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5023Y1 - 지도용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지도용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5023Y1
KR200335023Y1 KR20-2003-0027944U KR20030027944U KR200335023Y1 KR 200335023 Y1 KR200335023 Y1 KR 200335023Y1 KR 20030027944 U KR20030027944 U KR 20030027944U KR 200335023 Y1 KR200335023 Y1 KR 2003350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p
unit
housing
distance
measur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9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석
Original Assignee
김기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석 filed Critical 김기석
Priority to KR20-2003-00279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50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50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5023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coordinates of po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wo or more coordinates
    • G01B11/005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wo or more coordinates coordinate measuring machi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7/00Compasses; Devices for ascertaining true or magnetic north for navigation or surveying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7Display of a road map
    • G01C21/367Details, e.g. road map scale, orientation, zooming, illumination, level of detail, scrolling of road map or positioning of current position mark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8Structurally-combined 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02Indicating measured values giving both analog and numerical indi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5Map projections or methods associated specifically therewith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도용 측정장치로서, 지도상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지도상경로의 길이인 지도상거리를 실제거리로 산출하기 위한 지도용 측정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지도의 축적을 입력받는 축척입력부; 상기 지도상에서 구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름볼; 제1광센서부; 제2광센서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제1광센서 및 제2광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거리를 구하고, 상기 지도상거리와 상기 축척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축척값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 거리를 실제거리로 계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실제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지도용 측정장치에 의하면, 지도의 축척값을 입력하고, 지도상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간편하고 정확하게 실제거리를 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지도용 측정장치{Calculation device for a map}
본 고안은 지도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도의 축척을 입력받고, 상기 지도상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임의의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 표시부에 상기 임의의 경로의 실제거리가 표시되는 지도용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도는 지구 표면의 일부나 전부를 일정한 축척(縮尺)에 따라 평면 위에 나타낸 그림으로서, 여러 가지 일정한 기호·문자·색 따위를 써서 바다·산천·육지 등을 나타낸 것을 말한다. 지도에는 지형도나 지적도 등이 포함된다. 축척이라 하면, 지도를 실물보다 축소하여 그릴 때, 그 축소한 비를 말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1:100,000의 형태로 표시하거나, 1/100,000 의 형태로 표시하는 데, 이는 실제거리를 1/100,000로 축소하여 그린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축척은 지도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고 있어서, 보통 지도의 상단부나 하단부에 표시되어 있다. 축척의 숫자가 작을수록 정밀도는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도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한 용도, 예컨대 길 또는 원하는 장소를 찾거나, 지형의 형태를 보거나 지역의 넓이는 구하기 위한 용도에 사용된다. 그런데, 여러 가지 다양한 용도 중에서도, 특히 실제의 두 장소를 연결하는 도로 등의 거리나, 두 장소를 직선으로 연결한 거리를 구하기 위해 지도가 빈번히 사용된다.즉, 자기가 있는 곳에서 어떤 특정한 장소까지 가는 거리가 몇 Km가 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지도를 사용한다.
그런데, 이렇게 지도를 이용하여 실제의 두 장소를 연결하는 경로의 실제거리를, 지도를 이용하여 구하기 위해서는 현재 번거로운 절차를 거쳐야만 한다. 즉, 실제경로의 실제거리를 구하기 위해선, 우선 실제의 두 장소에 해당하는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지도상에서 찾는다. 그리고 난 후, 상기 제1지점과 제2지점을 연결하는 경로가 직선인 경우에는 자를 이용하여 지도상의 거리를 구하고, 제1지점과 제2지점이 곡선인 경우에는 물에 적신 실을 지도상의 경로에 일치하도록 지도상에 일시적으로 부착시켰다가 떼어내서 곧게 편 후 지도상의 경로에 해당하는 하는 부분의 길이를 다시 자를 이용하여 지도상의 거리를 구한다. 이때, 맵미터(map-meter)나 커브미터(curve-meter)를 사용하여 지도상의 거리를 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계산기 등을 이용하여, 위에서 구한 지도상의 거리에, 상기 지도에 표시되어 있는 축척을 곱하여 실제거리를 산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실제거리를 구하는 것은, 맵미터나 커브미터를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상당히 불편하며 또한, 연속되는 곡선의 경로에 대해서는 현재와 같은 방법으로는 실제거리를 구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한 경우도 많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지도의 축척을 입력받고, 실제의 거리를 구하기를 원하는 경로에 대응되는 지도상의 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실제거리가 정확하게 산출되어 표시부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지도용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지도용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도용 측정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개략적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도용 측정장치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개략적 평면도,
