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5538B1 -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5538B1
KR100565538B1 KR1020040043551A KR20040043551A KR100565538B1 KR 100565538 B1 KR100565538 B1 KR 100565538B1 KR 1020040043551 A KR1020040043551 A KR 1020040043551A KR 20040043551 A KR20040043551 A KR 20040043551A KR 100565538 B1 KR100565538 B1 KR 100565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mall
tube
roller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8428A (ko
Inventor
이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폴리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폴리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폴리텍
Priority to KR1020040043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5538B1/ko
Publication of KR20050118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84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19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shaping by flattening, folding or be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6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followed by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00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4Heating or cooling
    • B29C53/845Heating or cooling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관 및 전선용관 등으로 사용되는 이중벽 관 성형 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측에 구비된 소형관 성형장치 전면에 소형관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지주입관과 연결된 피복기와, 상기 피복기로 부터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소형관을 감는 성형롤러와, 상기 성형롤러에 감기는 소형관을 일측으로 가압 안내하도록 설치된 밀착롤러와, 상기 성형롤러에 나선형으로 감긴 소형관과 소형관의 접합 이음부를 가압하도록 설치된 압착롤러와, 상기 성형롤러 일측에 냉각수를 분사시킬 수 있도록 일측에 냉각노즐이 형성된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피복기를 이용하여 소형관을 피복 함으로서, 이중 벽을 갖는 관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피복기에 공급되는 수지에 안료를 혼합하여 소형관을 형성함으로서 하수관, 오수관, 우수관, 상수관, 전선관, 가스관 등의 관로에 따라 적합한 색상를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관, 피복기, 소형관, 성형롤러

Description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system manufacture and method manufacturing tube wall duplex High-in-tensity}
도1은 종래의 이중벽 관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관 성형장치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관 성형장치 정면 구성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관의 소형관 피복기 단면구성도.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의 이중벽을 구성하는 소형관 외면에 피복층이 구성된 종단면도.
도5b는 도5a의 피복층을 갖는 소형관을 하수관 또는 전선관등으로 성형시 이중벽 연결구성 단면도.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또는 전선관등의 이중벽을 구성하는 소형관 4면중 3면에 피복층이 구성된 종단면도.
도6b는 도6a의 피복층을 갖는 소형관을 하수관 또는 전선관으로 성형시 이중벽 연결구성 단면도.
도7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또는 전선관등의 이중벽을 구성하는 소형관 외면과 일측면 1곳에만 피복층이 구성된 종단면도.
도7b는 도7a의 피복층을 갖는 소형관을 하수관 또는 전선관으로 성형시 이중 벽 연결구성 단면도.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형성된 하수관 또는 전선관으로 사용되는 이중벽 관의 일부 절결단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피복기 11:수지주입관
12:피복홈 13:성형롤러
14:밀착롤러 15:압착롤러
16:회전롤러 17:지지봉
18:쇼버 19:수지
20:이중벽 관 21:냉각노즐
30:소형관
본 발명은 하수관 및 전선용관 등으로 사용되는 이중벽 관 성형 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직경이 큰 하수관, 오수관, 우수관, 상수관, 전선관 등을 성형시 소형관을 수지액으로 피복시켜 성형롤러를 이용하여 관을 형성하되 소형관과 소형관이 접착되는 이음부에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접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외면이 평활하고 관의 사용 관로에 따라서 외면에 색상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된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하수관 배수관 전선관으로 이용되는 이중벽관이 제공되었으나 기존의 이중벽 관(200)은 도1과 같이 소형관으로 이루어진 파이프부재(300)를 롤러성형기로 성형시 파이프부재(300)와 파이프부재(300)가 나선형으로 연결되는 이음부에 보강부재를 주입시켜 파이프부재(300)와 파이프부재(300)를 연결하여 직경이 큰 대형관을 제작하였다.
