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476B1 - 합숙용 침상 - Google Patents

합숙용 침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476B1
KR100485476B1 KR1020040032676A KR20040032676A KR100485476B1 KR 100485476 B1 KR100485476 B1 KR 100485476B1 KR 1020040032676 A KR1020040032676 A KR 1020040032676A KR 20040032676 A KR20040032676 A KR 20040032676A KR 100485476 B1 KR100485476 B1 KR 10048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d
needle
support
lock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26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원
Original Assignee
정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원 filed Critical 정재원
Priority to KR10200400326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476B1/ko
Priority to PCT/KR2005/001335 priority patent/WO2005107532A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52Cabinet beds; Table beds, or like beds; Wardrobe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0Multi-stage bedsteads; e.g. bunk beds; Bedsteads stackable to multi-stage bedste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22Combinations of bedsteads with other furniture or with accessories, e.g. with bedside cabine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숙용 침상에 관한 것으로, 장방형의 침상(2)과, 상기 침상(2)과 동일한 형상이며, 침상(2)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상판(4)과, 전개했을 때 상기 상판(4)이 지지되도록 한 지지대(8)와, 일측에 미닫이식 책상(6)이 구비되고, 상기 침상(2)의 일단에 설치된 사물함(9)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상판이 절첩될 수 있어 침상을 의자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통로의 형성에 의해 사용자가 사물함에 접근이 용이하여 공간활용 및 편리성을 제고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합숙용 침상 { a bed and locker for a dormitory }
본 발명은 합숙용 침상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침상의 구조를 개선하여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공간활용도가 향상된 합숙용 침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러 사람이 거주하는 합숙소에는 취침을 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의 침상이 설치되고, 이 침상의 일측 끝단에 각자의 사물함이 구비되어 있으며, 침상의 타측 끝단에 신발을 벗어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침상은 사람이 누울 수 있을 정도의 길이(대략 2 m 정도)를 가지므로, 사물함의 물건을 꺼낼 때는 매번 신발을 벗고 침상에 올라가서 꺼내야 하거나, 신발을 신은채로 무릎을 꿇고 기어서 사물함까지 가야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아울러, 실내에서 거주자들이 함께 모일 때도 공간이 부족한 관계로 신발을 벗고 침상에 올라가서 앉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각 사물함에 대응하는 침상을 각각 설치하고, 침상마다 힌지결합된 상판을 설치함으로써 상판을 절첩시킬 수 있어, 상판을 접은 후 신발을 벗지 않고도 직접 사물함에 접근할 수 있고, 또한 실내에 거주자들이 함께 모일때도 접혀진 각 침상을 의자 또는 책상으로 활용하여 사용함으로써 실내의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합숙소용 침상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물함에 미닫이식의 책상을 더 구비시킨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물함 및 접철식 침상으로 구성된 세트를 다수로 배열하여 다인용으로 만들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다인용을 복층으로 설치하여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장방형의 침상과;
상기 침상과 동일한 형상이며, 침상의 일측에 힌지결합된 상판과;
전개했을 때 상기 상판의 측단부가 지지되도록 한 지지대와;
미닫이식 책상이 구비되고, 상기 침상의 끝단에 설치된 사물함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상과 상판 및 사물함을 한 조로 구성하여 이를 병렬로 다수개를 배열시켜 다인용 세트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침상과 상판 및 사물함을 병렬로 배열된 다인용 세트를 바닥에 설치하여 하부침상부를 형성하고, 그 상부측에 동일한 구성의 다인용 세트를 설치하여 상부침상부를 형성시켜서 복층을 이루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숙용 침상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침상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서 책상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침상(2)은, 내부에 다수의 서랍(26)이 수납된 장방형의 기대(20)와, 상기 기대(20)의 상부에 설치된 판상의 평판부(24)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기대(20)의 길이는 사람이 누울수 있도록 대략 2 m정도로 형성되며, 기대(20)의 양측 상단에는 후술하는 상판(4)이 지지될 수 있도록 각각 단턱(22)을 형성시키고, 양측 하부면에는 신발 앞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부(21)를 형성시킨다.
상기 상판(4)은, 침상(2)의 평판부(24)와 동일한 형상의 판상으로 일측에 손잡이(42)가 형성되고, 상기 평판부(24)와 경첩(44)으로 연결되어, 접었을 때 평판부(24) 상에 얹혀질 수 있고, 펼쳤을 때는 후술하는 지지대(8)에 일측 측단부가 걸쳐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경첩(44)은 상판(4)을 펼쳤을 때 상판(4)과 평판부(24)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고 밀착될 수 있으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판(4)과 평판부(24)에 매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서 상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것으로, 도 7a는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에서와 같이, 상판(4)과 평판부(24)를 링크(400)가 힌지결합된 회동장치(40)에 의해 연결시킴으로써 상판(4)이 평평한 수평상태에서 회동되어 펼치거나 접어질 수 있게 하였다.