도 4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지도용 측정장치의 사용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용 지도,
도 5는 도 4에 표시된 P1 내지 P5만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실시예의 지도용 측정장치의 연산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도용 측정장치 10 ... 하우징
15 ... 가이드부 20 ... 축척입력부
30 ... 구름볼 40 ... 제1광센서부
50 ... 제2광센서부 42, 52 ... 제1,2축
44, 54 ... 제1, 2롤러 46, 56 ... 제1,2판부재
48, 58 ... 제1, 2광센서 49, 59 ... 제1,2회전방향감지부
60 ... 연산부 70 ... 표시부
80 .. 지점선택부 90 ... 가이드부 조명장치
92 ... 나침반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지도용 측정장치는, 지도 상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지도상경로의 길이인 지도상거리를 실제거리로 산출하기 위한 지도용 측정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지도의 축적을 입력받는 축척입력부; 상기 지도상에서 구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름볼;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고정되며 상기 구름볼과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제1롤러와, 상기 제1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1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관통부가 동일각도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판부재와, 상기 제1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판부재의 관통부들의 이동궤적상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감지될 때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제1광센서를 포함하는 제1광센서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축과, 상기 제2축에 고정되며 상기 구름볼과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제2롤러와, 상기 제2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2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관통부가 동일각도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판부재와, 상기 제2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판부재의 관통부들의 이동궤적상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감지될 때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제2광센서를 포함하는 제2광센서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제1광센서 및 제2광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거리를 구하고, 상기 지도상거리와 상기 축척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축척값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 거리를 실제거리로 계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실제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지도상에서 폐다각형을 이루는 적어도 3개의 점을 선택할 수 있는 지점선택부; 및 상기 제1룰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제1회전방향감지부와 상기 제2롤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제2회전방향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지점선택부로부터 입력받은 적어도 3개의 점을, 상기 제1·2광센서 및 상기 제1·2회전방향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제1축값과 제2축값으로 이루어진 좌표값으로 인식하고, 그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의 폐다각형의 면적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도상의 면적값과 상기 축척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축척값을 이용하여 실제면적으로 계산하는 면적연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에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표시된 숫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부 조명장치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 나침반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도상의 원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구름볼과는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에는, 어두운 환경에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지도상의 원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비추기 위한 가이드부 조명장치가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지도용 측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지도용 측정장치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지도용 측정장치의 주요부위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지도용 측정장치(1)는, 지도상의 제1지점(A)과 제2지점(B)을 연결하는 지도상경로(MP)의 길이인 지도상거리(MD)를 실제거리(RD)로 산출하거나, 지도상의 적어도 3개의 점들(도 4 참조, P1 내지 P5)을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다각형의 지도상의 면적(MS)을 실제면적(RS)으로 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0), 축척입력부(20), 구름볼(30), 제1광센서부(40), 제2광센서부(50), 연산부(60), 표시부(70) 및 지점선택부(8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10)은, 지도용 측정장치(1)의 외형을 이루며 다른 구성요소들이 장착되기 위한 것이다. 손으로 잡기 편한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전원부(11)를 구비하고 있으며, 외부에는 가이드부(15)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전원부(11)는, 하우징(10)에 내장되어 다른 구성요소들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전원부(11)는 부피가 작은 건전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부(15)는, 하우징(10)이 지도상의 원하는 경로를 정확히 따라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부(15)는 하우징(10)의 하부 외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지도상의 원하는 경로나 원하는 지점을 정확히 지시할 수 있도록, 그 끝은 날카로운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재질은 투명한 플라스틱과 같은 것을 사용하는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하우징(10)을 손으로 잡고, 가이드부(15)의 끝 지점을 지도상의 원하는 지점에 위치시키거나, 가이드부(15)의 끝 지점을 지도상의 경로를 따라 이동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하우징(10)을 정확한 지점에 위치시키거나 정확한 경로를 따라 움직일 수 있도록 가이드한다.
