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1564B1 - 다중벽관과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중벽관과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1564B1
KR102231564B1 KR1020200102247A KR20200102247A KR102231564B1 KR 102231564 B1 KR102231564 B1 KR 102231564B1 KR 1020200102247 A KR1020200102247 A KR 1020200102247A KR 20200102247 A KR20200102247 A KR 20200102247A KR 102231564 B1 KR102231564 B1 KR 102231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profile member
wall
inner layer
extru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2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상
정태호
황재민
Original Assignee
(주)사이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사이몬 filed Critical (주)사이몬
Priority to KR10202001022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1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1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1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F16L9/133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the walls consisting of two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62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spir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6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followed by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3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벽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한 폭(W1)을 가지도록 압출된 폴리에틸렌 재질의 내층 필름(11)이 회전 와인더(14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평활하게 권취되어 성형된 내측벽(10)과,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압출로 성형된 프로파일 부재(21)가 상기 내측벽(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인접하는 측면끼리 접합되어 이루어진 코어 벽체(20)와, 일정한 폭을 가지고 폴리에틸렌 재질로 압출된 외층 필름(41)이 상기 코어 벽체(2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성형된 외측벽(40)을 가지고, 상기 코어 벽체(20)가, 꼭지점이 내측면 쪽으로 향하는 포물선으로 이루어진 제1 포물선 중공부(22)와, 꼭지점이 외측면 쪽으로 향하는 포물선으로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상기 제1 포물선 중공부(22)의 측벽과의 사이에 일정한 두께의 격벽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제2 포물선 중공부(23)가 폭방향으로 교대로 반복하는 중공부를 가지며,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압출로 성형된 프로파일 부재(21)를, 상기 내측벽(10)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수회 권취하되 측면끼리 서로 맞대기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다중벽관과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A multiple-wall pipe,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ipe}
본 발명은 다중벽관,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합성수지로 제조한 프로파일 관을 코어 벽체로 하는 다중벽관과 그 다중벽관을 연속적으로 제조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줄이고, 생산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은 종래 시멘트관으로 사용되어 왔다. 시멘트관의 하수관은 무게가 무겁고 토압에 의해 균열 또는 파손이 되기 쉬어 교체 주기가 비교적 짧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시멘트관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성형한 다중벽관으로 이루어진 하수관이 개발되어 알려져 있다.
아래 특허문헌 1의 하수관은 중공의 프로파일을 압출성형한 다음 상기 프로파일을 롤러드럼을 통해 나선형상으로 감고, 상기 프로파일 사이에 생성된 간극의 내외측에 용융수지를 주입한 후 간극의 상하방향에서 압착하여 프로파일을 접합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및 복층벽 합성수지재 하수관의 제조방법이고, 롤러드럼에 제 1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용융수지를 나선형으로 감아 내부 코팅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압출기에 의해 압출성형된 중공의 프로파일을 냉각수조를 통해 고형화 시킨 뒤 상기 내부코팅막의 상부에 나선형으로 감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겨진 프로파일에 의해 생성된 간극의 상부에서 제 2 노즐로부터 배출되는 'T'형 용융수지를 주입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를 통해 주입된 용융수지와 내부코팅막을 상부에서 압착하여 프로파일을 접합함으로써 이중벽 및 복층벽 합성수지재 하수관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이중벽 하수관은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8)의 폭이 제 1 노즐(6)에 의해 공급되는 용융수지의 도포폭에 비해 작은 폭을 구비토록 형성되어 용융수지에 의해 나선형으로 감긴 내부 코팅막(10)이 간극이 없는 연속된 형상으로 형성될 때, 상기 프로파일(8)은 간극을 형성하여 제 2 노즐(7)로부터 공급되는 용융수지가 주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프로파일(8) 들 사이의 간극을 충전하기 위한 별도의 충전공정을 추가하여야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 2 노즐(7)은 'T'형의 배출구(6`)를 구비토록 형성되어 간극과 간극의 양측에 위치한 프로파일(8)의 상단부에 용융수지를 동시에 공급하여 프로파일의 접합 및 외부코팅막(11)을 형성하게 되고, 이처럼 프로파일(8)의 간극 및 상단부에 공급된 용융수지는 롤러드럼(5)의 외측에 설치된 압착롤러(9)에 의해 압착되어 간극의 양측에 위치한 프로파일(8)을 접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종래의 기술은 프로파일(8)들 사이의 간극을 메꾸기 위한 추가적인 공정이 필요하여 전체 공정 시간이 길어지고, 장비도 복잡하며, 따라서 생산 능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점 있다.
