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455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455B1
KR100488455B1 KR10-2003-0008549A KR20030008549A KR100488455B1 KR 100488455 B1 KR100488455 B1 KR 100488455B1 KR 20030008549 A KR20030008549 A KR 20030008549A KR 100488455 B1 KR100488455 B1 KR 100488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oving image
input
image data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8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2891A (ko
Inventor
이준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8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455B1/ko
Publication of KR20040072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2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3/00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 F16B23/0092Specially shaped nuts or heads of bolts or screws for rotations by a tool with a head engageable by two or more different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들을 저장된 노이즈 데이터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들이 상기 노이즈 데이터 패턴과 동일할 경우 인접한 픽셀들에 공급되는 동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휘도가중치를 가감하여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된 데이터가 입력된 픽셀의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변환하여 상기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를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의 큰 중량 및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평판 표시장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ectro-luminescence) 등이 있다.
이러한 평면 표시장치중,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He+Xe, Ne+Xe 또는 He+Ne+Xe 가스의 방전시 발생하는 147nm의 자외선에 의해 형광체를 발광시킴으로서 문자 또는 그래픽을 포함한 화상 및 동동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박막화와 대형화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최근, 기술 개발에 힘입어 크게 향상된 화질을 제공한다.
특히, 3전극 교류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시 유전체층을 이용하여 벽전하를 축적하여 방전에 필요한 전압을 낮추게 되며, 플라즈마의 스퍼터링으로 부터 전극들을 보호하기 때문에 저전압 구동과 장수명의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3전극 교류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3극 전류 교류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은 상부기판(10)상에 형성되어진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과, 하부기판(18) 상에 형성되어진 어드레스전극(X)을 구비한다.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 각각은 투명전극(12Y, 12Z)과, 투명전극(12Y, 12Z)의 선폭보다 작은 선폭을 가지며 투명 전극의 일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금속 버스전극(13Y, 13Z)을 포함한다. 투명전극(12Y, 12Z)의 재질로는 통상 인듐틴옥사이드(Indium-Tin-Oxide:ITO)를 이용한다. 금속버스전극(13Y, 13Z)의 재질로는 통상 크롬(Cr)등의 금속이 이용된다. 이러한 금속버스전극(13Y, 13Z)은 저항이 높은 투명전극(12Y, 12Z)에 의한 전압 강하를 줄이는 역할을 한다. 스캔 전극(Y)과 서스테인전극(Z)이 형성된 상부기판(10)에는 상부 유전체층(14)과 보호막(16)이 적층된다. 상부 유전체층(14)에는 가스방전 이온화 가스(플라즈마)가 발생된 하전입자들이 축적된다. 보호막(16)은 가스 방전시 발생된 하전입자들의 스퍼터링으로부터 상부 유전체층(14)을 보호하고 2차 전자의 방출 효율을 높이게 된다. 보하막(16)으로는 통상 산화마그네슘(MgO)이 이용된다. 어드레스전극(X)은 스캔 전극(Y) 및 서스테인전극(Z)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어드레스전극(X)이 형성된 하부기판(18) 상에는 하부 유전체층(22)과 격벽(24)이 형성된다.
하부 유전체층(22)과 격벽(24)의 표면에는 형광체층(26)이 형성된다. 격벽(24)은 어드레스전극(X)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방전셀을 물리적으로 구분하며, 방전에 의해 생성된 자외선과 가시광이 인접한 방전셀에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형광체층(26)은 가스방전시 발생된 자외선에 의해 발광되어 적색(R), 녹색(G) 또는 청색(B)중 어느 하나의 가시광을 발생하게 된다. 상/하부 기판(10, 18)과 격벽(24) 사이에 마련된 방전공간에는 방전을 위한 He+Xe, Ne+Xe 또는 He+Ne+Xe 등의 불활성 혼합가스가 주입된다.
도 2는 종래의 선택적 쓰기 방식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선택적 쓰기(SW) 방식은 패널의 전화면을 초기화 시키는 리셋기간,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 선택된 셀의 방전을 유지시키는 서스테인 및 서스테인 방전에 의해 잔류하는 벽전하를 소거시키는 소거기간으로 나뉜다.
