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1957B1 - 거리산출장치 - Google Patents

거리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1957B1
KR100491957B1 KR10-2003-0030479A KR20030030479A KR100491957B1 KR 100491957 B1 KR100491957 B1 KR 100491957B1 KR 20030030479 A KR20030030479 A KR 20030030479A KR 100491957 B1 KR100491957 B1 KR 100491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housing
distance
unit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8192A (ko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김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석 filed Critical 김기석
Priority to KR10-2003-003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1957B1/ko
Priority to US10/556,695 priority patent/US7210244B2/en
Priority to PCT/KR2004/001118 priority patent/WO2004102113A1/en
Publication of KR20040098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8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1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19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1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distance or clearance between spaced objects or spaced aper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2Measuring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리산출장치로서. 지도 상의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연결하는 지도상경로의 길이인 지도상거리를 실제거리로 산출하기 위하여,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지도의 축적을 입력받는 축척입력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지도상경로를 따라 지도상거리만큼 움직이게 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움직임을 빛을 이용하여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광센서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광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거리를 구하고, 상기 지도상거리와 상기 축척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축척값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 거리를 실제거리로 계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실제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리산출장치에 의하면, 지도의 축척값을 입력하고, 지도상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실제거리를 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거리산출장치{Distnance calculation device}
본 발명은 거리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도의 축척을 입력받고, 상기 지도상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임의의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 표시창에 상기 임의의 경로의 실제거리가 표시되는 거리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도는 지구 표면의 일부나 전부를 일정한 축척(縮尺)에 따라 평면 위에 나타낸 그림으로서, 여러 가지 일정한 기호·문자·색 따위를 써서 바다·산천·육지 등을 나타낸 것을 말한다. 지도에는 지형도나 지적도 등이 포함된다. 축척이라 하면, 지도를 실물보다 축소하여 그릴 때, 그 축소한 비를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1:100,000의 형태로 표시하거나, 1/100,000 의 형태로 표시하는 데, 이는 실제거리를 1/100,000로 축소하여 그린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축척은 지도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고 있어서, 보통 지도의 상단부나 하단부에 표시되어 있다. 축척의 숫자가 작을수록 정밀도는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도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용도, 예컨대 길 또는 원하는 장소를 찾거나, 지형의 형태를 보거나 지역의 넓이는 구하기 위한 용도에 사용된다. 그런데, 여러 가지 다양한 용도 중에서도, 특히 실제의 두 장소를 연결하는 도로 등의 거리나, 두 장소를 직선으로 연결한 거리를 구하기 위해 지도가 빈번히 사용된다. 즉, 자기가 있는 곳에서 어떤 특정한 장소까지 가는 거리가 몇 Km가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지도를 사용한다.
그런데, 이렇게 지도를 이용하여 실제의 두 장소를 연결하는 경로의 실제거리를, 지도를 이용하여 구하기 위해서는 현재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 즉, 실제경로의 실제거리를 구하기 위해선, 우선 실제의 두 장소에 해당하는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지도상에서 찾는다. 그리고 난 후,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연결하는 경로가 직선인 경우에는 자를 이용하여 지도상의 거리를 구하고, 제1지점과 제2지점이 곡선인 경우에는 물에 적신 실을 지도상의 경로에 일치하도록 지도상에 일시적으로 부착시켰다가 떼어내서 공게 편 후 지도상의 경로에 해당하는 하는 부분의 길이를 다시 자를 이용하여 지도상의 거리를 구한다. 이때, 맵미터(map-meter)나 커브미터(curve-meter)를 사용하여 지도상의 거리를 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계산기 등을 이용하여, 위에서 구한 지도상의 거리에, 상기 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축척을 곱하여 실제거리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실제거리를 구하는 것은, 맵미터나 커브미터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상당히 불편하며 또한, 연속되는 곡선의 경로에 대해서는 현재와 같은 방법으로는 실제거리를 구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도의 축척을 입력받고, 실제의 거리를 구하기를 원하는 경로에 대응되는 지도상의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실제거리가 산출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 거리환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거리산출장치는, 지도 상의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연결하는 지도상경로의 길이인 지도상거리를 실제거리로 산출하기 위한 거리산출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지도의 축적을 입력받는 