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8115B1 -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및 방법 - Google Patents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8115B1
KR100488115B1 KR10-2002-0074482A KR20020074482A KR100488115B1 KR 100488115 B1 KR100488115 B1 KR 100488115B1 KR 20020074482 A KR20020074482 A KR 20020074482A KR 100488115 B1 KR100488115 B1 KR 1004881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way
data
subscriber
transmiss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6535A (ko
Inventor
이희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4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8115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1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1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 Of Switch Circuits For Exchanges And Methods Of Control Of Multiplex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타임슬롯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교환기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입자보드와 일대일로 연결되는 다수의 2M 하이웨이와, 상기 다수의 2M 하이웨이를 한 묶음으로 하여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의 2M 하이웨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8M 하이웨이로 구성함으로써, 가입자보드가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2M 하이웨이 이상의 타임스롯을 요청하는 경우의 상황을 반영한 타임슬롯에 맞도록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시스템 자원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CHANGING A VARIABLE TDM HIGHWAY IN EXCHANGER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환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를 플렉시블(flexible)하게 구성하여 동일한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환기는 음성 정보를 보내주기 위해 시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x : 시분할다중) 방식을 이용하여 하이웨이(highway)에 64kbps 음성 데이터를 시분할하여 전송한다.
도 1은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은 가입자들 간에 통화로를 설정하여 주는 메인스위치블록(100)과, 상기 메인스위치블록(100)에 연결되는 다수의 가입자보드(121, 123, 125, 127, 129)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스위치블록(100)과 상기 가입자보드(121, 123, 125, 127, 129) 사이에는 데이터 통로인 TX/RX 하이웨이(110)가 각 가입자보드마다 할당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가입자보드(121, 123, 125, 127, 129)는 TX/RX 하이웨이(110)를 통하여 32 타임슬롯(time slot)에 해당하는 PCM(Pulse Code Modulation) 데이터를 주고받는 형태로 운용된다. 즉,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에서는 메인스위치블록(100)에서 각 가입자보드(121, 123, 125, 127, 129)에 할당된 TX/RX 하이웨이(110)를 통하여 음성 신호와 관련된 정보를 송수신한다.
각 가입자보드(121, 123, 125, 127, 129)의 내부에는 최대 32 가입자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메인스위치블록(100)과 32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음성 신호를 주고 받는다. 이때,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은 각 가입자보드마다 일정한 TX/RX 하이웨이가 할당되어, 항상 일정하게 32 타임슬롯이 제공된다. 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32 타임슬롯을 다 이용하지 않은 가입자보드도 존재하게 된다.종래의 교환기 시스템에서는 32 T/S를 모두 이용하지 않는 가입자보드가 존재한다 하더라도, 이러한 가입자보드에 할당된 TX/RX 하이웨이에 항상 32 타임슬롯의 음성정보가 실려 메인스위치블록으로 제공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는 32 타임슬롯 모두에 음성 신호를 실지 않아도 되는 상황에서도 항상 32 타임슬롯을 이용하게 됨으로써, 시스템의 전제적인 자원에 대한 효율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하나의 TX/RX 하이웨이를 여러 가입자보드가 공유하도록 구성하여,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입자보드와 일대일로 연결되는 다수의 2M 하이웨이와, 상기 다수의 2M 하이웨이를 한 묶음으로 하여 연결되어, 미리 설정된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의 2M 하이웨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데이터를 제공하는 8M 하이웨이로 구성되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정보에는 입력 2M 하이웨이 번호, 출력 2M 하이웨이 번호, 타임슬롯 그룹 번호 및 설정정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스위치블록과, 상기 메인스위치블록으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2M 하이웨이 데이터를 타임슬롯 그룹별로 정렬시켜 하나의 전송 8M 하이웨이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제1 출력블록과, 가입자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8M 하이웨이 데이터와 상기 가입자단으로부터 기존에 제공되는 수신 2M 하이웨이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복원하는 제2 입력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단; 및 상기 제1 출력블록에서 전송되는 전송 8M 하위웨이 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제어정보에 따라 다수의 전송 2M 하이웨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2M 하이웨이로 데이터를 복원하는 제1 입력블록과,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수신 2M 하이웨이 데이터를 타임슬롯 그룹별로 정렬시켜 하나의 수신 8M 하이웨이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제2 출력블록과, 상기 제1 입력블록에서 복원된 데이터를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가입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다수의 수신 2M 하이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출력블록으로 제공하는 가입자보드로 이루어지는 가입자단으로 구성되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제2 입력블록은 내부에 구비된 제어레지스터의 설정비트가 '1'인 경우, 상기 가입자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8M 하이웨이 데이터가 선택되고, 제어레지스터의 설정비트가 '0'인 경우, 기존의 가입자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2M 하이웨이 데이터가 선택된다.