이러한 3전극 교류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상의 계조(Gray Level)를 구현하기 위하여 한 프레임을 발광횟수가 다른 여러 서브필드로 나누어 구동하고 있다. 각 서브필드는 다시 방전을 균일하게 일으키기 위한 리셋기간, 방젠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기간 및 방전횟수에 따라 계조를 구현하는 서스테인 기간으로 나뉘어진다. 265 계조로 화상을 표시하고자 하는 경우에 1/60 초에 해당하는 프레임 기간(16.67ms)은 8개의 서브필드들(SF1 내지 SF8)로 나누어진다. 8개의 서브필드들(SF1 내지 SF8) 각각은 리셋기간, 어드레스기간 및 서스테인 기간으로 다시 나누어지게 된다. 각 서브필드의 리셋기간 및 어드레스 기간은 각 서브필드마다 동일한 반면에, 서스테인 기간 및 그 방전횟수는 각 서브필드에서 2n(단, n=0, 1, 2, 3, 4, 5, 6, 7)의 비율로 증가된다. 이와 같이 서스테인 기간이 각각 다른 서브필드들의 조합으로 계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종래의 선택적 쓰기(SW) 방식은 리셋기간에서 전화면을 초기화 시킨 후, 어드레스기간에서 켜지는 온셀(On cell)들을 선택한다. 이어서, 서스테인기간에는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된 온셀(On cell)들에 대하여 서스테인 방전 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선택적 쓰기(SW) 방식에서는 스캔전극(Y)에 공급되는 스캔펄스는(Scan Pulse)의 펄스폭을 대략 3us 이상으로 설정하여야 어드레스 방전으로 방전셀 내에 충분한 벽전하가 형성되게 한다. 이로 인하여, 선택적 쓰기(SW) 방식에서는 어드레스에 필요한 펄스의 폭이 길기 때문에 어드레스기간이 비교적 길고 그만큼 서스테인 기간을 확보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브필드들의 조합에 의해 화상의 계조를 구현하는 특성 때문에 동동화상에서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가 발생되기도 한다. 윤곽 노이즈가 발생되면 화면 상에서 윤곽이 나타나게 되므로 화면의 표시 품질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선택적 쓰기(SW) 방식에서 화면의 표시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 프레임의 서브필드를 분할하여 서브필드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서브필드를 분할하여 한 프레임이 10개 이상의 서브필드들로 구성되면 서브필드 수의 증가에 따라 어드레스 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서스테인기간을 위한 시간 확보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한 화면을 분할구동 시키는 듀얼스캔 방법이 있지만 한 화면을 분할하여 구동하게 되면 구동 드라이브 IC들이 그 만큼 추가 되어야 하므로 제조 원가가 증가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다.
도 3은 종래의 선택적 소거 방식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선택적 소거(SE) 방식은 패널의 전화면을 초기화 시키는 리셋기간,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 및 선택된 셀의 방전을 유지시키는 서스테인 기간으로 나뉜다.
이러한 종래의 선택적 소거(SE) 방식은 한 프레임 내에 있는 모든 서브필드의 리셋기간에 전화면을 라이팅 방전시켜 전화면을 켠후에, 어드레스기간에 선택된 방전셀들을 끄게 된다. 이어서, 서스테인기간에는 어드레스 방전에 의해 선택되지 않은 방전셀들만을 서스테인 방전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선택적 소거(SE) 방식은 각 서브필드마다 비표시 기간인 전면라이팅 기간에 전화면이 켜지게 되므로 콘트라스트 비가 낮은 단점이 있다. 선택적 소거(SE) 방식의 구동 방법은 서스테인기간이 충분히 확보되는 만큼 화면이 밝은데 비하여 콘트라스트 비가 나쁘기 때문에 화면이 선명하지 못하여 화상이 뿌옇게 느껴되는 단점이 있어 잘 사용되지 않는다.
