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3501B1 - 합성수지관 - Google Patents

합성수지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3501B1
KR100933501B1 KR1020080013208A KR20080013208A KR100933501B1 KR 100933501 B1 KR100933501 B1 KR 100933501B1 KR 1020080013208 A KR1020080013208 A KR 1020080013208A KR 20080013208 A KR20080013208 A KR 20080013208A KR 100933501 B1 KR100933501 B1 KR 100933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resin
pipe
outer diameter
resin tube
hol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3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762A (ko
Inventor
이남훈
Original Assignee
이남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남훈 filed Critical 이남훈
Priority to KR1020080013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335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5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2Rigid pipes of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 연결 시공시 외경에 손상이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관체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관의 중공부에 연통 안되게 성형 된 보강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관 연결 또는 분기 결합시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에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보강부에 의해 유체 유입이 차단되게 되어 유체 유출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합성수지관, 보강부

Description

합성수지관{PLASTIC PIPE}
도 1은 종래 합성수지관의 커플링 결합 일부 종단면도
도 2는 종래 합성수지관의 분기 커플링 결합도
도 3은 본 발명 합성수지관의 일부 절결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합성수지관의 분기 커플링 결합도
도 5는 본 발명 합성수지관의 다른 실시 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합성수지관 21; 내경부
22; 외경부, 23; 중공부
24; 보강부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관체 연결 시공시 외경에 손상이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관체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한 합성수지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스관 또는 상,하수관으로 사용되는 관체는 내경과 외경 사이가 비교적 두터운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관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매설 시공시 자연 구배 상태에서도 유체의 흐름이 원활하고 내,외부의 압력에 잘 견디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상기 합성수지관은 시공시 무게가 무거워 이송이 용이하지 않을 뿐 아니라, 원재료가 많이 들어가게 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 합성수지관(10)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경부(11)과 외경부(12) 사이에 중공부(13)를 형성하고 상기 중공부(13)에는 관체의 길이 방향에 소정의 간격으로 내,외부의 압력에도 잘 견딜 수 있는 스트라이프 또는 강도를 보다 강화시킨 나선형으로 구비된 보강부(14)를 넣어 경량화하고 경제적인 관체로 성형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시공시에는 상기 합성수지관(10)과, 연결될 합성수지관(10') 사이에 별도의 커플링 관체(15)를 이용하여 삽입한 후 연결 시공하거나,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기를 위하여 상기 합성수지관(10)에 분기공(A)을 형성한 후, 상기 분기공(A)에 분기될 커플링 관체(16)를 연결하여 시공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연결되는 합성수지관(10)(10') 들은 서로 긴밀하게 연결을 하게 되지만, 상기 분기공(A)을 형성하여 분기하게 되는 커플링 관체(16)를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기공(A)에 의하여 내경부(11)가 개방되게 되므로 상기 내경부(11)와 보강부(14) 사이가 서로 연통 상태로 연결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시공 후, 상기 합성수지관(10)에는 유체가 주로 내경부(11)의 내부로 흐르게 되지만, 상기 내경부(11)와 연통된 보강부(14) 사이로 채워지면서 흐르게 된다.
그래서 상기 합성수지 관(10)의 결합 시공시, 외력에 의해 상기 합성수지관(10)의 외경부(12)에 파손 또는 불량이 있는 경우, 상기 길게 연통 된 보강부(14) 사이에 채워진 유체는 파손 또는 불량 부위로 유출되면서 내경부(11)로 흐르던 유체도 함께 유출되게 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어, 상기 파손된 합성수지관(10)의 외경부(12)를 일일이 막아 주면서 시공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외경부에 손상이 발생하더라도 내부의 유체가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내경부와 외경부 사이에 중공부; 상기 중공부에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 및 상기 보강부는 중공부가 연통 안되게 한 것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중공부에 구비되는 보강부를 서로 연통되지 않게 구비함으로써, 합성수지관의 연결 시공시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에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보강부에 의해 유체 유출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 합성수지관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합성수지관의 분기 커플링 결합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합성수지관의 다른 실시 예도이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관(20)은 내경부(21), 외경부(22), 중공부(23) 및 보강부(24)를 포함한다.
상기 내경부(21)는 소정의 구경과 두께를 갖는 원통형으로 압출 성형하게 되며, 통상적으로 폴리에틸렌(PE)재질로 성형 된다..
상기 외경부(22)는 상기 내경부(21)의 외측에 소정의 구경과 두께를 갖는 원통형으로 압출 성형하게 되며, 통상적으로 폴레에틸렌(PE) 재질로 성형 된다.
상기 중공부(23)는 상기 내경부(21)와, 상기 내경부(21)의 외측에 성형되는 외경부(22) 사이에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24)는 상기 중공부(23)에 성형하게 되며, 상기 보강부(24)는 상기 내경부(21)의 외경과 외경부(22)의 내경에 압착 성형 된다.
상기 보강부(24)는 상기 내경부(21)의 외경과 외경부(22)의 내경을 따라 중공부(23)의 전체에 요철형상을 서로 결합하여 타원형태의 망으로 압출한 상기 중공부(23)가 서로 연통 안되게 성형 된다.
또한 상기 보강부(24)는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톱니형상을 서로 결합하여 마름모꼴의 망으로 압출하여 상기 중공부(23)가 서로 연통 안되게 성형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제 1 압출성형기에 주원료인 폴리에틸렌을 넣어 소정의 구경과 두께를 갖는 원통형으로 압출하여 자연 냉각시키면서 내경부(21)를 성형하고, 제 2 압출성형기로 상기 내경부(21)의 외주면 전체에 감싸면서 일체로 타원형 또는 마름모꼴의 망으로 압출하여 자연 냉각시키면서 보강부(24)를 성형한다.
이어서 상기 보강부(24)에 제 3 압출성형기로 소정의 구경과 두께를 갖는 원 통형으로 압출하여 자연 냉각시키면서 외경부(22)를 성형함으로써, 합성수지관(20)이 성형 된다.
이와 같이 성형된 합성수지관(20)은 시공시 합성수지관(20)들을 길이 방향 또는 분기를 위해 커플링(27)을 이용하여 결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커플링(27)에는 결합되는 합성수지관(20) 들이 밀착 결합이 아닌 약간의 간격을 두고 결합되고, 또한 분기되는 합성수지관(20)의 경우 구멍을 뚫어서 결합 시공하게 된다.
따라서 시공 완료된 합성수지관(20)은 내경부(21)의 내측을 통해 주로 유체가 흐르게 되고, 상기 유체는 합성수지관(20)과 합성수지관(20)의 간격 또는 구멍과 연통되는 중공부(23)로 흐르게 되지만, 상기 중공부(23)에는 타원형 또는 마름모꼴의 망으로 연통 안되게 성형된 보강부(24)에 의해 유체가 유입되지 않고 차단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합성수지관(20)을 연결 시공시 외경부(22)의 파손 또는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연통 안되게 성형된 보강부(24)에 의하여 유체는 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합성수지관의 중공부에 연통되지 않는 보강부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합성수지관 연결 또는 분기 결합시 상기 합성수지관의 외경에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보강부에 의해 유체 유입이 차단되게 되어 유체 유출을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삭제
  2. 합성수지관의 내경부와 외경부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가 연통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중공부의 전체에 타원형태의 망으로 압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3. 합성수지관의 내경부와 외경부 사이에 중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강도 보강을 위한 보강부가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가 연통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중공부의 전체에 마름모꼴의 망으로 압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관.
KR1020080013208A 2008-02-13 2008-02-13 합성수지관 KR1009335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208A KR100933501B1 (ko) 2008-02-13 2008-02-13 합성수지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3208A KR100933501B1 (ko) 2008-02-13 2008-02-13 합성수지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762A KR20090087762A (ko) 2009-08-18
KR100933501B1 true KR100933501B1 (ko) 2009-12-23