축척입력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지도상경로를 따라 지도상거리만큼 움직이게 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움직임을 빛을 이용하여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광센서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광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거리를 구하고, 상기 지도상거리와 상기 축척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축척값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 거리를 실제거리로 계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실제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광센서부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후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 및 상기 하우징이 움직일 때, 상기 수광부에서 감지하는 빛의 변화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펜의 형상이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지도상에 조사되어 반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펜의 형상이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도상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도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지도의 상면을 굴러가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름볼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광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하는 빛은 상기 구름볼에 조사되어 반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름볼의 표면에는, 상기 구름볼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름볼에서 반사되는 빛의 변화량을 상기 수광부에서 용이하게 감지될 수 있도록, 격자 형태의 무늬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도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위치하였음을 상기 연산회로부에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의 일부를 절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거리산출장치의 사용설명을 위해 예시된 지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거리산출장치(1)는, 지도상의 제1지점(A)과 제2지점(B)을 연결하는 지도상경로(MP)의 길이인 지도상거리(MD)를 실제거리(RD)로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0), 축척입력부(20), 광센서부(30), 연산부(40), 표시부(50) 및 입력버튼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거리산출장치(1)의 외형을 이루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장착되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펜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전원부(11)와 on/off 스위치(12)와 펜걸이(13)와 구름볼(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원부(11)는, 하우징(10)의 상단부에 내장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부(11)는 부피가 작은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on/off 스위치(12)는 하우징의 상단부에 마련된 것으로서, 전원부(11)에서 다른 구성요소들로 흐르는 전류를 단속(斷續)하는 역할을 한다. on/off 스위치(12)로는 한번 누르면 on이 되고 다시 누르면 off가 되는 것을 반복하는 일반적인 푸쉬타입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펜걸이(13)는, 하우징(10)의 상부에 위치하며 옷이나 지도책의 갈피에 끼워 거리산출장치(1)를 휴대하기 편리하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구름볼(15)은, 하우징(1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하우징(10)의 몸체를 잡고, 구름볼(15)이 지도의 상면에 접하게 한 후, 하우징(10)을 지도상경로(MP)를 따라 움직이게 하면, 구름볼(15)이 지도 상면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지도상경로(MP)를 따라 구르게 된다.
한편, 상기 구름볼(15)에는, 격자 형태의 무늬부(17)가 구비되어 있다. 구름볼(15)의 무늬부(17)와 그 무늬부(17) 이외의 부분은 빛의 반사특성, 에켠태 반사율, 반사각도, 산란정도 등의 광특성중 적어도 하나가 서로 다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축척입력부(20)는, 거리를 측정하고자 하는 지도의 축척값(S)을 입력받도록 마련된 것이다. 지도에 따라 다양한 축척값(S)은 사용자가 축척입력부(20)를 통해 입력하게 되는데, 입력하는 방법은 어떤 숫자의 값을 입력하기 위해 통상 알려진 많은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축척입력부(20)를 입력버튼부와 선택버튼부와 축척표시부로 구성하고, 숫자판을 구비하고 있는 입력버튼부의 숫자를 눌러 원하는 축척값(S)이 입력되면 선택버튼부를 눌러 입력을 완료한다. 이때 누르는 숫자는 축척표시부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광센서부(30)는, 하우징(10) 하부의 내부에 마련되며, 하우징(10)이 지도상경로(MP)를 따라 지도상거리(MD)만큼 움직이게 되면, 빛을 이용하여 그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한 움직임의 거리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서, 발광부(32)와 수광부(34)와 변환출력부(3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발광부(32)는 상기 전원부(11)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빛을 발하는 것이다. 발광부(32)로는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이 전력소모도 적고 발생하는 빛도 강하여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발광부(32)로부터 발생하는 빛은 하우징(10)의 하단부에 마련된 구름볼(15)에 조사된 후 반사된다.
상기 수광부(34)는, 상기 발광부(32)로부터 조사되어 구름볼(15)에서 반사된 빛을 감지 한다. 한편, 구름볼(15)에는 빛의 반사특성이 다른 격자 형태의 무늬부(17)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구름볼(15)이 구르게 되면, 발광부(32)로부터 조사되어 구름볼(15)에서 반사된 빛의 변화를 수광부(34)가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변환출력부(36)는, 상기 수광부(34)에서 감지하는 빛이 변화하는 것을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즉, 하우징(10)의 구름볼(15)이 회전하며 지도상경로(MP)를 따라 움직이면, 발광부(32)에서 발생하여 무늬부(17)를 구비한 구름볼(15)에 반사되는 빛의 계속적인 변화가 있게 되는데, 변환출력부(36)는 수광부(32)에서 감지된 빛의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한 후 출력한다.