도 4는 종래의 선택적 쓰기(SW) 방식에 따른 입력계조값에 대한 발광중심점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종래의 선택적 쓰기(SW) 방식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은 입력 그레이 레벨(Input Gray Level)에 변화에 따라 발광 중심점이 변화한다. 입려 그레이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서 발광중심점의 위치값도 상승하지만 특정 입력 그레이 레벨에서는 입력 그레이 레벨 "1"의 증가에 방광중심점이 크게 변화한다(예를 들면 31→32, 63→64, 127→128). 입력 그레이 레벨에 대해 발광 중심점이 급격히 변화하는 데이터들로 인해서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가 발생하게 되어 표시품질이 저하된다.
도 5a 내지 도 5f는 종래의 선택적 쓰기(SW)방식에 따른 프레임 구성에서의 발광 중심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f를 참조하면, 입력 그레이 레벨이 도 5a와 같이 "127"일 때에는 휘도 가중치가 "1, 2, 4, 8, 16, 32, 64"인 제 1 내지 제 7 서브필드는 온(On)이 되고, 휘도 가중치가 "128"인 제 8 서브필드는 오프(Off)가 된다. 한편, 입력 그레이 레벨이 도 5b와 같이 "128"일 때에는 휘도 가중치가 "1, 2, 4, 8, 16, 32, 64"인 제 1 내지 제 7 서브필드는 오프(Off)이 되고, 휘도 가중치가 "128"인 제 8 서브필드는 온(On)이 된다. 입력 그레이 레벨이 127에서 128로 증가하면 발광중심점이 크게 변화하게 된다.
입력 그레이 레벨이 도 5c와 같이 "63"일 때에는 휘도 가중치가 "1, 2, 4, 8, 16, 32"인 제 1 내지 제 6 서브필드는 온(On)이 되고, 휘도 가중치가 "64, 128"인 제 7 및 제 8 서브필드는 오프(Off)가 된다. 한편, 입력 그레이 레벨이 도 5d와 같이 "64"일 때에는 휘도 가중치가 "1, 2, 4, 8, 16, 32, 128"인 제 1 내지 제 6 서브필드와 제 8 서브필드가 오프(Off)이 되고, 휘도 가중치가 "64"인 제 7 서브필드는 온(On)이 된다. 입력 그레이 레벨이 63에서 64로 증가하면 발광중심점이 크게 변화하게 된다.
입력 그레이 레벨이 도 5e와 같이 "31"일 때에는 휘도 가중치가 "1, 2, 4, 8, 16"인 제 1 내지 제 5 서브필드는 온(On)이 되고, 휘도 가중치가 "32, 64, 128"인 제 6 내지 제 8 서브필드는 오프(Off)가 된다. 한편, 입력 그레이 레벨이 도 5f와 같이 "32"일 때에는 휘도 가중치가 "1, 2, 4, 8, 16, 64, 128"인 제 1 내지 제 5 서브필드와 제 7 및 제 8 서브필드가 오프(Off)이 되고, 휘도 가중치가 "32"인 제 6 서브필드는 온(On)이 된다. 입력 그레이 레벨이 31에서 32로 증가하면 발광중심점이 크게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선택적 쓰기(SW) 방식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특정한 입력 그레이 레벨에서 발광중심점이 급격히 변화하여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 발생한다. 이로 인해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표시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가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들을 저장된 노이즈 데이터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들이 상기 노이즈 데이터 패턴과 동일할 경우 인접한 픽셀들에 공급되는 동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휘도가중치를 가감하여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된 데이터가 입력된 픽셀의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변환하여 상기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를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장된 노이즈 데이터 패턴은 윤곽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는 데이터 패턴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는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필드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 상태를 반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는 "4"이하의 휘도가중치를 갖는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데이터가 입력된 픽셀의 위치를 플레임 단위로 시계방향으로 로테이션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는 가스방전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셀을 초기화 시키는 리셋기간,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된 셀의 서스테인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한 다수의 서브필드들을 이용하여 동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윤곽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는 노이즈 데이터 패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 패턴 메모리와,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노이즈 