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088B1 - 방진용지지장치와그지지장치를포함하는자동차 - Google Patents

방진용지지장치와그지지장치를포함하는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088B1
KR100487088B1 KR1019970063603A KR19970063603A KR100487088B1 KR 100487088 B1 KR100487088 B1 KR 100487088B1 KR 1019970063603 A KR1019970063603 A KR 1019970063603A KR 19970063603 A KR19970063603 A KR 19970063603A KR 100487088 B1 KR100487088 B1 KR 1004870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evice
support
rigid
sidewalls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2859A (ko
Inventor
띠에리 빠장띠
알렝 벨리미
Original Assignee
허친슨 쏘시에떼 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친슨 쏘시에떼 아노님 filed Critical 허친슨 쏘시에떼 아노님
Publication of KR1998004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2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0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0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3/0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 F16F13/04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 F16F13/06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 F16F13/10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 F16F13/108Units comprising springs of the non-fluid type as well a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fluid springs comprising both a plastics spring and a damper, e.g. a friction damper the damper being a fluid damper, e.g. the plastics spring not forming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plastics spring forming at least a part of the wall of the fluid chamber of the damper the wall being at least in part formed by a flexible membrane or the like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plastics springs, e.g. attachment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방진용 지지장치는 내력부재중 하나에 고정된 하부판(12)에 연결되는 탄성중합체의 상부로부터 측벽으로 연장되는 중앙 레그(11)와 종(鐘)형상의 측벽(10)을 갖는 두 개의 강성 내력부재(6,8)를 갖는다. 상기 측벽은 2 내지 8 범위에 이르는 종횡비를 갖는 반면, 중앙 레그는 2 이하의 종횡비를 갖음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정적 축하중이 상기 지지장치에 가해지는 경우, 측벽은 좌굴되어 실질적으로 제로(zero) 강도를 제공하는 반면 중앙 레그는 좌굴되지 않는다.

Description

방진용 지지장치와 그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
본 발명은 방진용 지지장치와 그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두 개의 요소사이의 진동운동을 수직 중심축을 따라 상쇄 및 감쇄하고, 상기 두 개의 요소중 하나에 작용하며 500 N (Newton; 힘의MKS단위)내지 2500 N에 이르는 정적 축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강성 요소사이에 삽입되는 방진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지지장치는 결합될 제 1 및 제 2 강성 요소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강성 내력부재; 상기 두 내력부재를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 1 내력부재에 고정된 상부로부터 제 2 내력부재에 고정된 윤상(輪狀)의 하부까지 아래로 퍼지며, 탄성중합체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자유길이 l과 평균두께 e를 제공하며 상기 l/e비가 2 내지 8의 범위에 있는 최소한 하나의 협부(狹部)가 제공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종(鐘)형상의 측벽을 갖는 탄성중합체 몸체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탄성중합체 몸체는 정적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채용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와 탄성중합체 몸체의 윤상의 하부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 2 내력부재에 고정된 강성 하부판을 갖는다.
프랑스 특허 FR-A-2 726 339(상기 특허의 도13 내지 도 15 참조)에는 상기 형태의 방진용 지지장치가 기술되어 있고, 상기 특허에서 탄성중합체 몸체의 측벽은 상술한 협부를 구성하고 상호 대향하며 폭이 좁은 두 개의 벽체와, 상술한 지지부를 구성하고 상호 대향하며 폭은 덜 좁은 두 개의 벽체를 모두 포함한다.
공지된 방진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두 개의 폭이 좁은 벽체는 지지장치의 강성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고,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수(20㎐이상, 예를 들어 150㎐ 부근)에서는 특히 심하다.
이러한 현상은 하중이 지지장치에 가해져 협벽(狹壁)이 좌굴되는 경우에 특히 심하다.