상기와 같이 대형관을 제작시 소형관으로 제작된 파이프부재는 이미 소정의두께로 형성된 후 나선형으로 연결되는 이음부에 수지형태의 접착제(190)를 사용하여 대형관을 성형함으로서 대형관 성형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즉, 관의 이중벽을 형성하는 파이프부재(300)가 소정의 하중에 견디도록 고강도로 형성하기 위해 소형관의 파이프부재 두께를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도록 한번에 성형함으로서, 대형관을 성형시 성형롤러에 파이프부재를 나선형으로 감기 위한 취급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나선형의 이음부에 고강도 접착수지를 주입시켜 경화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어 작업이 고난이도의 작업을 요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특0136249호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및 장치"는 관을 이루는 합성수지 지면을 따라서 나선형의 중공부가 연속하여 형성되고, 강도가 향상되도록 중공부 사이가 l형 빔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공부를사이에 두고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이는 소형관이 나선형으로 권선되는 성형롤러 내측과 외측에 노즐을 각각 형성하여 소형관과 소형관이 연결되는 이음부 내외면에서 수지 접착제를 분사시켜 평활관을 제작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등록특허공보 특0136249호는 관을 제작하기 위한 설비가 복잡하고 이 역시 소형관을 소정의 두께로 완전히 형성해야 함으로 이음부에 분사되는 접착 수지의 낭비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기존의 이중벽 관은 외면에 형성되는 색상이 한가지 또는 두가지의 색상이 도출된다. 즉, 소형관을 검정색으로 하고 이음부에 분사되는 접착수지의 색상을 힌색으로 할 경우와 소형관과 이음부에 분사되는 접착수지를 검정색으로 하는 경우의 예를 들수 있다.
현재 사용되는 하수관, 전선관, 배수관, 우수관, 상수도관, 가스관 등으로 사용되는 이중벽 관은 사용용도의 관로에 따라서 관의 외면 색상을 달리할 경우에는 상기에서 예시한 기존의 실시예에 의해 관의 외면에 색상을 형성할 경우 검정색은 차이가 없으나 회색, 노란색, 파란색, 주황색 등의 단일 색상으로 형성할 경우, 이음부와 소형관의 색상을 동일한 색상으로 형성하더라도 반드시 명도의 차이가 발생되어 얼룩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통상적으로 합성수지에 색상의 안료를 혼합하여 관을 성형할 경우 당시의 성형온도와 시간에 따라서 색상의 명암차이가 발생되므로 소형관의 색상과 이음부의 색상이 서로 다른 압출기와 노즐에서 성형 및 분사 됨으로 색상을 동일하게 제작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기존에는 외면에 동일한 색상이 표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형관을 제작하는 압출 성형기의 원료수지에 안료를 혼합하게 됨으로 관의 내외면 전체에 색상이 표출되어 내면과 외면을 분리하여 색상을 표출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피복기를 이용하여 소형관을 수지로 피복시켜 이중 벽을 갖는 관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제1목적으로 하고, 제2목적으로는 피복기에 공급되는 원료수지에 안료를 혼합하여 소형관을 형성함으로서 하수관, 오수관, 우수관, 상수관, 전선관 등의 관로에 따라 적합한 색상를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공의 소형관을 압출기로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소형관을 성형롤러로 나선형으로 감는단계와, 상기 나선형으로 감기 소형관과 소형관의 이음부에 접착수지를 분사시켜 직경이 큰 이중벽 관을 형성하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중공의 소형관을 압출기로 1∼5㎜의 벽체 두께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소형관을 수지주입관이 연결된 피복기를 통과시켜 외면부에 1∼5㎜의 두께로 피복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피복된 중공의 소형관을 성형롤러에 나선형으로 촘촘히 감는 단계와;
상기 성형롤러에 감기는 소형관을 밀착롤러으로 밀어 이음부를 접합하고 타 측에 설치된 압착롤러로 이음부의 외면이 평활하도록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소형관과 소형관이 접합된 이음부에 냉각노즐로 냉각수를 분사시켜 냉각하는 단계가 연속적으로 이루어져 고강도 이중벽 관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이중벽 관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별도의 성형장치로 중공의 소형관을 성형하고 성형된 소형관을 성형롤러에 나선형으로 감아 이음부를 접착하는 이중 벽 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구비된 소형관(30) 압출 성형장치 전면에 소형관(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지주입관(11)과 연결된 피복기(10)와;
상기 피복기로 부터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소형관(30)을 감는 성형롤러(13)와;
상기 성형롤러(13)에 감기는 소형관을 일측으로 가압하도록 좌우이동되게 성형롤러 일측에 설치된 밀착롤러(14)와;
상기 성형롤러에 나선형으로 감긴 소형관과 소형관의 이음부 외면을 가압하도록 성형롤러 일측에 설치된 압착롤러(15)와;
상기 접합 이음부와 소형관을 경화시킬 수 있도록 성형롤러 일측에 냉각노즐(21)이 형성된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복기는 내벽 4면에 수지주입관과 연결되도록 피복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복기는 내벽 3면에 수지 주입관과 연결되도록 피복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복기는 내벽 2면에 수지 주입관과 연결되도록 피복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조방법 및 제조 장치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소형관을 성형하기 위해 일측에 구비된 통상의 호퍼에 수지원료를 투입하여 원료수지가 용융되도록 히터가 설치된 압출성형기로 공급한다.