여기서, 상기 평판부(24)에 힌지결합된 링크(400)의 일측에는 관통공(401)을 형성하고, 평판부(24)에도 상기 관통공(401)에 대응하는 통공(240)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401)과 통공(24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핀(110)을 꽂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판(4)이 평판부(24)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어 책상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7b에서와 같이, 상기 상판(4)의 저면에는 홈(41)에 매입된 채 일단이 회동되는 보조다리(5)가 설치되고, 평판부(24)에는 상기 보조다리(5)의 타단이 지지되는 고정홈(242)이 형성됨으로써, 상판(4)이 평판부(24) 상에 얹혀있을때는 상기 보조다리(5)가 홈(41)에 수납되어 있다가, 상판(4)을 펼쳤을 때는 상기 보조다리(5)를 회동시켜 평판부(24)의 고정홈(242)에 지지시킨다.
상기에서, 상기 관통공(401)과 통공(240)의 위치 및 보조다리(5)의 길이는 상판(4)이 가장 적당한 높이로 상승될 수 있는 각도에 맞도록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물함(9)은 다수의 수납부(92)가 구비된 통상의 사물함(9)을 사용하되, 적당한 위치에 소정의 수용홈(94)을 형성하고, 이 수용홈(94)에 책상(6)을 수납시켜서, 미닫이 동작에 의해 책상을 빼내거나 집어넣을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책상(6)은 그 저면에 브라켓(62)이 설치되고, 이 브라켓(62)에 지지다리(64)가 힌지결합됨으로써 책상(6)을 빼냈을 때는 상기 지지다리(64)를 전개하여 바닥에 지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94)에는 지지다리(64)를 수납할 수 있는 가이드홈(940)이 형성됨으로써 지지다리(64)를 접은 후 책상(6)을 내측으로 밀어넣을 수 있도록 한다(도 1 및 도 4a, 도 4b 참조).
상기 지지대(8)는 침상(2)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상기 상판(4)을 펼쳤을 때 일측 측단부가 지지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판(4)에 대응하는 일측에 지지턱(80)이 형성된다(도 3 참조).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장방형의 기대(20')와 평판부(24')로 각각 구성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침상(2')과, 상기 복수개의 침상(2')의 일측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상판(4')과, 상기 복수개의 침상(2) 중 최외측의 침상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최외측 침상의 상판(4')에 대응되는 지지턱(80)이 형성되어, 최외측의 상판(4')을 전개했을 때 이를 지지해주는 지지대(8')와, 상기 복수개의 침상(2')의 일단에 설치된 복수개의 사물함(9')에 각각 구비되는 미닫이식 책상(6')으로 이루어진다.즉, 상기 기대(20')와 평판부(24')로 구성된 침상(2')과, 상판(4') 및 사물함(9')을 한 조로 하되, 이를 병렬로 여러 개 배열하여 다인용 세트(200')를 구성함으로써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숙용 침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하부침상부(300'')와 상기 하부침상부(300'')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침상부(400'')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하부침상부(300'')와 상부침상부(400'')는 각각, 장방형의 기대(20'')와 평판부(24'')로 구성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침상(2'')과, 상기 복수개의 침상(2'')의 일측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상판(4'')과, 상기 하부침상부(300'')와 상부침상부(400'')의 최외측의 침상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최외측 침상의 상판에 대응하는 지지턱(80'')이 형성되어, 최외측의 상판(4'')을 전개했을 때 이를 지지해주는 지지대(8'')와, 상기 복수개의 침상(2'')의 일단에 설치된 복수개의 사물함(9'')에 각각 구비되는 미닫이식 책상(6'');으로 이루어진다.이는 상기한 다인용 세트(200')를 복층으로 설치하여 하부침상부(300'')와 상부침상부(400'')로 구분한 것이며, 상부침상부(400'')와 하부침상부(300'')는 다수개의 지주(310'')를 설치하여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하고, 오르내리기 편하고 상부측 사물함의 사용이 편리하도록 다수개의 사다리(320'', 322'')를 설치하여 연결시킨다.
상기 상부침상부(400'')의 높이는 사용자가 하부침상부(300'')에 앉았을 때 머리가 닿지 않으면서도, 사용자가 바닥에 서서 상부침상부(400'')의 사물함(9'')에 손이 미칠 수 있을 정도의 높이가 적당하며, 이는 대략 사용자가 섰을 때 목 정도의 높이가 된다.