데이터 패턴과 일치하는 지를 검색하고, 상기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노이즈 데이터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휘도가중치를 가감하여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 검색 및 보정부와, 상기 데이터 검색 및 보정부로부터 변환된 동화상 데이터를 서브필드에 맵핑시키는 서브필드 맵핑부와, 서브필드 맵핑부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변환된 동영상 데이터들이 입력될 픽셀들의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로테이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상기 픽셀들의 위치는 시계방향으로 로테이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6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한 프레임을 다수의 서브필드들로 나누어 구성된다. 제 1 내지 제 8 서브필드는 선택적 쓰기(SW) 방법을 이용하는 서브필드로서 그들의 조합으로 256 계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제 1 내지 제 8 서브필드는 선택적 쓰기(SW) 방법으로 어드레스 기간 이전에 방전셀들의 초기화를 위한 리셋기간, 방전셀들을 선택하는 어드레스 기간과 어드레스 기간에서 선택된 방전셀에서 방전이 유지되게 하는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한다. 리셋 및 어드레스 기간은 각 서브필드마다 동일한 반면에 서스테인기간 및 그 방전된 횟수는 2n(단, n=0, 1, 2, 3, 4, 5, 6, 7)의 비율로 증가 된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동화상이 표현될 때 서로 인접한 픽셀에(예를 들면 A, B, C, D) 입력 그레이 레벨에 따라 발광중심점이 급격히 변화하는 데이터들이 입력되면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가 발생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를 저감시키기 위해 입력 그레이 레벨 데이터를 검색한다. 입력 그레이 레벨중 발광 중심점이 급격히 변화하는 데이터 값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 값을 변환하고, "4"의 휘도가중치를 갖는 제 3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 시킴과 아울러 보정된 데이터가 공급된 픽셀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보정된 데이터가 공급된 픽셀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시계방향으로 로테이션 시킨다.
픽셀을 로테이션 시켜 데이터를 변환한다. 이 변환된 데이터로 그레이 레벨을 표현하여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를 저감시킨다.
N번째 Frame 기간에 A 및 C픽셀에 입력 그레이 레벨 "127"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B 및 D픽셀에는 입력 그레이 레벨 "128"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N+1번째 Frame 기간에 A, B, C, D픽셀의 입력될 데이터를 변환한다. 픽셀들을 변환 시킴과 아울러 "4"의 휘도가중치를 갖는 제 3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시켜 A 및 C픽셀에 입력 그레이 레벨 "123"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B 및 D픽셀에는 입력 그레이 레벨 "132"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N+2번째 Frame 기간에 A, B, C, D픽셀의 입력될 데이터를 변환한다. 픽셀들을 변환 시킴과 아울러 "4"의 휘도가중치를 갖는 제 3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시켜 A 및 C픽셀에 입력 그레이 레벨 "127"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B 및 D픽셀에는 입력 그레이 레벨 "128"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N+3번째 Frame 기간에 A, B, C, D픽셀의 입력될 데이터를 변환한다. 픽셀들을 변환 시킴과 아울러 "4"의 휘도가중치를 갖는 제 3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시켜 A 및 C픽셀에 입력 그레이 레벨 "123"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B 및 D픽셀에는 입력 그레이 레벨 "132"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발광 중심점이 급격히 변화하는 입력 그레이 레벨 데이터들을 시, 공간적으로 분산 시킨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를 저감시키기 위해 입력 그레이 레벨 데이터를 검색한다. 입력 그레이 레벨중 발광 중심점이 급격히 변화하는 데이터 값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 값을 변환하고, "2"의 휘도가중치를 갖는 제 2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 시킴과 아울러 보정된 데이터가 공급될 픽셀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로테이션 시킨다. 이 변환된 데이터로 그레이 레벨을 표현하여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를 저감시킨다.