상기 제1 입력블록은 내부에 구비된 제어레지스터의 설정비트가 '1'인 경우에만 전송 8M 하이웨이 데이터가 다수의 전송 2M 하이웨이에 차례대로 복원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스위치블록으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2M 하이웨이 데이터를 타임슬롯 그룹별로 정렬시켜 하나의 전송 8M 하이웨이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전송 8M 하이웨이 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제어정보에 따라 다수의 전송 2M 하이웨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2M 하이웨이로 데이터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방법에 따르면, 가입자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가입자단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수신 2M 하이웨이 데이터를 타임슬롯 그룹별로 정렬시켜 하나의 수신 8M 하이웨이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신 8M 하이웨이 데이터와 상기 가입자단으로부터 기존에 제공되는 수신 2M 하이웨이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복원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스위치블록(210)과 각각의 가입자보드(232, 234) 사이에는 각각의 가입자보드에 제공되는 복수의 2M 하이웨이(222, 224)와, 상기 각각의 가입자보드에 제공되는 복수의 2M 하이웨이(222, 224)를 여러개를 하나의 묶어 연결되는 8M 하이웨이(212, 214)로 구성된다. 즉, 하나의 8M 하이웨이(TX/RX 하이웨이 그룹 0, 212)는 4개의 가입자보드를 하나의 그룹, 즉 가입자 그룹 1(232)으로 묶는다. 다른 하나의 8M 하이웨이(TX/RX 하이웨이 그룹 1, 214)는 다른 4개의 가입자보드를 하나의 그룹, 즉 가입자 그룹 2(234)로 묶는다.
결국, 기존에는 메인스위치블록과 각각의 가입자보드 사이에는 2M 하이웨이가 일대일로 대응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2M 하이웨이(222)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여러개의 가입자보드를 하나의 단위로 하여 8M 하이웨이(222, 224)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기존에 2M 하이웨이를 사용하는 가입자보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그대로 사용 가능하면서, 새로이 타임슬롯을 기존의 2M 보다 더 요구하는 가입자보드도 추가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교환기 시스템의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는 스위치단(200)과 가입자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단(200)에는 입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해당 가입자에게 스위칭시키도록 제어하는 메인스위치블록(210)과, 상기 메인스위치블록(210)에서 입력되는 4개의 전송 2M 하이웨이를 하나의 전송 8M 하이웨이(212)로 합하는 제1 출력블록(230)과, 상기 가입자단(300)에서 제공되는 하나의 수신 8M 하이웨이(214)를 4개의 수신 2M 하이웨이로 변환시키는 제2 입력블록(240)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단 변환블록(220)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입자단(300)에는 상기 스위치단(200)에서 출력되는 전송 8M 하이웨이(212)로부터 해당 가입자보드에 필요한 PCM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최대 4개까지의 전송 2M 하이웨이를 재구성하는 제1 입력블록(330)과, 상기 제1 입력블록(330)에서 재구성된 전송 2M 하이웨이에 실린 PCM 데이터를 해당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해당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PCM 데이터를 타임슬롯을 이용하여 최대 4개까지의 수신 2M 하이웨이에 실어 출력시키는 가입자보드(310)와, 상기 가입자보드(310)로부터 출력된 수신 2M 하이웨이를 하나의 수신 8M 하이웨이(214)로 변환시키는 제2 출력블록(34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입력블록(330)과 상기 제2 출력블록(340)은 상기 가입자단 변환블록(320)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전송 및 수신 2M 하이웨이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타임슬롯을 가변적으로사용하기 위해 32개의 타임슬롯을 8개의 타임슬롯 단위로 구분하여 4개의 타임슬롯 그룹(T/S 그룹 0, T/S 그룹 1, T/S 그룹 2, T/S 그룹 3)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최대 4개까지의 전송 및 수신 2M 하이웨이에 대해서는 최대 16개의 타임슬롯 그룹(각 2M 하이웨이당 4개씩)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각 가입자보드(310)는 보드 초기화시에 자신에게 할당되는 타임슬롯을 상기 메인스위치블록(210)과의 협의를 통해 설정시킬 수 있다. 또한, 시스템 운용 중에도 언제든지 메인스위치블록과의 협의를 통해 자신에게 할당되는 타임슬롯을 설정해 주어야 한다.
