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5252A -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성형재 - Google Patents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성형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5252A
KR20050105252A KR1020057015859A KR20057015859A KR20050105252A KR 20050105252 A KR20050105252 A KR 20050105252A KR 1020057015859 A KR1020057015859 A KR 1020057015859A KR 20057015859 A KR20057015859 A KR 20057015859A KR 20050105252 A KR20050105252 A KR 20050105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olding material
pipe
hollow
hollow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5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54059B1 (ko
Inventor
스벤 스외베르그
Original Assignee
오이 케이더블유에이치 파이프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이 케이더블유에이치 파이프 에이비 filed Critical 오이 케이더블유에이치 파이프 에이비
Publication of KR2005010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5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4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4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9/00Rigid pipes
    • F16L9/16Rigid pipes wound from sheets or strip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7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using profiled sheets or stri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8/00Pipes and tubular conduits
    • Y10S138/11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선형으로 감겨진 이중-벽 열가소성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성형재(1)로서, 대체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파이프의 내부 벽을 성형하기 위한 중공 성형재의 벽(2)은 파이프의 외부 벽을 성형하기 위한 벽(4)보다 두꺼운 중공 성형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중공 성형재의 상기 더 두꺼운 벽(2) 인근의 모서리의 내부 라운딩 반경(inner rounding radius)(7a)이 공동(6)의 다른 두 개의 모서리의 라운딩 반경(7)보다 상당히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성형재{HOLLOW PROFIL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PIPE}
본 발명은, 나선형으로 감겨진 이중-벽 열가소성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중공 성형재(成形材)로서, 파이프의 내부 벽을 성형하기 위한 중공 성형재의 벽이 파이프의 외부 벽을 성형하기 위한 벽보다 두꺼운 중공 성형재에 관한 것이다.
나선형으로 감겨진 이중-벽 열가소성 파이프의 제조 시에, 중공 성형재는 파이프의 내경에 대응하는 드럼 또는 그와 같은 것의 둘레에 나선형으로 감겨지고, 중공 성형재의 인근 고리부는 공지된 방식으로 함께 접합된다. 그러한 방식으로 제조되는 파이프의 이점은 동일한 양의 재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솔리드 파이프(solid pipe)에 비하여 가볍고 링 강성(ring stiffness)이 우수하다는 것이다. 또한, 이중-벽 구조는 우수한 절연성을 파이프에 제공하고 파이프 벽 내에 나선형으로 뻗은 공동(cavity)을 통하여 가열 또는 냉각 유체가 흐를 수 있다.
종래의 나선형으로 감겨진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성형재의 공동은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그 직사각형의 모든 모서리는 동일한 크기의 라운딩 반경(rounding radius)으로 둥글게 되고 중공 성형재의 모든 벽은 대략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주로 유체의 무압 운송을 위한 이러한 파이프의 벽 구조는 토양 하중, 지하수, 교통량 하중과 같은 외부 하중을 견디도록 최적화된 것이지, 파이프 내의 내압이 상승되는 경우를 위한 것이 아니다. 즉, 상승된 내압은 파이프의 벽을 손상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나선형으로 감겨진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종래의 중공 성형재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나선형으로 감겨진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성형재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압에 견디는 파이프의 능력을 크게 향상시키는 중공 성형재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중공 성형재의 더 두꺼운 벽에 인접한 모서리의 내부 라운딩 반경이 공동의 두 개의 다른 모서리의 라운딩 반경보다 상당히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유리한 일 실시예에서, 파이프의 내벽을 성형하기 위한 본 발명 중공 성형재의 벽 두께는 벽의 중간부에서 가장 작고 이러한 벽 부근의 두 개의 중공 성형재 측부 모서리를 향하여 점차 커진다. 본 발명 중공 성형재의 다른 세 개의 벽은 바람직하게는 두께가 서로 동일하다.
내경이 1,200 mm인 파이프의 제조를 위한 중공 성형재의 더 두꺼운 벽의 최소 두께와 다른 벽들의 두께의 비는 바람직하게는 120:77이고, 더 두꺼운 벽 인근의 모서리의 내부 라운딩 반경은 바람직하게는 24 mm이다.
