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0243B1 - 가스발생기 - Google Patents

가스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0243B1
KR100490243B1 KR10-2002-7000630A KR20027000630A KR100490243B1 KR 100490243 B1 KR100490243 B1 KR 100490243B1 KR 20027000630 A KR20027000630 A KR 20027000630A KR 100490243 B1 KR100490243 B1 KR 1004902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er
housing
gas generator
cover
to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0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2775A (ko
Inventor
스에히로아키히코
다나카고지
사소다카시
Original Assignee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2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2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02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02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60R21/26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 B60R21/2644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using instantaneous generation of gas, e.g. pyrotechnic using only solid reacting substances, e.g. pellets, pow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유기화합물계 가스 발생제에 적합한 가스 발생기로서, 내열성, 내압성이 우수하고, 또한 실링의 신뢰성이 높은 가스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를 위해서, 윗판(2a)과, 그 전체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설치되고 또한 다수의 가스발생구멍(8)이 설치되어 있는 측통(1a)으로 이루어지는 철 또는 강제의 윗덮개(2)와, 바닥판(3f)과, 그 전체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설치된 측통(1b)과, 상기 바닥판(3f)에 일체성형되고, 점화기(30)를 코킹고정하는 점화기 유지부(3a)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철 또는 강제의 아래덮개(3)를 접합하여 하우징(4)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4)내에, 그 중심부로부터, 점화기(30), 가스 발생제(6)를 순차 배치한 가스 발생기로 한다.

Description

가스발생기{GAS GENERAT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사고 등에 의한 충격으로부터 자동차의 운전자 및 승객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에어백 안전장치에 사용되는 가스 발생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가스 발생기에 대하여는, 하우징이 알루미늄 합금제의 것, 철 또는 강제의 것이 있다. 알루미늄 합금제의 것에 대하여는, 철 또는 강제의 것에 비하여 성형가공이 용이하기 때문에, 일본특개평 10-08119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아래덮개 중앙에 점화기를 고정하기 위한 점화기 유지부가 일체 성형되어있는 것이 있다. 한편, 철 또는 강제의 것은, 예를들면 일본특개평 11-078764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같은, 프레스성형된 아래덮개에 별도부품인 점화기 유지부(점화기용 홀더)가 용접 고정되어 있는 것이 있다.
또한, 환경성이나 안전성의 요청에 의해 가스 발생제가, 아지드화소다를 사용한 아지드화계의 것으로부터 질소함유 유기화합물계의 것으로 변환되는 방향에 있다.
그런데, 질소함유 유기화합물계의 가스 발생제는, 아지드화계의 가스 발생제에 비하여 연소시의 온도가 높게 되기 쉽다. 또한, 같은 정도의 연소특성을 유지하는데에는 보다 높은 압력이 필요하고, 1통구조의 알루미늄합금제 하우징에서는 내열성·내압성의 면에서 한계가 있었다.