N번째 Frame 기간에 A 및 C픽셀에 입력 그레이 레벨 "63"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B 및 D픽셀에는 입력 그레이 레벨 "64"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N+1번째 Frame 기간에 A, B, C, D픽셀의 입력될 데이터를 변환한다. 픽셀들을 변환 시킴과 아울러 "2"의 휘도가중치를 갖는 제 2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시켜 A 및 C픽셀에 입력 그레이 레벨 "61"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B 및 D픽셀에는 입력 그레이 레벨 "66"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N+2번째 Frame 기간에 A, B, C, D픽셀의 입력될 데이터를 변환한다. 픽셀들을 변환 시킴과 아울러 "2"의 휘도가중치를 갖는 제 2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시켜 A 및 C픽셀에 입력 그레이 레벨 "63"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B 및 D픽셀에는 입력 그레이 레벨 "64"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N+3번째 Frame 기간에 A, B, C, D픽셀의 입력될 데이터를 변환한다. 픽셀들을 변환 시킴과 아울러 "2"의 휘도가중치를 갖는 제 2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시켜 A 및 C픽셀에 입력 그레이 레벨 "61"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B 및 D픽셀에는 입력 그레이 레벨 "66"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발광 중심점이 급격히 변화하는 입력 그레이 레벨 데이터들을 시, 공간적으로 분산 시킨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를 저감시키기 위해 입력 그레이 레벨 데이터를 검색한다. 입력 그레이 레벨중 발광 중심점이 급격히 변화하는 데이터 값들이 입력되면 입력된 데이터 값을 변환하고, "1"의 휘도 가중치를 갖는 제 1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 시킴과 아울러 보정된 데이터가 공급될 픽셀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변환한다. 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로테이션 시킨다. 이 변환된 데이터로 그레이 레벨을 표현하여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를 저감시킨다.
N번째 Frame 기간에 A 및 C픽셀에 입력 그레이 레벨 "31"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B 및 D픽셀에는 입력 그레이 레벨 "32"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N+1번째 Frame 기간에 A, B, C, D픽셀의 입력될 데이터를 변환한다. 픽셀들을 변환 시킴과 아울러 "1"의 휘도 가중치를 갖는 제 1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시켜 A 및 C픽셀에 입력 그레이 레벨 "30"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B 및 D픽셀에는 입력 그레이 레벨 "33"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N+2번째 Frame 기간에 A, B, C, D픽셀의 입력될 데이터를 변환한다. 픽셀들을 변환 시킴과 아울러 "1"의 휘도 가중치를 갖는 제 1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시켜 A 및 C픽셀에 입력 그레이 레벨 "31"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B 및 D픽셀에는 입력 그레이 레벨 "32"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N+3번째 Frame 기간에 A, B, C, D픽셀의 입력될 데이터를 변환한다. 픽셀들을 변환 시킴과 아울러 "1"의 휘도 가중치를 갖는 제 1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시켜 A 및 C픽셀에 입력 그레이 레벨 "30"의 데이터가 입력되고, B 및 D픽셀에는 입력 그레이 레벨 "33"의 데이터가 입력된다. 상술한 방법을 통하여 발광 중심점이 급격히 변화하는 입력 그레이 레벨 데이터들을 시, 공간적으로 분산 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은 N+1번째 프레임과 N+3번째의 프레임에서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를 발생시키지 않게함으로써 전체 프레임에서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를 저감시킬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를 나타탠 구성도로서, 입력 그레이 레벨에 대한 데이터를 감지하고 감지된 데이터를 보정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어드레스 전극(X)을 구동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48)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스캔전극(Y)을 구동하기 위한 스캔/서스테인 구동부(51)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기위한 타이밍 컨트롤러(47)와, 감마 보정부(41)와 데이터 구동부(48) 사이에 접속된 자동이득조절부(42)와, 오차확산부(43)와, 데이터 검색부(53)와, 데이터 패턴 메모리(54)와, 서브필드 맵핑부(44)와, 프레임 메모리(45)와, 드라이브 IC별 데이터 정렬부(46)를 구비한다.
데이터 구동부(48)은 소정 개수의 어드레스 전극(X)에 각각 접속되어 해당 어드레스 전극(X)에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데이터 드라이브 IC들을 포함한다.
스캔 구동부(51)는 스캔전극들(Y)에 접속되어 스캔전극들(Y)에 리셋펄스(또는 셋업펄스)를 동시에 공급하게 된다. 또한, 스캔 구동부(51)는 어드레스 기간에 스캔펄스를 스캔전극들(Y)에 순차적으로 공급한 후에, 서스테인 기간에 서스테인 펄스를 스캔전극들(Y)에 동시에 공급하게 된다.