KR 10-0457327B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다중벽관의 하수관 및 그 하수관 제조방법이 가진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프로파일 사이의 간극을 메꾸는 추가적인 작업없이 간단하게 다중벽관으로 제조하여, 접합부의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은 물론 제조 공정 시간의 단축에 의한 생산성을 향상시켜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다중벽관,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압출된 시트를 회전 와인더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평활하게 권취하여 성형된 내측벽과,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도록 압출로 성형된 프로파일 부재를 폭방향 측면끼리 서로 맞닿도록 상기 내측벽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권취하되 인접하는 측면끼리 서로 접합되어 이루어진 코어 벽체와,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고 상기 코어 벽체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외측벽을 가진 다중벽관에 있어서,
상기 코어 벽체는,
내측면 쪽으로 향하여 볼록한 포물선 형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제1 포물선 중공부와, 외측면 쪽으로 향하여 볼록한 포물선 형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된 제2 포물선 중공부가 폭방향으로 교대로 반복하는 구조를 가지며,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압출로 성형된 프로파일 부재를, 상기 내측벽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수회 권취하되, 측면끼리 서로 맞대기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프로파일 부재의 폭은 상기 내측벽을 구성하는 압출 시트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재질로 압출된 시트를 회전 와인더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평활하게 권취하여 성형된 내측벽과,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지도록 압출로 성형된 프로파일 부재를 폭방향 측면끼리 서로 맞닿도록 상기 내측벽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권취하되 인접하는 측면끼리 서로 접합되어 이루어진 코어 벽체와,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고 상기 코어 벽체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적층되어 형성된 외측벽을 가진 다중벽관에 있어서,
상기 코어 벽체가,
각각은 내측면 쪽으로 향하여 볼록한 포물선 형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서로는 중간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적층되게 배치된 복수의 제1 포물선 중공부와, 각각은 외측면 쪽으로 향하여 볼록한 포물선 형태의 격벽에 의해 구획되고 서로는 중간 격벽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적층되게 배치된 복수의 제2 포물선 중공부가 폭방향으로 교대로 다수회 반복하여 구비된 구조를 가지며,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압출로 성형된 프로파일 부재를, 상기 내측벽의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수회 권취하되, 측면끼리 서로 맞대기 열융착으로 접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내층 필름과 상기 외층 필름은 상기 프로파일 부재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성형되어, 상기 프로파일 부재들의 측면 접합부를 덮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내측벽과, 프로파일 부재가 상기 내측벽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이루어진 코어 벽체와, 상기 코어 벽체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외측벽을 가진 다중벽관의 제조장치로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는 내층 필름을 제1방향으로 압출 성형하는 내층 필름 압출기;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진 프로파일 부재를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압출성형하는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는 외층 필름을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제3방향으로 압출 성형하는 외층 필름 압출기;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교차하는 제4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4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먼저 내층 필름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내층 필름을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취하고, 이어서 상기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를 상기 나선형으로 권취된 상기 내층 필름 위에 나선형으로 권취하고, 상기 외층 필름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상기 외층 필름을 상기 프로파일 부재 위에 권취하는 회전 와인더;
상기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에서 압출되어 상기 회전 와인더를 향하여 이동하는 프로파일 부재를 상기 회전 와인더에 도달하기 직전 위치에서 열풍으로 가열하여 프로파일 부재를 연화시키는 가열기;
상기 프로파일 부재가 상기 회전 와인더의 내층 필름위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도록 상기 회전 와인더에 권취되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를 일정한 헬리컬 각도로 가압하여 선행 프로파일 부재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가압판;
상기 회전 와인더 위에서 상기 프로파일 부재가 내층 필름 표면에 접합되도록 상기 권취되는 프로파일 부재를 회전 와인더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롤러; 및