상기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는 하이웨이를 가변시키기 위해 스위치단(200)에 구성되는 제1 출력블록(230)과 제2 입력블록(240) 그리고 상기 가입자단(300)에 구성되는 제1 입력블록(330)과 제2 출력블록(340)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출력블록(230), 제2 입력블록(240), 제1 입력블록(330) 및 제2 출력블록(340)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 출력블록(230)은 메인스위치블록(210)에서 입력되는 4개의 전송 2M 하이웨이를 하나의 전송 8M 하이웨이(TX 하이웨이 그룹 0, 212)으로 합하여 준다. 이때, 상기 전송 8M 하이웨이(212)는 8M의 전송속도를 갖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에서, 가입자단 변환블록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가입자단 변환블록(320)은 상기 제1 출력블록(230)에서 제공되는 전송 8M 하이웨이(TX 하이웨이 그룹 0, 212)를 입력받아 해당 PCM 데이터를 메모리(334)에 저장시키는 제1 입력제어기(332)와, 상기 입력제어기(332)의 제어를 받아 전송 8M 하이웨이(212)를 할당된 영역에 저장시키는 메모리(334)와, 제어레지스터(338)에 미리 설정된 설정값에 따라 메모리(334)로부터 해당 PCM 데이터를 복원시키는 출력제어기(336)와, 4개의 수신 2M 하이웨이를 통하여 입력되는 PCM 데이터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메모리(334)에 저장시키는 제2 입력제어기(342)와, 상기 메모리(334)에 저장된 해당 PCM 데이터를 수신 8M 하이웨이(214)에 실어 보내는 한편, 전송속도를 8M으로 변환시키는 레이트 변환기(344)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입력블록(330)은 상기 제1 입력제어기(332)와, 메모리(334)와, 제어레지스터(338)와, 출력제어기(336)로 구성된다. 상기 제1 입력블록(330)은 전송 8M 하이웨이 데이터 중에서 해당 보드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최대 4개까지의 전송 2M 하이웨이로 재구성시킨다. 이때, 해당 보드는 사전에 메인스위치블록(210)과 필요한 타임슬롯에 대한 협의 과정을 수행하여야 한다. 예를들어, 해당보드가 48개의 타임슬롯을 사용하기로 보드 초기화시에 메인스위치블록(210)에 요청하면, 상기 메인스위치블록(210)은 현재 다른 가입자보드의 타임슬롯 사용 상태를 분석하여, 사용가능한 자원이 있는 경우 사용가능한 타임슬롯 정보를 해당 보드에 알려주게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메인스위치블록으로부터 제공되는 전송 8M 하이웨이 데이터 중에서 미리 설정된 타임슬롯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보드에 필요한 데이터만을 추출하여 제공하여 준다.
도 6은 48 타임슬롯을 사용하기로 합의된 경우에 제1 입력블록에서 복원되는 하이웨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도 4), 하나의 전송 및 수신 2M 하이웨이는 32 타임슬롯으로 구성되므로, 48 타임슬롯인 경우 2개의 2M 하이웨이가 필요하게 된다. 즉, 하나의 2M 하이웨이에는 32개의 타임슬롯이 할당되고, 다른 2M 하이웨이에는 16개의 타임슬롯이 할당되게 된다. 이때, 할당되지 않은 부분은 더미 데이터로서 어떠한 데이터도 실리지 않게 된다.