또한, 가스 발생제의 흡습(吸濕) 열화(劣化)를 방지하기 위해서 하우징은 실링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이 점, 철 또는 강제의 하우징에 점화기 유지부품을 용접고정하면, 용접작업에 더하여, 용접부의 실링성의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에서, 사전에 누출검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동일하게 점화기 유지부분을 코킹고정하는 경우에도, 패킹 등의 실링부재의 추가와 코킹작업이 필요하게 되고, 실링검사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가스 발생기의 직경(D)에 비하여 축방향의 높이(L)가 짧은 경우(L/D≤1)는, 아래덮개의 두께를 가스 발생제의 연소시의 높은 내압에 의한 아래덮개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을 정도로 두껍게 할 수 없다. 가스 발생제의 연소시의 압력에 의해 아래덮개가 변형되면, 점화기 유지부의 용접부의 파손이나 코킹의 빠짐에 따른 연소가스의 누출이 생길 경우가 있다. 이 누출된 연소가스는, 냉각·필터부재를 경유하지 않을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문제를 일거에 해결하도록 이루어진 것이고, 구체적으로는 질소함유 유기화합물계 가스발생제에 적합한 가스 발생기로서, 내열성, 내압성이 우수하고, 또한 실링성이 우수한 가스 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일예의 전체구성을 도시하는 모식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윗판과, 그 전체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설치되고 또한 다수의 가스방출구멍이 설치되어 있는 측통으로 이루어지는 철 또는 강제의 윗덮개와, 바닥판과, 그 전체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설치된 측통과, 상기 바닥판에 일체형성되고, 점화기를 코킹고정하는 점화기 유지부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철 또는 강제의 아래덮개를 접합하여 하우징을 형성하고, 상기 하우징에는, 그 중심부로부터, 점화기, 가스발생제가 순차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윗덮개의 상기 측통으로부터 수평 바깥방향으로 뻗어 설치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일체성형은, 상기 철 또는 강의 부분적인 가압유동의 반복에 의한 것이고, 상기 아래덮개는, 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더욱이, 상기 점화기 유지부는, 볼형상의 상기 아래덮개의 바닥판의 두꺼운 두께부로부터 위로 세워지고, 상기 점화기를 유지하는 내측통부와, 상기 내측통부에서 중앙으로 향해서 돌출하고, 상기 점화기를 얹어놓은 돌출부와, 상기 내측통부로부터 연재하여 중앙을 향해서 절곡되고, 상기 점화기를 코킹고정하는 클릭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내에 배치되는 상기 가스 발생제가, 질소함유 유기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화합물계 가스 발생제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는, 점화기 유지부가 바닥판에 일체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점화기 유지부의 실링성의 검사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실링불량에 의한 가스 발생제의 흡습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강도가 높은 철 또는 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질소함유 유기화합물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고내압에 의한 아래덮개의 변형도 방지될 수 있다. 더욱이, 아래덮개와 점화기 유지부가 일체성형되기 때문에, 아래덮개가 내압에 의해 변형한 경우에도, 실링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윗덮개측에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아래덮개측에 점화기 유지부를 일체성형할 수 있다.
더욱이, 부분적으로 단조나 드로잉성형가공 등에 의해 철 또는 강의 가압유동을 반복하므로서, 철 또는 강이더라도, 점화기 유지부를 아래덮개에 일체성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아래덮개가 볼형상으로 성형된 것이기 때문에, 높은 기계적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문에, 질소함유 유기화합물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고내압에 의한 아래덮개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압유동을 반복하여 성형하기 때문에, 점화기 유지부를 바닥판으로부터 하우징내부를 향해서 세우도록 일체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점화기 유지부분의 실링성을 검사할 필요도 없다. 또한, 일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강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유기화합물계 가스 발생제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고내압에 의해, 가령 아래덮개가 변형한 경우이더라도, 실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점화기 유지부를 아래덮개에 두꺼운 두께부를 통해서 설치하므로서, 점화기 유지부는, 보다 높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어, 보다 확실히 실링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L/D가 1이하 이더라도, 일체성형되기 때문에, 아래덮개의 두께를 두껍게 할 수 있고, 가스 발생기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가스 발생기의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일예를 도시하는 모식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가스 발생기(G1)는, 철 또는 강제의 윗덮개(2) 및 아래덮개(3)로 이루어진다.
