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9551B1 -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9551B1
KR100489551B1 KR10-2002-0053243A KR20020053243A KR100489551B1 KR 100489551 B1 KR100489551 B1 KR 100489551B1 KR 20020053243 A KR20020053243 A KR 20020053243A KR 100489551 B1 KR100489551 B1 KR 100489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ies
security
currency
sensor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3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412A (ko
Inventor
오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신우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32561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8955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아이티 filed Critical (주)신우아이티
Priority to KR10-2002-0053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9551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9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95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50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6Testing the dimen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07D7/2016Testing patterns thereon using feature extraction, e.g. segmentation, edge detection or Hough-transform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에 대한 패턴 정보를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원하는 국가의 통화를 선택하면, 해당 국가 유가증권의 패턴 정보와 입력된 유가증권의 이미지 패턴을 비교하여 권종을 인식하고 계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에서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을 인식을 할 수 있으며, 결과에 따라 스택커 또는 리젝트 포켓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장치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과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및 그 방법{Apparatus for recognizing and counting currency of a plurality of countrie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미리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에 대한 패턴 정보를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원하는 국가의 통화를 선택하면, 해당 국가 유가증권의 패턴 정보와 입력된 유가증권의 이미지 패턴을 비교하여 권종을 인식하고 계수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가증권 계수기는 하나의 장치에서 고정된 한 국가의 유가증권에 대한 인식 처리만 가능하였다. 또한, 복수의 유가증권 중에서 비정상적으로 처리된 즉, 인식이 불가 또는 모호한 유가증권을 분리하는 배출구가 없었다.
따라서, 유가증권의 종류가 바뀌면 유가증권의 특성에 적합하도록 유가증권 인식 시스템이 바뀌어야 하므로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을 위해 각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장치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과 비용이 증가되며 인식이 불가 또는 모호한 유가증권이 인식되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미리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에 대한 패턴 정보를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원하는 국가의 통화를 선택하면, 해당 국가 유가증권의 패턴 정보와 입력된 유가증권의 이미지 패턴을 비교하여 권종을 인식하고 계수할 수 있는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통화 선택 키를 눌러 원하는 국가의 통화를 선택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통화에 관련된 패턴 정보를 로딩하는 제1단계와, 홉퍼 센서에 의해 홉퍼에 있는 유가증권을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유가증권을 장치 안으로 급지하는 제2단계와, 급지된 유가증권의 상태를 검출하여 중송, 체인, 잼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와, 유가증권을 감지하고 이미지를 스캔하여 이미지를 추출하여 저장하고 해당 통화에 관한 상기 패턴 정보와 비교하여 권종을 인식하는 제4단계와, 권종이 인식된 유가증권을 인식 결과에 따라 복수의 배출 포켓으로 배출하면서 유가증권 매수와 금액을 카운트하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는 통화선택을 위한 입력부와, 홉퍼에 올려진 복수의 유가증권을 낱장으로 분리하여 급지하는 자동급지부와, 홉퍼 센서가 유가증권을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급지된 유가증권의 상태를 검출하여 중송, 체인, 잼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와, 권종 인식에 필요한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에 대한 패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유가증권을 감지하여 유가증권의 전체 이미지를 스캔하는 센서부와, 메모리에 저장된 유가증권의 이미지로부터 유가증권의 가장자리 경계선을 검출하고 유가증권의 위치와 기울어짐 등의 기하학적 정보를 계산하고 투입된 유가증권의 크기와 미리 알고 있는 대상 통화의 기준범위를 비교하고 다수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특징점을 추출하고 미리 만들어진 권종별 패턴 정보와 추출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가장 근사한 권종으로 최종 권종을 인식하고 스택커로 배출되면서 유가증권 매수와 권종 금액을 카운트하는 신호처리부와, 급지된 유가증권을 배출구까지 이송하는 이송부를 구비한다.
유가증권 인식 계수장치는 유가증권을 계수하기 전에 통화 선택 키 또는 유사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해당 국가 통화를 선택하면 통화와 관련된 정보가 설정된다. 여기에서 통화와 관련된 정보는 통화의 패턴 정보, 중송, 체인, 잼 변수 값, 밝기를 조절하는 농도 변수, 다수의 관심 영역, 특징점 등이다.
또한,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는 두 개의 중앙처리장치, 즉 주제어부와 신호처리부를 가지고 있다. 각각은 중송, 체인, 잼 여부와 입력된 유가증권의 이미지를 스캔하여 권종을 인식하는 일을 동시에 수행한다.