상기 제1 입력블록(330)에서 출력되는 4개의 전송 2M 하이웨이는 도 7과 같이 나타나게 된다. 즉, 하나의 2M 하이웨이에는 8 타임슬롯을 하나의 타임슬롯그룹으로 할당하여 4개의 타임슬롯 그룹(T/S 그룹 0 내지 3)으로 구성된다는 것을 이미 도 4에서 설명하였다. 도 7에서는 4개의 2M 하이웨이(2M 하이웨이 0 내지 3)를 나타낸 것으로서, 각각의 2M 하이웨이에서 맨 앞부터 차례로 8개의 타임슬롯을 타임슬롯 그룹 0으로 지정하고, 다음 8개의 타임슬롯을 타임슬롯 1로, 그 다음을 타임슬롯 그룹 2로, 그 다음을 타임슬롯 그룹 3으로 지정하여, 총 4개의 타임슬롯 그룹으로 지정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입력블록(330)은 상기 메인스위치블록(210)과 사전에 협의과정을 통해 설정된 타임슬롯 정보에 근거하여 맨 위 상단에 있는 2M 하이웨이 0부터 데이터를 실어 출력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스위치블록(210)과 사전에 협의된 타임슬롯 정보는 제어레지스터(338)에 설정되게 된다. 상기 제어레지스터의 구조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각각이 8비트로 이루어진 4개를 하나의 레지스터 그룹(레지스터 그룹 0 내지 3)으로 할당된다. 상기 제어레지스터(338)에는 이와 같은 레지스터 그룹이 4개가 존재한다. 각 레지스터 그룹은 하나의 2M 하이웨이를 구성하기 위한 타임슬롯 정보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어레지스터에서 8비트 내부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비트1-0에는 메인스위치블록에서 8M 하이웨이를 구성할 때 사용된 입력 2M 하이웨이 내부에 구성된 타임슬롯 그룹 번호(T/S 그룹 번호)가 포함된다. 비트3-2에는 메인스위치블록에서 8M 하이웨이를 구성할 때 사용된 입력 2M 하이웨이 번호(In Highway 번호)가 포함된다. 비트5-4에는 제2 입력블록을 통해 복원되는 해당 2M 하이웨이 번호(Out Highway 번호)가 포함된다. 비트 6은 현재 정의된 사항이 없는 비트로서, 예비비트(Reserved)로 설정되어 있다. 비트 7에는 2M 하이웨이 변환을 수행할지 여부를 나타내는 설정비트로서, '1'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한하여 2M 하이웨이 변환이 수행되게 된다.
상기 제1 입력블록(330)은 입력되는 8M PCM 데이터가 메모리(334)에 입력된다. 그러면, 출력 제어기(342)는 제어레지스터(338)의 각 레지스터 그룹에 설정된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설정비트가 '1'인 경우만 메모리(334)에서 입력 2M 하이웨이 번호와 타임슬롯 그룹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읽어, 하나의 출력 2M 하이웨이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가입자보드(310)에서 사용가능한 타임슬롯을 8M 하이웨이에서 추출하여 이미 약정된 만큼의 타임슬롯을 복원시켜 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2개로 할당된 메모리(메모리 A, 메모리 B)는 이전 한 프레임(125㎲동안, 즉 한 주기의 시분할 다중접속 데이터 샘플링 시간) 데이터가 제1 입력 제어기(332)에 의해 저장되고, 동일 시간동안 출력제어기(336)가 메모리 B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 2M 하이웨이를 복원시키는데 사용된다. 한 프레임이 지난 다음에는 제1 입력제어기(332)가 데이터를 메모리 B에 저장시키는 동안, 출력제어기(336)는 메모리 A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이용하여 출력 2M 하이웨이를 복원시키게 된다.
상기 제2 출력블록(340)은 상기 제2 입력 제어기(342)와, 메모리(334)와, 레이트 변환기(344)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입력 제어기(342)는 4개의 2M 하이웨이로부터 입력되는 PCM 데이터를 메모리(334)에 저장시키고, 상기 레이트 변환기(344)는 상기 메모리(334)에 저장된 PCM 데이터를 8M 하이웨이로 변환시키면서, 전송속도를 2M에서 8M으로 전환시킨다.