사용되는 철 또는 강은, 일반적으로 단조나, 드로잉성형가공, 프레스성형 등에 사용되는 연철, 철, 강, 합금강 등이라면,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윗덮개(2)는, 윗판(2a)과, 그 전체둘레에서 하방으로 뻗어 설치되고 또한 다수의 가스 방출구멍(8)이 설치되어 있는 측통(1a)과, 상기 측통(1a)으로부터 수평 바깥쪽방향으로 뻗어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에어백 모듈이 부착되어 있는 플랜지(1c)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덮개(3)는, 바닥판(3f)과, 그 전체둘레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설치된 측통(1b)과, 바닥판(3f)의 중앙에 일체성형되고, 점화기(30)를 코킹고정하는 점화기 유지부(3a)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윗덮개(2)와 아래덮개(3)는, 부분적인 가공유동의 반복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여기서, 부분적인 가압유동의 반복이란 것은, 일반적인 단조가공이나 드로잉성형가공 등을 부분적으로 반복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윗덮개(2)와 아래덮개(3)는, 1매의 판형상의 철 또는 강 혹은, 한편의 블럭형상의 철 또는 강으로부터, 각 부분에 상당하는 금형 등을 사용하고, 단조가공, 드로잉성형가공, 프레스가공 등을 조합하여 성형된 것이다.
이와같이, 부분적으로, 단조가공, 드로잉성형가공, 프레스가공 등에 의한 가압유동을 반복하므로서, 윗덮개(2)와 아래덮개(3)의 윗판(2a)과 바닥판(3f)은, 볼형상으로 할 수 있고, 질소함유 유기화합물의 연소시에 발생하는 높은 내압에 의해서도, 변형하지않는 충분한 내압강도를 가진 형상으로 될 수 있다.
또한, 윗덮개(2)에, 에어백모듈이 부착되는 플랜지(1c)를 형성하므로서, 점화기 유지부(3a)를 일체로 성형하는 아래덮개(3)의 형상을 필요이상으로 복잡화할 필요도 없게 되고, 점화기 유지부(3a)의 일체 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이 점화기 유지부(3a)는, 강도의 점에서 바닥판(3f)의 중앙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점화기 유지부(3a)는, 볼형상의 상기 아래덮개(3)의 바닥판(3f)의 두꺼운 두께부(3e)에서 세워지고, 점화기(30)를 유지하는 내측통부(3b)와, 이 내측통부(3b)에서 중앙을 향해서 돌출하고, 패킹(31)을 통해서 점화기(30)를 얹어놓는 돌출부(3d)와, 내측통부(3b)에서 연재하여 중앙을 향해서 절곡하고, 점화기(30)를 코킹고정하는 클릭부(3c)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내측통부(3b)가, 바닥판(3f)의 두꺼운 두께부(3e)에서 세워지도록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점화기 유지부(3a)는 기계적 강도도 우수하다. 이 때문에, 가스 발생제(6)가 연소한 때의 내압에 의해, 가령 아래덮개(3)가 변형한 경우에도, 파손하는 일이 없다. 또한, 일체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실링성에 대하여도 문제가 없고, 누출검사 등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내측통부(3b)는, 두꺼운 두께부(3e)을 통해서 형성될 필요는 없고, 바닥판(3f)에서 직접 세워지도록 셩형되어있어도 좋다.
이와같이 하여 성형된 윗덮개(2)와 아래덮개(3)는, 측통(1a)과 측통(1b)이 맞대어, 접합되어 1통식의 하우징(4)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접합방법으로서는, 전자빔용접, 레이저용접이나 마찰압접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가스 발생기(G1)는, 1통식의 하우징구조이기 때문에, 가스 발생제(6)의 연소에 의해 발생되는 내압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모두 측통(1)으로 지지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가스발생기의 직경(D)은, 70mm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높이방향의 치수(L)에 대하여는, 도시하지 않은 에어백모듈에 편입되기 때문에, 조수석용으로서는 70mm 이하가, 운전석용으로서는 40mm이하가 바람직하다.