서스테인 구동부(52)는 서스테인 전극들(Z)에 공통적으로 접속되어 서스테인 전극들(Z)에 서스테인 펄스를 동시에 공급하게 된다.
타이밍 콘트롤러(47)는 수직/수평 동기신호(H, V)를 공급받아 타이밍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이 타이밍 제어신호를 데이터 정렬부(46), 데이터 구동부(49), 스캔 구동부(51) 및 서스테인 구동부(52)에 공급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게 된다.
감마 보정부(41)는 동화상신호를 감마 보정하여 동화상신호의 계조값에 따른 휘도값을 선형적으로 변화시키게 된다.
자동이득 조절부(42)는 감마 보정부(41)로 부터의 휘도정보에 따라 입력 데이터(R, G, B)의 계조 범위를 미리 설정된 계조 범위로 변환하여 입력 데이터의 이득을 균일하게 보상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오차 확산부(43)는 오차 성분을 인접한 셀들에 확산 시킴으로서 휘도값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오차 확산부(43)는 데이터를 정수부와 소수부로 분리하고 소수부에 플로이-스타인버그(Floy-Steinberg) 계수를 곱하여 인접한 셀들에 오차를 확산시키게 된다.
데이터 검색 및 보정부(53)는 오차확산부(43)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데이터 패턴 메모리(54)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 패턴들과 비교하여 입력받은 데이터들의 패턴이 데이터 패턴 메모리(54)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 패턴들과 일치할 때에는 데이터를 보정하여 프레임 메모리(45)로 전송한다.
데이터 패턴 메모리(54)는 데이터 검색 및 보정부(53)에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비교할 수 있도록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를 발생시킬 수 있는 데이터의 패턴을 저장한다.
서브필드 맵핑부(44)는 데이터 보정부(54)로 부터 입력받은 한 프레임의 데이터를 각각 서브필드에 맵핑한다. 이렇게 서브필드별로 맵핑된 데이터는 최하위 비트가 최소 휘도 가중치가 설정된 서브필드에 할당되고, 최상위 비트가 최대 휘도 가중치가 설정된 서브필드에 할당된다.
프레임 메모리(45)는 서브필드 맵핑부(44)로 부터의 데이터를 한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게 된다. 드라이브별 IC 데이터 정렬부(46)는 데이터 드라이브 IC 각각에 대응하여 프레임 메모리(45)로 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재정렬하여 데이터 구동부(48)에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및 장치는 서로 인접한 픽셀에 입력되는 데이터들을 검색하여 발광 중심점이 급격히 변화하여 윤곽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는 데이터들이 입력되면 그러한 데이터들을 보정시킴과 아울러 발광 중심점이 급격히 변화하여 윤곽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는 픽셀들을 변환 시켜 발광 중심점이 급격히 변화하는 입력 그레이 레벨 데이터들을 시, 공간적으로 분산 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는 N+i번째(i=양의 정수중 홀수) 프레임에서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를 발생시키지 않게함으로써 전체 프레임에서 윤곽 노이즈(Contour noise)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 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3전극 교류 면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방전셀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선택적 쓰기 방식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선택적 소거 방식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프레임 구성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선택적 쓰기(SW) 방식에 따른 입력계조값에 대한 발광중심점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a 내지 도 5f는 종래의 선택적 쓰기(SW) 방식에 따른 프레임 구성에서의 발광 중심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를 나타탠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부기판 18 : 하부기판
Y : 스캔 전극 Z : 서스테인전극(Z)
X : 어드레스전극(X) 12Y, 12Z : 투명전극
13Y, 13Z : 금속버스전극 14 : 상부 유전체층
16 : 보호막 22 : 하부 유전체층
24 : 격벽 26 : 형광체층
41 : 감마보정부 42 : 자동이득조절
43 : 오차 확산부 44 : 서브필드 맵핑부
45 : 프레임 메모리 46 : 드라이브IC별 데이터 정렬부
47 : 타이밍 컨트롤러 48 : 데이터 구동부
51 : 스캔 구동부 52 : 서스테인 구동부
53 : 데이터 검색 및 보정부 54 : 데이터 패턴 메모리

Claims (11)

  1.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들을 저장된 노이즈 데이터 패턴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들이 상기 노이즈 데이터 패턴과 동일할 경우 인접한 픽셀들에 공급되는 동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휘도가중치를 가감하여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와,
    상기 보정된 데이터가 입력된 픽셀의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변환하여 상기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를 분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된 노이즈 데이터 패턴은 윤곽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는 데이터 패턴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는 한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수의 서브필드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브필드 상태를 반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보정하는 단계는 "4"이하의 휘도가중치를 갖는 서브필드의 상태를 반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6. 삭제
  7. 가스방전을 이용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셀을 초기화 시키는 리셋기간, 셀을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기간과, 선택된 셀의 서스테인 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서스테인 기간을 포함한 다수의 서브필드들을 이용하여 동화상을 표시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