상기 특허의 방진용 지지장치는 대체로 만족스럽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는 협벽의 유연성 때문에 특히 상기 벽체의 좌굴에 있어서, 협벽의 일측이 탄성중합체 몸체의 지지부를 구성하는 상대적으로 두껍고 강한 두 개의 벽체에 연결되는 것 때문에 효과가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공지의 방진용 지지장치는 탄성중합체 몸체의 지지부와 탄성중합체 몸체의 측벽의 협부사이에서 완전히 독립적인 작동을 이루기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수한 목적은 그러한 결점을 완화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해당 종류의 방진용 지지장치는 상기 협부가 탄성중합체 몸체의 모든 측벽을 구성하고, 탄성중합체 몸체가 탄성중합체 몸체의 상부로 부터 하부판에 접촉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중앙 레그(central leg)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레그는 상기 지지부를 구성하고 탄성중합체의 상부와 하부판사이에 자유 높이 h와 평균직경 d를 제공함에 따라서 h/d비가 2 이하이고 (중앙 레그가 원형 실린더 형태인 경우 평균 직경 d는 중앙 레그의 평균 직경 또는 더 일반적으로, d=2(s/p)1/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s 는 중앙 레그의 수평부의 평균면적), 정적 축하중이 상기 지지장치에 가해지는 경우, 중앙 레그는 좌굴되지 않는 반면 탄성중합체 몸체의 모든 측벽은 좌굴된 후 실질적으로 영(zero) 탄성 강도를 제공하도록 하는 치수를 탄성중합체 몸체가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지지장치에 가해지는 영구하중을 지지하는 중앙 레그의 작동과 상기 지지장치에 진동이 가해지는 경우 좁은 측벽의 움직임 사이에는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진다.
특히, 탄성중합체 몸체의 측벽의 좌굴은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수(예를 들면, 20㎐이상, 특히 150㎐)와 상대적으로 작은 진폭(예를 들면, 1mm 이하)의 진동에 관계하는 유압 방진용 지지장치에 낮은 강도를 전한다.
이는 높은 진동수에서 매우 우수하게 진동을 흡수하고, 따라서 방진용 지지장치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제 1 및 제 2 강성 요소사이에서 더욱 견고한 절연을 이룬다.
또한, 탄성중합체 몸체의 중앙 레그가 존재하기 때문에, 가청 진동수에서 지지장치의 낮은 강도는 서로에 대한 두 개의 내력부재의 과도한 축변형을 일으키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음의 구성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 탄성중합체 몸체의 측벽은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벽체에 의해 형성되는 보상챔버와 좁은 통로를 거쳐 상통하는 작동챔버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판과 조합되고, 상기 작동챔버, 보상챔버 및 좁은 통로는 액체로 채워진 폐쇄공간을 함께 형성하며;
- 중심축을 포함하는 수직평면상에서, 탄성중합체 몸체의 측벽은 형상이 요면(凹面)이고 상기 요면이 작동챔버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한다: 이러한 구성은 작동챔버의 내부로 탄성중합체 몸체의 측벽이 좌굴되도록 하기 때문에, 방진용 지지장치의 유압 효율을 더 높이도록;
- l/e 비가 3 내지 6 범위에 있고;
- h/d 비가 0.5 내지 0.7 범위에 있으며;
- 탄성중합체 몸체가 중심축에 대하여 원형으로 대칭이고;
- 하부판은 탄성중합체 몸체의 중앙 레그를 감싸는 윤상의 림을 갖으며;
- 상기 하부판은 제 2 내력부재에 고정되고 보상챔버와 작동챔버사이에 삽입되는 강성 격벽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강성 격벽은 좁은 통로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두 챔버 사이의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하나는 작동챔버와 상통하며 하나는 보상챔버와 상통하는 두 개의 주면(主面)을 갖는 밸브부재에 의하여 단락되고, 보상챔버쪽으로는 1mm 이하의 간격으로 움직이고, 작동챔버쪽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적어도 한 부분을 포함하며; 그리고,
- 중앙 레그는 탄성중합체 몸체의 측벽에 의한 압축으로 압축응력이 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지지장치가 삽입되는 두 개의 강성요소와 상기한 바와 같은 방진용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를 제공하고, 두 개의 강성요소중 하나는 지지장치에 500 N 내지 2500 N 범위에 있는 수직 정하중을 가하며, 탄성중합체 지지장치의 측벽은 좌굴된 후 영 탄성강도를 제공하는 반면 중앙 레그는 좌굴되지 않는다.