상기 축척입력부(20)는, 하우징(10)의 상부에 마련된다. 축척입력부(20)는, 거리나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지도의 축척값(s)을 입력받도록 마련된 것이다. 지도에 따라 다양한 축척값(s)은 사용자가 축척입력부(20)를 통해 입력하게 되는데, 입력하는 방법은 어떤 숫자의 값을 입력하기 위해 통상 알려진 많은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축척입력부(20)를 입력(ENTER)버튼과 업(UP)버튼과 다운(DOWN)버튼 축척표시부으로 구성하고, 업버튼과 다운버튼을 조작하여 축척표시부에 원하는 축척값(s)이 표시되면 입력버튼을 눌러 입력을 완료한다. 이때 축척표시부는 후술할 표시부(70)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구름볼(30)은, 하우징(10)의 하단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구름볼(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32) 및 후술할제1롤러(44)와 제2롤러(54)에 의해 3점에서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있다. 탄성지지부(32)는 구름볼(30)을 탄성을 가진 상태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하우징(10)의 몸체를 잡고, 구름볼(30)이 지도의 상면에 접하게 한 후, 하우징(10)의 가이드부(15)를 지도상 원하는 지점에 위치시킨 후, 지도상 경로(MP)를 따라 움직이게 하면, 구름볼(30)은 지도 상면과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미끄러지지 않고, 지도상경로(MP)를 따라 구르게 된다.
상기 제1광센서부(40)는, 도 3을 참조하면, 제1축(42), 제1롤러(44), 제1판부재(46), 제1광센서(4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축(42)은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지지대 등에 의해 하우징(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롤러(44)는 제1축(42)의 일단부에 고정되어 있어 제1축(42)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하우징(10)에 대해서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있다. 제1롤러(44)는, 탄성지지부(32)의 구름볼(30)을 누르는 힘에 의해 구름볼(30)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구름볼(30)과는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구름볼(30)이 회전하면, 제1롤러(44)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제1축(42)도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1판부재(46)는 제1축(42)의 타단부에 고정되어 제1축(42)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며, 하우징(10)에 대해서는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1판부재(46)는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축(42)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관통부(420)가 원주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거리를 둘 수 있도록, 중심에 대해 동일 각도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광센서(48)는, 발광부(482)와 수광부(48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발광부(482)는 제1축(42)의 회전에 따른 제1판부재(46)의 관통부(420)들의 이동궤적상으로 빛을 조사한다. 상기 수광부(484)는 상기 발광부(482)로부터 조사된 빛이 제1판부재(46)의 관통부(420)를 통과하여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는 전기적신호를 출력한다. 즉, 발광부(4828)에서 빛이 회전하는 제1판부(46)로 조사하게 되며, 관통부(420)가 형성된 곳에서는 빛이 그 관통부(420)를 통과하여 수광부(484)에 이르게 되어 이를 감지한 수광부(484)에서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고, 관통부(420)가 형성되지 않은 곳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수광부(484)에 까지 이르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면, 제1판부재(46)의 회전량을 계산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구름볼(30)의 제1축(42) 방향으로의 구름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제2광센서부(50)는, 제2축(52), 제2롤러(54), 제2판부재(56), 제2광센서(58)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제2광센서부(50)에 대해서는, 제1광센서부(40)의 대응하는 요소와 동일한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산부(60)는, 하우징(10)내에 마련되며, 제1광센서(48)와 제2광센서(58)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신호를 이용하여 지도상의 거리를 구하고, 구해진 지도상의 거리와 축척입력부(20)로부터 입력받은 축척값(s)을 이용하여 실제거리(RD)를 계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표시부(70)는, 상기 하우징(10)에 마련되며, 연산부(60)에서 계산된 실제거리(RD)나 후술할 실제면적(RS)을 숫자로 표시한다. 이때 미리 설정한 단위 예를 들어 Km나 평(平) 등과 같은 단위와 함께 숫자가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는, 사용자에 의해 지도상에 선택된 적어도 3점을 꼭지점으로 하여 이루어진 폐다각형의 내부 면적을 구하여, 이를 실제 면적으로 산출할 수 있도록, 지점선택부(80)와 제1회전방향감지부(49)와 제2회전방향감지부(59)와 면적연산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지점선택부(80)는 하우징(10)에 마련되며, 하우징(10)의 가이드부(15)가 지도상의 원하는 지점에 각각 위치하였을 때, 이를 상기 연산부(60)에 전기적 신호를 주어, 지도상에서 폐다각형을 이루는 적어도 3개의 점을 선택할 수 있다. 한편, 지점선택부(80)는 거리를 측정하기 위하여 지도상의 제1지점(A)과 제2지점(B)을 선택할 때에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방향감지부(49)와 제2회전방향감지부(59)는, 각각 제1광센서부(40)와 제2광센서부(50)에 마련된다. 이들은, 각각 제1,2판부재(46, 56)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지,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지를 감지하여, 이를 연산부(60)의 면적연산부에 전기적 신호로 출력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수광부(484, 584)의 옆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데, 그 성질은 수광부(482, 582)와 같이 빛을 감지하면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발광부(482, 582)로부터 조사되는 빛을 발광부(482, 582)와 제1,2회전방향감지부(49, 59)중 어느 것이 먼저 빛을 감지하는지의 순서에 따라 회전방향을 인식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면적연산부는 연산부(60)에 구비되어 있다. 면적연산부는, 상기 지점선택부(80)로부터 입력받은 적어도 3개의 점을, 상기 제1·2광센서(48, 58) 및 상기 제1·2회전방향감지부(49, 59)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제1축값과 제2축값으로 이루어진 좌표값으로 인식하고, 그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의 폐다각형의 면적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도상의 면적값과 상기 축척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축척값을 이용하여 실제면적으로 계산한다.
