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996B1 -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996B1
KR100491996B1 KR10-2003-0056697A KR20030056697A KR100491996B1 KR 100491996 B1 KR100491996 B1 KR 100491996B1 KR 20030056697 A KR20030056697 A KR 20030056697A KR 100491996 B1 KR100491996 B1 KR 100491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uxiliary heating
heating device
electrode plate
ptc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6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8535A (ko
Inventor
김상규
Original Assignee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56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996B1/ko
Publication of KR20050018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8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9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54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air heaters
    • F24H9/1863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F24H9/1872PT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F24H3/0429For vehicles
    • F24H3/0452Frame constructions
    • F24H3/0464Two-piece frames, e.g. two-shell frames, also including frames as a central body with two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 B60H1/03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 source other than the propulsion plant from the cooling liquid of the propulsion plant and from an electric heating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4Positive or negative temperature coefficients, e.g. PTC, N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설비의 공기이동통로상에 PTC소자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자동차 엔진이 과열되지 않았을 때에도 자동차 실내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는, 자동차 공기조화설비의 공기이동통로상에서 에어컨의 증발기와, 엔진의 열을 이용한 히터의 열교환유닛과 함께 설치되어, 엔진 냉각수가 가열되기 전까지 자동차 실내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보조 난방장치에 있어서, 알루미늄 재질의 전면판체와, 상기 전면판체와 면접하는 PTC소자와, 상기 PTC소자와 면접하는 제 1전극판과, 상기 전면판체와 PTC소자와 전극판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한 프레임 및, 상기 전극판과 프레임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한 다수개의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최하단 일측에 고정되는 제 2전극판 및, 전극판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용 베이스;를 포함하여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는 엔진을 과열시키기 위해 공회전하지 않아도 되므로 연료절약의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heat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공기조화설비의 공기이동통로상에 PTC소자를 이용한 가열장치를 설치하여 전원의 공급과 동시에 자동차 실내로 온풍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엔진이 과열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아도 되는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실내를 난방, 또는 냉방시키기 위한 공기조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 1 도와 제 2 도는 냉기 및 난기를 자동차 각 부에 골고루 이송시키기 위한 통풍계통 및 통풍경로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어컨의 증발기에서 발생된 냉기, 또는 엔진에서 발생한 난기는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되어 자동차 실내 각부를 냉방, 또는 난방시키게 된다.
즉, 여름철등 실내의 온도를 낮추는 냉방의 경우에는 에어컨을 동작시켜 냉기를 토출시키고, 겨울철등 실내의 온도를 높이야 난방의 경우에는 엔진의 과열 방지를 위해 엔진 내부를 순환하여 가열된 냉각수를 송풍기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외부공기와 열교환시켜 차량내의 곳곳에 배치된 토출구를 통해 온기를 공급하도록 한다.
엔진에서 발생되는 열은 실린더 내에서 연료가 연소되면서 발생하게 되며, 이때 발생되는 연소가스의 온도는 대략 2000℃~2500℃ 정도로서 엔진을 구성하는 부품들을 손상시키게 되므로, 엔진 효율을 감안하여 적당한 엔진의 온도, 즉 냉각수의 순환에 의해 엔진의 온도를 대략 80℃~90℃정도로 유지하고 있다.
이렇게 엔진과 열교환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실내를 난방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바람직하기는 하나, 초기 시동 이후에 엔진이 과열되기까지의 시간이 경과해서야 가열된 냉각수를 이용하여 자동차 실내의 난방이 가능해진다.
이때문에, 겨울철에는 탑승즉시 난방을 하기 위하여 주행전 장시간 엔진을 공회전시키는데, 이로인해 환경오염과 연료과소비 및 차량 소음에 의한 불편함이 있다.