특히, 언급된 두 개의 강성 요소는 자동차의 차체와 구동장치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과 비한정 구현예를 통하여 주어진 다음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 나타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복수의 고정장치를 통하여 자동차의 차체(3)상에 지지된 구동장치(2)를 갖는 자동차(1)에 관한 것이다.
고정장치(4)는
.구동장치(2)에 결합된 강성금속 지지암(arm)(7)에 고정되고 금속으로 제작된 제 1 강성 내력부재(6);
.차체(3)에 고정되고 금속으로 제작된 제 2 강성 내력부재(8);
.상기 두 내력부재(6)(8)를 서로 연결하는 탄성중합체 몸체(9) 를 갖는 유압 방진용 지지장치(5)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내력부재(6)는 지지암(7)에 고정되기에 적당한 핀(6b)으로 위로 연장된 중앙 금속스터드(6a)로 형성된다.
제 2 내력부재(8)는 서로 융착된 두 개의 윤상의 금속판에 의하여 강성 링 형태로 구성되고, 각각의 금속판은 축방향으로 꺽인 모서리(8a)에 의하여 내부적으로 한정되며 고정탭(8b)으로 바깥측으로 연장되고, 이들은 도시되지 않은 고정구멍이 뚫린다.
마지막으로, 탄성중합체 몸체(9)는 중앙 수직축z에 대하여 원형으로 대칭이며 실질적으로 휘어진 측벽(10)으로 구성되고, 상기 측벽은 제 1 내력부재(6)에 고정된 상부와 제 2 내력부재의 꺽인 모서리(8a)중 하나의 위를 덮는 윤상의 하부사이로 연장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축 z를 포함하는 수직평면을 도시한 단면도에서, 상기 측벽(9)은 요면형상이고, 이 요면은 바깥측을 향한다.
더욱이, 탄성중합체 몸체(9)는 축 z을 향하고 자유높이 h와 평균 직경d를 갖음에 따라 종횡비 h/d가 2이하이며, 아주 유익하게는 1이하, 바람직하게는 0.5내지 0.7, 예를 들어 약 0.6, 실질적으로 원형 실린더형상인 중앙 레그(11)를 또한 갖는다.
상기 중앙 레그(11)는 탄성중합체 몸체의 상부에서 제 2 내력부재(8)에 고정된 금속 하부판(12)까지 아래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바람직하게는 중앙 레그(11)의 하부를 감싸며 위로 약간 연장된 윤상의 림(rim)(12a)을 갖는다.
상기 하부판(12)은 하부판이 적층되는 압형되거나 주물로 형성된 금속판(14)을 또한 포함하는 강성 격벽(13)의 일부를 형성하고, 격벽 조립체(13)는 제 2 내력부재의 꺽인 모서리(8a)의 일부를 절곡함으로써 제 2 내력부재(8)에 고정된다.
같은 절곡은 탄성중합체 벨로우즈(15)의 외주를 밀봉방식으로 격벽(13) 및 제 2 내력부재(8)에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벨로우즈(15)는 얇고 유연하며 이는 탄성중합체 몸체(9) 및 제 2 내력부재(8)와 연관하여 밀봉된 격실을 형성한다.
상기 격실은 격벽(13)에 의하여 두 개의 챔버로 분할되고, 이 챔버는 탄성중합체 몸체(9)로 형성되는 작동챔버A와 벨로우즈(15)로 형성되는 보상챔버B로 구성되며, 이 두 개의 챔버는 격벽(13)내에 형성된 좁은 통로(16)를 통하여 서로 상통된다.