상기 제2 입력블록(240)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입자단(300)에서 제공되는 수신 8M 하이웨이로부터 PCM 데이터를 해당 메모리(244)에 저장시키는 제3 입력 제어기(242)와, 기존 스위치 2M 하이웨이로부터 직렬 PCM 데이터를 병렬로 전화시켜주는 직-병렬 전환기(246)와, 상기 메모리(244)에 저장된 PCM 데이터와 상기 직-병렬 전환기(246)에서 전환된 PCM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스위치 2M 하이웨이로 제공하는 입력 선택기(250)로 구성된다. 상기 직-병렬 전환기(246)는 기존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입력 선택기(250)에는 미리 메인스위치블록(210)과의 협의를 통해 설정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제어레지스터(254)와, 상기 제어레지스터(254)의 제어정보에 따라 메모리(244) 또는 직-병렬 전환기(246)로부터 PCM 데이터를 선택하여 4개의 스위치 2M 하이웨이로 구성하여 메인스위치블록(210)으로 제공하여 주는 신호복원기(252)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레지스터의 구조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다만, 상기 제어레지스터에 포함되는 설정비트의 값이 '0' 또는 '1'에 따라 상기 메모리(244)에 저장된 PCM 데이터와 상기 직-병렬 전환기(246)에서 전환된 PCM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즉, 설정비트가 '1'인 경우에는 메모리(244)에 저장된 PCM 데이터가 선택되고, 설정비트가 '0'인 경우에는 직-병렬 전환기(246)로부터 출력되는 PCM 데이터가 선택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에서, 메인스위치블록과 가입자보드 사이에서 PCM 데이터가 흘러가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인스위치블록(210)에서 제공되는 4개의 전송 2M 하이웨이는 제1 출력블록(230)에 입력되어 전송 8M 하이웨이(212)로 변환된다. 즉, 상기 4개의 전송 2M 하이웨이에 구분된 타임슬롯 그룹별로 전송 8M 하이웨이(212)에 데이터가 실리게 된다.
상기 제1 입력블록(330)은 가입자보드의 상황에 맞도록 미리 메인스위치블록(210)과의 협의 과정을 통해, 설정된 타임슬롯 정보에 따라 상기 전송 8M 하이웨이 데이터 중 해당하는 PCM 데이터를 추출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2M 하이웨이에 실어 가입자보드(310)로 전송한다.
반대로, 상기 가입자보드(310)를 통해 입력되는 4개의 수신 2M 하이웨이에 포함되는 PCM 데이터를 타임슬롯 그룹별로 수신 8M 하이웨이(214)에 실어 제공한다.
상기 제3 입력제어기(242)는 입력된 수신 8M 하이웨이(214)에 포함된 데이터를 메모리(244)에 일시 저장시킨다. 입력 선택기(250)는 제어레지스터(254)에 설정된 설정비트를 확인하여, 수신 8M 하이웨이(214)에 포함된 데이터 또는 기존 스위치 2M 하이웨이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한다. 이때, 수신 8M 하이웨이에 포함된 데이터가 선택된 경우에는 신호복원기(252)에 의해 기존 스위치 2M 하이웨이로 복원되어 메인스위치블록(210)으로 제공된다. 만일 기존의 2M 하이웨이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신호복원없이 그대로 메인스위치블록(210)으로 제공되도록 바이패스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입력블록(330)에 구비되는 제어레지스터(338)에 설정된 제어정보값이 도 12와 같다면, 제1 입력블록(330)은 입력된 전송 8M 하이웨이(212)에 포함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2개의 전송 2M 하이웨이로 복원시키게 된다. 즉,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지스터 그룹 0과 레지스터 그룹 1에 존재하는 설정비트는 모두 '1'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레지스터 그룹 0과 레지스터 그룹 1이 각각 하나씩의 전송 2M 하이웨이로 복원되게 된다. 하지만, 레지스터 그룹 2와 레지스터 그룹 3에 존재하는 설정비트는 모두 '0'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것들은 복원되지 않게 된다. 결국, 도 12에 나타낸 제어레지스터의 제어정보값을 이용하면, 4개의 전송 2M 하이웨이 중 2개의 하이웨이만 복원되고, 나머지 2개는 사용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기존에 불필요하게 무조건 4개의 2M 하이웨이가 사용되게 되어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하게 되는 단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입력블록(240)에 구비되는 제어레지스터(254)에 설정된 제어정보값이 도 13과 같다면, 신호복원기(252)는 제어레지스터(254)에서 각각의 레지스터 그룹의 제어정보를 1바이트씩 읽어와서, 각각의 설정비트를 확인한다. 이때, 설정비트가 '1'인 경우, 신호복원기(252)는 메모리(244)에 저장된 PCM 데이터를 비트 3-2에 설정된 입력 2M 하이웨이 번호에 해당하는 메모리 영역의 데이터 중 비트1-0에 설정된 타임슬롯 그룹 번호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복원된다.
