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2866Y1 - 의자가 구비된 침대 - Google Patents

의자가 구비된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2866Y1
KR200242866Y1 KR2020010014484U KR20010014484U KR200242866Y1 KR 200242866 Y1 KR200242866 Y1 KR 200242866Y1 KR 2020010014484 U KR2020010014484 U KR 2020010014484U KR 20010014484 U KR20010014484 U KR 20010014484U KR 200242866 Y1 KR200242866 Y1 KR 2002428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ed
seat
space
hydraul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44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수 filed Critical 김형수
Priority to KR20200100144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28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28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2866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가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22) 및 매트리스(23)의 상측 중앙 전면부에 수납부(24)가 형성되는 침대(21)와; 시트(27) 및 등받이(26)로 구비되고, 힌지에 의해 상호 절첩되며, 절첩된 상태에서 수납부(24)에 안착되는 의자(25)와; 수납부(24) 하측의 베이스(22)에 매입구비되는 유압관(31)과, 하단이 유압관(31)에 삽입되어 회전 및 승강되고 상단이 의자(25)의 시트(27) 저면에 고정되는 회전축(32)과, 의자(25)의 시트(27)에 설치되고 유압관(31)의 유압라인에 연결설치되어 유압관(31)의 유압을 조절하는 버트(33)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높낮이조절수단(30)이 구비되어 구성된 의자가 구비된 침대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의자(25)가 베이스(22) 및 매트리스(23)의 상측 중앙 전방에 매입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25)가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침대(21)와 책상이 구비된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도 의자(25)에 앉아 바른 자세로 학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자(25)에 의해 불필요하게 공간이 축소되지 않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의자가 구비된 침대 {bed provided with a chair}
본 고안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가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일반가정용 침대· 병원용 침대, 군대용 침대, 차량침대, 계단침대, 알코브 침대, 소파겸용 침대 등이 있고, 크기에 따라 더블침대(2인용), 싱글(1인용), 세미더블(싱글과 더블의 중간형), 어린이용, 유아용 등이 있다. 그 밖에 2단침대, 간단히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야전용 목조침대인 아이디얼 베드 등이 있다.
침대의 크기는 매트리스의 치수로 나타내는데, 폭은 싱글 침대 95∼100 cm, 세미더블 침대는 110∼120 cm, 더블침대 140∼150 cm이고, 길이는 195∼200 cm이다.
이러한 침대 문화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안방은 물론 자녀들의 방에도 각각 침대을 구비한 가정이 비교적 많으며, 이에 따라 비교적 큰 침대가 방의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 들게 된다.
특히 자녀들의 방은 침대 외에 책상 및 걸상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자녀들의 방은 안방이나 거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침대와 책상을 함께 배치할시 그 공간은 더욱 협소해진다.
때때로 의자가 배치될 공간이 모자라서 책상 전방에 침대가 위치되도록 하여 의자 대신에 침대 모서리에 걸터 앉아 공부하기도 하며, 이러한 경우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비교적 장시간 공부할 수 없게 되고, 불안정한 자세로 인해 척추에 무리를 주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출원인은 의자가 구비된 침대를 개발하였는데, 이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침대(1) 일측에 이와 일체로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3)이 형성된 수납함(2)과; 수납함(2)의 수납공간(3) 일측에 고정구비되고 상단에 결합홈(8)이 형성된 고정축(7)과; 하단이 고정축(7)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수납함(2)의 수납공간(3) 내부에 수납 및 고정축(7) 상측으로 세워지는 지지축(9)과; 등받이(13)와 시트(14)가 힌지결합되어 상호 절첩되도록 구비되고 지지축(9) 상단에 힌지결합부위가 