상기 회전 와인더 위에서 상기 프로파일 부재의 외측면에 상기 외층 필름이 접합되도록 상기 외층 필름을 회전 와인더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원통형의 내측벽과, 프로파일 부재가 상기 내측벽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이루어진 코어 벽체와, 상기 코어 벽체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외측벽을 가진 다중벽관의 제조방법이고,
내층 필름 압출기에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는 내층 필름을 제1방향으로 압출 성형하는 내층 필름 압출 단계;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에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상기 내층 필름의 폭 보다 좁은 폭과 두께를 가진 프로파일 부재를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압출성형하는 프로파일 부재 압출 단계;
외층 필름 압출기에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는 외층 필름을 상기 제1방향과 평행한 제3방향으로 압출 성형하는 외층 필름 압출단계;
상기 제1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교차하는 제4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4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와인더의 외주면에, 상기 내층 필름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내층 필름을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내측벽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에서 압출되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를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연화된 프로파일 부재를 경사진 가압판으로 가압하여 상기 나선형으로 권취된 내층 필름 위에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동시에 측면을 접합하여 코어 벽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프로파일 부재를 제1가압롤러로 회전 와인더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내층 필름 표면에 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층 필름을 제2가압롤러로 회전 와인더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외층 필름을 상기 프로파일 부재의 외측면에 접합시켜 외측벽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내측벽 위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프로파일 부재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배치되는 2개의 포물선 중공부가 폭방향을 따라 교대로 반복하는 중공부를 가지고 이러한 구조의 프로파일 부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코어 벽체를 구성함으로써 내압성이 우수하여 수명이 길어지고, 지중에 매설된 하수관으로 사용시 교체 주기를 늘일 수 있다.
또,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프로파일 부재들의 접합면의 틈새를 메우기 위한 별도의 압출재를 사용하지 않고 내층 필름과 외측 필름의 적층만으로 틈새가 없는 우수한 강도의 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층 필름을 권취하여 내측벽을 성형하고, 그 내측벽 위에 프로파일 부재를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코어 벽체를 성형한 후, 그 코어 벽체 위에 외측 필름을 권취하여 외측벽을 형성하는 3단계의 공정만으로 다중벽관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 시간의 단축에 의한 생산성을 향상시켜 원가절감을 기할 수 있고, 폐비닐을 사용하면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중벽관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벽을 부분 절개하여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중벽관 제조장치의 주요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중벽관의 프로파일 부재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중벽관의 프로파일 부재의 제2실시예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벽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중벽관(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틸렌 재질로 일정한 폭(W1)을 가지는 필름 형태로 압출된 내층 필름(11)이 나선형으로 평활하게 권취되어 성형된 내측벽(10)과,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일정한 폭(W2)을 가지도록 압출로 성형된 프로파일 부재(21)가 상기 내측벽(1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인접하는 측면끼리 접합되어 이루어진 코어 벽체(20)와, 일정한 폭(W3)을 가지고 폴리에틸렌 재질로 압출된 외층 필름(41)이 상기 코어 벽체(2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성형된 외측벽(40)을 가진다.
상기 내층 필름(11)의 폭(W1)과 상기 외층 필름(41)의 폭(W3)은 상기 프로파일 부재(21)의 폭(W2) 보다 넓어,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프로파일 부재(21)의 측면 접합부(A)의 내/외측을 덮어준다. 이에 따라 측면 접합부(A) 틈새를 별도의 압출재를 사용하지 않고 덮어 보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파일 부재(21)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압출로 성형된다. 상기 프로파일 부재(21)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압출로 성형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파일 부재(21)의 제1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꼭지점이 내측면 쪽으로 향하는 포물선으로 이루어진 제1 포물선 중공부(22)와, 꼭지점이 외측면 쪽으로 향하는 포물선으로 이루어지고, 인접하는 상기 제1 포물선 중공부(22) 사이에 격벽(24)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제2 포물선 중공부(23)가 폭방향으로 교대로 수회 반복하는 중공부를 가진다. 프로파일 부재(21)가 상기한 단면 구조를 가지므로, 큰 강도를 가지는 반면 무게는 가볍다.
