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768B1 -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 - Google Patents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768B1
KR100490768B1 KR10-2002-0050951A KR20020050951A KR100490768B1 KR 100490768 B1 KR100490768 B1 KR 100490768B1 KR 20020050951 A KR20020050951 A KR 20020050951A KR 100490768 B1 KR100490768 B1 KR 100490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arm support
support member
hinge shaf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0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8870A (ko
Inventor
노승중
송수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레테크
Priority to KR10-2002-0050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0768B1/ko
Publication of KR2004001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7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71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3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ly extensible or adjustable parts other than drawers, e.g. leaves
    • A47B21/0371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 A47B2021/0385Platforms for supporting wrists combined with pointing device, e.g. mo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4Accessories for tables or desks
    • A47B2200/0092Articulated arm used as wrist support

Landscapes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우스 사용자의 팔꿈치가 놓여지는 팔받침부재가 회전운동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전후좌우로 경사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책상 위에서 팔 전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AN ARM SUPPORT FOR USING A MOUSE DEVICE}
본 발명은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우스 사용자의 팔꿈치가 놓여지는 팔받침부재가 회전운동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전후좌우로 경사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책상 위에서 팔 전체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용 마우스 사용자는 마우스를 파지한 손의 손목을 책상 상면에 접촉시키고 팔꿈치는 책상에서 떨어뜨리거나 책상 위에 위치시킨 상태로 마우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손목 및 팔운동이 자유롭지 못하여 마우스를 장시간 사용할 경우 손목이나 팔이 쉽게 피로해지고 심지어는 어깨 등이 결리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14268호에는 쿠션부가 구비된 팔지지부와 상기 팔지지부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링크부와 상기 링크부를 책상 등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쿠션부에 팔꿈치를 안착하여 마우스를 조작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컴퓨터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는 상기 쿠션부에 팔꿈치 부분이 지지되어 팔꿈치 부분의 수평 방향 이동은 가능하나, 높이를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책상 상면에 손목이 지지되기 때문에 마우스의 이동을 위한 팔 전체의 이동이 어려워 결국 손목의 사용이 가중된다.
한편, 일본국 특허번호 제2686300호 특허공보에는 책상 등의 기부(基部)에 고정되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여 지지대를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는 수평방향 회동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한 손을 지지하는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63108호 등록실용신안공보에는 팔받침부재의 수평방향 위치 및 높이 조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상기 팔받침부재의 전방에 마우스 받침대를 별도로 구비한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국 특허번호 제2686300호의 손을 지지하는 장치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63108호의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는 상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1998-014268호에 개시된 컴퓨터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와는 달리 팔을 지지하는 부분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지만, 손을 지지하는 부분의 높낮이 조절을 4절 링크를 이용하므로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이 어렵고 제작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 절차가 번잡한 문제점을 가진다.
또한, 상술한 일본국 특허번호 제2686300호의 손을 지지하는 장치나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번호 제20-0263108호의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는 손목이 고정되기 때문에 팔 전체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가진다.