주제어부는 통화 선택 키 또는 유사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국가의 통화를 선택하면, 해당 통화에 적합한 중송, 체인, 잼 여부를 판단하는 변수 값을 설정한다. 유가증권이 급지되면 센서는 유가증권의 두께, 크기, 각 센서를 지나는 시간과 설정된 중송, 체인, 잼 변수 값을 비교하여 유가증권의 상태를 판단한다.
신호처리부에서는 미리 유가증권 인식에 필요한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의 위치, 크기, 두께에 대한 패턴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해 둔다. 통화 선택 키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국가의 통화를 선택하면, 메모리에서 해당 국가 유가증권의 패턴 정보가 로딩되고 해당 국가 유가증권의 패턴 정보와 입력된 유가증권의 이미지를 비교하여 유가증권을 인식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보여준다.
홉퍼(Hopper)(100)는 복수의 유가증권을 올려놓는 곳이며 홉퍼 센서(Hopper Sensor)에 의해 홉퍼에 있는 유가증권이 감지되면 모터가 구동되고 유가증권을 장치 내로 들여보낸다. 자동급지장치(102)는 홉퍼에 올려진 복수의 유가증권을 자동으로 낱장 분리하여 급지한다. 이송부(104)는 급지된 유가증권을 밀착형 이미지 센서(Contact Image Sensor)(106)와 마그네틱 센서(Magnetic Sensor)를 거쳐 배출구까지 유가증권을 이송한다. 셀렉터(114)는 급지된 유가증권의 처리결과에 따라 적절한 배출구를 선택하여 배출한다.
도 1에 보여진 것처럼,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는 두 개의 배출구, 즉 스택커(Stacker)(112)와 리젝트 포켓(Reject Pocket)(116)을 가지고 있다. 인식이 불가하거나 또는 모호한 유가증권은 리젝트 포켓(116)으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모터 구동부(108)는 홉퍼 센서가 유가증권을 인식하면 모터를 구동시켜서 유가증권을 장치 내로 급지시키고, 밀착형 이미지 센서(106)는 유가증권의 이미지를 라인 단위로 읽어 내부 메모리에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한다. 조작 패널(118)은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를 조작하고 처리 결과를 보여주며 외부 연결부(110)는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의 뒷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프린터, 고객용 표시 장치와 같은 외부 출력 장치 또는 PC를 연결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의 인식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를 보여준다.
유가증권 인식을 위해 미리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에 대한 패턴 정보 및 해당 국가의 통화에 적합하게 설정된 변수값을 메모리에 저장해 두고, 통화 선택 키 또는 유사한 방법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국가의 통화를 선택하면, 메모리에서 해당 국가 유가증권의 패턴 정보 및 변수값이 로딩된다.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의 홉퍼에 올려진 유가증권이 홉퍼(200) 센서에 감지되면 주제어부가 모터를 구동하고 클러치(202)를 동작시킨다. 유가증권이 급지되면 배출구까지 네 개의 센서 즉, 리딩 포인트1(Reading Point1)(204), 리딩 포인트2(Reading Point2)(210), 잼 포인트(Jam Point)(216), 셀렉터 포인트(Selector Point)(220) 센서를 지나게 된다. 각각의 센서는 유가증권의 폭 또는 투입위치에 상관없이 인식할 수 있도록 왼쪽/오른쪽 두 개 이상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센서들 간의 간격은 유가증권의 폭을 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고, 이송 롤러(208)들 사이에 각각 하나의 센서가 위치하며 유가증권의 이송 상태를 모니터링 하는 역할을 한다.
리딩 포인트1 센서(204)는 입력된 유가증권의 이미지 스캔을 위해 밀착형 이미지 센서 앞에 위치하며 유가증권의 유입을 모니터링 한다. 리딩 포인트 1 센서(204)의 출력은 주제어부(330) 및 신호처리부(350)에 함께 연결되어 있다. 리딩 포인트1 센서(204)에 유가증권이 감지되면 밀착형 이미지 센서(206)를 구동하여 이미지 스캔을 시작하고 유가증권이 리딩 포인트1 센서(204)를 통과하면 여유 시간 후에 동작을 멈춘다. 이렇게 스캔된 유가증권의 아날로그 이미지 신호는 전처리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때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진 유가증권에 따른 전처리기의 변수를 설정함으로써 최적의 밝기의 농도를 갖는 이미지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통화 선택 키에 의해 설정된 유가증권에 최적인 기준값을 설정함에 따라 해당 유가증권의 급지상태의 이상유무를 적절히 판단한다. 즉, 두께 및 인쇄 농도에 따른 투과량에 따라 중송을 감지하고 크기에 따라 체인, 잼 및 스큐(Skew)등의 허용한도를 설정하게 된다.