중공 성형재의 재료로서는, 폴리올레핀(polyolefin), 바람직하게는 고밀도-폴리에틸렌(HD-polyethylene)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사출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충전재(filler) 및/또는 강화제로 열가소성 물질을 보강함으로써 링 강성을 향상시키면서 내압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가압되지 않은 유체를 운반하는 나선형으로 감겨진 이중-벽 열가소성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어 온 종래의 직사각형 중공 성형재(1a)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성형재의 모든 벽(2, 3, 4, 5)은 대체로 두께가 동일하고 그 중공 공간(6)의 모든 모서리는 동일한 라운딩 반경으로 둥글게 처리되어 있다. 예를 들어, 내경이 1,200 mm인 나선형으로 감겨진 슬로핑 파이프(sloping pipe)의 제조를 위하여, 이러한 형태의 중공 성형재(1a)가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단면의 외부 폭은 93.8 mm이고 외부 높이는 75 mm이다. 중공 성형재(1a)의 중공 공간(6)의 각각의 모서리는 라운딩 반경이 6.7 mm이고, 나선형으로 감겨진 파이프의 내벽을 성형하기 위한 중공 성형재의 벽(2)은 두께가 6.5 mm이고 중공 성형재의 다른 벽(3, 4, 5)은 두께가 5.6 mm이다. 이러한 종류의 중공 성형재로 제조되는 나선형으로 감겨진 파이프는 유체와 같이 가압되지 않은 매질의 운송에 적합하나, 파이프 내에 더 큰 내압이 발생하는 가압 매질의 운송에는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성형재(1)에 의하여, 내압을 훨씬 더 잘 견디는 나선형으로 감겨진 파이프를 제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성형재(1)의 유리한 일 실시예의 단면을 도시한다. 이러한 중공 성형재(1)는 앞서와 동일한 크기의 내경을 갖는 나선형으로 감겨진 파이프의 제조를 위한 도 1에 도시된 중공 성형재(1a)와 외부 치수가 동일하다. 나선형으로 감겨진 파이프의 내벽을 성형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성형재의 벽(2)은 중공 성형재의 다른 벽(3, 4, 5)에 비하여 본질적으로 더 큰 두께를 가지며, 벽(2) 인근의 중공 공간(6)의 모서리의 라운딩 반경(7a)은 다른 두 모서리의 라운딩 반경보다 상당히 더 크고, 후자의 라운딩 반경은 도 1에 도시된 중공 성형재의 모든 라운딩 반경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유리한 실시예에 따르면, 벽(2)의 두께는 그 전체 폭에 걸쳐 일정하지 않은데 그 두께는 벽(2)의 중간부에서 가장 작고 벽(2) 인근의 중공 성형재의 두 모서리를 향하여 점차 커져서, 중공 성형재(1)의 공동은 이러한 두꺼운 벽(2)에서 대략 원호 형상의 단면을 가지게 된다. 내경이 1,200 mm인 나선형으로 감긴 파이프의 제조를 위해서는, 두꺼운 벽(2)의 최소 두께는 12 mm로 하고 중공 성형재(1)의 다른 벽(3, 4, 5)의 두께는 7.7 mm로 할 수 있다. 벽(2) 인근의 중공 공간(6)의 모서리에서의 라운딩 반경(7a)은 최소 24 mm가 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중공 성형재(1a, 1)들의 비교를 위하여, 파이프 내의 압력이 2 bar일 때 상기 두 개의 중공 성형재로 제조된 내경 1,200 mm의 나선형으로 감겨진 파이프들의 내벽에서 발생하는 내부 장력을 검사하였다. 비교 계산을 수행한 결과, 도 1의 중공 성형재로 제조된 파이프의 내벽에서의 최대 장력은 8 N/㎟이었고, 도 2의 중공 성형재로 제조된 파이프의 내벽에서의 최대 장력은 겨우 4 N/㎟였다. 검사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공 성형재에 의하여 파이프의 내압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6)

  1. 나선형으로 감겨진 이중-벽 열가소성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성형재(hollow profile)로서, 단면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이고 상기 파이프의 내벽을 성형하기 위한 중공 성형재의 벽(2)이 상기 파이프의 외벽을 성형하기 위한 중공 성형재의 벽(4)보다 더 두꺼운 중공 성형재(1)에 있어서,
    상기 중공 성형재의 상기 더 두꺼운 벽(2) 인근의 모서리의 내부 라운딩 반경(inner rounding radius)(7a)이 공동(6)의 다른 두 개의 모서리의 라운딩 반경(7)보다 상당히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재.