더욱이, 상술한 종래의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는 팔이 놓여지는 팔받침부재가 수평방향으로 회전은 가능하나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팔 전체의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는 팔이 접촉되는 팔받침부재의 부위에 부드러운 재질의 패드를 사용함으로써 팔의 피로 및 통증을 완화시키고 있으나, 팔에 접촉되는 패드 부위가 단순히 곡면이거나 평면이어서 팔과의 접촉부위에 통기가 이루어지지 않아 특히 하절기에는 피부가 직접 접촉되므로 땀이 차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팔이 직접 안착되는 팔받침부재가 사방으로 경사지는 운동이 가능하여 팔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팔받침부재의 높이 조절을 위한 수단을 회동암의 회동축에 설치하여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편리한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책상 위에서 이동이 자유로운 손목받침암을 장착함으로써 책상 위에서 팔 전체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팔꿈치나 손목이 접촉되는 부위에 돌기를 형성하여 접촉부위의 통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피로가 발생하는 팔의 피로를 지압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는, 일측에 책상의 가장자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수단이 설치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의 클램핑수단이 설치된 대향측에 상기 책상면에 수직한 축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고정된 회동암과, 소정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대칭을 이루는 원반 형상으로서, 상기 중심축이 상기 회동암의 타단에 상기 회동암의 회동축과 평행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중심축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볼 조인트 결합을 위한 볼이 형성된 팔받침지지부재와, 하부에 상기 팔받침지지부재의 상기 볼과 결합되는 소켓이 형성된 팔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암의 상기 팔받침지지부재가 설치되는 단부에는 베어링베이스가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팔받침지지부재의 상기 회동암이 연결되는 하부에는 베어링하우징이 형성되며, 회전륜이 상기 베어링베이스에 고정되고, 다른 회전륜이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고정되며, 내경과 외경의 평균값의 절반이 상기 팔받침지지부재의 볼의 중심과 상기 팔받침지지부재의 중심축 사이의 최단거리 이상이고, 상기 팔받침지지부재와 동축으로 설치된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는, 상기 고정부재의 상기 클램핑수단이 형성된 측의 대향측에는 상부에 상부연장부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상부연장부와 마주보는 하부연장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연장부 각각에 동축을 이루도록 힌지축지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암의 일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힌지축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힌지축관통구멍의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하부에 힌지축노브가 고정되며, 상기 힌지축관통구멍에 나사결합으로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힌지축지지구멍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는, 상기 팔받침부재는 상기 소켓 전방에 돌출형성된 힌지브라켓과, 상기 힌지브라켓에 형성된 힌지핀과, 상기 힌지브라켓 전방에 돌출 형성되어 말단이 꺽쇠모양으로 꺽인 스토퍼를 더 포함하며, 일단에 형성된 손목받침대와, 타단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힌지핀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절개된 구멍이 형성된 연결브라켓과, 상기 스토퍼가 아랫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리도록 상기 연결브라켓 전방에 절취되어 형성된 걸림구멍과, 상기 손목받침암의 책상의 상면과 접촉되는 저면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름볼을 포함하는 손목받침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는, 상기 손목받침대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고정부재, 회동암, 팔받침지지부재 및 팔받침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회동암과 팔받침지지부재가 깊은 홈 볼 베어링으로 연결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회동암과 팔받침지지부재가 테이퍼 롤러 베어링으로 연결된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회동암과 팔받침지지부재가 스러스트 볼 베어링으로 연결된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팔받침부재가 좌우로 경사지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받침암이 연결된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팔받침부재와 손목받침암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받침암이 연결된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가 책상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손목받침암의 저면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팔받침부재가 전후로 경사지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100)는 고정부재(20), 회동암(50), 팔받침지지부재(60), 팔받침부재(70), 및 손목받침암(8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20)의 일측에는 고정턱(41)과, 유동볼트지지브라켓(42)과, 유동볼트(44) 및 유동턱(47)을 포함하는 클램핑수단(40)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턱(41)은 상기 고정부재(20)를 책상(10)의 가장자리(11)에 고정시킬 때 저면이 상기 책상(10)의 상면에 맞붙게 되는 판형상을 가진다.
상기 유동볼트지지브라켓(42)은 상기 고정턱(41) 아래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턱(41)과 마주보며,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볼트구멍(43)이 형성된다.
상기 유동볼트(44)는 외주에 상기 볼트구멍(43)의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며, 회전하면 상하로 움직이도록 상기 볼트구멍(43)에 삽입장착된다.
상기 유동볼트(44)의 하단에는 상기 유동볼트(44)를 회전시킬 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유동볼트노브(45)가 고정된다.