하우징(4)의 내부에는, 냉각·필터부재(7)가 윗덮개((2)로부터 아래덮개(3)까지 사이에 장착되고, 그 내측에 쿠션부재(5)와 누르기 덮개부재(9a)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가스 발생제(6)가 장전되어 있다. 또한, 냉각·필터부재(7)의 내측하단에는, 단면 L자형의 링부재(9b)가 맞닿음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누르기 덮개부재(9a)나 링부재(9b)는, 함께 가스 발생기(G1)가 작동한 때에 생기는 하우징(4)의 변형에 의해 생기는 하우징내면과 냉각·필터부재(7)의 간극에서, 발생가스가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또한, 냉각·필터부재(7)의 외주에는, 외주에 다수의 구멍을 가지는 원통형상의 펀칭메탈(11)이 배치되어 있다. 펀칭메탈(11)은, 가스 발생제(6)가 연소한 때에 발생하는 가스압에 의해, 냉각·필터부재(7)가 눌려 찌그러져서, 공간(12)을 막는 것을 방지하고, 가스 발생제(6)가 연소되어 발생되는 가스를 확실히 가스방출구(8)로부터 방출하는 역할을 다한다.
또한, 윗덮개(2)의 측통(1a)에 설치된 다수의 가스방출구(8)의 내측에는 실링부재(알루미늄박 부재 등)(10)가 부착되어, 점화기 유지부(3a)에 부착된 패킹(31)으로 하우징(4)내의 기밀성을 확보하고 있다.
다음에,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G1)의 조립작업의 요령을 같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먼저, 아래덮개(3)의 점화기 유지부(3a)에 패킹(31)을 부착하여 점화기(30)를 코킹고정한다. 그리고, 링부재(9b)를 삽입배치하고, 냉각·필터부재(7)를 삽입한다. 다음에 냉각·필터부재(7)의 내측에 가스 발생제(6)를 충전하고, 쿠션부재(5)를 통해서 누르기 덮개부재(9a)를 배치한다. 최후로 가스방출구(8)를 실링부재(10)로 밀폐한 윗덮개(2)를 덮고, 아래덮개(3)와 윗덮개(2)를 접합시켜면,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G1)가 얻어진다.
다음에, 본 발명의 가스 발생기의 동작을 도 1에 도시하는 가스 발생기(G1)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차량내에 배치된 충돌검지장치가, 차량의 충돌을 검지하면, 그 검지신호에 의해 점화기(30)를 점화하고, 그 착화염에 의해 가스 발생제(6)를 착화하고, 가스 발생제(6)의 연소에 의한 고압가스의 발생이 개시된다. 하우징(4)내의 가스압이 상승하여 소정의 압력에 달하면, 실링부재(10)가 파열하고, 가스방출구(8)로부터 고압의 가스가 분출하고, 에어백(도시생략)을 순식간에 팽창전개시킨다.
또한, 가스 발생제(6)의 연소시에 발생되는 슬러그는, 냉각·필터부재(7)를 통과하는 과정으로 냉각·포집되고, 청정한 가스로 되어 에어백에 공급된다. 연소개시후는, 하우징(4)내는, 순식간에 고온고압으로 되는데, 하우징구조부재(측통(1), 윗덮개(2) 및 아래덮개(3))는, 철 또는 강을 사용하므로서 알루미늄합금에 비하여 판두께 치수를 얇게 할 수 있고, 또한, 알루미늄합금제의 하우징으로는 사용곤란하였던 유기화합물계 가스발생제이더라도 적용이 용이하게 되고, 적용가능한 가스발생제의 종류를 확대할 수 있어, 가스 발생기의 설계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의 직경(D)에 대하여, 높이(L)가 낮은 가스 발생기(L/D가 1 이하의 가스 발생기)에 있어서는, 윗덮개(2), 아래덮개(3)의 판두께가 크게 되면 가스발생제를 충분히 충전할 수 없게 되기 때문인 것과 중량증가를 억제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윗덮개(2), 아래덮개(3)의 판두께에는 상한이 있고, 파손하지 않지만 변형을 허락하는 설계가 구해진다. 특히 아래덮개(3)에 있어서는, 점화기 유지부를 가질 필요가 있고, 별도 부품으로 하여 용접이나 코킹으로 고정접합한 경우는, 변형을 허락하는 설계에 있어서는 변형에 따른 고정접합부의 파손의 방지는 곤란하다. 