그래서 제안된 해결방안으로 냉각수의 가열되기 전까지 열선 코일로 된 보조 히터에서 따뜻한 공기를 형성하여 실내로 송풍하는 보조 히터 시스템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선 코일을 이용한 보조히터 방식은 열선코일의 발열량이 커 난방효과가 크지만 화재의 위험이 높고, 전열선의 수명이 짧으며, 부품의 수리 또는 교환을 자주해주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겨울철 자동차의 엔진이 가열되기 전에 자동차 실내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화재의 위험이 적고,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저항온도계수(正抵抗溫度係數)를 가진 정특성 서미스터(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thermistor, 이하 'PTC소자'라 함)를 이용한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는 유효적절한 갯수의 가열부를 배치하고 여기에 다수개의 방열판을 고정시켜 열교환효율이 우수한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에도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는, 자동차 공기조화설비의 공기이동통로상에 에어컨의 증발기와, 가열된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히터의 열교환유닛과 함께 설치되어, 엔진 냉각수가 가열되기 전까지 자동차 실내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보조 난방장치에 있어서, 알루미늄 재질의 전면판체와, 상기 전면판체와 면접하는 PTC소자와, 상기 PTC소자와 면접하는 제 1전극판과, 상기 전면판체와 PTC소자와 전극판을 수용하는 수용홈을 형성한 프레임 및, 상기 전극판과 프레임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형성한 다수개의 방열판;과, 상기 방열판의 최하단 일측에 고정되는 제 2전극판 및, 전극판 삽입홈이 형성된 고정용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상기 가열부는 전면판체와 단자사이에 개재되는 PTC소자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PTC소자에 대응하는 삽입공을 형성한 안내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상기 가열부의 프레임 하단 양측에 고정편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에 상기 프레임의 고정편에 대응하는 고정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상기 가열부의 전면판체와 PTC소자와 절연판 및 프레임에 각각 체결통공을 형성하고, 이 체결통공으로 너트와 볼트등의 체결부재로 각 부재들을 체결하되, 프레임측의 통공으로 볼트절연부를 삽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상기 방열판은 다수배치되는 가열부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의 연부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며, 양단에 간격유지턱을 절곡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상기 방열판은 다수배치되는 가열부에 각각 삽입되도록 중앙에 하나의 삽입공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의 연부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며, 양단에 간격유지턱을 절곡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상기 방열판은 삽입공의 연부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된 절곡부를 형성하고, 판상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루버를 비스듬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상기 방열판은 다수배치되는 가열부에 다단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방열판의 루버는 홀수단에 배치되는 방열판의 루버와 짝수단에 배치되는 방열판의 루버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상기 삽입공의 절곡부는 판면으로부터 85°기울어지게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사시도이며, 도 3a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가열부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방열판의 발췌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는 크게 가열부(110)와 방열판(120) 및 베이스(14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열부(110)는 알루미늄 재질의 전면판체(111)와, 상기 전면판체(111)와 면접하는 PTC소자(112)와, 상기 PTC소자(112)와 면접하여 플러스 전위를 공급하기 위한 제 1전극판(113)과, 상기 전면판체(111)와 PTC소자(112)와 전극판(113)을 수용하는 수용홈(115a)을 형성한 프레임(115) 및, 상기 제 1전극판(113)과 프레임(115)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판(11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면판체(111)와 제 1전극판(113)사이에 개재되는 PTC소자(112)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PTC소자(112)에 대응하는 삽입공(116a)을 형성한 안내판(116)을 구비하며, 프레임(115)의 전면에 다수의 고정돌기(115b)를 형성하고, 하단 양측에는 고정편(115c)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안내판(116)의 삽입공(116a)에 삽입되어 전면판체(111)와 제 1전극판(113)사이에 게재되는 PTC소자(112)는, 온도가 높아지면 저항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티탄산바륨계의 반도체에 주석·세륨 등을 0.1% 정도 혼합하여 만든 정저항온도계수를 가진 정특성 서미스터로서, 주변온도에 따라 저항값이 반응하여 추우면 발열량이 높아지고, 실내온도가 상승하면 다시 발열량이 적어지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센서방식의 전열소자이며, 자동온도조절작용과 함께 과열이나 과전압으로부터 자동보호작용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공기중에서 산소와 산화반응을 일으키지 않아 대기오염의 원인이되는 산화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 특징이 있다.
상기 방열판(120)은 난방용량에 따라 유효적절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상기 가열부(110)에 대응하는 삽입공(121)을 판면에 다수개 형성하되, 이 삽입공(121)의 연부를 따라 상방으로 판면으로부터 85°기울어지게 절곡된 절곡부(122)를 형성하며, 양단에 간격유지턱(123)을 절곡형성하여 상기 가열부(110)에 다단으로 적층시킨다.