또한, 상기 유동볼트(44)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턱(41)과 마주보는 유동턱(47)이 장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유동볼트노브(45)를 손으로 잡아 상기 유동볼트(44)를 회전시키면 상기 유동턱(47)이 상기 고정턱(41)과 상기 유동볼트 지지브라켓(42) 사이에서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20)은 상기 고정턱(41)이 책상(10)의 상면에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유동턱(47)이 책상(1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위로 이동시켜 상기 책상 가장자리(11)의 적소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20)의 상기 클램핑수단(40)이 형성된 측의 대향측에는 브라켓 모양의 상부연장부(33)가 상부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상부연장부(33)와 마주보는 하부에는 브라켓 모양의 하부연장부(35)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상부연장부(33)와 상기 하부연장부(35) 각각은 하술하는 힌지축(31)의 양단이 지지되는 힌지축지지구멍(34',36')을 동축상의 서로 마주는 위치에 구비한다.
상기 힌지축지지구멍(34',36')은,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힌지축지지구멍(34',36')이 각각의 일측 중심에 형성된 2개의 부쉬(34,36)를 상기 상부연장부(33)와 상기 하부연장부(35) 각각의 동축상에 형성된 부쉬삽입구멍(33',35')에 상기 힌지축지지구멍(34',36')이 서로 마주보도록 삽입하여 상기 상부연장부(33)와 상기 하부연장부(35)에 구비된 것이다.
상기 힌지축지지구멍(34'36') 각각에는 양단 각각이 지지되어 상기 상부연장부(33) 및 하부연장부(35) 사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힌지축(31)이 장착된다.
상기 힌지축(31)의 외주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31)을 회전시키면 상기 수나사에 의해 하술하는 회동암(50)이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31) 하부에는 힌지축(31)을 손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힌지축노브(32)가 설치되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힌지축노브(32)는 상기 회동암(50)의 상하 이동 범위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연장부(35)의 내면과 가능한한 근접한 위치의 상기 힌지축(31)의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회동암(50)은 상기 힌지축(31)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고, 동시에 상기 힌지축(3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회동암(50)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축(31)의 수나사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내주에 형성되어 상기 힌지축(31)이 삽입되는 힌지축관통구멍(53)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축(31)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암(50)이 상기 힌지축(3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팔받침부재(70)의 높이가 조절된다.
상기 회동암(50)의 타단에는 윗 방향을 향하는 원형의 베어링베이스(55)가 형성된다.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는 아래에서 설명할 볼(63)을 제외하고는 소정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대칭을 이루는 원반 형상이며, 하부에 상기 베어링베이스(55)에 하술하는 베어링(56)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베어링하우징(61)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하우징(61)과 상기 베어링베이스(55)가 서로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베어링베이스(55)와 상기 베어링하우징(61)의 동축 중심에는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의 회전에 지장이 없도록 세팅볼트(65)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의 상부에는 상기 베어링하우징(61)의 축중심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로 이격된 위치에 볼 조인트(ball and socket joint) 결합을 위한 구형의 볼(63)이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상기 베어링베이스(55)와 상기 베어링하우징(61) 사이에는 베어링(56)이 장착된다. 상기 베어링(56)은 내경과 외경의 평균값의 절반이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의 중심축과 상기 볼(63)의 중심 사이의 최단거리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팔받침부재(70)로부터 전달된 하중이 볼(63)을 통해 팔받침지지부재(60)로 전달될 때, 볼(63)은 팔받침지지부재(60)의 중심축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편심하중이 작용하게 된다. 상기한 편심하중에 견디기 위해서는 중심축으로부터 상기 볼(63)이 위치한 지점까지의 거리 이상의 거리를 갖는 지점에서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를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베어링과 이에 따른 베어링베이스 및 베어링하우징의 다양한 실시예가 제시되어 있다.
도 3은 베어링베이스(55)와 베어링하우징(61)이 소정의 베어링(56)으로 연결되는 상호위치관계와, 이들이 분리되지 않도록 세팅볼트(65)로 결합된 것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즉, 통상 상대적으로 회전하는 2개의 회전륜을 가지는 베어링(56)은 상기 베어링베이스(55)에 하나의 회전륜(도면에 미도시)이 결합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61)에 다른 하나의 회전륜(도면에 미도시)이 결합되며, 이에 의해 상기 상기 회동암(50)과 팔받침지지부재(60)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다.
