여 상기 프로파일(23)의 일측면에 접착수지를 공급하는 것인 바, 이는 냉각된 프로파일(23)과 접착수지와의 온도편차로 인하여 접착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프로파일(23)을 접착하는 접착수지층(22)이 전체적으로 I자 형태를 이루고, 또한 프로파일(23)이 중공형태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 하중 및 충격에 그 접착부위가 매우 취약하여 쉽게 파단 및 분리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하수관 또는 배수관에서 사용되는 스파이럴 파이프(101)가 외압 작용으로 인하여 파단 및 분리될 경우에는 오염수가 토양에 스며들게 되어 토양 및 지하수를 심하게 변질시킬 뿐만 아니라 지반 침하도 우려되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폐플라스틱과 농업부산물 및 임업부산물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와 같은 충전재를 용융혼련하여 사각 형태의 프로파일을 성형함으로써 산업 폐기물을 귀중한 자원으로 재활용할 수 있고, 프로파일을 수지 및 접착수지로 완전히 감싸서 상기 프로파일 사이의 수지접착면이 H빔 형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외압, 충격 및 하중에 견고한 스파이럴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는 완전히 용융되지 않은 내층과 용융된 외층으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의 외측면을 감싸는 접착수지층이 H빔 형태로 프로파일을 완전히 감싸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스파이럴 파이프의 강성계수는 7∼15Kgf/cm2이내로 성형되고, 상기 프로파일은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지며, 왕겨, 볏짚과 같은 농업부산물, 톱밥, 나무조각과 같은 임업부산물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 등의 다양한 충전재와, 용융혼련된 복합재료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장치는, 각종 폐플라스틱 50∼100 중량부에 충전재 0∼50중량부를 용융온도 180∼250℃의 범위에서 용융혼련한 후 다이를 통해 압출시켜 사각의 프로파일을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압출기와, 상기 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프로파일의 표면 전체에 일정한 두께로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수지를 공급하는 보조압출기와, 수지로 감싸진 상기 프로파일의 일측에 접착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또 다른 보조압출기와, 상기 보조압출기를 통해 접착 가능하도록 된 상기 프로파일을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파이프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와인더와, 상기 와인더에 의한 프로파일의 연속 권취시 그 인접 프로파일의 표면 간에 긴밀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수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H빔 형태의 접착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로울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파이럴 파이프의 외관 및 단면 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파이럴 파이프의 접착 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장치에 의한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본 발명의 스파이럴 파이프에 적용되는 프로파일의 단면도,
도 5b는 상기 프로파일에 수지를 씌운 상태의 단면도,
도 5c는 상기 수지의 표면 일측에 접착수지를 씌운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파이프의 외관 및 단면 구조를 도시한 일부 절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파이프의 접착 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장치 2, 102 : 스파이럴 파이프
3 : 압출기 4, 5, 21 : 보조압출기
6 : 와인더 7 : 로울러
8 : 절단기 9 : 프로파일
11 : 수지 12, 22 : 접착수지층