다만, 빛의 변화를 감지하거나, 그 빛의 변화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기회로 등의 구성은, 이미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알려진 구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여기서 이러한 전기회로의 구체적인 회로도나 전자부품 등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상기 연산부(40)는, 하우징(10)내에 마련되며, 광센서부(30)의 변환출력부(36)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신호와, 축척입력부(20)로부터 입력받은 축척값(S)을 이용하여 실제거리(RD)를 계산하는 역할을 한다.
연산부(40)의 연산 알고리즘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사전에 입력받은 지도의 축척값(S)을 입력받아 기억하고(제1단계), 광센서부(30)의 변화출력부(36)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구름볼(15)이 지도상을 구른 지도상거리(MD)를 구하고(제2단계), 이 지도상거리(MD)에다 상기 축척값(S)을 곱하여 실제거리(RD)를 구하고(제3단계), 산출된 실제거리(RD)를 후술할 표시부(50)로 출력하게 된다(제4단계).
이러한 연산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기회로 등의 구체적인 구성은, 현재 알려진 기술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표시부(50)는, 상기 하우징(10) 내에 장착되며, 상기 연산부(40)에서 계산되어진 실제거리(RD)를 사용자가 읽을 수 있도록 표시한다.
상기 입력버튼부(60)는,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며, 하우징(10)의 구름볼(15)이 지도상의 제1지점(A) 또는 제2지점(B)에 위치하고 있음을 연산부에 입력시키기 위한 버튼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거리환산장치(1)의 사용방법과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거리산출장치(1)의 하우징(10)상의 on/off 스위치(12)를 켠다. 그러면, 전력을 공급받은 발광부(32)에서는 빛이 발하게 된다. 이때, 연산부(40)는 물론이고, 연산부(40)를 경유하여 표시부(50)나 축척입력부(20)들에도 전력이 공급된다.
도 2를 참조하면, 하우징(10)의 몸체를 잡고, 구름볼(15)을 제1지점(A)상에 올려놓는 후, 입력버튼부(60)를 사용하여 현재 구름볼(15)의 위치가 제1지점(A)임을 연산부(40)에 입력한다.
그런 후, 지도상경로(MP)를 따라 구름볼(15)이 구르도록 하우징(10)을 잡고 이동한다. 구름볼(15)이 구르며 하우징(10)이 이동하게 되면,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상기 발광부(32)로부터 구름볼(15)에 조사되어 수광부(34)에 감지하고 있는 빛이 구름볼(15)의 회전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 이렇게 수광부(34)에서 감지되는 빛의 변화는 변화출력부(36)에서 전기적신호로 변환되어 연산부(40)로 출력하게 된다. 이때, 구름볼(15)이 미끄러지지 않고 구르도록 주의하면서 하우징(10)을 제2지점(B)까지 이동한다. 이런 상태로 제2지점(B)에 구름볼(15)이 이르면, 다시 입력버튼부(60)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가 제2지점(B)임을 연산부(40)에 입력한다. 그러면, 연산부(40)는 제2지점(B)임을 인식하고, 제1지점(A)에서부터 제2지점(B)까지의 구름볼(15)의 구른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마지막 단계로,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산부(40)에서는 입력받은 축척값(S)과 구름볼(15)의 구른 거리(=지도상거리(MD)를 이용하여, 실제거리(RD)를 산출하여 표시부(50)로 출력하고, 표시부(50)에는 실제거리(RD)가 표시된다. 표시부(50) 표시된 숫자의 단위는 Km로 설정하여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거리측정장치(1)는, 지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 지도의 축척값(S)을 입력하고, 거리측정을 원하는 지도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경로(MP)를 따라, 펜을 사용하여 곡선을 그리듯이 간편하게 이동하기만 하면, 실제거리(RD)가 표시부(50)에 표시되는 편리한 장치이다. 또한, on/off스위치(12)를 사용하여 거리측정장치(1)를 OFF 시킨 후 다시 ON 한후, 제1지점(A)과 제2지점(B)은 동일하지만, 첫 번째의 경로와는 다른 지도상의 경로를 선택하여 그 경로의 거리를 간편하게 구하여, 양자를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거리측정장치(1)에 리셋버튼을 구비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하우징(10)이 펜타입을 하고 있어서, 사용하지 않을 때는 보관하기 편하며, 사용 중에는 사용자가 보통의 펜을 잡고 사용하는 것처럼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지도상의 이동을 위해, 하단에 구비된 구름볼(15)을 이용하고 있어서, 지도상경로(MP)를 따라 거리산출장치(1)를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구름볼(15)에 격자 형태의 무늬부(17)가 형성된 경우에는, 반사되는 빛을 변화가 용이하게 수광부(34)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구름볼(15)에 격자 형태의 무늬가 구비되어 있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점을 반복적으로 촘촘하게 찍은 것을 무늬부로 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버튼부(60)를 구비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도의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연산부(40)에 입력시키는 다른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1a)가 도시되어 있다.