특히, 도 4는 양방향의 축방향 하중을 받아도 내륜과 외륜이 이탈되지 않는 깊은 홈 볼 베어링(56a)을 사용함으로써 베어링베이스(55a)와 베어링하우징(61a)의 결합 유지를 위한 상술한 셋팅볼트를 생략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도 5는 베어링베이스(55b)와 베어링하우징(61b)의 연결에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장착된 테이퍼 롤러 볼 베어링(56b)을 사용하고, 상기 베어링베이스(55b)와 베어링하우징(61a)의 결합 유지를 위하여 셋팅볼트(66)를 상기 베어링베이스(55b)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삽입하여 고정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도 6은 베어링베이스(55c)와 베어링하우징(61c)의 연결에 축방향 하중에 적합한 스러스트 볼 베어링(56c)을 사용하고, 상기 베어링베이스(55c)와 베어링하우징(61c)의 결합 유지를 위하여 상기 베어링베이스(55c)의 상부 중심에 돌출 형성된 조인트 축(58)을 상기 베어링하우징(61c)의 중심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하고, 베어링하우징(61c) 상부로 노출된 상기 조인트 축(58) 말단을 고정링(67)으로 고정한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팔받침부재(70)는 마우스 사용자의 팔꿈치가 놓여지는 부분으로서 단면이 아랫 방향으로 만곡된 원호 모양으로 형성된 타원형 판이다.
상기 팔받침부재(70)의 상부에는 부드러운 재질의 패드(71)가 부착된다.
한편, 상기 패드(71)의 상면에는 상기 팔꿈치와 접촉되는 부위의 통기성을 확보하고 팔꿈치에 지압효과를 주기 위한 복수의 돌기(72)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팔받침부재(70)의 저면에는 상기 볼(63)을 감싸 상기 볼(63)에 연결되는 소켓(73)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소켓(73)에 상기 볼(63)이 삽입됨으로서 상기 팔받침부재(70)는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에 볼 조인트 결합으로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팔받침부재(70)는 사방으로 경사지는 운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팔받침부재(70)의 저면에는 상기 소켓(73)의 전방에 내부에 힌지핀(87a,87b)이 형성된 힌지브라켓(75a,75a)이 돌출형성되며, 그 전방으로 말단이 꺽쇠 모양으로 꺽인 스토퍼(77a,77b)가 돌출형성된다.
상기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브라켓(75a,75b)과 스토퍼(77a,77b)는 좌우에 대칭적으로 배열된다.
상기 손목받침암(80)은 상기 힌지브라켓(75a,75b)에 연결되는 길이가 긴 판재이다.
도 8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손목받침암(80)의 일단에는 사각형의 판재인 손목받침대(81)이 구비된다.
상기 손목받침대(81) 상에는 마우스 사용자의 손목이 놓여지게 되며, 상기 손목받침대(81) 상면에는 통기성 확보와 지압 효과를 위하여 복수의 돌기(82)가 형성되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손목받침암(80)의 타단에는 연결브라켓(85a,85b))이 윗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힌지핀(87a,87b)이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상기 연결 브라켓(85a,85b)의 구멍은 일측이 절개되어 상기 힌지핀(87a,87b)을 상기 절개부를 통하여 삽입하고 탈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손목받침암(80)은 힌지브라켓(75a,75b)이 힌지핀(87a,87b)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팔받침부재(70)의 전방에서 상하로 회동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77a,77b)에 대응하는 손목받침암(80)의 적소는 절취되어 상기 스토퍼(77a,77b)가 위치하는 걸림구멍(84a,84b)이 형성된다.