더욱 정확하게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좁은 통로(16)는 판(14)에 형성된 그루브와 하부판사이에 형성되고, 림(12a) 외부의 하부판(12)을 통하여 형성된 개구부(17)를 거쳐 작동챔버A 속으로 수직으로 열려있으며, 상기 좁은 통로(16)은 또한 판(14)속에 형성된 개구부(18)를 거쳐 보상챔버B 속으로 방사형으로 열려있다.
상기 격벽(13)은 또한 격벽(13)의 원주의 부근에 꺽이며 연장된 하우징(19)을 포함하고, 격벽의 일부는 좁은 통로(16)에 의하여 점유되지 않는다.
이 경우에 있어서, 하우징(19)은 상대적으로 두꺼운 탄성중합체 판으로 한정되는 밸브부재(20)를 포함한다.
밸브부재(20)의 상부 수평 주면(主面)은 림의 외측 및 하부판(12)을 통하여 형성된 개구부(21)를 거쳐 작동챔버A와 상통하고, 밸브부재(20)의 하부 수평주면은 판(14)를 통하여 형성된 개구부(22)를 거쳐 보상챔버B와 상통한다.
상기 개구부(21)(22)의 수평직경은 밸브부재(20) 및 하우징(19)의 수평직경보다 작고, 따라서 밸브부재(20)은 통상 1mm 이하로 매우 작은 간격으로 하우징(19)속에 계류된다.
필요하다면, 상기 개구부(21)(22)는 격자에 의하여 점유될 수 있다.
또한, 탄성중합체 판이 하우징 내부에 구비되는 형식대신, 상기 밸브는 격벽(13)에 밸브의 원주가 고정되는 방식으로 각각 유연성 벽체 형태일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2)에 의해 가해지는 500N 내지 2500N의 범위의 정하중(F0)을 상기 지지장치가 지지하는 경우, 정하중은 탄성중합체 몸체(9)를 압축하게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정하중(F0)은 중앙 레그(11) 및 탄성중합체 몸체의 측벽(10)에 의하여 지지되나, 상기 측벽(10)이 얇기 때문에, 이는 작동챔버A 속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꺽임(10a)과 좌굴을 일으키는 반면, 이는 견고하기 때문에, 상기 중앙 레그(11)는 좌굴은 발생하지 않고 단지 수직으로 압축된다.
이러한 현상은 3개의 커브(22)(23)(24)를 보인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이는 서로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이는 제 1 및 제 2 내력부재사이의 거리(x)와 가해지는 축력(F)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며, 각각 커브(22)는 측벽(10), 커브(23)는 중앙 레그(11) 및 커브(24)는 탄성중합체 몸체(9) 전체에 관한 것이다.
도 5에서, 커브(22)는 선형으로 증가하는 초기 부분(25)과 그 다음에 이어지는 대체적으로 평평한 안정기(26) 및 아래로 하향하는 부분(27)을 갖는다.
상기 커브(22)의 평평한 안정기(26)는 측벽(10)에서 좌굴이 발생하는 초기에 해당한다. 특히, 측벽(10)이 상기 안정기에 해당하는 상태에 있는 경우, 이는 탄성중합체 몸체에 가해지는 무시할 수 없는 축력의 일부를 여전히 지지하고 있으나, 반대로, 안정기(26)의 수평 상태 경우에서는, 이는 실상 제로인 강성을 제공한다는 것은 주지되어야 한다.
중앙 레그(11)에 관계되는 커브(23)는 예를 들어 상기 안정기(26)의 끝에 해당하는 값(x)까지 선형으로 상승하는 초기 부분(28) 다음에 중앙 레그의 국부 강성에 해당하는 매우 가파른 경사 부분(29)이 형성된다.
마지막으로, 커브(24)는 함수F(x)=F1(x)+F2(x)에 해당하고, 상기 F1(x) 및 F2(x)는 커브(22)와 커브(23)를 나타낸다.