만일 설정비트가 '0'으로 설정되어 있다면, 신호복원기(252)는 직-병렬 전환기(246)에 의해 전환된 병렬 데이터를 바이패스시켜 그대로 메인스위치블록(210)에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전송 및 수신 2M 하이웨이는 각각 4개씩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상황에 따라서는 4개 이상 또는 이하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메인스위치블록과 다수개의 가입자보드 사이에 기존의 2M 하이웨이 여러개를 공유시킨 8M 하이웨이를 구성함으로써, 각 가입자보드의 타임슬롯 요구정도에 따라 타임슬롯을 가변적으로 변환시켜, 특정된 가입자보드가 많은 타임슬롯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적절히 대응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운용중인 기능과 8M 하이웨이에 의해 새로 적용되는 기능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가입자보드의 상황을 반영한 타임슬롯에 맞도록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어, 시스템 자원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 및 방법은 가입자보드가 많지 않은 소형 교환기 시스템 등에 특히 유용하게 적용될뿐만 아니라, 자원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중 대형 교환기 시스템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종래의 교환기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여러개의 T/S 그룹으로 구분된 2M 하이웨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에서, 가입자단 변환블록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6은 48 타임슬롯을 사용하기로 합의된 경우에 제2 입력블록에서 복원되는 하이웨이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4개의 2M 하이웨이에서 T/S 그룹이 구분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레지스터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제어레지스터에 정의된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에서, 제2 입력블록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에서, 메인스위치블록과 가입자보드 사이에서 PCM 데이터가 흘러가는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입력블록에 구비되는 제어레지스터에 설정되는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입력블록에 구비되는 제어레지스터에 설정도는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명칭>

Claims (9)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입자 보드와;
    상기 하나 이상의 가입자보드와 각각 일대일로 연결되는 다수의 2M 하이웨이와;
    상기 다수의 2M 하이웨이들이 일정 단위로 그룹화하여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8M 하이웨이와;
    상기 8M 하이웨이와 연결되어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해당 가입자에 스위칭시키도록 제어하는 메인 스위치 블록이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8M 하이웨이는 미리 설정된 소정의 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다수의 2M 하이웨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2M 하이웨이를 통해 데이터를 제공하고,
    상기 소정의 제어정보에는 입력 2M 하이웨이 번호, 출력 2M 하이웨이 번호, 타임슬롯 그룹 번호 및 설정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
  2. 삭제
  3. 메인스위치블록과, 상기 메인스위치블록으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2M 하이웨이 데이터를 타임슬롯 그룹별로 정렬시켜 하나의 전송 8M 하이웨이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제1 출력블록과, 가입자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8M 하이웨이 데이터와 상기 가입자단으로부터 기존에 제공되는 수신 2M 하이웨이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복원하는 제2 입력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단; 및
    상기 제1 출력블록에서 전송되는 전송 8M 하이웨이 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제어정보에 따라 다수의 전송 2M 하이웨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2M 하이웨이로 데이터를 복원하는 제1 입력블록과, 가입자로부터 입력되는 다수의 수신 2M 하이웨이 데이터를 타임슬롯 그룹별로 정렬시켜 하나의 수신 8M 하이웨이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제2 출력블록과, 상기 제1 입력블록에서 복원된 데이터를 상기 가입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가입자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를 다수의 수신 2M 하이웨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출력블록으로 제공하는 가입자보드로 이루어지는 가입자단
    으로 구성되며,
    상기 전송 및 수신 2M 하이웨이는 타임슬롯을 가변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32개의 타임슬롯을 8개의 타임슬롯 단위로 구분하여 4개의 타임슬롯 그룹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블록은 내부에 구비된 제어레지스터의 설정비트가 '1'인 경우, 상기 가입자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8M 하이웨이 데이터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입력블록은 내부에 구비된 제어레지스터의 설정비트가 '0'인 경우, 기존의 가입자단으로부터 제공되는 수신 2M 하이웨이 데이터가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입력블록은 내부에 구비된 제어레지스터의 설정비트가 '1'인 경우에만 전송 8M 하이웨이 데이터가 다수의 전송 2M 하이웨이에 차례대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장치.