고정설치되는 의자(12)와; 수납함(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그 상단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고정축(7)의 대응부위에 지지홈(6)이 형성된 커버(5)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때에는 수납함(2) 내에 수납시켜 보관하므로 공간 점유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의자가 구비된 침대는 수납함(2)과 침대(1)가 일체형이기 때문에, 책상과 침대 사이의 공간이 비교적 넓어서 수납함 내의 의자가 필요없는 경우에도 수납함을 분리시킬 방법이 없으며, 이런 경우 수납함이 불필요하게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침대의 매트리스가 차지하는 공간 외에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한 의자가 구비된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의자가 구비된 침대는, 의자가 구비된 침대에 있어서, 베이스 및 매트리스의 상측 중앙 전면부에 수납부가 형성되는 침대와; 시트 및 등받이로 구비되고, 힌지에 의해 상호 절첩되며,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에 안착되는 의자와; 수납부 하측의 베이스에 매입구비되는 유압관과, 하단이 유압관에 삽입되어 회전 및 승강되고 상단이 의자의 시트 저면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의자의 시트에 설치되고 유압관의 유압라인에 연결설치되어 유압관의 유압을 조절하는 버튼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높낮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의자가 베이스 및 매트리스의 상측 중앙 전방에 매입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가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침대와 책상이 구비된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도 의자에 앉아 바른 자세로 학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자에 의해 불필요하게 공간이 축소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 의자가 구비된 침대를 보이는 외관 사시도
도2는 등받이를 세운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도3은 의자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침대 22 ; 베이스
23 ; 매트리스 24 ; 수납부
25 ; 의자 30 ; 높낮이조절수단
33 ; 버튼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4에서 본 고안 침대는, 하부의 베이스(22)와 베이스(22) 상측의 매트리스(23)로로 이루어지며, 베이스(22) 및 매트리스(23)의 상측 전방 중앙에는 내측으로 오목한 형상의 수납부(2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24)에는 의자(25)가 안착되는바, 이 의자(25)는 등받이(26)와 시트(27)로 이루어지며, 이들은 힌지(28)에 의해 결합되어 상호 절첩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등받이(26)와 시트(27)가 접힌 상태에서 수납부(24)에 안착되면 의자(25)의 상면과 매트리스(23)의 상면이 평평하게 되어 침대(21)에 눕게 되어도 불편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한편 의자(25)의 시트(27) 저면과 수납부(24) 하부의 베이스(22) 내에는 공지의 높낮이조절수단(30)이 설치되어 있는바, 이 높낮이조절수단(30)은 유압관(31)과, 회전축(32)과, 버트(33)으로 이루어진다.
유압관(31)은 수납부(24) 하측의 베이스(22)에 매입구비되고, 회전축(32)은 하단이 유압관(31)에 삽입되어 회전 및 승강되고 상단이 의자(25)의 시트(27) 저면에 고정된다. 버트(33)은 의자(25)의 시트(27) 전면 또는 측면 또는 베이스(22) 전면에 설치되고, 유압관(31)의 유압라인에 연결설치되어 있으며, 버트(33)을 누를시 유압관(31)의 유압이 조절되면서 의자(25)가 하강 또는 상승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의자가 구비된 침대는, 평상시에는 도4과 같이 의자(25)를 접은 후 수납부(24)에 수납시켜서, 침대(21) 주변 공간을 넓게 활용하고 실내를 깨끗하게 정돈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침대(21)의 수납부(24)에 의자(25)를 접어 수납시킨 상태에서는 편안하게 침대(21)에 누을 수 있는 등, 침대(21) 상측 공간 전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침대(21)가 차지하는 공간 외에, 의자(25)에 의해 축소된 별도의 공간은 없다.
따라서 의자(25)를 접은 상태에서는 의자(25)에 의해 공간이 축소되지 않으므로 침대(21)에 의자(25)가 더 구비되었다고 해서 불편한 점이 전혀 없다.
한편 침대(21)와 책상 사이의 공간이 비교적 좁아서 침대(21)와 책상 사이에 별도의 의자를 구비할 수 없는 경우에는 도5 및 도6과 같은 방법으로 의자(25)를 펼쳐서 사용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의자(25)에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버트(33)을 누르면 유압관(31)으로부터 회전축(32)이 상측방향으로 인출되면서 의자(25)가 상승된다.