20 ; 진공냉각조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2) 및 그 성형장치(1)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장치에 의한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공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도 5a는 본 발명의 스파이럴 파이프(2)에 적용되는 프로파일(9)의 단면도, 도 5b는 상기 프로파일(9)에 수지(11)를 씌운 상태의 단면도, 도 5c는 상기 수지(11)의 표면 일측에 접착수지(12)를 씌운 상태의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파이프(2)의 외관 및 단면 구조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파이럴 파이프(2)의 접착 구조를 도시한 부분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압출기(3)을 통하여 사각형의 프로파일(9)이 성형되면서 공급되고, 프로파일(9)의 한쪽 혹은 양쪽에 2대의 보조압출기(4)(5)를 설치하되 상기 보조압출기(4)에서 프로파일(9)의 내, 외측을 완전히 감싸도록 수지(11)를 공급하며, 상기 보조압출기(5)로부터 접착수지가 공급되어 프로파일(9)을 도포함과 아울러 상기 프로파일(9)이 와인더(6)의 외측을 회전하면서 권취되고, 로울러(7)로 상기 프로파일(9)의 외측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접착수지의 표면이 매끈하고 균일하게 접착 성형되는 것이며, 이후에 절단기(8)을 이용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절단하게 된다.
여기서, 수지(11)로 씌워진 프로파일(9)을 접착시키는 접착수지는 프로파일 (9)을 감싸되 그 형태가 H빔 형태가 되게 연속적으로 형성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의 실시예를 첨부시킨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각종 폐플라스틱 50∼100 중량부에 농업부산물 0∼50 중량부에 용융온도범위 180∼250℃로 압출기(3) 내에서 용융혼련한 후 사각 다이를 통해 압출시켜 복합체 구조의 도 5a와 같은 사각 프로파일(9)로 성형한다.
상기의 프로파일(9)은 성형 공급되는 과정에서 공기에 의해 냉각되며, 프로파일(9)의 양쪽에 설치된 보조압출기(4)에서 수지(11)를 공급하여 사각의 프로파일 (9)의 표면 전체에 도 5b와 같이 일정 두께의 수지(11)가 완전히 감싸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수지(11)로 표면이 완전히 감싸진 프로파일(9)을 와인더(6)에 공급하여 원형의 구조물로 권취하는 과정에서 프로파일(9)을 서로 접착시키기 위하여 보조압출기(5)를 통해 접착용수지(12)를 공급하여 도 5c와 같이 씌운 후, 와인더 (6)에 귄취하게 되며, 로울러(7)의 회전 가압에 의해 압착되도록 하면 도 7과 같이 프로파일(9) 외측면에 완전 도포되면서 접착되어 접착수지층(12)을 이루게 된다.
이때, 상기 접착수지층(12)은 H빔 형태를 이루게 되어 외압, 충격 및 하중에 견고한 스파이럴 파이프(12)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공정에서 압출기(3)의 용융온도범위는 180∼250℃이므로 결정용융온도가 높아서 용융되지 않은 폐플라스틱은 공정의 특성상 상기 프로파일(9)의 중심부위에 용융되지 않은 상태로 뭉쳐있게 된다.
따라서, 프로파일(9)은 압출되면서 내층과 외층으로 나누어지고, 내층은 융점이 높은 폐플라스틱이 완전히 용융되지 않은 상태에서 농업부산물과 서로 혼련이 되어 있으므로 외압과 하중에 강하며, 외층은 융점이 상대적으로 낮은 폐플라스틱이 완전히 용융혼련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압출기(3)의 다이를 거치면서 매끄러운 형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접착수지와의 융착이 잘 이뤄질 수 있다.
또한, 보조압출기(4)(5)로 공급되는 접착수지에 의해 형성된 접착수지층(12)은 프로파일(9)의 외측에서 H빔 구조로 성형되므로 기존의 방법으로 성형되어진 스파이럴 파이프에 비해 현저히 높은 충격강도, 강성계수 및 원형 강성계수를 갖게 된다.(표 1참조)
(각 시편은 같은 조건에서 5번 실험치의 평균임)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된 실시예 외에도 폐플라스틱을 대신하여 폐필름이나 기타 농업부산물, 임업부산물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 등과 같은 여러종류의 충전재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즉, 왕겨, 볏짚, 톱밥, 나무조각 또는 플라이애쉬(FlyAsh) 등의 재료가 충전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폐플라스틱이나 폐비닐과 용융혼련하여 프로파일을 성형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압출성형기에서 