그러나, 일체성형으로 하므로서, 파손의 방지가 용이하게 됨과 동시에, L/D가 1 이하로 한 경우이더라도, 아래덮개(3)의 강성이 향상하고, 가스 발생기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예에서는, 아래덮개(3)의 바닥판(3f) 및 윗덮개(2)의 윗판(2a)이 볼형상의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이들 바닥판(3f) 및 윗판(2a)은, 플랫한 것이더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기화합물계 가스 발생제로서는, 테트라졸계 화합물, 트리아졸계 화합물, 아조지칼보닌아미드계 화합물, 구아니딘계 화합물 등의 질소함유 유기화합물을 연료로 하고, 이들에 질산염, 옥소할로겐산염 등의 산화제를 첨가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가스발생제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가스 발생기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점화기 유지부(3a)를 바닥판(3f)에 편심시켜 형성하고, 2 이상의 점화기 유지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에어백용 가스 발생기에 의하면, 아래덮개의 소재를 철 또는 강으로 하고, 중앙에 점화기 유지부를 일체성형하므로서, 종래 별도의 부품을 접합고정하고 있었으므로 생기는 접합고정작업이나 실링검사작업이 생략될 수 있고, 또한, 작동시의 변형에 따라 접합고정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연소시의 내압이 고압으로 되기 쉬운 유기화합물계 가스 발생제의 적용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10)

  1. 윗판(2a)과, 그 전체둘레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뻗어 설치되고 또한 다수의 가스방출구멍(8)이 설치되어 있는 측통(1a)으로 이루어지는 철 또는 강제의 윗덮개(2)와, 바닥판(3f)과, 그 전체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뻗어 설치된 측통(1b)과, 상기 바닥판(3f)에 일체성형된 두꺼운 두께부(3e)로부터 위로 세워지고 점화기(30)를 코킹고정하는 상기 바닥판(3f)에 일체성형된 점화기 유지부(3a)를 가지고 이루어지는 철 또는 강제의 아래덮개(3)를 접합하여 하우징(4)을 형성하고, 상기 두꺼운 두께부(3e) 및 점화기 유지부(3a)는 상기 철 또는 강의 부분적인 가압유동의 반복에 의해 바닥판에 일체성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4)내에는 그 중심부로부터 점화기(30), 가스발생제(6)가 순차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윗덮개(2)의 상기 측통(1a)은, 상기 윗덮개(2)의 상기 측통(1a)으로부터 수평 바깥방향으로 뻗어 설치된 플랜지(1c)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래덮개(3)는, 볼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기 유지부(3a)는, 상기 내측통부(3b)로부터 그 중앙을 향해서 돌출하여 상기 점화기(30)를 얹어놓은 돌출부(3d)와, 그리고 상기 내측통부(3b)로부터 뻗어 그 중앙을 향하여 절곡하는 클릭부(3c)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윗덮개(2) 및 아래덮개(3)의 측통(1a,1b)의 외경(D)과, 상기 윗덮개(2)와 상기 아래덮개(3)의 외면사이 거리(L)의 관계가, L/D≤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발생제(6)가, 질소함유 유기화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기화합물계 가스 발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 발생기.