이하, 연산부(40)에서의 거리 혹은 면적의 산출 과정을, 연산의 알고리즘이 도시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첫단계로 축척입력부(20)를 통해 지도의 축척(s)을 입력받아 연산부에 기억하고, 다음 단계로 측정하고자 하는 것이 거리(D)인지 면적(S)인지를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은 축척입력부(20)에 모드 선택부과 같은 버튼부를 구비하여 실행할 수 있다.
우선, 거리(D)를 산출하는 것에 대해 먼저 보면, 제1, 2광센서(48, 58)로부터 들어오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구름볼(15)이 지도상을 구른 지도상거리(MD)를 산출한다. 이때, 하우징(10)의 가이드부(15)가 제1지점(A)과 제2지점(B)에 위치할 때 이를 연산부(60)에 인식시기기 위해 지점선택부(80)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지도상거리(MD)에다 상기 축척값(s)을 곱하여 실제거리(RD)를 구하고, 산출된 실제거리(RD)를 후술할 표시부(50)로 출력하게 된다.
이제, 면적(S)을 산출하는 것에 대해 살펴본다. 거리(D)와 면적(S)에서면적(S)을 선택한 후, 면적을 구하기를 원하는 장소의 가상의 외부 경계선을 따라 적어도 3개의 지점을 선택한다. 이때, 선택하는 지점의 숫자가 많을수록 실제 면적과 측정면적과의 오차는 작아지게 된다. 도 4에 제시된 지도에서는 지점을 다섯 개(P1, P2, P3, P4, P5)로 선택한 예를 들고 있다. 즉, P1에 가이드부(15)를 위치시킨 후, 지점선택부(80)로 선택하고, 구름볼(15)을 지도에서 구르게 하면서 가이드부(15)를 P2에 위치시킨 후, 다시 지점선택부(80)로 선택한다. 이러한 과정으로 P5까지 선택하는 것을 마친다. 다음 단계는, 제1, 2광센서(48, 58)와 제1,2회전방향감지부(49, 59)로부터 입력되는 전기적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다섯 개의 인식된 점을 각각 좌표값으로 인식하고, 이를 이용하여 P1 내지 P5 의 다섯 개를 연결하여 만들어지는 오각형의 면적을 계산한다(도 5 참조). 이 때 계산방법의 일례를 들면,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을 3개 만들고, 각각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이를 각 삼각형의 면적을 구한 후 모든 값을 합산하여, 오각형의 면적을 구하게 된다. 이러한 계산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식이나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이미 널이 알려진 것이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구해진 지도상의 면적(MS)에 축척값(s)에 제곱을 한 값을 곱하여, 실제면적(RS)을 구하고, 이를 표시부(70)에 표시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지도용 측정장치(1)는 표시부 조명장치와 가이드부 조명장치(90)와 나침반(92)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표시부 조명장치는 표시부(70)에 마련된 것으로서, 어두운 환경에서 지도용 측정장치를 사용하는 경우에, 표시부(70)에 표시되는 숫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통상의 전등을 표시부(70)의 주변에 장작할 수도 수도 있고, 숫자가 표시되는 표시판을 백라이트 LCD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 조명장치(90)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가이드부(15)가 지도상의 원하는 지점에 위치할 수 있도록 빛을 비추는 것은 물론, 어두운 환경에서도 지도를 볼 수 있는 있도록 하여준다. 본 실시예의 경우,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며, 투명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가이드부(15)의 내측에 장작된다.