도 11를 참조하면, 상기 스토퍼(77a,77b)는 상기 걸림구멍(84a,84b) 내부에 유동이 가능하게 위치하며, 상기 팔받침부재(7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스토퍼(77a,77b)의 꺽쇠 모양의 말단이 상기 걸림구멍(84a,84b) 각각의 내주 아래에 걸리게 된다.
즉, 상기 팔받침부재(7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손목받침암(80)과 상기 팔받침부재(70)는 상기 힌지핀(87a,87b)를 축으로 아랫 방향으로 꺽여지면서 상기 손목받침암(80)은 후방으로 기울어지지만, 상기 팔받침부재(70)가 후방으로 기울어지면, 상기 스토퍼(77a,77b)와 상기 걸림구멍(84a,84b)에 의해 상기 손목받침 암(80)도 상기 팔받침부재(70)와 같이 들리게 된다.
한편, 상기 손목받침암(80)의 손목받침대(81)는 책상(10)의 상면에 놓이는데 상기 손목받침암(80)이 책상(10)에 접촉된 상태에서도 좌우로 회전이 원할히 이루어 지도록 상기 책상(10)의 상면과 접촉되는 상기 손목받침암(80)의 저면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는 자유로이 회전이 가능하게 구름볼(83)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100)는 상기 클램핑수단(40)의 고정턱(41)과 유동턱(47)이 책상 가장자리(11)를 끼워 잡음으로서 책상(10)에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턱(41)과 상기 유동턱(47) 사이의 간격이 책상 가장자리(11)의 두께보다 크게 상태에서 상기 책상 가장자리(11)를 상기 고정턱(41)과 상기 유동턱(47) 사이에 집어 넣은 다음, 유동볼트노브(45)로 유동볼트(44)를 돌려 상기 유동턱(47)을 올리면 상기 책상(10)의 저면에 상기 유동턱(47)이 밀착됨으로서 상기 책상 가장자리(11)가 상기 고정턱(41)과 유동턱(47) 사이에 꽉 끼이게 된다.
또한,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책상(10)에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100)가 고정되면 회동암(50)은 책상(10)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며, 손목받침암(80)의 손목받침대(81)는 책상(10) 상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힌지축(31)을 중심으로 상기 회동암(50)이 회전하므로 상기 팔받침부재(70)의 수평 방향의 위치를 바꿀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31)을 회전시키면 상기 회동암(50)은 상기 힌지축(3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므로 팔받침부재(7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팔받침부재(70)에서 손목받침암(80)에는 마우스 사용자의 팔이 놓여지게 되는데, 팔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의 베어링하우징(61)의 축을 중심으로 상기 손목받침암(80)이 팔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손목받침암(80)은 구름볼(83)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책상 상면에서 원할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11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팔을 팔받침부재(70) 및 손목받침암(80)에 놓은 상태로 팔을 전후 방향이나 좌우 방향으로 기울이면 팔이 상기 팔받침부재(70)와 함께 볼(63)을 중심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팔받침부재가 볼을 구비한 팔받침지지부재를 통해 회동암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팔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팔을 전후좌우로 기울일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회동암의 힌지축을 회전시켜 상기 회동암 전체를 상하로 이동시켜 팔받침부재의 높이를 조절하기 때문에 높이 조절을 위한 수단의 구성이 간단하며, 높이 조절이 간편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책상 상면에 접촉되는 부위에 구름볼을 장착한 손목받침암을 구비함으로써 책상 위에서의 팔 전체의 움직임이 자유로운 장점을 가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팔이 접촉되는 패드와 손목받침대에 돌기를 형성하여 통기성을 확보하고 팔에 발생한 피로를 지압으로 해소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고정부재, 회동암, 팔받침지지부재 및 팔받침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회동암과 팔받침지지부재가 깊은 홈 볼 베어링으로 연결된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회동암과 팔받침지지부재가 테이퍼 롤러 베어링으로 연결된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회동암과 팔받침지지부재가 스러스트 볼 베어링으로 연결된 또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팔받침부재가 좌우로 경사지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손목받침암이 연결된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팔받침부재와 손목받침암의 회전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손목받침암이 연결된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가 책상에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손목받침암의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의 팔받침부재가 전후로 경사지는 상태를 도시한 개념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 10 책상