  8. 서로 접합되는 윗덮개(2)와 아래덮개(3)를 포함하는 1통식 하우징(4)으로서, 상기 윗덮개(2)가 볼형상을 가지며 다수의 가스방출구멍(8)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아랫덮개(3)가 볼형상을 가지며 두꺼운 두께부(3e)를 가지는 바닥판(3f)과 측통(1b)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아랫덮개(3)가 내측통부(3b)를 포함하는 점화기 유지부(3a)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두꺼운 두께부(3e)가 내측통부(3b)의 기초부의 외주 주위에 단차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유지부(3a)가 상기 두꺼운 두께부(3e)상에서 상기 바닥판(3f)과 일체성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4)이 상기 두꺼운 두께부(3e)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되어 있는 1통식 하우징(4)과,
    상기 점화기 유지부(3a)에 의해 상기 1통식 하우징(4)의 중앙부에 유지되는 점화기(30)와, 그리고
    상기 1통식 하우징(4) 내에서 상기 점화기(30) 주위에 제공되는 다수의 가스발생제(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9. 서로 접합되는 윗덮개(2)와 아래덮개(3)를 포함하는 1통식 하우징(4)으로서, 상기 윗덮개(2)가 볼형상을 가지며 윗판부(2a)과 하방으로 뻗은 측통(1a)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측통(1a)에는 다수의 가스방출구멍(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아랫덮개(3)가 볼형상을 가지며 두꺼운 두께부(3e)를 가지는 바닥판(3f)과 측통(1b)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아랫덮개(3)가 내측통부(3b)를 포함하는 점화기 유지부(3a)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두꺼운 두께부(3e)가 내측통부(3b)의 기초부의 외주 주위에 단차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유지부(3a)가 상기 두꺼운 두께부(3e)상에서 상기 바닥판(3f)과 일체성형되어 있고, 상기 윗덮개(2) 및 아래덮개(3)가 철과 강제 중 어느 하나로 되어 있으며, 상기 아래덮개(3)가 상기 두꺼운 두께부(3e)를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되어 있는 1통식 하우징(4)과,
    상기 점화기 유지부(3a)에 의해 상기 1통식 하우징(4)의 중앙부에 코킹고정되는 점화기(30)와, 그리고
    상기 1통식 하우징(4) 내에서 상기 점화기(30) 주위에 제공되는 다수의 가스발생제(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10. 서로 접합되는 윗덮개(2)와 아래덮개(3)를 포함하는 1통식 하우징(4)으로서, 상기 윗덮개(2)가 볼형상을 가지며 윗판부(2a)과 하방으로 뻗은 측통(1a)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측통(1a)에는 다수의 가스방출구멍(8)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아랫덮개(3)가 볼형상을 가지며 두꺼운 두께부(3e)를 가지는 바닥판(3f)과 측통(1b)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아랫덮개(3)가 내측통부(3b)를 포함하는 점화기 유지부(3a)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두꺼운 두께부(3e)가 내측통부(3b)의 기초부의 외주 주위에 단차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점화기 유지부(3a)가 상기 두꺼운 두께부(3e)상에서 상기 바닥판(3f)과 일체성형되어 있고, 상기 윗덮개(2) 및 아래덮개(3)가 철과 강제 중 어느 하나로 되어 있으며, 상기 윗덮개(2)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두께를 가지도록 되어 있는 1통식 하우징(4)과,
    상기 점화기 유지부(3a)에 의해 상기 1통식 하우징(4)의 중앙부에 코킹고정되는 점화기(30)와, 그리고
    상기 1통식 하우징(4) 내에서 상기 점화기(30) 주위에 제공되는 다수의 가스발생제(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스발생기.