리딩 포인트2 센서(210)는 리딩 포인트1 센서(204)와 같이 유가증권을 감지하고 유가증권 이송 상태를 모니터링 한다.
잼 포인트 센서(216)는 유가증권의 이송 상태와 유가증권이 기계 내부에 끼어지는 잼을 모니터링 한다.
셀렉터 포인트 센서(220)는 기본적인 이송상태 모니터링 기능 외에 스윙 셀렉터(222) 구동을 위해 기준 시점 감지를 한다. 유가증권의 인식 결과 또는 유가증권의 이송에 상태에 따라 스택커(226)와 리젝트 포켓(224)으로 유가증권을 선별하여 배출하기 위해 고속의 스윙 셀렉터(Swing Selector)(222)를 구동하여 유가증권의 배출 방향을 바꾸어 준다. 여기에서 셀렉터 포인트 센서(220)의 정확한 구동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유가증권의 원활한 배출이 어렵고 잼 또는 유가증권의 훼손이 발생된다. 유가증권의 길이 측정은 엔코더(218)의 펄스 신호에 의해 측정되며, 정속 운전을 위해 엔코더(218)의 펄스 출력이 일정하도록 모터를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의 실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 주제어부(330)와 신호처리부(350), 전원공급부(370)로 이루어져 있다. 주제어부(330)의 제1중앙처리장치(331)에서는 통화 선택 키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국가의 통화를 선택하면, 유가증권의 중송, 체인, 잼 여부를 판단하는 변수 값이 설정된다. 유가증권이 급지되면 유가증권의 두께, 크기, 각 센서를 지나는 시간을 체크하여 중송, 체인, 잼 변수 값과 비교하여 유가증권의 상태를 판단한다.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지만, 제1중앙처리장치(331) 내에 존재하는 EEPROM에는 동작속도, 홉퍼의 동작 레벨, 에러가 발생한 경우 장치의 진행과 정지, 시스템 옵션과 전원이 꺼지는 경우에 보존되어야 하는 각종 상태를 저장하고 있다.
휘발성 메모리 SRAM(333)은 각 센서들의 동작 상태, 모터 동작 상태, 스캔된 유가증권 이미지의 기울어짐에 대한 정보, 계수된 권종의 누적 매수 및 금액 정보, 중송, 체인, 잼 변수, 밝기를 조절하는 농도 변수 등의 장치 동작에 필요한 임시 데이터와 변수 또는 처리결과들을 저장한다.
신호처리부(350)의 제2중앙처리장치(351)는 주제어부(330)로부터 스타트 신호가 들어오고 리딩 포인트1 센서에 유가증권이 감지되면 유가증권의 이미지를 스캔하고 통화 선택 키에 의해 미리 메모리로 로딩된 해당 국가 유가증권의 패턴 정보를 스캔된 유가증권의 이미지와 비교하여 유가증권을 인식한다.
이미지 신호 전처리기(DIPP)(354)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의 아날로그 출력 신호를 받아서 샘플링 과정을 거쳐 왜곡 현상을 보상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데이터 손실을 막기 위해 FIFO(355)를 경유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메모리로 전송한다.
Flash ROM(352)에는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며 전원이 꺼져있는 경우에도 보존이 되어야 하는 시스템 옵션, 시스템 상태, 유가증권 인식을 위해 필요한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의 패턴 정보, 각 통화별 다수의 관심 영역, 특징점, 중송, 체인, 잼 등의 판단을 위한 변수값, 이미지 데이터의 왜곡 보상을 위한 데이터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
장치의 전원이 공급되거나 재시작 하는 경우에는 Flash ROM(352)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코드가 SDRAM(353)으로 옮겨져서 프로그램이 실행된다. 스캔된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 신호 전처리(354)에서 전처리 된 후에 FIFO(355)를 경유하여 SDRAM(353)에 저장된다.
PLD(356)에는 주제어부(330)와 신호처리부(350)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기능, 밀착형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신호 전처리기(354) 간에 속도 차이에 따른 해상도 변환 기능, 제2중앙처리장치(351)와 이미지 신호 전처리기(354) 간에 인터페이스와 데이터 속도 차이에 따른 데이터 버스 폭 변환 기능 등이 구현되어 있다.