20 고정부재 31 힌지축
32 힌지축노브 33 상부연장부
33',35' 부쉬삽입구멍 34,36 부쉬
34',36' 힌지축지지구멍 35 하부연장부
40 클램핑수단 41 고정턱
42 유동볼트지지브라켓 43 볼트구멍
44 유동볼트 45 유동볼트노브
47 유동턱 50 회동암
53 힌지축관통구멍 55,55a,55b,55c 베어링베이스
56,56a,56b,56c 베어링 58 조인트 축
60 팔받침지지부재 61,61a,61b,61c 베어링하우징
63 볼 65,66 세팅볼트
67 고정링 70 팔받침부재
71 패드 72 돌기
73 소켓 75a,75b 힌지브라켓
77a,77b 스토퍼 80 손목받침암
81 손목받침대 82 돌기
83 구름볼 84a,84b 걸림구멍
85a,85b 연결브라켓 87a,87b 힌지핀

Claims (5)

  1. 삭제
  2. 일측에 책상의 가장자리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수단(40)이 설치된 고정부재(20)와,
    상기 고정부재(20)의 클램핑수단(40)이 설치된 대향측에 상기 책상면에 수직한 축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일단이 고정된 회동암(50)과,
    소정의 중심축에 대해 회전대칭을 이루는 원반 형상으로서, 상기 중심축이 상기 회동암(50)의 타단에 상기 회동암(50)의 회동축과 평행한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 상기 축선에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볼 조인트 결합을 위한 볼(63)이 형성된 팔받침지지부재(60)와,
    하부에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의 상기 볼(63)과 결합되는 소켓(73)이 형성된 팔받침부재(70)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암(50)의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가 설치되는 단부에는 베어링베이스(55)가 상부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의 상기 회동암(50)이 연결되는 하부에는 베어링하우징(61)이 형성되며,
    회전륜이 상기 베어링베이스(55)에 고정되고, 다른 회전륜이 상기 베어링하우징(61)에 고정되며, 내경과 외경의 평균값의 절반이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의 볼(63)의 중심과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의 중심축 사이의 최단거리 이상이고, 상기 팔받침지지부재(60)와 동축으로 설치된 베어링(5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20)의 상기 클램핑수단(40)이 형성된 측의 대향측에는 상부에 상부연장부(33)가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상부연장부(33)와 마주보는 하부연장부(35)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및 하부 연장부(33,35) 각각에 동축을 이루도록 힌지축지지구멍(34',36')이 형성되고,
    상기 회동암(50)의 일단에는 암나사가 형성된 힌지축관통구멍(53)이 형성되며,
    외주에 상기 힌지축관통구멍(53)의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하부에 힌지축노브(32)가 고정되며, 상기 힌지축관통구멍(53)에 나사결합으로 삽입되고, 양단이 상기 힌지축지지구멍(34',36')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힌지축(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10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팔받침부재(70)는 상기 소켓(73) 전방에 돌출형성된 힌지브라켓(75a,75b)과, 상기 힌지브라켓(75a,75b)에 형성된 힌지핀(87a,87b)과, 상기 힌지브라켓(75a,75b) 전방에 돌출 형성되어 말단이 꺽쇠모양으로 꺽인 스토퍼(77a,77b)를 더 포함하며,
    일단에 형성된 손목받침대(81)와, 타단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힌지핀(87a,87b)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일측이 절개된 구멍이 형성된 연결브라켓(85a,85b)과, 상기 스토퍼(77a,77b)가 아랫방향에서 윗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걸리도록 상기 연결브라켓(85a,85b) 전방을 절취하여 형성된 걸림구멍(84a,84b)과, 상기 손목받침암(80)의 책상(10)의 상면과 접촉되는 저면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에 자유롭게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구름볼(83)을 포함하는 손목받침암(8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100).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받침대(81)의 상면에는 복수의 돌기(8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100).