상기 커브(24)는 상대적으로 고 강성 에를들어 150 N/mm 정도를 나타내는 선형인 초기 부분과 그 다음에 80 N/mm 정도일 수 있는 강성을 나타내고 커브(22)의 안정기(26)에 해당하는 상대적으로 완만한 경사의 제 2 선형부분(31)이 이어지고, 최종적으로 커브(23)의 경사부분(29)에 해당하는 가파른 경사부분(32)을 갖는다.
방진용 지지장치(5)에 정하중(F0)이 가해지는 경우, 이는 압축(x0)을 받아 좌표(F0,X0)상의 점은 커브(24)의 제 2 선형부분(31)에 놓이게 된다.
환언하면, 정하중(F0)이 방진용 지지장치(5)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측벽(10)은 평평한 안정기(26)에 해당하는 좌굴상태로 됨에 따라서, 상기 측벽은 정하중(F0)을 지지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되지만 이는 균형점 주위에서 상기 지지장치가 받는 진동에 대한 방진용 지지장치의 강성에 더 이상 도움을 주지 못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얻는 하중강도는 예를 들어 80 N/mm 정도일 수 있고, 특히 가청범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진동수에서 이는 우수한 진동 감쇄를 이루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추가로, 이러한 상대적으로 작은 진폭의 높은 진동수는 또한 밸브 부재(20)에 의하여 흡수된다: 따라서, 상기 방진용 지지장치(5)는 그러한 높은 진동수를 갖는 진동에 대하여 높은 효율을 갖는다.
더욱이, 상대적으로 큰 진폭(예를 들어, 1㎜이하)의 낮은 진동수(예를 들어, 20㎐이하)를 갖는 진동에 대해서는, 좁은 통로(16)를 통하여 작동챔버A와 보상챔버B 사이에 액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완충이 이루어진다.
작동챔버A 속으로 방사형으로 연장되는 꺽임(10a)을 형성하고 상기한 액체의 유동 현상을 용이하게 하는 대체적으로 평평한 형상을 측벽(10)에 제공하는 측벽(10)의 좌굴은 지지장치의 유압 효율을 증가시킨다.
물론,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특히, 이는 하중이 가해지기에 앞서 중앙 레그가 압축으로 압축응력이 가해지고, 상기 압축응력은 측벽에 의하여 제공되며, 방진용 지지장치에 하중이 가해지기에 앞서 상기 측벽은 마찰력이 가해지는 변경을 포함한다.
또한, 적당하다면, 상기 방진용 지지장치(5)는 반드시 유압식일 필요는 없고, 그러한 경우 벨로우즈(15)와 판(14)은 생략이 가능하며, 제 2 내력부재(8)는 하부판 위로 직접 꺽이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진용 지지장치는 측벽이 2 내지 8 범위에 이르는 종횡비를 갖는 반면, 중앙 레그는 2 이하의 종횡비를 갖음에 따라, 미리 정해진 정적 축하중이 상기 지지장치에 가해지는 경우, 측벽은 좌굴되어 실질적으로 영 강도를 제공하는 반면 중앙 레그는 좌굴되지 않기 때문에 지지장치로서의 방진 효율이 우수하고, 작동챔버와 보상챔버 사이에 유체가 상통됨으로써 진동수의 높고 낮음에 무관하게 완충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유압 방진용 지지장치가 장착된 자동차의 개략도,
도 2는 하중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도 1의 자동차에 장착된 방진용 지지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지지장치의 하부판의 평면도,
도 4는 정적 축하중이 가해진 도 2의 지지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5는 지지장치의 축 압축력 X와 도 2 내지 도 4의 지지장치에 가해진 축력 F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Claims (11)