또한, 신호처리부(350)는 PC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장치의 센서 상태 모니터링, 스캔된 이미지 다운로드, 유가증권 인식 프로그램 업그레이드, 장치 이력관리 등의 부가정보를 보거나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10)는 사용자의 키 입력과 LCD 출력 데이터를 주제어부(330)로부터 주고 받으며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와 장치의 처리결과인 유가증권 매수와 계수 금액 등을 디스플레이 해 주는 LCD를 포함한다.
전원공급부(370)의 입력은 교류 전압 85V ~ 265V를 사용하며 출력은 직류 전압 3.3V, 5V, -5V, 12V, 24V이다.
주제어부(330)에서는 유가증권이 장치 안으로 들어간 후, 일정 시간 내에 리딩 포인트1 센서에 의해 유가증권이 감지되지 않으면 잘못된 급지(Mis-feeding) 발생으로 간주하여 에러 처리를 한다. 리딩 포인트1 센서에 유가증권이 감지된 경우에는 선택된 통화에 따라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유가증권의 중송, 체인, 잼 여부를 판단한다.
중송 여부는 메모리에 미리 로딩되어 있는 선택 통화에 대한 중송 변수 값과 리딩 포인트1 센서로 투과되어 들어오는 빛의 양을 비교하여 판단한다. 예를 들면, 달러가 급지된 경우 통화 선택 키에 의해 설정된 중송 변수 값이 70이고 센서에 의해 들어오는 빛의 양이 50이면 중송 에러로 판단한다.
체인 여부는 메모리에 미리 로딩되어 있는 선택 통화에 대한 체인 변수 값과 리딩 포인트1 센서를 통과하는 유가증권의 크기를 비교하여 판단한다. 예를 들면, 달러가 급지된 경우 통화 선택 키에 의해 설정된 체인 변수 값이 13cm이고 센서를 통과하는 유가증권의 진행방향 길이가 15cm이면 체인 에러로 판단한다.
잼 여부는 메모리에 미리 로딩되어 있는 선택 통화에 대한 잼 변수 값과 리딩 포인트1 센서, 리딩 포인트2 센서, 잼 포인트, 셀렉터 포인트 센서 등의 각 센서를 통과하는 시간과 센서 간 통과 시간을 비교하여 판단한다. 예를 들면, 달러가 급지된 경우 통화 선택 키에 의해 리딩 포인트1 센서를 통과하는 기준 시간이 5초이고 리딩 포인트1 센서와 잼 포인트 센서 사이의 기준 시간이 3초로 설정된 경우, 달러가 급지되어 리딩 포인트1 센서를 초과한 시간이 7초로 측정되었다면 잼 에러로 판단한다.
모든 결과가 정상으로 처리되면, 셀렉터(114)를 제어하여 스택커(112)로 배출하고 이상 급지 또는 유가증권의 인식 처리 결과가 리젝트로 처리되면 리젝트 포켓(116)으로 배출한다. 또한, 주제어부(330)는 전체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를 제어하며 단순 계수 기능을 할 수 있다.
주제어부(330)에서 신호가 들어오면 신호처리부(350)는 밀착형 이미지 센서가 최적의 화질을 갖는 유가증권의 전체 이미지를 스캔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여기에서 최적의 화질은 최적의 농도를 말하는 것이며, 각 국가의 유가증권의 밝기와 색상이 다르기 때문에 농도 관련 변수를 다르게 설정하여 이미지를 스캔한다. 신호처리부(350)는 통화 선택 키 또는 유사한 방법에 의해 통화가 선택되면, 최적의 화질을 낼 수 있도록 해당 통화에 맞는 농도 관련 변수를 설정한다.
신호처리부(350)는 스캔된 유가증권의 이미지로부터 가장자리 경계선을 검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유가증권의 위치와 기울어짐, 크기 등의 기하학적 정보를 계산한다. 통화 선택 키에 의해 설정된 해당 국가 유가증권의 크기 정보를 이용하여 1차적인 대상 통화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캔된 유가증권의 크기가 기준치 이내이면 기울어짐과 기하학적 왜곡에 대한 보상을 하여 정규화(Normalize) 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다.