두 번째 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1a)를 첫 번째 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1)와 비교하여 보면, 두 번째 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1a)가 구름볼(15)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면, 나머지 다른 구성은 첫 번째 거리산출장치(1)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발광부(32)에서 발생한 빛은, 구름볼(15)에 반사되는 것이 아니라, 하우징(10)의 하단부에 개구되어 있는 관통공(16)을 통해 지도상에 조사된 후 반사된후, 수광부(34)에 의해 감지된다. 이때, 반사되는 빛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광부(34)에 집속시키기 위해서, 집속렌즈(3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하우징(10)을 지도에 직각으로 세워서, 하우징(10)의 하단부를 지도에 접촉시킨후, 지도상경로(MP)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두 번째 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1a)의 경우, 첫 번째 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1)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 중에, 구름볼(15)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외한 나머지 효과는 충분히 얻을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1b)가 도시되어 있다.
세 번째 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1b)를 첫 번째 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1)와 비교하여 보면 세 번째 실시예의 광센서부(30b)가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는 점과, 구름볼(15b)에 무늬부(17)가 구비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다르다. 하지만, 나머지 다른 구성은 첫 번째 거리산출장치(1)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광센서부(30b)를 이루는 발광부(32b)와 수광부(30b)와 변환출력부(36b)가 하우징(10)하단부의 외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발광부(32b)에서 발생한 빛은, 구름볼(15)이 아닌, 지도상을 조사한 후 반사되어, 역시 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수광부(34b)에 감지된다. 변환출력부(36b)의 경우에는, 하우징의 외부에 노츨되어 있다는 점만을 제외하며, 그 기능은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와 작용 및 효과는 동일하다.
한편, 무늬부(17)를 구비하고 있지 않은 구름볼(15b)은 하우징(10)이 지도상경로(MP)를 따라 이용하는 것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하우징(10)을 지도에 직각으로 세워서, 하우징(10)의 하단부를 지도에 접촉시킨후, 지도상경로(MP)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세 번째 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1a)의 경우, 첫 번째 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1)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 중에, 발광부(32)에서 발생한 빛이 무늬부(17)가 있는 구름볼(15)에 반사됨으로 인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제외한 나머지 효과는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리산출장치에 의하면, 지도의 축척값을 입력하고, 지도상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실제거리를 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거리산출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해 예시된 지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거리산출장치의 연산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거리산출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 거리산출장치 10 ... 하우징
15, 15b ... 구름볼 17 ... 무늬부
20 ... 축척입력부 30, 30b ... 광센서부
32, 32a ... 발광부 34, 34b ... 수광부
36, 36b ... 변환출력부 40 ... 연산부
50 ... 표시부 60 ... 입력버튼부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지도 상의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연결하는 지도상경로의 길이인 지도상거리를 실제거리로 산출하기 위한 거리산출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지도의 축적을 입력받는 축척입력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을 상기 지도상경로를 따라 지도상거리만큼 움직이게 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의 움직임을 빛을 이용하여 감지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광센서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광센서부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거리를 구하고, 상기 지도상거리와 상기 축척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축척값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 거리를 실제거리로 계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실제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되,
    상기 광센서부는,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후 반사되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부; 및
    상기 하우징이 움직일 때, 상기 수광부에서 감지하는 빛의 변화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변환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펜의 형상이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하우징의 하부에 마련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지도상에 조사되어 반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도상경로를 따라 이동함에 따라 상기 지도의 상면과 접촉한 상태로 상기 지도의 상면을 굴러가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구름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산출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도의 제1지점 및 제2지점에 위치하였음을 상기 연산부에 입력시키기 위한 입력버튼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리산출장치.