KR10-2002-0050951A 2002-08-27 2002-08-27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 KR100490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951A KR100490768B1 (ko) 2002-08-27 2002-08-27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0951A KR100490768B1 (ko) 2002-08-27 2002-08-27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5567U Division KR200294630Y1 (ko) 2002-08-27 2002-08-27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870A KR20040018870A (ko) 2004-03-04
KR100490768B1 true KR100490768B1 (ko) 2005-05-19

Family

ID=3732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0951A KR100490768B1 (ko) 2002-08-27 2002-08-27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07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63349A (zh) * 2018-04-19 2018-09-21 浙江粤强家具科技有限公司 一种抽拉式鼠标手托
CN111955816B (zh) * 2020-08-05 2024-03-08 安徽信息工程学院 一种用于鼠标使用时的手腕护具
KR20230092382A (ko) 2021-12-17 2023-06-26 주식회사 웰니스 작업 보조용 팔 거치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268U (ko) * 1998-02-27 1998-06-05 김완연 컴퓨터 마우스용 팔받침대
JPH10211794A (ja) * 1997-01-31 1998-08-11 Fujieda Kenchiku Sekkei:Kk アーム支持具
KR19990041626U (ko) * 1998-05-22 1999-12-15 장근대 팔지지구
KR20000003653U (ko) * 1998-07-28 2000-02-25 박노후 컴퓨터용 팔 받침대
KR20000061685A (ko) * 1999-03-30 2000-10-25 이순원 컴퓨터책상 및 일반작업대 겸용 팔지지대
KR20010098301A (ko) * 2000-04-29 2001-11-08 한상돌 마우스 작동을 위한 지지기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794A (ja) * 1997-01-31 1998-08-11 Fujieda Kenchiku Sekkei:Kk アーム支持具
KR19980014268U (ko) * 1998-02-27 1998-06-05 김완연 컴퓨터 마우스용 팔받침대
KR19990041626U (ko) * 1998-05-22 1999-12-15 장근대 팔지지구
KR20000003653U (ko) * 1998-07-28 2000-02-25 박노후 컴퓨터용 팔 받침대
KR20000061685A (ko) * 1999-03-30 2000-10-25 이순원 컴퓨터책상 및 일반작업대 겸용 팔지지대
KR20010098301A (ko) * 2000-04-29 2001-11-08 한상돌 마우스 작동을 위한 지지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8870A (ko) 200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98180B2 (en) Office chair
US4850804A (en) Portable electric fan having a universally adjustable mounting
US5553820A (en) Adjustable monitor arm
JP3499565B2 (ja) ライティングタブレット組立品
JP3895177B2 (ja) 肩関節の内部人工器官
EP3476255A1 (en) Tiltable stool or lounge chair
KR100490768B1 (ko)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
JPS6145707A (ja) 椅子
GB2361417A (en) Linear seat recliner
JP3547127B2 (ja) カメラ用支持具
KR200294630Y1 (ko) 마우스 작업용 팔 받침대
KR100829180B1 (ko) 허리운동이 가능한 의자
US6193315B1 (en) Backrest structure of a chair, particularly a drum chair
KR200306816Y1 (ko) 등받이 각도조절기구를 가지는 사무용 의자
JPH11502601A (ja) 支持アーム機構のための傾動アダプタ
JP2000037567A (ja) 関節可動人形に於ける肩部の構造
US20060103217A1 (en) Angle-adjustable footrest
JP3043272U (ja) 釣り竿支持具
JP4256027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GB2423468A (en) Rotatably adjustable support device for a notebook computer
JPH08173269A (ja) 椅子における前傾動装置
JP4695353B2 (ja) 椅子
JPH0128539Y2 (ko)
KR200226611Y1 (ko) 등받이 조정용 의자
KR200153007Y1 (ko) 의자 팔걸이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