유가증권의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국가 유가증권의 패턴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해 주는 다수의 관심 영역을 설정한다. 이 관심 영역들은 개발 과정에서 훈련에 의해 미리 설정된다. 그리고, 설정된 관심영역에서 해당 국가 유가증권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징점을 추출해 낸다. 예를 들면, 유가증권의 금액 숫자 영역이 다수의 관심 영역으로 설정되었다면, 유가증권의 특징점은 유가증권의 금액 숫자가 된다. 또한, 해당 국가 유가증권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른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유가증권의 전체 영역과 다수의 관심 영역이 특징점으로 추출될 수 있다.
유가증권의 특징점이 추출되었으면, 개발 과정에서 미리 만들어진 해당 통화의 권종별 패턴 정보와 추출된 유가증권의 특징점들과 비교하여 가장 근사한 권종으로 최종 권종을 인식하게 된다. 여기에서 통화 선택 키에 의해 해당 통화의 패턴 정보를 선택하고 유가증권의 전체 이미지를 이용하므로, 다양한 통화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다.
급지된 유가증권의 이송 상태와 권종 인식 결과를 통합하여 종합 판정하므로 동작 조건에 따라 스택커와 리젝트 포켓으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정상적으로 처리된 유가증권은 스택커로 배출되면서 유가증권 매수와 권종 금액을 카운트하며, 비정상적으로 처리된 유가증권은 리젝트 포켓으로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의 주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통화 선택 키를 눌러 원하는 국가의 통화를 선택하면, 통화 선택 키에 의해 유가증권의 중송, 체인, 잼 여부를 판단하는 변수가 설정된다(S400). 복수의 유가증권을 홉퍼에 올려놓고 홉퍼 센서가 유가증권을 감지하면(S402) 모터를 구동하여 유가증권이 장치 안으로 급지된다(S404). 모터가 구동된 후, 일정 시간 내에 리딩 포인트 센서1에 의해 유가증권이 감지되지 않으면 잘못된 급지 발생으로 에러 처리를 한다(S406). 위의 결과에 따라, 입력된 유가증권의 중송, 체인, 잼 여부를 판단한다.
중송 여부는 통화 선택 키에 의해 설정된 통화에 대한 중송 변수 값과 리딩 포인트1 센서로 투과되어 들어오는 빛의 양을 비교하여 판단한다(S410). 예를 들면, 달러가 급지된 경우 통화 선택 키에 의해 설정된 중송 변수 값이 70이고 센서에 의해 들어오는 빛의 양이 50이면 중송 에러로 판정한다.
중송 여부를 판단한 후에, 체인 여부는 통화 선택 키에 의해 설정된 통화에 대한 체인 변수 값과 리딩 포인트1 센서를 통과하는 유가증권의 크기를 비교하여 판단한다(S412). 예를 들면, 달러가 급지된 경우 통화 선택 키에 의해 설정된 체인 변수 값이 13cm이고 센서를 통과하는 유가증권의 진행방향 크기가 15cm이면 체인 에러로 판정한다.
체인 여부를 판단한 후에, 잼 여부는 통화 선택 키에 의해 설정된 통화에 대한 잼 변수 값과 리딩 포인트1 센서, 잼 포인트, 셀렉터 포인트 센서 등의 각 센서를 통과하는 시간과 센서 간 통과 시간을 비교하여 판단한다(S414). 예를 들면, 달러가 급지된 경우 통화 선택 키에 의해 리딩 포인트1 센서를 통과하는 기준 시간이 5초이고 리딩 포인트1 센서와 잼 포인트 센서 사이의 기준 시간이 3초로 설정된 경우, 달러가 급지되어 리딩 포인트1 센서를 초과한 시간이 7초로 측정되었다면 잼 에러로 판정한다. 만약, 유가증권의 잘못된 급지, 잼이 발생하면 모터를 정지하고 브레이크를 동작시켜 구동을 멈추고 중송과 체인이 발생하면 리젝트 포켓으로 배출 처리를 한다(S408).