KR10-2003-0030479A 2003-05-14 2003-05-14 거리산출장치 KR100491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479A KR100491957B1 (ko) 2003-05-14 2003-05-14 거리산출장치
US10/556,695 US7210244B2 (en) 2003-05-14 2004-05-13 Distance calculation device
PCT/KR2004/001118 WO2004102113A1 (en) 2003-05-14 2004-05-13 Distance calcul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0479A KR100491957B1 (ko) 2003-05-14 2003-05-14 거리산출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828U Division KR200324548Y1 (ko) 2003-05-14 2003-05-14 거리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192A KR20040098192A (ko) 2004-11-20
KR100491957B1 true KR100491957B1 (ko) 2005-05-31

Family

ID=3344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0479A KR100491957B1 (ko) 2003-05-14 2003-05-14 거리산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10244B2 (ko)
KR (1) KR100491957B1 (ko)
WO (1) WO20041021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87813A (zh) * 2015-11-05 2016-03-09 金勇� 一种指尺
EP3413011A4 (en) * 2016-02-02 2019-10-02 Northwest Instrument Inc. TELEMET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42130A (en) * 1930-08-22 1934-01-02 Byron E Woodcock Automobile map mileage indicator
JPS6036901A (ja) 1983-08-09 1985-02-26 Seiko Epson Corp ペンシル型距離測定機
US5067249A (en) * 1990-08-07 1991-11-26 Matthew Terrigno Map scaling instrument
IT1262523B (it) * 1993-06-03 1996-07-02 Bruno Angilella Dispositivo a forma di penna con mezzi per misurare una lunghezza.
US5560119A (en) * 1994-12-07 1996-10-01 Lebreton Guy C Opto-mechanical instrument to accurately measure linear distances on flat or curved surfaces with incrementing
US5485682A (en) * 1994-12-07 1996-01-23 Lebreton Guy C Opto-mechanical instrument to accurately measure linear distances on flat or curved surfaces
JP3616976B2 (ja) * 1996-10-04 2005-02-02 理英 近藤 キャスター機構を有する曲線長測器
JP3376546B2 (ja) * 2000-06-20 2003-02-10 理英 近藤 ペン形屈曲線長測器
JP3851763B2 (ja) * 2000-08-04 2006-11-29 株式会社シロク 位置検出装置、位置指示器、位置検出方法及びペンダウン検出方法
US6889444B2 (en) * 2001-05-15 2005-05-10 Blair S. Trout Antler sc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8192A (ko) 2004-11-20
US20060277781A1 (en) 2006-12-14
WO2004102113A1 (en) 2004-11-25
US7210244B2 (en) 2007-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3270B2 (en) Determination of an orientation parameter of an elongate object with a scan beam apparatus
EP1565704B1 (en) Level, angle and distance measuring device
US200501079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an inclination of an elongate object contacting a plane surface
WO2005024775A1 (en) Input writing device
US5560119A (en) Opto-mechanical instrument to accurately measure linear distances on flat or curved surfaces with incrementing
US7456936B2 (en) Electro-optical hand-held distance measuring instrument
EP0211841A1 (en) MARKING, MEASURING AND CALCULATING INSTRUMENT FOR DETERMINING LENGTHS, SURFACES, PERIPHERALS AND VOLUMES.
US4246703A (en) Electronic drafting instrument with digital readout of displacement
US20090141261A1 (en) Electro-optical output unit and measuring device comprising said electro-optical output unit
EP0701683B1 (en) Device in pen form with means for measuring a length
KR100491957B1 (ko) 거리산출장치
US11143494B2 (en) Distance measuring device
KR200324548Y1 (ko) 거리산출장치
CN203142178U (zh) 可数字显示角度和长度的圆规
JP3182515U (ja) レーザ距離計
KR200335023Y1 (ko) 지도용 측정장치
KR200389335Y1 (ko) 거리측정이 가능한 필기 장치 및 거리측정 유닛
US3878729A (en) Instrument and method for measuring and indicating speed of a moving, sound-emitting object
CN215865096U (zh) 一种水平使用的激光测距装置
GB2200754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measuring device
KR100932679B1 (ko) 길이측정이 가능한 프로브펜
JP3135176U (ja) 電子スケール
KR200239846Y1 (ko) 지하수 수위측정기
JPH08136253A (ja) 見通しものさし
CA2201683A1 (en) Telemetric spacial data reco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