상기 나침반(92)은, 방위를 나타내는 통상의 나침반으로서 하우징(10)에 마련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지도용 측정장치(1)의 사용방법과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지도용 측정장치(1)의 하우징(10)상의 on/off 스위치(미도시)를 켜서, 각 부분에 전원을 공급한다.
우선, 거리를 측정하기를 원하면, 모드 선택부를 사용하여, 거리로 선택을 한다. 마치 컴퓨터의 마우스와 같은 형상을 하고 있는 하우징(10)을 잡고, 구름볼(30)이 지도상에 접하도록 올려놓은 후, 제1지점에 가이드부(15)를 위치시킨 후 제1지점(A)임을 지점선택부(80)를 사용하여 선택하여 연산부(60)에 입력한다.
그런 후, 가이드부(15)가 지도상경로(MP)를 따라 움직이도록 구름볼(30)을 구르게 하며 하우징(10)을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2지점(B)에 가이드부(15)가 이르게 되면, 지점선택부(80)를 사용하여 제2지점(B)임을 연산부에 입력시킨다. 그러면, 연산부(40)는 제2지점(B)임을 인식하고, 제1지점(A)에서부터 제2지점(B)까지의 구름볼(15)의 구른 거리를 계산하게 된다. 계산된 값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산부(40)에서는 입력받은 축척값(S)과 구름볼(15)의 구른 거리(=지도상거리(MD))를 이용하여, 실제거리(RD)를 산출하여 표시부(50)로 출력하고, 표시부(50)에는 실제거리(RD)가 표시된다. 표시부(50) 표시된 숫자의 단위는 Km로 설정하여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면적을 측정하기를 원하면, 모드 선택부를 사용하여, 면적으로 선택을 한다. 하우징(10)을 잡고, 구름볼(30)이 지도상에 접하도록 올려놓은 후, 면적을 측정하고자 하는 지형의 외곽선을 따라 가이드부(15)를 이동시키며, 원하는 만큼의 점들을 지점선택부(80)를 사용하여 선택하며 진행한다. 진행되며 선택된 적어도 3개의 점들은 제1축과 제2축의 값으로 이루어진 좌표값으로 인식되고, 이러한 점들을 연결하는 폐다각형의 내부면적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연산부(40)의 면적연산부에서 계산된다. 계산된 폐다각형의 면적을 입력받은 축척값(S)의 제곱을 곱하여 실제면적(RS)를 산출하고 이를 표시부(50)로 출력한다. 표시부(50)에는 실제거리(RD)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거리측정장치(1)는, 지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된 지도의 축척값(S)을 입력하고, 거리측정을 원하는 지도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경로(MP)를 따라, 컴퓨터의 마우스를 사용하는 것처럼 편하게 원하는 경로를 따라 간편하게 이동하기만 하면, 실제거리(RD)가 표시부(70)에 표시되는 편리한 장치이다. 따라서, 제1지점(A)과 제2지점(B)은 동일하지만, 첫 번째의 경로와는 다른 지도상의 경로를 선택하여 그 경로의 거리를 간편하게 구하여, 양자를 비교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구름볼(30)을 사용하고, 구름볼(30)의 구름양은 구름볼(30)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롤러(44, 54)와 판부재(46, 56) 및 제1광센서(48, 58)로 이루어진 제1,2광센서부(40, 50)를 사용하여 측정하므로, 측정값의 신뢰도가 높으며, 생산단가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10)의 지도상의 이동을 위해, 하단에 구비된 구름볼(30)을 이용하고 있어서, 지도상경로(MP)를 따라 지도용 측정장치(1)를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지점선택부(80)와, 제1,2회전방향감지부(49, 59) 및 면적연산부를 더 구비할 경우, 지도상에서 원하는 장소의 면적을 간편하게 산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표시부 조명장치나 가이드부 조명장치(90)를 구비하는 경우, 어두운 환경에서도 본 고안의 지도용 측정장치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나침반(92)을 구비하는 경우, 지도사용에 있어 별도의 나침반을 준비할 필요 없이 방위를 알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0)에 가이드부(15)를 구비하는 경우, 지도상의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하우징(10)을 위치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지도용 측정장치에 의하면, 지도의 축척값을 입력하고, 지도상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고 정확하게 실제거리를 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지도 상의 두 지점을 연결하는 지도상경로의 길이인 지도상거리를 실제거리로 산출하기 위한 지도용 측정장치로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지도의 축적을 입력받는 축척입력부;
    상기 지도상에서 구를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름볼;
    제1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축과, 상기 제1축에 고정되며 상기 구름볼과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제1롤러와, 상기 제1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1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관통부가 동일각도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1판부재와, 상기 제1축의 회전에 따른 상기 제1판부재의 관통부들의 이동궤적상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감지될 때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제1광센서를 포함하는 제1광센서부;