  2. 제1항에 있어서, 파이프의 내벽을 성형하는 중공 성형재의 벽(2)의 두께는 벽(2)의 중간부에서 최소이고 벽(2)의 인근에 위치하는 중공 성형재(1)의 두 개의 측부 모서리를 향하여 점차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재.
  3. 제2항에 있어서, 중공 성형재(1)의 다른 세 개의 벽(3, 4, 5)의 두께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재.
  4. 제3항에 있어서, 내경이 1,200 mm인 파이프의 제조를 위한 중공 성형재(1)에 있어서 상기 더 두꺼운 벽(2)의 최소 두께와 다른 벽(3, 4, 5)의 두께의 비는 120:77이고, 상기 더 두꺼운 벽(2) 인근의 모서리의 내부 라운딩 반경(7a)은 24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재.
  5.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polyolefin), 바람직하게는 고밀도-폴리에틸렌(PE-HD) 또는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사출성형 가능한 열가소성 물질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물질은 내압성과 링 강성(ring stiffness)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충전재(filler) 및/또는 강화제로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 성형재.
KR1020057015859A 2003-02-25 2004-02-23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성형재 KR101054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0275A FI115484B (fi) 2003-02-25 2003-02-25 Putken valmistuksessa käytettävä onteloprofiili
FI20030275 2003-02-25
PCT/FI2004/000078 WO2004076903A1 (en) 2003-02-25 2004-02-23 Hollow profil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pip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5252A true KR20050105252A (ko) 2005-11-03
KR101054059B1 KR101054059B1 (ko) 2011-08-04

Family

ID=856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5859A KR101054059B1 (ko) 2003-02-25 2004-02-23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성형재

Country Status (29)

Country Link
US (1) US7770604B2 (ko)
EP (1) EP1597505B1 (ko)
JP (1) JP4498350B2 (ko)
KR (1) KR101054059B1 (ko)
CN (1) CN100337057C (ko)
AR (1) AR043371A1 (ko)
AT (1) ATE358795T1 (ko)
AU (1) AU2004215196B9 (ko)
CA (1) CA2517159C (ko)
CY (1) CY1106696T1 (ko)
DE (1) DE602004005680T2 (ko)
DK (1) DK1597505T3 (ko)
ES (1) ES2283989T3 (ko)
FI (1) FI115484B (ko)
HR (1) HRP20050838B1 (ko)
IS (1) IS2401B (ko)
MA (1) MA27821A1 (ko)
MY (1) MY134419A (ko)
NO (1) NO337468B1 (ko)
PE (1) PE20040745A1 (ko)
PL (1) PL205613B1 (ko)
PT (1) PT1597505E (ko)
RS (1) RS20050641A (ko)
RU (1) RU2330206C2 (ko)
SI (1) SI1597505T1 (ko)
TN (1) TNSN05179A1 (ko)
UA (1) UA82688C2 (ko)
WO (1) WO2004076903A1 (ko)
ZA (1) ZA2005067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060229A1 (it) * 2006-03-31 2007-10-01 Ferrari Spa Telaio metallico di una automobile composto da elementi estrusi.
FI122388B (sv) 2010-01-22 2011-12-30 Kwh Pipe Ab Oy Ihålig profil som används vid rörtillverkning
KR20140015257A (ko) * 2010-09-02 2014-02-06 아카솔 게엠베하 냉각 모듈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냉각 모듈
UA115587C2 (uk) 2015-10-09 2017-11-27 Олександр Миколайович Березін Спіральношовний полімерний виріб із стільниковою стінкою (варіанти) та довгомірний порожнистий термопластичний профіль для його виробництва
US10948108B2 (en) * 2017-05-02 2021-03-16 Unison Industries, Llc Turbine engine duct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027A (en) * 1884-04-01 Coupling
US1928009A (en) * 1927-12-27 1933-09-26 Firm Dornier Metallbauten G M Hollow metal beam
US1859259A (en) * 1929-07-08 1932-05-17 Chamberlain Electrical wiring conduit
US1960557A (en) * 1931-04-22 1934-05-29 Tube Turns Inc Pipe fitting
US3451434A (en) * 1965-10-21 1969-06-24 Eugene C Bauer Jr Nonuniform wall pipe