유가증권의 중송, 체인, 잼 여부가 정상으로 처리되면 유가증권 인식 결과에 따라 배출 방향을 선택하고(S416) 스윙 셀렉터를 제어한다. 유가증권이 정상이라고 인식된 경우에는 해당 유가증권을 스택커로 배출하면서(S418) 급지된 유가증권의 매수와 금액을 카운트하고 표시장치에 디스플레이 해 준다(S420). 유가증권이 비정상이라고 인식된 경우에는 해당 유가증권을 리젝트 포켓으로 배출하고(S422) 리젝트된 유가증권의 매수를 카운트한다(S424).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의 신호처리부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통화 선택 키를 눌러 원하는 국가의 통화를 선택하면, 해당 통화의 패턴 정보 및 크기 등의 기학학적 변수값을 미리 저장된 플래쉬 메모리로부터 램으로 로딩한다(S500). 사용자가 복수의 유가증권을 홉퍼에 올려놓으면, 홉퍼 센서가 유가증권을 감지한다. 그러면, 주제어부는 신호처리부의 제2중앙처리장치로 스타트 신호를 주고 모터를 구동하여 유가증권을 장치 안으로 급지시킨다. 홉퍼 센서에 의해 감지된 복수의 유가증권은 자동급지부에 의해 낱장으로 분리되어 급지된다. 장치로 급지된 유가증권이 리딩 포인트1 센서에 감지되면(S502) 밀착형 이미지 센서에 의해 라인 단위로 읽혀져서 내부 메모리 이미지 데이터로 저장된다(S504). 통상적인 가장자리 검출 방법을 이용하여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유가증권의 가장자리 경계선을 검출하고(S506) 유가증권의 위치와 기울어짐 등의 기하학적 정보를 계산한다(S508). 여기에서 유가증권의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투입된 유가증권의 크기를 알 수 있고 미리 알고 있는 대상 통화의 크기 기준범위와 비교하여 1차 판정을 한다(S510). 이와 같이 투입된 유가증권의 크기가 대상 통화의 크기 기준범위 이내이면 기울어짐 또는 기하학적 왜곡에 대한 보상과 일정한 크기로 정규화(Normalize) 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한다(S512).
유가증권의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국가 유가증권의 패턴 특징을 가장 잘 표현해 주는 다수의 관심 영역을 설정한다(S514). 이 관심 영역들은 개발 과정에서 미리 설정되어 불활성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설정된 관심영역에서 해당 국가 유가증권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징점을 추출해 낸다(S516). 해당 국가 유가증권의 특성에 따라 각각 다른 영역을 설정할 수 있으며 유가증권의 전체 영역과 다수의 관심 영역이 특징점으로 추출될 수 있다. 위의 결과에 따라, 개발 과정에서 미리 만들어진 해당 통화의 권종별 패턴 정보와 추출된 유가증권의 특징점들과 비교하여 가장 근사한 권종으로 최종 권종을 인식하게 된다(S518). 여기에서 통화 선택 키에 의해 해당 통화의 패턴 정보를 선택하여 이용하고 유가증권의 전체 이미지를 이용하므로, 다양한 통화에 대한 인식이 가능하다.
권종별 인식을 수행한 이후에는 스택커 배출 과정으로 진행된다(S520). 급지된 유가증권의 이송 상태와 권종 인식 결과를 통합하여 종합 판정하므로 동작 조건에 따라 스택커와 리젝트 포켓으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정상적으로 처리된 유가증권은 스택커로 배출되면서(S522) 유가증권 매수와 권종 금액을 카운트하며(S524), 비정상적으로 처리된 유가증권은 리젝트 커포켓으로 배출하고(S526) 리젝트된 유가증권을 카운트한다(S528). 유가증권이 스택커와 리젝트 포켓으로 배출되고 나면 작업이 종료되었는지를 검사하여 작업이 종료되지 않았다면 리딩 포인트1 센서가 유가증권을 감지하는 단계로 돌아간다(S530).