한편, 상기 방열판(120)의 최하단 일측에는 마이너스 전위 공급을 위한 제 2전극판(130)이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140)는 판면의 수직방향으로 상기 제 1전극판(113)과 제 2전극판(130)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개의 전극판 삽입홈(141)이 관통형성되고, 제 1전극판(113)이 삽입되는 삽입홈(141)의 양측으로는 상기 가열부(110) 프레임(115)의 고정편(115c)에 대응하는 고정홈(142)을 형성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5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결합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부(110)는 알루미늄 재질의 열전도율이 우수한 전면판체(111)와, 삽입홈(116a)에 PTC소자(112)를 삽입한 안내판(116)과, 플러스 전위를 갖는 제 1전극판(113) 및, 절연판(114)이 순차적으로 면접하면서 프레임(115)의 수용홈(115a)에 수용되고, 프레임(115)의 고정돌기(115b)에 의해 프레임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가열부(110)의 프레임(115) 하부에 형성된 고정편(115c)이 베이스(140)의 고정홈(142)에 삽입된뒤 그 삽입단부가 절곡되어 가열부(110)가 베이스(14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베이스(140)의 전극판 삽입홈(141)에 상기 가열부(110)의 제 1전극판(113) 하단부가 관통되게 삽입된다. 한편, 상기 가열부(110)는 자동차의 난방용량에 따라 그 갯수가 유효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140)에 고정된 가열부(110)에 대응하는 삽입공(121)이 다수 형성된 방열판(120)이 다단으로 삽입고정되는데, 이때, 상기 삽입공(121)의 연부를 따라 형성된 절곡부(121)가 상방을 향해 판면으로부터 대략 85°정도 기울어지게 절곡형성되어 가열부(110)와 방열판(120)의 접촉성을 우수하게 함과 동시에 그 단부가 가열부(110)의 측벽에 걸려지게 하여 임의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방열판(120)의 양단에 형성된 간격유지턱(123)에 의해 다수의 방열판(120)이 가열부(110)상에서 일정간격씩 이격되게 배치된다. 한편, 이러한 간격유지턱(123)은 간격유지기능과 아울러 방열판(120)의 방열면적을 확장시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방열판(120)의 최하단 일측에는 그 하단이 베이스(130)의 전극판 삽입홈(141)에 삽입되어 마이너스 전류를 공급받는 제 2전극판(130)의 상단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구성되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는 제 1전극판(113)과 제 2전극판(130)이 고정되어있는 베이스(140)가 소켓(미도시)에 접속되어 제 1전극판(113)에 플러스 전류가 공급되고 제 2전극판(130)에 마이너스 전류가 공급된다. 플러스 전위를 갖는 제 1전극판(113)이 PTC소자(112)의 배면에 접촉되고, 제 2전극판(130)과 접촉하는 방열판(120)과 프레임(115)을 통해 알루미늄 재질의 전면판체(111)가 마이너스 전위를 갖게 되어 PTC소자(112)의 전면에 접촉되는데, 이때, 제 1전극판(113)의 배면에 개재되어있는 전열판(114)에 의해 제 1전극판(113)과 프레임(115)은 절연된다.
이와같이 PTC소자(112)의 배면에 플러스 전위가, 전면에는 마이너스 전위가 공급됨으로써 PTC소자(112)로부터 열이 발생되어 열전도율이 높은 알루미늄 재질의 전면판체(111)를 통해 프레임(115)과 방열판(120)이 뜨거워져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가 보조 난방장치(100)의 방열판(120)을 지나면서 가열되어 자동차 실내로 온풍을 공급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은 첨부도면 도 5의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의 공기조화설비의 개략구성도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100)는 송풍팬(F)과 에어컨의 증발기(E)와 엔진의 열을 이용한 히터의 열교환유닛(H)과 함께 공기의 이동통로상에 설치되어, 엔진의 냉각수가 가열되어 열교환유닛(H)이 히터의 역할을 할 수 있을 때까지 자동차(V)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가열함으로써 겨울철과 같이 차량실내의 온도가 낮은 경우 차량탑승즉시 자동차(V) 실내 곳곳에 배치된 토출구(O)를 통해 온기를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첨부도면 도 6은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가열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의 가열부(160)는 알루미늄 재질의 전면판체(161)와 수직배치되는 다수의 PTC소자(162)와 제 1전극판(163)과 절연판(164) 및 프레임(165)에 각각 체결통공(161a,162a,163a,164a,165a)을 형성하고, 이 체결통공(161a,162a,163a,164a,165a)을 통해 너트와 볼트등의 체결부재(168)로 각 부재들을 체결하되, 프레임(165)측의 통공(165a)으로 볼트절연부(167)를 삽입하여 프레임(165)이 제 1전극판(163)과 절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통공(161a,162a,163a,164a,165a)은 수직방향으로 다수 배치되는 PTC소자(162)의 사이에 형성하도록 하여 PTC소자(162)를 고정시키기위한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가열부(160) 역시, 제 1전극판(163)에 플러스 전류가 공급되어 PTC소자(162)의 배면에 접촉되고, 프레임(165)은 제 2전극판(미도시)과 방열판(미도시)을 통해 마이너스 전류를 공급받아 전면판체(161)를 통해 PTC소자(162)의 전면에 접촉됨으로써 PTC소자(162)가 발열하게 된다. 이 열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열전도율이 우수한 전면판체(161)를 통해 프레임(165)을 거쳐 도시하지 않은 방열판으로 전달된다. 한편, 여기서 프레임(165)과 제 1전극판(163) 사이에 절연판(164)이 개재되어 있으므로 프레임(165)과 제 1전극판9163)은 절연된다.