폐플라스틱 또는 폐비닐과 왕겨, 볏짚, 톱밥, 나무조각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 등과 같은 여러종류의 충전재와 용융혼련되어 성형되는 프로파일이 다이를 통과한 후 한쪽 또는 양쪽의 보조압출기에서 공급되는 수지에 의해 프로파일을 완전히 감싸지게 하고 와인더에서 접착수지층에 의해 이웃하는 프로파일을 H빔 형태로 접착하여 프로파일과 접착수지가 단일체를 이루는 스파이럴 파이프를 제공함으로써 외압, 충격 및 하중에 매우 견고하고, 사각 프로파일의 재료로 다양한 산업 폐기물을 적용함으로써 귀중한 자원으로 재활용이 가능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환경 친화적인 특성을 발휘하며, 폐자원의 재활용에 따른 생산비 절감의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프로파일이 압출기의 다이를 거치면서 매끄러운 표면상태를 유지하므로 접착수지와의 융착이 잘 이뤄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H빔 구조에 의한 접착방법을 적용함으로써 기존의 파이프에 비해 접착 성능이 우수하고, 그 결과로 외부의 압력, 정적부하와 동적부하에 강하며, 충격저항이 매우 높고, 파이프의 환형 강성계수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완전히 용융되지 않은 내층과 용융된 외층으로 이루어진 프로파일의 외측면을 감싸는 접착수지층이 H빔 형태로 프로파일을 완전히 감싸도록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럴 파이프의 강성계수는 7∼15Kgf/cm2이내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은 내층과 외층으로 이루어지고, 왕겨, 볏짚과 같은 농업부산물, 톱밥, 나무조각과 같은 임업부산물 또는 플라이애쉬(Fly Ash) 등의 다양한 충전재와, 용융혼련된 복합재료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4. 각종 폐플라스틱 50∼100 중량부에 충전재 0∼50 중량부를 용융온도 180∼250℃의 범위에서 용융혼련한 후 다이를 통해 압출시켜 사각의 프로파일을 성형할 수 있도록 된 압출기;
    상기 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프로파일의 표면 전체에 일정한 두께로 완전히 감쌀 수 있도록 수지를 공급하는 보조압출기;
    수지로 감싸진 상기 프로파일의 일측에 접착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또 다른 보조압출기;
    상기 보조압출기를 통해 접착 가능하도록 된 상기 프로파일을 연속적으로 권취하여 파이프 형상의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한 와인더; 및
    상기 와인더에 의한 프로파일의 연속 권취시 그 인접 프로파일의 표면 간에 긴밀하게 접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접착수지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H빔 형태의 접착수지층을 형성하기 위한 로울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장치.
KR1020000020179A 1999-04-17 2000-04-17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KR1003529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612109A JP2004500996A (ja) 1999-04-17 2000-04-17 廃プラスチックを用いたスパイラルパイプ及びその成形装置
PCT/KR2000/000354 WO2000062992A1 (en) 1999-04-17 2000-04-17 Spiral pipe using waste plastic material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AU41488/00A AU4148800A (en) 1999-04-17 2000-04-17 Spiral pipe using waste plastic material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of
KR1020000020179A KR100352997B1 (ko) 2000-04-17 2000-04-17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CN00806354A CN1434759A (zh) 2000-04-17 2000-04-17 采用废旧材料的螺线管及其制造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0179A KR100352997B1 (ko) 2000-04-17 2000-04-17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715A true KR20000071715A (ko) 2000-11-25
KR100352997B1 KR100352997B1 (ko) 2002-09-18