상기한 프로파일 부재는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프로파일 부재(31)의 제2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프로파일 부재를 상하로 적층하여 복층으로 배치한 구조이다.
즉, 제2실시예의 프로파일 부재(31)는 각각 꼭지점이 내측면 쪽으로 향하는 아래쪽으로 볼록한 포물선으로 이루어지고 중간 격벽(37)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적층 배치된 2개의 제1 포물선 중공부(32)와, 꼭지점이 외측면 쪽을 향하도록 위로 볼록한 포물선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격벽(37)을 사이에 두고 상하로 적층배치된 2개의 제2 포물선 중공부(35)가 폭방향으로 교대로 반복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한 제2 실시예의 프로파일 부재(31)는 복층 구조의 단면을 가지므로 단층 구조의 프로파일 부재(21)로 구성된 관 보다 더 큰 내압성이 요구되는 관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의 프로파일 부재(31)은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압출로 성형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중벽관을 제조하는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다중벽관 제조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재를 사용하여 일정한 폭(W1)을 가지는 내층 필름(11)을 제1방향(X1)으로 압출 성형하는 내층 필름 압출기(110);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일정한 폭(W2)과 두께를 가진 프로파일 부재(21)를 상기 제1방향(X1)에 평행한 제2방향(X2)으로 압출성형하는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120);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일정한 폭(W3)을 가지는 외층 필름(41)을 상기 제1방향(X1)과 평행한 제3방향(X3)으로 압출 성형하는 외층 필름 압출기(130);
상기 제1방향(X1)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교차하는 제4방향(X4)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4방향(X4)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먼저 내층 필름 압출기(110)에서 압출되는 내층 필름(11)을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취하고, 이어서 상기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120)에서 압출되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21)를 상기 나선형으로 권취된 상기 내층 필름(11) 위에 나선형으로 권취하고, 상기 외층 필름 압출기(130)에서 압출되는 상기 외층 필름(41)을 상기 프로파일 부재(21) 위에 권취하는 회전 와인더(140);
상기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120)에서 압출되어 상기 회전 와인더(140)를 향하여 이동하는 프로파일 부재(21)를 상기 회전 와인더(140)에 도달하기 직전 위치에서 열풍으로 가열하여 프로파일 부재(21)를 연화시키는 가열기(150);
상기 프로파일 부재(21)가 상기 회전 와인더(140)의 내층 필름(11)위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도록 상기 회전 와인더(140)에 권취되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21)를 일정한 헬리컬 각도로 가압하여 선행 프로파일 부재(21)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가압판(160);
상기 회전 와인더(140) 위에서 상기 프로파일 부재(21)가 내층 필름(11) 표면에 접합되도록 상기 권취되는 프로파일 부재(21)를 회전 와인더(140)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롤러(170); 및
상기 회전 와인더(140) 위에서 상기 프로파일 부재(21)의 외측면에 상기 외층 필름(41)이 접합되도록 상기 외층 필름(41)을 회전 와인더(140)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롤러(18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중벽관을 제조하는 방법은
내층 필름 압출기(110)에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는 내층 필름(11)을 제1방향(X1)으로 압출 성형하는 내층 필름 압출 단계;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120)에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상기 내층 필름(11)의 폭 보다 좁은 폭(W2)과 두께를 가진 프로파일 부재(21)를 상기 제1방향(X1)과 평행한 제2방향(X2)으로 압출성형하는 프로파일 부재 압출 단계;
외층 필름 압출기(130)에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일정한 폭(W3)을 가지는 외층 필름(41)을 상기 제1방향(X1)과 평행한 제3방향(X3)으로 압출 성형하는 외층 필름 압출단계;