첨부도면 도 8은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방열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종단면도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방열판(17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난방용량에 따라 유효적절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가열부(110)에 각각 삽입되도록 판면의 중앙에 하나의 삽입공(171)을 형성하되, 이 삽입공(171)의 연부를 따라 상측을 향해 판면으로부터 85°기울어지게 절곡된 절곡부(172)를 형성하며, 가열부(110)와 방열판(170)의 접촉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이탈을 방지하고, 양단에 간격유지턱(173)을 절곡형성하여 가열부(110)에 다단으로 적층시킨다. 이와같이 본 방열판의 다른 실시에는 가열부(110)에 독립적으로 방열판(170)을 삽입하여 방열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열교환효율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첨부도면 도 10은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방열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a은 도 10의 종단면도이고, 도 11b는 도 10의 평면도이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의 방열판(180)은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열부(110)에 대응하는 삽입공(181)이 판면상에 형성되며, 이 삽입공(181)의 연부를 따라 상측을 향해 판면으로부터 85°기울어지게 절곡된 절곡부(182)를 형성하여 가열부(110)의 측벽에 방열판(180)의 접촉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가열부(110)에 삽입된 뒤 삽입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삽입공(181)의 양측으로 판상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루버(183)가 비스듬하게 형성되어 방열판(180)의 방열면적을 증대시키고, 가열부(110)에 다단으로 배치되는 방열판(180)중에서 홀수단에 배치되는 방열판(180a)의 루버(183a)와 짝수단에 배치되는 방열판(180b)의 루버(183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도록 형성하여 이 방열판(180)을 통과하는 공기와의 저항을 높여 방열효율을 향상시키게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는 겨울철 자동차의 엔진이 가열되기 전에 자동차 실내에 온풍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화재의 위험이 적고, 수명이 길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저항온도계수를 가진 PTC소자를 이용하여 급속난방기능을 수행함으로 인해 엔진이 가열되기 전에 자동차 실내의 온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는 자동차의 난방용량에 따라 유효적절하게 다수배치되는 가열부에 다수개의 방열판을 견고하게 고정시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방열판의 방열면적과 방열효과를 개선하여 열교환효율이 우수한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가열부의 분해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방열판의 발췌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의 공기조화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4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가열부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방열판의 다른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의 방열판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a는 도 10의 단면도, 도 11b는 도 10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가열부 111:전면판체 112:PTC소자
113:제 1전극판 114:절연판 115:프레임
115a:수용홈 115b:고정돌기 115c:고정편
116:안내판 116a:삽입공 120:방열판
121:삽입공 122:절곡부 123:간격유지턱
130:제 2전극판 140:베이스 141:삽입홈
142:고정홈 160:가열부 161:전면판체
162:PTC소자 163:제 1전극판 164:절연판
165:프레임 167:볼트절연부 168:체결부재
170:방열판 161:삽입공 172:절곡부
173:간격유지턱 180:방열판 181:삽입공
182:절곡부 183:루버

Claims (9)

  1. 자동차 공기조화설비의 공기이동통로상에 에어컨의 증발기와, 가열된 엔진의 냉각수를 이용한 히터의 열교환유닛과 함께 설치되어, 엔진 냉각수가 가열되기 전까지 자동차 실내에 따뜻한 공기를 공급하도록 하는 보조 난방장치에 있어서,
    알루미늄 재질의 전면판체(111)와, 상기 전면판체(111)와 면접하는 PTC소자(112)와, 상기 PTC소자(112)와 면접하는 제 1전극판(113)과, 상기 전면판체(111)와 PTC소자(112)와 제 1전극판(113)을 수용하는 수용홈(115a)을 형성한 프레임(115) 및, 상기 제 1전극판(113)과 프레임(115)사이에 개재되는 절연판(114)으로 이루어지는 가열부(110,160);와,
    상기 가열부(110)가 삽입되는 삽입공(121)을 형성한 다수개의 방열판(120,170,180);과,
    상기 방열판(120,170,180)의 최하단 일측에 고정되는 제 2전극판(130) 및,
    상기 가열부의(110,160) 제 1전극판(113)과, 제 2전극판(130)에 대응하는 전극판 삽입홈(141)이 형성된 베이스(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110)는 전면판체(111)와 제 1전극판(113)사이에 개재되는 PTC소자(112)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PTC소자(112)에 대응하는 삽입공(116a)을 형성한 안내판(11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110)의 프레임(115) 하단 양측에 고정편(115c)을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140)에 상기 프레임(115)의 고정편(115c)에 대응하는 고정홈(142)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160)의 전면판체(161)와 PTC소자(162)와 제 1전극판(163)과 절연판(164) 및 프레임(165)에 각각 체결통공(161a,162a,163a,164a,165a)을 형성하고, 이 