상기 압출성형기로 공급된 원료수지는 압출성형기에서 가열되어 액상으로 용융된다. 이상은 통상적인 소형관 성형방법 및 제조장치이므로 도면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상기와 같이 수지액통에서 액상으로 용융된 수지액은 소형관 성형틀(도시없음)을 통과하면서 사각형관 형태의 소형관으로 성형된다.
상기 성형되는 소형관(30)은 완전히 경화된 상태는 아니며 사각관 형상을 취하고 외면은 열이 식지 않은 상태로 전면에 설치된 피복기(10)로 인입되어 외면에 1∼5㎜의 두께로 수지(19)가 피복된 후 성형롤러(13)에 나선형태로 권선된다.
상기 피복기로 인입되는 소형관은 압출성형기에서 압출시 통상의 소형관보다 두께가 1∼5㎜ 정도 얇게 1차 성형한다.
상기 압출성형기에서 1차 얇게 성형된 소형관(30)은 피복기(10)에 인입된 후 내부면에 형성된 피복홈(12)에 충입된 수지(19)에 의해 외면에 1∼5㎜의 두께로 수 지가 피복되어 소형관의 두께를 보강한다.
상기 피복기(10) 내면에 형성된 피복홈(12)에는 상부에 위치한 수지주입관과 연결되어 별도의 압출성형기에서 수지액이 용융되어 수지주입관을 통하여 공급되고 피복기의 피복홈(12) 내부를 지나는 소형관 외면에 수지액이 1∼5㎜의 두께로 피복되어진다.
즉, 본 발명에서 실시되는 소형관은 1차성형시 통상의 소형관 보다 두께가 얇게 성형된다. 일 예로 높이30㎜, 넓이26㎜의 외경을 갖는 소형관 벽두께가 4㎜라고 가정할 경우 본 발명에서는 1차 소형관을 성형시 외경의 높이 28㎜, 넓이 24㎜와 벽체의 두께를 2㎜로 형성하여 압출한 다음 피복기에서 수지액을 2㎜를 피복시키면 피복기에서 인출되는 소형관의 외경은 높이30㎜, 넓이26㎜와 벽체 두께 4㎜를 갖는 소형관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소형관은 경화되기 전에 통상의 성형롤러(13)에 나선형으로 권선되어 직경큰 하수관, 오수관, 우수관, 전선관, 상수관 등으로 사용되는 이중벽을 갖는 관을 성형할 수 있다.
상기 피복기에서 인출되는 소형관이 성형롤러에 감길때 성형롤러 일측에는 지지봉(17)이 연결된 밀착롤러(14)가 설치되어 감기는 소형관 일측면을 밀게되므로 소형관은 나선형으로 감기면서 소형관과 소형관의 이음부가 접착된다.
이때 소형관은 피복기에서 인출되는 동시에 성형롤러에 나선형으로 감기게 되므로 소형관 외면에 피복된 수지가 경화된 상태가 아니므로 소형관과 소형관이 접촉되는 이음부가 별도의 수지를 분사시키지 않더라도 접착된다.