    상기 제1방향에 대해 수직인 제2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축과, 상기 제2축에 고정되며 상기 구름볼과 탄력적으로 접촉되어 있는 제2롤러와, 상기 제2축에 고정되며 상기 제2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다수의 관통부가 동일각도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는 제2판부재와, 상기 제2축의 회전에따른 상기 제1판부재의 관통부들의 이동궤적상으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로부터 조사된 빛이 감지될 때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는 수광부를 구비하는 제2광센서를 포함하는 제2광센서부;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제1광센서 및 제2광센서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거리를 구하고, 상기 지도상거리와 상기 축척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축척값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 거리를 실제거리로 계산하는 연산부; 및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연산부에서 계산된 실제거리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용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지도상에서 폐다각형을 이루는 적어도 3개의 점을 선택할 수 있는 지점선택부; 및
    상기 제1룰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제1회전방향감지부와 상기 제2롤러의 회전방향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제2회전방향감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연산부는, 상기 지점선택부로부터 입력받은 적어도 3개의 점을, 상기 제1·2광센서 및 상기 제1·2회전방향감지부로부터 입력받은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제1축값과 제2축값으로 이루어진 좌표값으로 인식하고, 그 좌표값들을 이용하여 상기 지도상의 폐다각형의 면적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도상의 면적값과 상기축척입력부로부터 입력받은 축척값을 이용하여 실제면적으로 계산하는 면적연산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용 측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에는 어두운 환경에서도 표시된 숫자를 식별할 수 있도록 표시부 조명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용 측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나침반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용 측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상기 지도상의 원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의 하부 외주면에 상기 구름볼과는 이격되게 위치하여 상기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용 측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어두운 환경에서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지도상의 원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것을 비추기 위한 가이드부 조명장치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도용 측정장치.
KR20-2003-0027944U 2003-08-30 2003-08-30 지도용 측정장치 KR2003350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944U KR200335023Y1 (ko) 2003-08-30 2003-08-30 지도용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944U KR200335023Y1 (ko) 2003-08-30 2003-08-30 지도용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5023Y1 true KR200335023Y1 (ko) 2003-12-01

Family

ID=49420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944U KR200335023Y1 (ko) 2003-08-30 2003-08-30 지도용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502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283B1 (ko) 거리 계수를 보정하는 기능을 구비한 현재 위치 산출 장치
EP1565704B1 (en) Level, angle and distance measuring device
CA2420695C (en) Multi-axis locator for detection of buried targets
EP0202468A1 (en) Electro-optical position determining system
US20090133467A1 (en) Robot Equipped with a Gyro and Gyro Calibration Apparatus, Program, and Method
EP279299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generating a navigation chart
CA2349709A1 (en) Measuring system for determining the surface line of a body
CN1141076A (zh) 传感装置
JP4614685B2 (ja) 手持ち式光電測距装置
US20090141261A1 (en) Electro-optical output unit and measuring device comprising said electro-optical output unit
US7202658B2 (en) Piston velocity detector
KR200335023Y1 (ko) 지도용 측정장치
CN201025441Y (zh) 电子数显轮式测距仪
JPS623883B2 (ko)
KR20210103142A (ko) 골프 거리 측정기
JP2012210828A (ja) 車両用表示装置
KR100491957B1 (ko) 거리산출장치
KR200324548Y1 (ko) 거리산출장치
US20050146325A1 (en) Manually operable portable magnetic field indicating device
JP3182515U (ja) レーザ距離計
KR100932679B1 (ko) 길이측정이 가능한 프로브펜
JPH0434439Y2 (ko)
CN215865096U (zh) 一种水平使用的激光测距装置
WO1980001606A1 (en) Actual position detecting device for a moving object
CN217877401U (zh) 一种用于地图上的多功能数显式方位角测量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