GB1178685A (en) * 1966-01-27 1970-01-21 Redland Pipes Ltd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lastics Pipe
DE1801536A1 (de) * 1968-10-05 1971-01-21 Telefunken Patent Biegsamer Hohlleiter
DE2308418B2 (de) * 1972-06-21 1976-04-08 Petzetakis, Aristovoulos George, Moschaton, Piräus (Griechenlan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herstellen eines insbesondere grosskalibrigen rohre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3941157A (en) * 1974-07-24 1976-03-02 Barnett Louis H High strength multiple passageway plastic conduit
US4729409A (en) * 1980-10-07 1988-03-08 Borg-Warner Corporation Hexagonal underground electrical conduit
FI87318C (sv) * 1991-06-14 1992-12-28 Kwh Pipe Ab Oy Förfarande för skarvning av spirallindade termoplaströr
JP3393273B2 (ja) * 1995-01-19 2003-04-07 金尾 茂樹 内外面平滑合成樹脂管とその製造方法
JP3403290B2 (ja) * 1996-03-22 2003-05-06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軸方向の圧縮特性に優れたフロントサイドメンバー用Al合金押出角管
US6105649A (en) * 1998-09-30 2000-08-22 Jerry C. Levingston Pipe extrusion apparatus including winding a hollow profile
FI107405B (sv) * 1999-02-03 2001-07-31 Kwh Pipe Ab Oy Förfarande för skarvning av spirallindade rör
FI107522B (sv) * 1999-11-03 2001-08-31 Kwh Pipe Ab Oy Förfarande och anordning för framställning av spirallindat rö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040745A1 (es) 2004-12-16
HRP20050838A2 (en) 2005-10-31
TNSN05179A1 (en) 2007-06-11
IS2401B (is) 2008-09-15
EP1597505A1 (en) 2005-11-23
CY1106696T1 (el) 2012-05-23
NO337468B1 (no) 2016-04-18
CA2517159A1 (en) 2004-09-10
RS20050641A (en) 2007-11-15
FI20030275A0 (fi) 2003-02-25
ES2283989T3 (es) 2007-11-01
DE602004005680T2 (de) 2007-12-27
AR043371A1 (es) 2005-07-27
JP2006518681A (ja) 2006-08-17
DK1597505T3 (da) 2007-07-30
JP4498350B2 (ja) 2010-07-07
ATE358795T1 (de) 2007-04-15
PT1597505E (pt) 2007-07-03
ZA200506713B (en) 2006-12-27
IS8027A (is) 2005-09-15
FI115484B (fi) 2005-05-13
US20060225804A1 (en) 2006-10-12
RU2005129718A (ru) 2006-01-27
CA2517159C (en) 2012-02-07
PL378137A1 (pl) 2006-03-06
MY134419A (en) 2007-12-31
DE602004005680D1 (de) 2007-05-16
NO20054332L (no) 2005-09-20
CN1748105A (zh) 2006-03-15
SI1597505T1 (sl) 2007-08-31
RU2330206C2 (ru) 2008-07-27
EP1597505B1 (en) 2007-04-04
FI20030275A (fi) 2004-08-26
UA82688C2 (uk) 2008-05-12
MA27821A1 (fr) 2006-04-03
AU2004215196B9 (en) 2010-02-04
AU2004215196B2 (en) 2009-09-10
CN100337057C (zh) 2007-09-12
US7770604B2 (en) 2010-08-10
HRP20050838B1 (en) 2012-03-31
PL205613B1 (pl) 2010-05-31
AU2004215196A1 (en) 2004-09-10
WO2004076903A1 (en) 2004-09-10
KR101054059B1 (ko) 2011-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7232A (en) Doubled-walled corrugated synthetic resin pipe
CN106015769A (zh) 双层桁架双色复合管
KR101054059B1 (ko) 파이프의 제조에 사용되는 중공 성형재
US8663767B2 (en) Hollow profile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pipe
JPH03213788A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製の大口径の管
CN219866927U (zh) 一种嵌入型增强聚乙烯缠绕复合管
KR200381548Y1 (ko) 다단형 이중 격실을 갖는 피이 이중 하수관
KR200339776Y1 (ko) 내/외압 강도를 향상시키는 합성수지관
KR100466275B1 (ko) 홈조인트식 복층관
KR200325937Y1 (ko) 이중관 공간내에 아이형 보강부를 가진 소켓 일체형 피이이중관
JP4744399B2 (ja) 合成樹脂管
KR20060001947A (ko) 내구성이 강화된 합성수지 다중벽관
KR20130040632A (ko) 합성수지관
KR20050038991A (ko) 내/외압 강도를 향상시키는 합성수지관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11554A (ko)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봉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