상기 밀착롤러(14)은 지지봉(1)에 의해 성형롤러 상에서 좌우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소형관이 감기는 위치에 따라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성형롤러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소형관의 이음부는 타측에 설치된 압착롤러(15)에 의해 외면이 평활하도록 마감처리되어 성형되는 이중벽관의 외면이 판판하고 매끄럽게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첨부되는 도면 도 5a 내지 도7b의 도시에서는 소형관과 소형관이 접합되는 이음부가 선으로 표기되어 있으나 성형롤러에서 피복된 소형관을 감은 다음 외면에서 압착롤러가 가압하고 내면에소는 회전롤러(16)이 대응된 상태이므로 실제의 물품에서는 일체의 재질로 나타나 이음부에 선이 도8과 같이 보이지 않는 것이나 도면 도시상 이음부와 소형관, 수지 피복부를 표현하기 위해 선을 표기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중벽 관은 성형시 일측에 설치된 한개 이상의 냉각노즐(21)에 의해 냉각수가 분사되어 성형되는 관을 냉각시켜 경화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이중벽 관은 피복기(10) 내부에 형성되는 피복홈(12)의 깊이에 따라서 소형관의 두께를 작게 또는 크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복기(10)의 내면에 형성되는 피복홈을 내벽 4면에 형성할 수도 있고, 또는 내벽 3면 또는 내벽 2면에만 형성하여 수지의 피복이 피복기를 통과하는 소형관 외면 전부에 피복할 수도 있고, 또는 3면이나 2면만 피복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소형관의 외면에 피복되는 면을 선택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피복기를 교체사용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관 성형장치 구성도로서, 1차 성형되는 중공의 소형관을 피복기에 인입시켜 성형하고자 하는 하수관, 오수관, 우수관, 상수관, 전선관 등의 이중벽 관(20) 벽체 두께로 수지를 피복한다.
이때 피복기로 공급되는 수지액통에 안료를 혼합하여 이중벽관 외면에 원하는 색상을 표출시킬 수 있다.
상기 피복기를 통과한 소형관(30)은 성형롤러(13)에서 나선형으로 감긴다. 이때 성형롤러에 감기는 소형관은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지지봉(17)을 갖는 밀착롤러(14)가 설치되어 나선형으로 감기도록 안내하는 동시에 소형관의 이음부가 접착되도록 안내하며, 타측에는 쇼버(18)에 연결된 압착롤러(15)가 소형관의 외면을 가압하여 평활하게 한다.
상기 압착롤러는 쇼버(18)에 의해 지지되며 쇼버는 통상의 신축성을 갖는 쇼버를 사용하였으며, 쇼버는 압착롤러(15)가 관체에 대응시 압력에 대한 탄성을 갖고 가압되도록 지지한다.
또한 성형롤러 일측에는 한개 이상의 냉각노즐(21)이 설치되어 성형되는 이중 벽 관을 냉각수로 냉각시켜 경질관으로 형성한다.
상기 성형롤러는 다수의 소형 회전롤러(16)가 원통형으로 설치되어 소형관(30)이 감기도록 하였으며, 소형관은 압착롤러에 의해 외면이 판판하게 형성되는 동시에 일측으로 밀리면서 직경이 큰 관으로 형성될 때 회전롤러(16)가 회전 되면서 성형되는 이중벽 관을 연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성형롤러는 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것을 사용하였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관 성형장치 정면 구성도로서, 성형롤러의 주변에 설치되는 피복기(10), 밀착롤러(14), 압착롤러(15), 냉각노즐(21)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피복기는 그 형상 모양이 도시된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여러가지 형상으로 형성하여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벽 관의 소형관 피복기 단면구성도로서, 피복기 내벽에 피복홈(12)이 형성되어 수지주입관과 연결되어 수지를 충입하도록 함으로 피복기를 통과하는 소형관을 피복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피복기의 내벽에 형성되는 피복홈의 깊이는 필요에 따라서 1㎜∼5㎜ 이상으로 형성하여 피복층을 두껍게 할 수 있으나, 특별한 경우 이외에는 1㎜∼5㎜범위 내에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복홈 깊이를 1㎜∼5㎜로 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이중벽 관을 형성하는 소형관의 벽체두께에 피복되는 두께를 나타낸 것으로 소형관의 직경크기에 따라서 피복되는 두께가 달라질 수 있으며, 이에 피복홈 역시 대응되도록 깊이가 형성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피복되는 수지는 소형관의 이음부를 접착하는 수단과 소형관의 두께를 크게 형성하는 수단등으로 사용된다.