체결통공(161a,162a,163a,164a,165a)으로 너트와 볼트등의 체결부재(168)로 각 부재들을 체결하되, 프레임(165)측의 통공(165a)으로 볼트절연부(167)를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120)은 다수배치되는 가열부(110)에 대응하는 다수개의 삽입공(121)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121)의 연부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22)를 형성하며, 양단에 간격유지턱(123)을 절곡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170)은 다수배치되는 가열부(110)에 각각 삽입되도록 중앙에 하나의 삽입공(171)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171)의 연부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72)를 형성하며, 양단에 간격유지턱(173)을 절곡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180)은 삽입공(181)의 연부를 따라 상측으로 절곡된 절곡부(182)를 형성하고, 판상으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다수의 루버(183)를 비스듬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판(180)은 다수배치되는 가열부(110)에 다단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이러한 방열판(180)의 루버는 홀수단에 배치되는 방열판(180a)의 루버(183a)와 짝수단에 배치되는 방열판(180b)의 루버(183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엇갈리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9. 제 5항 내지 제 7항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21,171,181)의 절곡부(122,172,182)는 판면으로부터 85°기울어지게 절곡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KR10-2003-0056697A 2003-08-16 2003-08-16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KR100491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697A KR100491996B1 (ko) 2003-08-16 2003-08-16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6697A KR100491996B1 (ko) 2003-08-16 2003-08-16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535A KR20050018535A (ko) 2005-02-23
KR100491996B1 true KR100491996B1 (ko) 2005-05-30

Family

ID=37228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6697A KR100491996B1 (ko) 2003-08-16 2003-08-16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19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824B1 (ko) 2006-02-10 2006-12-13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히트로드의 발열체 수용 가이더
KR101030869B1 (ko) * 2008-11-03 2011-04-22 갑을오토텍(주) Pwm 제어 고용량 피티씨 히터
KR101201233B1 (ko) 2011-04-27 2012-11-14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Ptc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냉각수 가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42B1 (ko) * 2005-08-12 2006-08-29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프리히터의 히트로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6824B1 (ko) 2006-02-10 2006-12-13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히트로드의 발열체 수용 가이더
KR101030869B1 (ko) * 2008-11-03 2011-04-22 갑을오토텍(주) Pwm 제어 고용량 피티씨 히터
KR101201233B1 (ko) 2011-04-27 2012-11-14 주식회사 성창에어텍 Ptc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냉각수 가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8535A (ko) 2005-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57672A (en) Radiator having ptc electric resistance heating elements and spring-biased fin arrangement
CN102085789B (zh) 用于车辆的预热器装置
CN104302495A (zh) 车辆用加热器
KR100491996B1 (ko)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KR20150098856A (ko) 차량용 히터
KR20120037618A (ko) 자동차용 좌우 독립 공조장치
KR100738698B1 (ko) 면상 발열체를 구비하는 난방장치
KR100536909B1 (ko) 자동차용 보조난방장치
KR101977728B1 (ko) 피티씨 히터
KR100558836B1 (ko)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KR100479187B1 (ko) 자동차용 보조난방장치
KR200338973Y1 (ko) 자동차용 보조 난방장치
KR101115953B1 (ko) 전열히터
JP2004217023A (ja) 補助ヒータにおける半導体素子の取付け構造
KR100992579B1 (ko) 전열히터
KR101037608B1 (ko) 전열히터
KR100926312B1 (ko) 전열히터
KR20110130810A (ko) 차량용 프리히터장치
KR100589275B1 (ko) 피티씨 일체형 히터코어
KR100981817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전열히터
KR100600595B1 (ko) 프리히터용 방열부
KR20050006713A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전열히터
JPH0767213A (ja) 電気自動車用制御装置
KR100589264B1 (ko) Ptc히터 일체형의 차량용 온수히터코어
KR20150032990A (ko) 차량용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3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