  7. 스위치단과 가입자단으로 이루어지는 교환기 시스템에서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를 변환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메인스위치블록으로부터 전송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2M 하이웨이 데이터를 타임슬롯 그룹별로 정렬시켜 하나의 전송 8M 하이웨이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전송 8M 하이웨이 데이터에서 미리 설정된 제어정보에 따라 다수의 전송 2M 하이웨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송 2M 하이웨이로 데이터를 복원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어정보에는 입력 2M 하이웨이 번호, 출력 2M 하이웨이 번호, 타임슬롯 그룹 번호 및 설정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가입자로부터 입력되어 상기 가입자단을 통해 제공되는 다수의 수신 2M 하이웨이 데이터를 타임슬롯 그룹별로 정렬시켜 하나의 수신 8M 하이웨이 데이터로 변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수신 8M 하이웨이 데이터와 상기 가입자단으로부터 기존에 제공되는 수신 2M 하이웨이 데이터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복원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변환방법.
  9. 삭제
KR10-2002-0074482A 2002-11-27 2002-11-27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및 방법 KR1004881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482A KR100488115B1 (ko) 2002-11-27 2002-11-27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482A KR100488115B1 (ko) 2002-11-27 2002-11-27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535A KR20040046535A (ko) 2004-06-05
KR100488115B1 true KR100488115B1 (ko) 2005-05-06

Family

ID=37342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482A KR100488115B1 (ko) 2002-11-27 2002-11-27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811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3957A (ko) * 1995-05-31 1996-12-23 유기범 개선된 타임스위치장치
KR20000066020A (ko) * 1999-04-12 2000-11-15 김영환 가입자 집선장치가 장착된 전전자 교환기내 가입자 정합장치
JP2000333279A (ja) * 1999-05-18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交換機
KR20010036639A (ko) * 1999-10-11 2001-05-07 윤종용 디지털 교환기의 하이웨이-채널 선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3957A (ko) * 1995-05-31 1996-12-23 유기범 개선된 타임스위치장치
KR20000066020A (ko) * 1999-04-12 2000-11-15 김영환 가입자 집선장치가 장착된 전전자 교환기내 가입자 정합장치
JP2000333279A (ja) * 1999-05-18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交換機
KR20010036639A (ko) * 1999-10-11 2001-05-07 윤종용 디지털 교환기의 하이웨이-채널 선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535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916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format conversion between bit streams
US4425640A (en)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network using digital switching modules
EP0876738B1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digital tdm signals of different rates
JP2607407B2 (ja) 情報スイッチング方法および装置
AU651693B2 (en) Space/time switching element for switching network
US5467353A (en) Subrate control channel exchange system
US5912890A (en) Statistical multiplexing apparatus in a time division multiplexing bus
KR100488115B1 (ko) 교환기 시스템의 가변 시분할 다중접속 하이웨이 변환장치및 방법
JP3131863B2 (ja) データ速度変換装置
US5604739A (en) Signal receiving and transmitting unit for converting a transmission rate of a received signal to a transmission rate of a transmittted signal
US5521920A (en) Time-division multiplexer with reduced delay time
JPH1188332A (ja) 同期ディジタルインタフェースへのセル多重装置及び方法
US6192047B1 (en) Time division multiple equipment
US6269097B1 (en) Time switch with the control memory
RU2176131C2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ммутации с временным разделением для электронной системы обмена данными
KR100220378B1 (ko) 스위칭장치 배열
KR100233092B1 (ko) 동기전송모드 표준 전 채널을 스위칭하기 위한 전전자교환기의 공간분할 스위치 장치
KR100555276B1 (ko) 전전자식 사설교환기의 sdsl 정합시스템
JP2687705B2 (ja) ディジタル伝送方式
CA2243366C (en) Method and system for switching digital tdm signals of different rates
JPH11164337A (ja) 交換機内の制御データ転送方式
JPH09200335A (ja) ディジタル導通試験方式
JPS63238735A (ja) ル−プ式通信方式
JPH07193885A (ja) 信号削減方式
JPH04186951A (ja) デジタル交換方式における呼接続情報伝達方法およびデジタル交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