도5a는 본 발명에 따른 관의 이중벽을 구성하는 소형관 외면에 피복층이 구 성된 종단면도로서, 상기 피복기에서 생산된 소형관을 종단면으로 표기하였으며, 도5b는 도5a의 피복층을 갖는 소형관을 하수관 또는 전선관등으로 성형시 이중벽 연결구성 단면도로서, 소형관과 소형관이 연결된 상태를 일부 발취하여 횡단면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5a와 도5b는 피복기(10)의 내벽에 형성되는 피복홈(12)을 4면에 형성하여 소형관 사각외면에 전부 수지가 피복되도록 한것이다.
도6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또는 전선관등의 이중벽을 구성하는 소형관 사면중 삼면에 피복층이 구성된 종단면도 이고, 도6b는 도6a의 피복층을 갖는 소형관을 하수관 또는 전선관으로 성형시 이중벽 연결구성 단면도로서, 피복기의 피복홈(12)을 소형관의 외면부와 양측면부에 해당하는 내벽의 3면에만 피복홈(12)을 형성하여 성형되는 이중벽 관의 외면과 이음부에만 피복수지가 위치하고 내면에는 피복되지 않도록 된 실시 예를 나타낸것이다.
도7a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또는 전선관등의 이중벽을 구성하는 소형관 외면과 일측면에 피복층이 구성된 종단면도이고, 도7b는 도7a의 피복층을 갖는 소형관을 하수관 또는 전선관으로 성형시 이중벽 연결구성 단면도로서, 소형관의 외면과 일측 한 곳에만 수지가 피복되도록 피복기의 내벽 2면에만 피복홈(12)을 형성하여 소형관에 수지가 피복되도록 함으로서 수지 원료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형성된 하수관 또는 전선관의 단면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제조장치로 제조된 이중벽을 갖는 관을 일부 절개 사시 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피복기를 설치하여 소형관의 사면 또는 삼면, 이면만을 선택적으로 수지를 피복할 수 있으며, 더불어 피복기에 공급되는 수지에 안료를 혼합하여 색상을 이중벽 관 외면에만 형성되도록 하였으며, 설치되는 하수관, 오수관, 우수관, 상수관, 배수관, 전선관등의 관 종류에 따라서 그 관로에 따라 색을 구분할 수 있도록 적합한 안료를 혼합하여 색상을 표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피복기를 이용하여 소형관을 피복함으로서 이중 벽을 갖는 관의 두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며, 피복기에 공급되는 수지에 안료를 혼합하여 소형관을 형성함으로서 하수관, 오수관, 우수관, 상수관, 전선관 등의 관로에 적합한 색상를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소형관과 소형관을 별도의 접착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소형관에 피복되는 수지를 이용하여 이음부를 접착함으로서 수지의 원료를 절감할 수 있게된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5)

  1. 중공의 소형관을 성형한 다음 상기 성형된 소형관을 성형롤러로 나선형으로 감는 단계와, 상기 나선형으로 감기는 소형관과 소형관의 이음부에 접착수지를 분사시켜 직경이 큰 이중벽 관을 형성하는 제조 방법에 있어서,
    중공의 소형관의 벽체를 1∼5㎜의 두께로 성형하는 단계와;
    상기 성형된 소형관을 수지주입관이 연결된 피복기를 통과시켜 외면부에 1∼5㎜의 두께로 피복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피복된 중공의 소형관을 성형롤러에 나선형으로 촘촘히 감는 단계와;
    상기 성형롤러에 감기는 소형관을 밀착롤러으로 밀어 이음부를 접합하고 타측에 설치된 압착롤러로 이음부의 외면이 평활하도록 가압하는 단계와;
    상기 소형관과 소형관이 접합된 이음부 일측에 설치된 냉각 노즐을 통하여 냉각수로 이중벽 관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2. 별도의 압출 성형장치로 중공의 소형관을 성형하고 성형된 소형관을 성형롤러에 나선형으로 감아 이음부를 접착하는 이중벽 관 성형장치에 있어서,
    일측에 구비된 소형관(30) 압출성형기 전면에 소형관(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수지주입관(11)과 연결된 피복기(10)와;
    상기 피복기로 부터 소정의 두께로 피복된 소형관(30)을 감는 성형롤러(13)와;
    상기 성형롤러(13)에 감기는 소형관을 일측으로 가압하도록 좌우이동되게 설형롤러 일측에 설치된 밀착롤러(14)과;
    상기 성형롤러에 나선형으로 감긴 소형관과 소형관의 접합부를 가압하도록 성형롤러 일측에 설치된 압착롤러(15)와;
    상기 접합부와 소형관이 경화되도록 성형롤러 일측에 냉각노즐(2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기는 내벽 4면에 수지주입관과 연결되록 피복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기는 내벽 3면에 수지 주입관과 연결되도록 피복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기는 내벽 2면에 수지 주입관과 연결되도록 피복홈(1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 장치.