여기서 의자(25)의 상승 및 하강은 일반적인 유압식 의자의 승강과 동일한바, 사용자가 의자(25)에 앉은 상태에서, 즉 시트(27)에 몸무게가 실린 상태에서버트(33)을 누르면 몸무게에 의해 의자(25)가 하강되며, 반대로 둔부를 시트(27)에서 약간 뗀 상태에서 버트(33)을 누르면 시트(27)가 상승된다.
따라서 침대(21)와 책상이 구비된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 학습하려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의자(25)를 펼치고 그 높이를 적절히 상승시킨 후 앉아서 공부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가 구비된 침대에 의하면, 의자(25)가 베이스(22) 및 매트리스(23)의 상측 중앙 전방에 매입되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의자(25)가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침대(21)와 책상이 구비된 비교적 좁은 공간에서도 의자(25)에 앉아 바른 자세로 학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자(25)에 의해 불필요하게 공간이 축소되지 않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의자가 구비된 침대에 있어서,
    베이스(22) 및 매트리스(23)의 상측 중앙 전면부에 수납부(24)가 형성되는 침대(21)와;
    시트(27) 및 등받이(26)로 구비되고, 힌지에 의해 상호 절첩되며,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24)에 안착되는 의자(25)와;
    상기 수납부(24) 하측의 베이스(22)에 매입구비되는 유압관(31)과, 하단이 상기 유압관(31)에 삽입되어 회전 및 승강되고 상단이 상기 의자(25)의 시트(27) 저면에 고정되는 회전축(32)과, 상기 의자(25)의 시트(27)에 설치되고 유압관(31)의 유압라인에 연결설치되어 유압관(31)의 유압을 조절하는 버트(33)으로 이루어진 공지의 높낮이조절수단(30)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가 구비된 침대.
KR2020010014484U 2001-05-17 2001-05-17 의자가 구비된 침대 KR2002428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484U KR200242866Y1 (ko) 2001-05-17 2001-05-17 의자가 구비된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4484U KR200242866Y1 (ko) 2001-05-17 2001-05-17 의자가 구비된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2866Y1 true KR200242866Y1 (ko) 2001-10-29

Family

ID=73101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4484U KR200242866Y1 (ko) 2001-05-17 2001-05-17 의자가 구비된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286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71Y1 (ko) 2013-03-14 2015-01-26 신동현 접이식 매트리스
KR101504057B1 (ko) 2014-01-07 2015-03-24 김명지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KR101933590B1 (ko) 2016-12-13 2018-12-28 노건우 가변형 간이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6071Y1 (ko) 2013-03-14 2015-01-26 신동현 접이식 매트리스
KR101504057B1 (ko) 2014-01-07 2015-03-24 김명지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KR101933590B1 (ko) 2016-12-13 2018-12-28 노건우 가변형 간이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5828B2 (en) Multi-position reclining bed
US9420894B2 (en) Convertible seat/bed having noncoplanar bed base sections
US8997274B2 (en) Adjustable furniture apparatus
US4282613A (en) Convertible invalid bed
US5893182A (en) Combination item of furniture and foldable sleeper bed
GB2276813A (en) "Recliner"
US6934979B2 (en) Convertible bench
KR200242866Y1 (ko) 의자가 구비된 침대
EP1921950A1 (en) Piece of furniture
WO2006022669A1 (en) A seat that converts into a bed
US3504940A (en) Convertible seat
US5335971A (en) Foldable chair
US6353945B1 (en) Multi-positionable bed
US20140196208A1 (en) Couch Trundle Bed Combination
KR200407189Y1 (ko) 팔걸이 접이식 소파 겸용 침대 매트리스
US20070079437A1 (en) Sleep-a-way couch
US4953242A (en) Padded flare-back sofa
US20070192956A1 (en) Multifunctional furniture
CN200987506Y (zh) 一种折叠椅
CN220141180U (zh) 抽拉式三折椅
KR100196781B1 (ko) 다목적매트용 매트대
CN216776515U (zh) 一种便于和桌子组合收纳的椅子
KR200235257Y1 (ko) 의자가 구비된 침대
KR200235510Y1 (ko) 의자가 구비된 침대
JP3125229U (ja) 身体障害者トイレ用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