  1. 두 개의 요소사이의 진동운동을 수직 중심축(z)을 따라 상쇄 및 감쇄하고, 상기 두 개의 요소 중 하나(2)에 작용하며 500 N 내지 2500 N에 이르는 정적 축하중(F0)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강성 요소(2,3)사이에 삽입되며, 결합될 제 1 및 제 2 강성 요소에 각각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강성 내력부재(6,8); 상기 두 내력부재를 서로 결합하고, 상기 제 1 내력부재(6)에 고정된 상부로부터 제 2 내력부재(8)에 고정된 윤상의 하부까지 아래로 퍼지며, 탄성중합체 몸체의 상부와 하부에 자유길이 l과 평균두께 e를 제공하며 상기 l/e비가 2 내지 8의 범위에 있는 협부가 제공되고 축방향으로 연장된 종형상의 측벽(10)을 갖는 탄성중합체 몸체(9)로 구성되며, 또한 상기 탄성중합체 몸체는 정적하중(F0)을 지지하기 위하여 채용된 지지부(11)와 탄성중합체 몸체의 윤상의 하부의 중심으로 연장되는 제 2 내력부재에 고정된 강성 하부판(12)을 갖는 방진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진용 지지장치는 상기 협부가 탄성중합체 몸체의 모든 측벽(10)을 구성하고, 탄성중합체 몸체가 탄성중합체 몸체의 상부로부터 하부판(12)에 접촉하기 위하여 수직으로 연장된 중앙 레그(11)를 포함하며, 상기 중앙 레그는 상기 지지부를 구성하고 탄성중합체의 상부와 하부판사이에 자유 높이 h와 평균직경 d를 제공함에 따라서 h/d비가 2 이하이고, 정적 축하중(F0)이 상기 지지장치에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중앙 레그(11)는 좌굴되지 않고 상기 탄성중합체 몸체의 모든 측벽이 좌굴되어 실질적으로 영(zero) 탄성 강도를 제공하도록 하는 치수를 상기 탄성중합체 몸체가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몸체의 측벽(10)은 용이하게 변형가능한 벽체(15)에 의해 형성되는 보상챔버(B)와 좁은 통로(16)를 거쳐 상통하는 작동챔버(A)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판(12)과 조합되고, 상기 작동챔버(A), 보상챔버(B) 및 좁은 통로(16)는 액체로 채워진 폐쇄공간을 함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지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을 포함하는 수직평면상에서, 탄성중합체 몸체의 측벽(10)은 형상이 요면이고, 상기 요면이 작동챔버(A)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l/e 비가 3 내지 6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h/d 비가 0.5 내지 0.7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중합체 몸체(9)가 중심축(Z)에 대하여 원형으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지지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2)은 탄성중합체 몸체의 중앙 레그(11)를 감싸는 윤상의 림(12a)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지지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2)은 제 2 내력부재(8)에 고정되고, 보상챔버(B)와 작동챔버(A)사이에 삽입되는 강성 격벽(13)의 일부분을 형성하며, 상기 강성 격벽은 좁은 통로(16)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두 챔버(A,B)사이의 통로(19,21,22)를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하나는 작동챔버(A)와 상통하며 하나는 보상챔버(B)와 상통하는 두 개의 주면을 갖는 밸브부재(20)에 의하여 단락되고, 보상챔버쪽으로는 1mm 이하의 간격으로 움직이고, 작동챔버쪽으로는 자유롭게 움직이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지지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레그(11)는 탄성중합체 몸체의 측벽에 의한 압축으로 압축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용 지지장치.