상기 제1방향(X1)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교차하는 제4방향(X4)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4방향(X4)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와인더(140)의 외주면에, 상기 내층 필름 압출기(110)에서 압출되는 내층 필름(11)을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내측벽(10)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120)에서 압출되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21)를 가열기로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연화된 프로파일 부재(21)를 경사진 가압판(160)으로 가압하여 상기 나선형으로 권취된 내층 필름(11) 위에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동시에 측면을 접합하여 코어 벽체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프로파일 부재(21)를 제1가압롤러(170)로 회전 와인더(140)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내층 필름(11) 표면에 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층 필름(41)을 제2가압롤러(180)로 회전 와인더(140)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외층 필름(41)을 상기 프로파일 부재(21)의 외측면에 접합시켜 외측벽(40)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1: 다중벽관 10: 내측벽
11: 내층 필름 20: 코어 벽체
21, 31: 프로파일 부재 22, 32: 제1 포물선 중공부
23: 제2 포물선 중공부 24, 34: 격벽
35: 제2 포물선 중공부 37: 중간 격벽
40: 외측벽
41: 외층 필름 110: 내층 필름 압출기
120: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 130: 외층 필름 압출기
140: 회전 와인더 150: 가열기
160: 가압판 170: 제1가압롤러
180: 제2가압롤러
X1: 내층 필름 압출방향
X2: 프로파일 부재 압출방향
X3: 외층 필름 압출방향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원통형의 내측벽(10)과, 프로파일 부재가 상기 내측벽(10)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이루어진 코어 벽체(20)와, 상기 코어 벽체(20)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외측벽(40)을 가진 다중벽관의 제조장치이고,
    상기 다중벽관의 제조장치는,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는 내층 필름(11)을 제1방향(X1)으로 압출 성형하는 내층 필름 압출기(110);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일정한 폭과 두께를 가진 프로파일 부재를 상기 제1방향(X1)과 평행한 제2방향(X2)으로 압출성형하는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120);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는 외층 필름(41)을 상기 제1방향(X1)과 평행한 제3방향(X3)으로 압출 성형하는 외층 필름 압출기(130);
    상기 제1방향(X1)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교차하는 제4방향(X4)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4방향(X4)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먼저 내층 필름 압출기(110)에서 압출되는 내층 필름(11)을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권취하고, 이어서 상기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120)에서 압출되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를 상기 나선형으로 권취된 상기 내층 필름(11) 위에 나선형으로 권취하고, 상기 외층 필름 압출기(130)에서 압출되는 상기 외층 필름(41)을 상기 프로파일 부재 위에 권취하는 회전 와인더(140);
    상기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120)에서 압출되어 상기 회전 와인더(140)를 향하여 이동하는 프로파일 부재를 상기 회전 와인더(140)에 도달하기 직전 위치에서 열풍으로 가열하여 프로파일 부재를 연화시키는 가열기(150);
    상기 프로파일 부재가 상기 회전 와인더(140)의 내층 필름(11)위에 나선형으로 권취되도록 상기 회전 와인더(140)에 권취되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를 일정한 헬리컬 각도로 가압하여 선행 프로파일 부재의 측면에 밀착하도록 가압하는 가압판(160);
    상기 회전 와인더(140) 위에서 상기 프로파일 부재가 내층 필름(11) 표면에 접합되도록 상기 권취되는 프로파일 부재를 회전 와인더(140)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1가압롤러(170); 및
    상기 회전 와인더(140) 위에서 상기 프로파일 부재의 외측면에 상기 외층 필름(41)이 접합되도록 상기 외층 필름(41)을 회전 와인더(140)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는 제2가압롤러(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벽관 제조장치.