KR10-2002-7000630A 1999-07-28 2000-07-26 가스발생기 KR1004902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1999-00213351 1999-07-28
JP21335199 1999-07-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2775A KR20020022775A (ko) 2002-03-27
KR100490243B1 true KR100490243B1 (ko) 2005-05-17

Family

ID=16637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0630A KR100490243B1 (ko) 1999-07-28 2000-07-26 가스발생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890002B1 (ko)
EP (1) EP1205364A4 (ko)
KR (1) KR100490243B1 (ko)
CZ (1) CZ296904B6 (ko)
WO (1) WO2001007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07250A1 (en) * 2002-02-06 2003-09-02 Nippon Kayaku Kabushiki-Kaisha Gas generator
JP2004051076A (ja) * 2002-05-31 2004-02-19 Daicel Chem Ind Ltd 助手席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4490920B2 (ja) * 2003-08-06 2010-06-30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の取付構造及び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4180993B2 (ja) * 2003-08-06 2008-11-12 日本化薬株式会社 ガス発生器
US7341615B2 (en) * 2003-10-29 2008-03-11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Filter with locating featur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96188A5 (ko) * 1970-06-10 1972-02-11 Saint Gobain
US3780752A (en) * 1971-03-01 1973-12-25 Du Pont Explosively actuated valve
US4580810A (en) 1984-02-15 1986-04-08 Breed Corporation Air bag system
US4578247A (en) * 1984-10-29 1986-03-25 Morton Thiokol, Inc. Minimum bulk, light weight welded aluminum inflator
GB2220620A (en) * 1988-07-15 1990-01-17 Gen Engineering Inflatable crash bags
US4943086A (en) * 1989-06-30 1990-07-24 Morton Thiokol, Inc. Gas bag inflator with a two welded joint housing
US5531474A (en) * 1994-04-26 1996-07-02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Inflator assembly
JPH07329690A (ja) 1994-06-06 1995-12-19 Nippon Kayaku Co Ltd ガス発生器
US5613705A (en) * 1995-03-24 1997-03-25 Morton International, Inc. Airbag inflator having a housing protected from high-temperature reactive generated gases
US5829785A (en) * 1996-03-26 1998-11-03 Morton International, Inc. Internal structure for a two-walled inflator
KR100319077B1 (ko) * 1996-11-14 2002-01-04 니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FR2757266B1 (fr) 1996-12-18 1999-01-08 Livbag Snc Generateur pyrotechnique de gaz a chargement composite
US5951040A (en) * 1997-03-19 1999-09-14 Trw Inc. Air bag inflator with pressure regulation
JPH10287197A (ja) * 1997-04-15 1998-10-27 Nippon Kayaku Co Ltd エアバック用ガス発生器
JPH10315897A (ja) * 1997-05-15 1998-12-02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のクーラント/フィルタ
JP3935245B2 (ja) * 1997-08-12 2007-06-20 ダイセル化学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及びエアバッグ装置
JPH1159314A (ja) * 1997-08-12 1999-03-02 Daicel Chem Ind Ltd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DE19742204B4 (de) * 1997-09-24 2006-07-13 Trw Airbag Systems Gmbh & Co. Kg Gasgenerator für eine Sicherheitseinrichtung
US6116642A (en) * 1998-04-27 2000-09-12 Trw Inc. Inflator for inflating a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6123359A (en) * 1998-07-25 2000-09-26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Inflator for use with gas generant compositions containing guanid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Z296904B6 (cs) 2006-07-12
CZ2002337A3 (cs) 2002-06-12
WO2001007299A1 (fr) 2001-02-01
KR20020022775A (ko) 2002-03-27
EP1205364A1 (en) 2002-05-15
EP1205364A4 (en) 2004-11-24
US6890002B1 (en) 2005-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7253B1 (en) Gas generator for occupant restraining device for vehicle
EP0713458B1 (en) Air bag inflator
US7503581B2 (en) Gas generator for occupant restraining device for vehicle
US20090115175A1 (en) Gas generator
JP3038714U (ja) インフレータ用の内蔵型装薬式起爆装置
EP0841225A1 (en) Gas generator for air bag and air bag system
EP0544922B1 (en) Gas generator having housing of dual structure
US6053531A (en) Air bag gas generator
US6520538B2 (en) Air bag gas generator and air bag system
US8459692B2 (en) Gas genera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JPH06321047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KR100490243B1 (ko) 가스발생기
KR100319077B1 (ko) 에어백용 가스발생기
JP4700844B2 (ja) ガス発生器
JP4278843B2 (ja) ガス発生器
US8393641B1 (en) Gas generator
US9051225B1 (en) Gas generator
US20020135170A1 (en) Gas generator and airbag device
US4909807A (en) Welding and backing ring arrangement for an electric cell
JP2005521581A (ja) 溶接不要の運転者側インフレータ
JPH1178765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2003040074A (ja) ガス発生器
JP3014879U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JPH07196001A (ja) ガス発生器
JPH0958398A (ja) エアバッグ用ガス発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