그리고, 상부침상부(400'')에서 기대(20'')의 저면 일측 즉, 책상(6'')과 인접한 위치에는 전후로 슬라이드되는 발판(420'')을 구비시켜서 사용자가 상부침상부(400'')에 앉아서 책상(6'')을 펼쳤을 때 지지다리(64'')가 지지될 수 있고 사용자의 발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상부침상부(400'')의 상판(4'')은 최소한 2개 이상으로 분할시킴으로써 책상을 사용하고 있더라도 이와 무관하게 다른 부분의 상판을 접거나 펼칠수 있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된 부호 8''는 지지대이며, 24''는 평판부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대개 여러 사람이 거주하는 합숙용으로 사용되므로 상기한 다인용 세트(200)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평상시에는 상기 상판(4)을 접어서 기대의 평판부(24)에 올려 놓고 사용하게 되는데, 상기 상판(4)을 접음으로써 사물함(9)까지 연결되는 통로가 형성될 수 있어 사용자가 굳이 신발을 벗지 않고도 사물함에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여러 사람이 숙소에 모일 경우 상기 접혀진 상판 및 침상에 걸터 앉을 수 있으며, 책을 보거나 필기를 할 경우에는 사물함의 책상(6)을 빼고 지지다리(64)를 전개하여 지지한 상태에서 책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판(4)을 접은 상태에서는 기대(20)의 서랍(26)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취침을 하고자 할때는 상기 손잡이(42)를 잡고 상판(4)을 회동시켜 그 일단이 지지대(8)의 지지턱(80) 및 인접된 기대(20)의 단턱(22)에 걸쳐지게 하여 사용한다.
한편, 복층의 구조로 하였을 때도 그 작동관계는 상기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복층인 경우 상부침상부(400'')에서 책상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는 발판(420'')을 먼저 펼친 후 책상(6'')을 빼내어 사용하며, 아울러 상부침상부(400'')의 상판(4'')이 분할되어 있으므로 필요한 부분의 상판(4)만 절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합숙용 침상은 상판이 절첩될 수 있어 침상을 의자 용도로 활용할 수 있고, 통로의 형성에 의해 사용자가 사물함에 접근이 용이하여 공간활용 및 편리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또한, 사물함 및 접철식 침상으로 구성된 1인용 세트를 다수로 배열하여 다인용으로 만들 수 있고, 더 나아가 상기 다인용 세트를 복층으로 설치함으로써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합숙용 침상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된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침상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도 2에서 책상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합숙용 침상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합숙용 침상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7a는 상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7b는, 도 7a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
*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침상 4 : 상판
6 : 책상 8 : 지지대
9 : 사물함 44 : 경첩

Claims (13)

  1. 장방형의 침상(2)과;
    상기 침상(2)의 일측에 연결된 상판(4)과;
    상기 침상(2)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판(4)에 대응하는 지지턱(80)이 형성되어 상기 상판(4)을 전개했을 때 지지되도록 한 지지대(8)와;
    상기 침상(2)의 일단에 설치된 사물함(9)에 구비되는 미닫이식 책상(6)과;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숙용 침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상(2)은, 내부에 다수의 서랍(26)이 수납되고, 일측면에 단턱(22)이 형성된 기대(20)와, 상기 기대(20)의 상부에 설치된 평판부(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숙용 침상.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4)은, 일측에 손잡이(42)가 형성되고, 사물함 쪽에 등받이(4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이며, 상기 평판부(24)에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숙용 침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책상(6)은 저면에 브라켓(62)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62)에 지지다리(64)가 힌지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숙용 침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물함(9)은 일측에 책상(6)이 삽입되는 수용홈(94)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94)에는 지지다리(64)가 수납되는 가이드홈(9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숙용 침상.
  6. 삭제
  7. 장방형의 기대(20')와 평판부(24')로 각각 구성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침상(2')과,
    상기 복수개의 침상(2')의 일측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상판(4')과,
    상기 복수개의 침상(2) 중 최외측의 침상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최외측 침상의 상판(4')에 대응되는 지지턱(80)이 형성되어, 최외측의 상판(4')을 전개했을 때 이를 지지해주는 지지대(8')와,
    상기 복수개의 침상(2')의 일단에 설치된 복수개의 사물함(9')에 각각 구비되는 미닫이식 책상(6')과;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숙용 침상.