본 발명에서는 급지된 유가증권의 상태를 검출하여 중송, 체인, 잼 여부를 판단하고 유가증권의 이미지를 스캔하였으나, 급지된 유가증권의 이미지를 스캔하고 유가증권의 상태를 검출하여 중송, 체인, 잼 여부를 판단할 수 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주제어부와 신호처리부가 별도로 구성된 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들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장치에서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을 인식을 할 수 있으며 결과에 따라 스택커 또는 리젝트 포켓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각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장치를 별도로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과 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의 인식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의 실제 구현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의 주제어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의 신호처리부의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홉퍼 102 : 자동급지장치
104 : 이송부 106 : 밀착형 이미지 센서
108 : 구동부 110 : 외부 연결부
112 : 스택커 114 : 셀렉터
116 : 리젝트 포켓 118 : 조작 패널

Claims (15)

  1. 사용자가 통화 선택 키를 눌러 원하는 국가의 통화를 선택하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통화에 관련된 패턴 정보와 중송 변수값, 체인 변수값, 잼 변수값을 로딩하는 제1단계;
    홉퍼 센서에 의해 홉퍼에 있는 유가증권을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하여 유가증권을 장치 안으로 급지하는 제2단계;
    급지된 유가증권의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중송 변수 값과 유가증권을 투과하여 들어오는 빛의 양을 비교하여 중송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체인 변수 값과 센서에 의해 감지된 유가증권의 크기를 비교하여 체인 여부를 판정하고, 상기 잼 변수 값과 유가증권이 각 센서를 통과하는 시간과 센서 간 통과 시간을 비교하여 잼 여부를 판정하는 제3단계;
    유가증권을 감지하고 이미지를 스캔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이미지 데이터에서 추출한 특징점과 해당 통화에 관한 상기 패턴 정보를 비교하여 권종을 인식하는 제4단계;
    권종이 인식된 유가증권을 인식 결과에 따라 복수의 배출 포켓으로 배출하면서 유가증권 매수와 금액을 카운트하되, 투입된 유가증권의 크기가 미리 알고 있는 대상 통화의 크기의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리젝트 포켓으로 분리 배출하는 제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식 계수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유가증권의 이미지를 스캔하는 경우 선택된 통화에 따라 스캔 변수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식 계수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는
    유가증권이 센서에 의해 라인 단위로 스캔되어 내부 메모리에 이미지 데이터 로 저장되는 제4-1단계;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로부터 유가증권의 가장자리 경계선을 검출하고 유가증권의 위치와 기울어짐 등의 기하학적 정보를 계산하는 제4-2단계;
    상기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투입된 유가증권의 크기와 미리 알고 있는 대상 통화의 크기 기준범위를 비교하는 제4-3단계;
    상기 기하학적 정보를 이용하여 다수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는 제4-4단계;
    상기 관심 영역에서 해당 국가 유가증권에 따라 미리 설정된 특징점을 추출해 내고 해당 통화의 권종별 패턴 정보와 추출된 유가증권의 특징점들과 비교하여 가장 근사한 권종으로 최종 권종을 인식하는 제4-5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식 계수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4-3단계는
    투입된 유가증권의 크기가 미리 알고 있는 대상 통화의 크기에 대해서 기준범위 이내이면 기울어짐 또는 기하학적 왜곡에 대한 보상과 일정한 크기로 정규화 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고, 투입된 유가증권의 크기가 미리 알고 있는 대상 통화의 크기의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리젝트 포켓으로 분리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식 계수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출 포켓은 스택커와 리젝트 포켓이며, 유가증권의 인식에 성공하였을 경우에는 스택커로 배출하고, 인식에 실패하였을 경우에는 리젝트 포켓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식 계수 방법.
  9. 통화선택을 위한 입력부와,
    홉퍼에 올려진 복수의 유가증권을 낱장으로 분리하여 급지하는 자동급지부와,
    홉퍼 센서가 유가증권을 감지하여 모터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설정된 통화에 대한 중송 변수 값과 유가증권을 투과하여 들어오는 빛의 양을 비교하여 중송 여부를 판정하고, 설정된 통화에 대한 체인 변수 값과 센서에 의해 감지된 유가증권의 크기를 비교하여 체인 여부를 판정하고, 설정된 통화에 대한 잼 변수 값과 유가증권이 각 센서를 통과하는 시간과 센서 간 통과 시간을 비교하여 잼 여부를 판정하는 제어부와,
    권종 인식에 필요한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에 대한 패턴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부와,
    유가증권을 감지하여 유가증권의 전체 이미지를 스캔하는 센서부와,
    메모리에 저장된 유가증권의 이미지로부터 유가증권의 가장자리 경계선을 검출하여 유가증권의 위치를 포함하는 기하학적 정보를 계산하고 투입된 유가증권의 크기와 미리 알고 있는 대상 통화의 기준범위를 비교하고 다수의 관심 영역을 설정하여 특징점을 추출하고 미리 만들어진 권종별 패턴 정보와 추출된 특징점을 비교하여 가장 근사한 권종으로 최종 권종을 인식하고 스택커로 배출되면서 유가증권 매수와 권종 금액을 카운트하되, 투입된 유가증권의 크기가 미리 알고 있는 대상 통화의 크기의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리젝트 포켓으로 분리 배출하는 신호처리부와,