KR1020040043551A 2004-06-14 2004-06-14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565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551A KR100565538B1 (ko) 2004-06-14 2004-06-14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3551A KR100565538B1 (ko) 2004-06-14 2004-06-14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428A KR20050118428A (ko) 2005-12-19
KR100565538B1 true KR100565538B1 (ko) 2006-03-30

Family

ID=3729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551A KR100565538B1 (ko) 2004-06-14 2004-06-14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55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210B1 (ko) * 2006-12-04 2007-09-14 미래화학 주식회사 이중벽 하수관의 전선관 일체형 프로파일 및 그 제조장치
CN106363897B (zh) * 2016-08-30 2018-06-01 安徽省中阳管业有限公司 一种便于调节孔径的缠绕管模具
KR102488172B1 (ko) * 2021-12-24 2023-01-19 주식회사 그린피앤피 이중벽 하수관용 성형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중벽 하수관 제조설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8428A (ko) 2005-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7327B1 (ko) 이중벽 및 복층벽 합성수지 하수관의 제조방법
CN101003173A (zh) 有二层聚合物层的钢塑复合管生产方法及装置
KR100565538B1 (ko) 고강도 이중벽 관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1932418A (zh) 模制方法和设备
KR100533366B1 (ko) 열선이 매입된 합성수지관용 연결관 및 그 제조방법
US20090096131A1 (en) Method of making a composite product
KR200255575Y1 (ko) 합성수지 이중벽관
CN102338249B (zh) 一种钢塑复合排水管及生产方法
KR101160052B1 (ko) 합성수지제 프로파일관
KR100278849B1 (ko) 보강층을 갖는 합성수지 나선형 중공관 및 제조방법
KR100422901B1 (ko) 합성수지 이중벽 평활관의 제조방법
KR200231581Y1 (ko) 합성수지 삼중벽 평활관
KR100311687B1 (ko)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37088B1 (ko) 강도를 향상시킨 이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방법
KR102314376B1 (ko) 이종재질로 구성된 이중벽관 제조방법
KR100573318B1 (ko) 적층 프로파일관으로 제조된 합성수지 이중벽관, 그 제조방법 및 제조 장치
KR100460701B1 (ko) 이중 프로파일관을 이용하여 제조한 합성수지 이중벽관
KR200448798Y1 (ko) 피복형 고강성 하수관
KR101057634B1 (ko) 복합 단면 구조를 이루는 코러게이트 합성 수지관
KR102319639B1 (ko) 이종재질로 구성된 이중벽관 제조장치
KR101398324B1 (ko) 차수벽 다중관 제조방법 및 그 차수벽 다중관
KR200364327Y1 (ko) 합성수지제 이중벽 하수관 및 그 제조장치
KR100492477B1 (ko) 지중매설용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제조방법
CN205781476U (zh) 一种整体钢塑复合加筋管
KR101690529B1 (ko) 격벽이 형성된 물막이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