  8. 하부침상부(300'')와 상기 하부침상부(300'')위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부침상부(400'')가 고정 설치되되, 상기 하부침상부(300'')와 상부침상부(400'')는 각각, 장방형의 기대(20'')와 평판부(24'')로 구성되며, 서로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는 복수개의 침상(2'')과,
    상기 복수개의 침상(2'')의 일측에 각각 연결된 복수개의 상판(4'')과,
    상기 하부침상부(300'')와 상부침상부(400'')의 최외측의 침상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최외측 침상의 상판에 대응하는 지지턱(80'')이 형성되어, 최외측의 상판(4'')을 전개했을 때 이를 지지해주는 지지대(8'')와,
    상기 복수개의 침상(2'')의 일단에 설치된 복수개의 사물함(9'')에 각각 구비되는 미닫이식 책상(6'')과;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숙용 침상.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침상부(400'')와 하부침상부(300'')는 다수개의 지주(310'')와 사다리(320'')로써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숙용 침상.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침상부(400'')의 기대(20'')에는 전후로 슬라이드되는 발판(4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숙용 침상.
  11. 제1항, 제2항 또는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판(4,4',4'')과 평판부(24,24',24'')는 링크(400)를 힌지결합시킨 회동장치(40)에 의해 연결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숙용 침상.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평판부(24,24',24'')에 힌지결합된 링크(400)의 일측에는 관통공(401)을 형성하고, 평판부(24,24',24'')에도 상기 관통공(401)에 대응하는 통공(240)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401)과 통공(240)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핀(110)을 꽂아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숙용 침상.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4,4',4'')의 저면에는 홈(41)에 매입된 채 일단이 회동되는 보조다리(5)가 설치되고, 상기 평판부(24,24',24'')에는 상기 보조다리(5)의 타단이 지지되는 고정홈(2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숙용 침상.
KR1020040032676A 2004-05-10 2004-05-10 합숙용 침상 KR10048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676A KR100485476B1 (ko) 2004-05-10 2004-05-10 합숙용 침상
PCT/KR2005/001335 WO2005107532A1 (en) 2004-05-10 2005-05-06 A bed and locker for a dormito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2676A KR100485476B1 (ko) 2004-05-10 2004-05-10 합숙용 침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5476B1 true KR100485476B1 (ko) 2005-04-27

Family

ID=35319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2676A KR100485476B1 (ko) 2004-05-10 2004-05-10 합숙용 침상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485476B1 (ko)
WO (1) WO20051075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3242A (zh) * 2014-05-15 2014-09-03 昆明理工大学 一种多功能床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PN20120043A1 (it) * 2012-08-03 2014-02-04 Dielle S P A Struttura di letto provvista di vani contenitori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52366A (de) * 1972-06-01 1974-08-15 Tosic Milorad Schrank mit klappbett.
US3965498A (en) * 1975-06-20 1976-06-29 Miklos Boni Folding bed assembly
JPH09224782A (ja) * 1996-02-27 1997-09-02 Wakama Kanamono Kk 収納ベッド装置
KR20030071738A (ko) * 2003-08-21 2003-09-06 김경철 수납식 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13242A (zh) * 2014-05-15 2014-09-03 昆明理工大学 一种多功能床
CN104013242B (zh) * 2014-05-15 2016-06-22 昆明理工大学 一种多功能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107532A1 (en)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758B2 (en) Folding cabinet bed with telescoping slide-out support platform
US8615828B2 (en) Multi-position reclining bed
US8298126B2 (en) Supporting device for a person's back and head area
US7013506B2 (en) Convertible bed and cabinet with reduced profile
CN204158050U (zh) 多功能椅
US7036160B1 (en) Footboard desk
JP2013031577A (ja) ソファ兼ベッド機能を有する多用途家具
KR20090043400A (ko) 다용도 책상
KR100485476B1 (ko) 합숙용 침상
KR100831767B1 (ko) 침대 겸용 책상
CN105496071B (zh) 多功能伸缩转换家具
CN208403844U (zh) 学生宿舍双层床
US6353945B1 (en) Multi-positionable bed
US10231553B1 (en) Convertible bed
CN210018507U (zh) 一种多用途组合式家具
CN104939540B (zh) 多功能组合家具
CN107625277B (zh) 多功能便携床
KR101770280B1 (ko) 접이식 매트리스 수납장
CN206603500U (zh) 公寓床
JP2006288948A (ja) 折り畳み椅子とダイニングテーブルの構造
KR200242866Y1 (ko) 의자가 구비된 침대
CN213487962U (zh) 翻转沙发床的限位机构
TWI589252B (zh) 躺椅裝置
CN211408261U (zh) 一种推拉式沙发躺椅
CN218279150U (zh) 一种多功能公寓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