    급지된 유가증권을 배출구까지 이송하는 이송부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유가증권의 처리 결과에 따라 유가증권을 스택커와 리젝트 포켓으로 분리 배출하는 셀렉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하학적 정보에는 유가증권의 기울어짐 정보가 포함되며, 상기 기준범위의 비교 전에 상기 기울어짐 정보에 기초하여 유가증권의 기울어짐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처리부는
    투입된 유가증권의 크기가 미리 알고 있는 대상 통화의 크기에 대해서 기준범위 이내이면 기울어짐 또는 기하학적 왜곡에 대한 보상과 일정한 크기로 정규화 된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고, 투입된 유가증권의 크기가 미리 알고 있는 대상 통화의 크기의 기준범위를 벗어나면 리젝트 포켓으로 분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KR10-2002-0053243A 2002-09-04 2002-09-04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및 그 방법 KR100489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243A KR100489551B1 (ko) 2002-09-04 2002-09-04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3243A KR100489551B1 (ko) 2002-09-04 2002-09-04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412A KR20040021412A (ko) 2004-03-10
KR100489551B1 true KR100489551B1 (ko) 2005-05-16

Family

ID=37325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243A KR100489551B1 (ko) 2002-09-04 2002-09-04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95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613B1 (ko) * 2007-12-06 2009-04-20 주식회사 씨텍 지폐 및 바코드가 표시된 유가증권의 인식계수방법과 그장치
KR100884101B1 (ko) * 2008-10-13 2009-02-19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기기상태 표시를 위한 엘이디램프가 구비된 지폐계수기 및 지폐정사기
KR101404879B1 (ko) * 2012-12-20 2014-06-09 주식회사 메카트로 바코드 티켓과 지폐의 동시 계수가 가능한 지폐계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2064A (ja) * 1991-12-27 1993-07-23 Laurel Bank Mach Co Ltd 紙葉類計数機
WO1999048040A1 (en) * 1998-03-17 1999-09-23 Cummins-Allison Corp. Customizable international note counter
JPH11316869A (ja) * 1998-05-01 1999-11-16 Sel Kk 紙幣計数機
KR20020073417A (ko) * 2001-03-16 2002-09-26 글로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지폐계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2064A (ja) * 1991-12-27 1993-07-23 Laurel Bank Mach Co Ltd 紙葉類計数機
WO1999048040A1 (en) * 1998-03-17 1999-09-23 Cummins-Allison Corp. Customizable international note counter
JPH11316869A (ja) * 1998-05-01 1999-11-16 Sel Kk 紙幣計数機
KR20020073417A (ko) * 2001-03-16 2002-09-26 글로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지폐계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412A (ko)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9550B1 (ko) 일련번호 추출기능을 가진 유가증권 계수 장치 및 그방법
US8100245B2 (en) Bill recognizing and counting apparatus
EP2782076B1 (en) Sheet processing method,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system
US20030057141A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sheet
US6718071B2 (en) Image reading apparatus and method
WO2004022465A1 (ja) 紙葉類角折れ検出方法および紙葉類角折れ検出プログラム
KR20070053605A (ko) 지폐류취급장치
KR101967953B1 (ko) 종이 시트 처리 장치 및 파티션 카드
US8976420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alue documents
KR100489551B1 (ko) 다수 국가의 유가증권 인식 계수 장치 및 그 방법
US20020096299A1 (en) Paper processeing apparatus
KR100807656B1 (ko) 지폐인식기 및 이를 이용한 지폐인식방법
JP3914972B2 (ja) 紙幣の計数・識別装置
KR101453674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매체 처리 방법
JPS6248272B2 (ko)
JP4650366B2 (ja) 紙幣識別装置
US20150266061A1 (en) Postal matter ejection apparatus with gap setting unit according to postal matter thickness
KR100862589B1 (ko) 지폐 계수기를 이용한 지폐, 수표, 및 지로용지 감별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EP2590147A1 (en) Paper money processing device, paper money processing system, and paper money processing method
JPH0944673A (ja) 紙葉類識別装置
KR101653830B1 (ko) 매체판별 장치 및 그 매체 판별방법
EP3716232A1 (en) Money handl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ney handling device
EP3716232B1 (en) Money handl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ney handling device
JPH01219989A (ja) 紙葉の計数鑑別方式
US20220153546A1 (en) Paper sheet detection device, paper sheet detection method, and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61114

Effective date: 20070228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60605

Effective date: 20070228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0330

Effective date: 20071101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71130

Effective date: 20080130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