Family

ID=1966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0179A KR100352997B1 (ko) 1999-04-17 2000-04-17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52997B1 (ko)
CN (1) CN1434759A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1857B1 (en) * 2002-11-13 2003-05-01 Sam Il Engineering Co Ltd Synthetic resin pipe using waste plastic and forming apparatus therefor
KR100422901B1 (ko) * 2001-08-14 2004-03-12 일우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KR100449157B1 (ko) * 2001-09-10 2004-09-16 대림산업 주식회사 하수관
KR100449158B1 (ko) * 2001-09-10 2004-09-16 대림산업 주식회사 발포 하수관
KR100492477B1 (ko) * 2002-05-14 2005-05-31 이주형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
KR100665647B1 (ko) * 2005-04-26 2007-01-09 대림산업 주식회사 하수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24067B1 (ko) * 2005-12-22 2007-06-04 주식회사 한국하이맥스 3층 구조체의 일체형 프로파일을 갖는 고강도 합성수지관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8630A (ko) * 2001-05-18 2002-11-29 방태순 폐자재를 이용한 합성수지 나선관과 그 제조방법
KR100743238B1 (ko) * 2005-08-10 2007-07-27 푸른나래(주) 합성수지관의 압출성형장치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하수관
KR101299176B1 (ko) 2013-03-22 2013-08-22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충진벽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01662730B1 (ko) 2016-01-15 2016-10-07 대림프라스틱 주식회사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원료절감형 충진벽 하수관
US10049813B2 (en) * 2016-04-25 2018-08-14 Borgwarner Inc. Method of roll-forming with gap fillers for solenoid used for transmission
CN111022781B (zh) * 2019-12-05 2021-08-17 杭州坦科机械科技有限公司 中空壁结构玻璃钢管道及其制作工艺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46247A1 (de) * 1982-12-14 1984-06-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Doppelwandiger, flexibler schlauch
KR0136249B1 (ko) * 1993-09-03 1998-04-11 박기종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278849B1 (ko) * 1998-07-22 2001-02-01 김인식 보강층을 갖는 합성수지 나선형 중공관 및 제조방법
KR100292274B1 (ko) * 1998-12-14 2001-06-01 정우현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널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KR19990064616A (ko) * 1999-04-17 1999-08-05 정우현 스파이럴 파이프 접착방법
KR19990064617A (ko) * 1999-04-17 1999-08-05 정우현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JP2004500996A (ja) * 1999-04-17 2004-01-15 パイパックス エンヴィロンメンタル エンジニアリング インコーポレーティッド 廃プラスチックを用いたスパイラルパイプ及びその成形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2901B1 (ko) * 2001-08-14 2004-03-12 일우산업 주식회사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KR100449157B1 (ko) * 2001-09-10 2004-09-16 대림산업 주식회사 하수관
KR100449158B1 (ko) * 2001-09-10 2004-09-16 대림산업 주식회사 발포 하수관
KR100492477B1 (ko) * 2002-05-14 2005-05-31 이주형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
KR100381857B1 (en) * 2002-11-13 2003-05-01 Sam Il Engineering Co Ltd Synthetic resin pipe using waste plastic and forming apparatus therefor
KR100665647B1 (ko) * 2005-04-26 2007-01-09 대림산업 주식회사 하수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724067B1 (ko) * 2005-12-22 2007-06-04 주식회사 한국하이맥스 3층 구조체의 일체형 프로파일을 갖는 고강도 합성수지관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34759A (zh) 2003-08-06
KR100352997B1 (ko) 2002-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2997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CN101815833A (zh) 不使用粘合剂的硬质可再循环夹芯式聚合物板的生产方法和装置以及所生产的板
RU98113144A (ru) Соэкструдированная многослойная пластмассовая труба,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е получения
HUE031043T2 (en) Reinforced thin film for flexible packaging
KR19990064617A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KR100292274B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스파이널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RU2607653C2 (ru) Композитный профиль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JP2004500996A (ja) 廃プラスチックを用いたスパイラルパイプ及びその成形装置
KR101794074B1 (ko) 강성 보강용 피복형 하수관과 그 제조방법
KR19990064616A (ko) 스파이럴 파이프 접착방법
KR100603812B1 (ko) 파이프
KR100470840B1 (ko) 전선 등의 보호관
KR100276359B1 (ko) 고분자 복합패널 및 그 제조 장치
KR20000071714A (ko) 스파이럴 파이프 접착방법
KR100416881B1 (ko) 스파이럴 파이프 및 그 성형장치
CN107618241A (zh) 一种多孔板及其复合板
KR100927627B1 (ko)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이중관 제조방법
KR200225172Y1 (ko) 스파이럴 파이프 성형장치
KR102590220B1 (ko) 강성 강화 파이프관
KR200304816Y1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합성수지관
KR200265512Y1 (ko) 보강제를 포함하는 고강도 하수관
KR960004356B1 (ko) 폐자원을 이용한 관체성형용 폐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것으로부터 얻어진 관체의 구조
KR102590223B1 (ko) 수밀성 보강 파이프관
KR102460033B1 (ko) 친환경 아이스팩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아이스팩
KR200336646Y1 (ko) 재활용 소재 적층형 이중벽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10 Patent application of lawful right holder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519

Effective date: 20041123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410000104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40519

Effective date: 20041123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210

Effective date: 20061222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610300004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60210

Effective date: 20061222

EXTG Ip right invalidated
O064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patent]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