  4. 원통형의 내측벽(10)과, 프로파일 부재가 상기 내측벽(10)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되어 이루어진 코어 벽체(20)와, 상기 코어 벽체(20)의 외측면에 나선형으로 권취된 외측벽(40)을 가진 다중벽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다중벽관 제조방법은
    내층 필름 압출기(110)에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는 내층 필름(11)을 제1방향(X1)으로 압출 성형하는 내층 필름 압출 단계;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120)에서 합성수지재를 사용하여 상기 내층 필름(11)의 폭 보다 좁은 폭과 두께를 가진 프로파일 부재를 상기 제1방향(X1)과 평행한 제2방향(X2)으로 압출성형하는 프로파일 부재 압출 단계;
    외층 필름 압출기(130)에서 폴리에틸렌을 사용하여 일정한 폭을 가지는 외층 필름(41)을 상기 제1방향(X1)과 평행한 제3방향(X3)으로 압출 성형하는 외층 필름 압출단계;
    상기 제1방향(X1)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교차하는 제4방향(X4)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4방향(X4)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와인더(140)의 외주면에, 상기 내층 필름 압출기(110)에서 압출되는 내층 필름(11)을 나선형으로 권취하여 내측벽(10)을 성형하는 단계;
    상기 프로파일 부재 압출기(120)에서 압출되는 상기 프로파일 부재를 가열하여 연화시키고 연화된 프로파일 부재를 경사진 가압판(160)으로 가압하여 상기 나선형으로 권취된 내층 필름(11) 위에 나선형으로 권취하는 동시에 측면을 접합하여 코어 벽체(20)를 성형하는 단계;
    상기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프로파일 부재를 제1가압롤러(170)로 회전 와인더(140)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내층 필름(11) 표면에 접합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층 필름(41)을 제2가압롤러(180)로 회전 와인더(140)의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외층 필름(41)을 상기 프로파일 부재의 외측면에 접합시켜 외측벽(40)을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벽관의 제조방법.
KR1020200102247A 2020-08-14 2020-08-14 다중벽관과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2231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247A KR102231564B1 (ko) 2020-08-14 2020-08-14 다중벽관과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2247A KR102231564B1 (ko) 2020-08-14 2020-08-14 다중벽관과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1564B1 true KR102231564B1 (ko) 2021-03-24

Family

ID=75257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2247A KR102231564B1 (ko) 2020-08-14 2020-08-14 다중벽관과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15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466A (ko) * 1999-12-10 2001-07-04 윤임규 지중매설용 내압 합성수지관
KR100457327B1 (ko) 2003-04-17 2004-11-16 김종율 이중벽 및 복층벽 합성수지 하수관의 제조방법
KR100933501B1 (ko) * 2008-02-13 2009-12-23 이남훈 합성수지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466A (ko) * 1999-12-10 2001-07-04 윤임규 지중매설용 내압 합성수지관
KR100457327B1 (ko) 2003-04-17 2004-11-16 김종율 이중벽 및 복층벽 합성수지 하수관의 제조방법
KR100933501B1 (ko) * 2008-02-13 2009-12-23 이남훈 합성수지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77891A (en) Method of making continuous corrugated plastic pipe
US10927981B2 (en) Pipe with an outer wrap
US10077857B2 (en) Pipe with an outer wrap
US10145107B2 (en) Method of producing a plate-like construction with a double-wall structure
CN101852316A (zh) 无骨架管聚乙烯缠绕结构壁管材及其生产方法
CN104390070A (zh) 一种热塑成型连续缠绕复合材料增强结构壁管材及其制造设备、制造方法
CN103925427A (zh) 钢骨架聚乙烯缠绕结构壁管材及其生产方法
EP2146126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elically wound pipe
KR102231564B1 (ko) 다중벽관과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2614307B2 (ja) 多層管の製法および積層管
KR100533366B1 (ko)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EP2658701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pipe from thermoplastic material
KR101224114B1 (ko) 합성수지 프로파일 관
CN203743653U (zh) 钢骨架聚乙烯缠绕结构壁管材
KR200255575Y1 (ko) 합성수지 이중벽관
AU709765B2 (en) A cable sheath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sheath, and a machine for implementing the method
KR101900317B1 (ko) 강성이 보강된 이중벽 합성수지관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352642Y1 (ko) 터널형 구조 복합관
KR101857091B1 (ko) 강성이 보강된 이중벽 합성수지관
JP2001050435A (ja) 複合可とう管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39346B1 (ko) 내구성 및 강도 보강 기능을 갖는 차수벽 관 및 그 제조장치
US10077856B2 (en) Pipe with an outer wrap
KR101224115B1 (ko) 합성수지 프로파일 관
CN201715120U (zh) 聚乙烯缠绕新型结构壁管材
KR101857095B1 (ko) 강성이 보강된 이중벽 합성수지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