Family

ID=41206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3208A KR100933501B1 (ko) 2008-02-13 2008-02-13 합성수지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335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564B1 (ko) * 2020-08-14 2021-03-24 (주)사이몬 다중벽관과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87006A (zh) * 2016-08-17 2017-01-04 安徽兴源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具有双重管道的自来水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0121U (ko) 1977-01-19 1978-08-14
JPS5858176U (ja) * 1981-10-16 1983-04-2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複合2重管
KR970002323U (ko) * 1996-10-07 1997-01-24 최병모 이중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00121U (ko) 1977-01-19 1978-08-14
JPS5858176U (ja) * 1981-10-16 1983-04-2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複合2重管
KR970002323U (ko) * 1996-10-07 1997-01-24 최병모 이중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564B1 (ko) * 2020-08-14 2021-03-24 (주)사이몬 다중벽관과 그 다중벽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762A (ko) 2009-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96372A (ko) 파형 합성수지관의 접속구조 및 상기 접속구조에 사용하는 파형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JP2011002012A (ja) 管継手部構造
KR100933501B1 (ko) 합성수지관
CN101932418A (zh) 模制方法和设备
KR100608516B1 (ko) 강성이 향상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CN103292063B (zh) Hdpe承插式内外加径缠绕增强管
KR101548333B1 (ko) 시공 편의성이 향상된 상하수도관
JP7294352B2 (ja) 中空糸膜エレ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96192A (ko) 폴리에틸렌 관
US8663767B2 (en) Hollow profil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pipe
CN110608341A (zh) 双头承插式中空结构壁缠绕管及其制造方法
KR20190114613A (ko) 파이프 강성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파이프 강성 보강 방법
KR102441884B1 (ko) 3중구조 중공충진벽관
KR100906064B1 (ko) 관이음용 연결구
JP2009191582A (ja) 地盤補強に用いられる補強部材、地盤補強工法、地盤補強構造
KR101797386B1 (ko) 다중 격벽 구조의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CN219432648U (zh) 一种承插密封连接结构、套袖管件及连接管道
US20100164221A1 (en) Pipe Coupling
KR101057634B1 (ko) 복합 단면 구조를 이루는 코러게이트 합성 수지관
ES2327118T3 (es) Tubo, elemento constructivo para aguas residuales o de conduccion y metodo para la produccion del mismo.
KR20050105252A (ko)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성형재
KR200307453Y1 (ko) 보강격벽을 갖는 이중벽 하수관의 구조
KR100806879B1 (ko) 이중벽관용 커플러
CN220668652U (zh) 管井连接组件
CN209876224U (zh) 一种hdpe承接式塑钢缠绕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