    윤곽 노이즈를 발생시킬 수 있는 노이즈 데이터 패턴들이 저장되는 데이터 패턴 메모리와;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노이즈 데이터 패턴과 일치하는 지를 검색하고, 상기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가 상기 노이즈 데이터 패턴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에 소정의 휘도가중치를 가감하여 입력된 동화상 데이터를 변환하는 데이터 검색 및 보정부와;
    상기 데이터 검색 및 보정부로부터 변환된 동화상 데이터를 서브필드에 맵핑시키는 서브필드 맵핑부와;
    서브필드 맵핑부로부터의 데이터에 따라 상기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검색 및 보정부는 상기 변환된 동영상 데이터들이 입력될 픽셀들의 위치를 프레임 단위로 로테이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화상 데이터를 분산시키는 단계는 상기 보정된 데이터가 입력된 픽셀의 위치를 플레임 단위로 시계방향으로 로테이션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들의 위치는 시계방향으로 로테이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2003-0008549A 2003-02-11 2003-02-1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4884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549A KR100488455B1 (ko) 2003-02-11 2003-02-1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8549A KR100488455B1 (ko) 2003-02-11 2003-02-1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891A KR20040072891A (ko) 2004-08-19
KR100488455B1 true KR100488455B1 (ko) 2005-05-11

Family

ID=3736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8549A KR100488455B1 (ko) 2003-02-11 2003-02-1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45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8959A (ja) * 1998-09-18 2000-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の動画疑似輪郭低減方法
KR20000019875A (ko) * 1998-09-16 2000-04-15 손욱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계조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00276100A (ja) * 1999-01-22 2000-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及び方法
KR20020024669A (ko) * 2000-09-26 2002-04-01 김춘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에서의 의사윤곽 저감을 위한오차확산 방법
KR20020044073A (ko) * 2000-12-05 2002-06-14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적 발광패턴 생성방법과윤곽 노이즈 측정방법 및 계조 선택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9875A (ko) * 1998-09-16 2000-04-15 손욱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계조 표시 방법 및 장치
JP2000098959A (ja) * 1998-09-18 2000-04-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画像表示装置の動画疑似輪郭低減方法
JP2000276100A (ja) * 1999-01-22 2000-10-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表示装置及び方法
KR20020024669A (ko) * 2000-09-26 2002-04-01 김춘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pdp)에서의 의사윤곽 저감을 위한오차확산 방법
KR20020044073A (ko) * 2000-12-05 2002-06-14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최적 발광패턴 생성방법과윤곽 노이즈 측정방법 및 계조 선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2891A (ko) 200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36901B2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US7907103B2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10054797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및 방법
US7760158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driving a plasma display panel
KR1006072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KR10049391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5337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5511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7102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48845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4939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장치
KR10050976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KR100482345B1 (ko) 액정을 이용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48815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5337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10048845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55393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52869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방법
KR10049218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6928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051179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49362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KR1005779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장치
KR20050006600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방법 및 구동장치
KR2005010020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