  10. 제 1 항에 따른 방진용 지지장치(5), 및 상기 지지장치에 의해 연결되는 두 개의 강성 요소들(2, 3)을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강성요소들(2, 3) 중 하나는 지지장치에 500 N 내지 2500 N 범위에 있는 수직 정하중을 가하고, 상기 탄성중합체 지지장치의 측벽(10)은 좌굴된 후 영(ZERO) 탄성강도를 제공하는 반면 중앙 레그(11)는 좌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요소를 각각 구성하는 차체(3)와 구동장치(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19970063603A 1996-11-28 1997-11-27 방진용지지장치와그지지장치를포함하는자동차 KR1004870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9614591 1996-11-28
FR9614591A FR2756342B1 (fr) 1996-11-28 1996-11-28 Support antivibratoire et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tel suppor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2859A KR19980042859A (ko) 1998-08-17
KR100487088B1 true KR100487088B1 (ko) 2005-07-21

Family

ID=949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603A KR100487088B1 (ko) 1996-11-28 1997-11-27 방진용지지장치와그지지장치를포함하는자동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950993A (ko)
EP (1) EP0845617B1 (ko)
JP (1) JPH10159890A (ko)
KR (1) KR100487088B1 (ko)
AR (1) AR010317A1 (ko)
BR (1) BR9706036A (ko)
DE (1) DE69706811T2 (ko)
ES (1) ES2164315T3 (ko)
FR (1) FR27563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25128B1 (fr) 2001-05-25 2003-08-15 Hutchinson Support antivibratoir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support
EP1693594A1 (de) * 2005-02-16 2006-08-23 Carl Freudenberg KG Hydraulisch dämpfendes Lag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12638B1 (fr) * 1978-12-07 1982-03-24 Automobiles Peugeot Cale élastique, notamment pour la suspension d'un moteur de véhicule
JPS56143835A (en) * 1980-04-11 1981-11-09 Tokai Rubber Ind Ltd Vibration damping support
US4790521A (en) * 1985-10-03 1988-12-13 Nissan Motor Company, Limited Anti-vibration apparatus for mounting a power unit on a supporting body with suppression of vibrations
DE3610611A1 (de) * 1986-03-29 1987-10-01 Bayerische Motoren Werke Ag Elastisches und daempfendes lager, insbesondere fuer den antriebsmotor eines kraftfahrzeugs
FR2726339B1 (fr) * 1994-10-27 1996-12-27 Hutchinson Perfectionnements aux supports antivibratoires hydraul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45617B1 (fr) 2001-09-19
JPH10159890A (ja) 1998-06-16
DE69706811D1 (de) 2001-10-25
ES2164315T3 (es) 2002-02-16
KR19980042859A (ko) 1998-08-17
DE69706811T2 (de) 2002-07-04
AR010317A1 (es) 2000-06-07
EP0845617A1 (fr) 1998-06-03
FR2756342A1 (fr) 1998-05-29
US5950993A (en) 1999-09-14
MX9709140A (es) 1998-09-30
BR9706036A (pt) 1999-06-29
FR2756342B1 (fr) 1999-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7168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
US7140603B2 (en) Vibration damping device having stopper structure
JPH0316538B2 (ko)
US5741001A (en) Hydraulic antivibration supports
JP6449385B1 (ja) 流体封入式防振装置
US4826126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ing structure
JP2002254911A (ja) 防振スリーブおよびこのようなスリーブを備えた自動車
US5221078A (en) Method for varying the spring rigidity of an elastomer mount, and corresponding elastic mount
JPH02275130A (ja) サスペンション用アッパサポート
US7344128B2 (en) Fluid-filled type vibration-damping device
KR20030028748A (ko) 모듈형 지지시스템
GB2152182A (en) Hydraulically damped two-chamber bearing structure
US5401008A (en) Controllable motor bearing
JPS62101937A (ja) 液圧式緩衝支持装置の改良
JP2006170447A (ja) ユニットマウント
US4946147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ing structure having orifices
KR100487088B1 (ko) 방진용지지장치와그지지장치를포함하는자동차
US5009404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
JP3505475B2 (ja) 液圧減衰軸受
KR960013994B1 (ko) 유압감쇠식 방진장착구
US4880215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ing structure
US5009403A (en) Fluid-filled elastic mount
JP4081421B2 (ja) 防振マウント組立体
US20030047661A1 (en) Anti-vibration assembly and anti-vibration support forming part of this assembly
JP2000006630A (ja) コイルスプリングの防振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