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4057B1 -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 Google Patents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04057B1
KR101504057B1 KR1020140001661A KR20140001661A KR101504057B1 KR 101504057 B1 KR101504057 B1 KR 101504057B1 KR 1020140001661 A KR1020140001661 A KR 1020140001661A KR 20140001661 A KR20140001661 A KR 20140001661A KR 101504057 B1 KR101504057 B1 KR 101504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ed body
baby
fixing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1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지
Original Assignee
김명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지 filed Critical 김명지
Priority to KR10201400016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40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4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40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10Children's chairs capable of being suspended from, or attached to, tables or oth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A47D15/006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자착탈식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침대몸체; 상기 침대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유아용 의자; 및 상기 유아용 의자의 상면전체를 감싸 고정시키고, 그 일부가 상기 침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의자를 상기 침대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의자고정모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아가 유아용 침대에서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유아용 의자를 침대에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 보하자가 유아를 보다 용이하게 돌볼 수 있고,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서 눈높이에 맞는 교감을 할 수 있어 유아가 안정감을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Chair detachable baby bed}
본 발명은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신생아나 아직 보행이 어려운 아이를 돌보기 위해 사용하고, 아기가 침대 상에 설치된 의자에서 안전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하는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은 휴식이나 수면 중에 뒤척이거나 구르다가 이불을 벗어나게 되는 것이 보통이고, 자기 통제가 불가능하여 이러한 상황에 스스로 대처하지 못한다. 그리하여 처음에는 안전하게 취침하다가도 어느 순간 대기에 노출되어 있는 일이 많이 발생한다. 공기가 찬 실내 또는 야외에서는 건강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있으며, 높은 위치에서 자고 있었을 경우에는 안전상의 문제를 유발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해 유아를 위해 별도의 유아용 침대를 사용하는 것이 확산되고 있다.
유아용 침대는 대부분 상부에 사방이 막혀 유아가 생활할 수 있는 일정 공간이 형성되고, 유아가 편안히 쉴수 있도록 푹신한 침구류가 설치된다. 침구류가 설치된 하측에는 수납을 위한 일정 공간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유아용 침대는 등록실용신안공보 "유아용 침구(등록번호 20-0458940호)"에서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 의한 유아용 침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유아용 침대의 경우, 유아가 자유롭게 돌아다닐 수 있어, 유아가 침대에서 보호자의 감독이 없이 돌아다닐 경우, 침대에서 떨어져 낙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 유아용 침대는 바퀴에 의해 이동이 가능할 수 있는데, 유아가 침대의 측면을 파지한 경우, 보호자의 부주의에 의해 장애물에 부딪혀 손을 다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유아용 침대에 유아용 용품(장난감, 젖병 등)을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는데, 유아가 활동하면서 유아용 용품을 유아용 침대 밖으로 내던져 주변환경을 어지럽힐 수 있어, 이와 같은 경우 보호자가 유아용 용품을 주워 정리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가 침대에서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도록 유아용 의자를 선택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유아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용 침대의 이동시 유아가 장애물에 걸려 다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유아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침대에 의하면,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침대몸체; 상기 침대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유아용 의자; 및 상기 유아용 의자의 상면전체를 감싸 고정시키고, 그 일부가 상기 침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의자를 상기 침대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의자고정모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고정모포는, 상기 유아용 의자에서 유아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분을 감싸는 제1모포부; 상기 유아용 의자에서 유아가 착석하는 착석부 부분을 감싸는 제2모포부; 상기 제1모포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침대몸체에 그 타단이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밸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의자고정모포는, 상기 제 2 모포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아용 의자의 착석부 선단에 일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아가 상기 유아용 의자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단턱을 감싸는 제3모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대몸체의 서로 대응되는 측면에는 상기 고정벨트의 일부가 걸어지도록 관통되게 한 쌍의 결합관통공이 서로 일정높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밸트의 상기 타단에는 같은 면에 구비되어 서로 결합하여 상기 고정벨트가 상기 결합관통공에 걸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한 쌍의 착탈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침대몸체에 구비되는 제 1 착탈고정부; 및 상기 고정벨트에서 구비되어 상기 제 1 착탈고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의자고정모포를 상기 침대몸체에 고정시키는 제 2 착탈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침대몸체의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그 양단이 상기 침대몸체의 중단의 서로 대응되는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봉; 및 일정면적을 가지는 사각의 천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이 상기 안전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침대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떨어지는 물건을 받을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안전그물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침대몸체의 외면에서 상기 아기의자가 안착되는 구획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침대몸체의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풍공; 상기 통풍공의 일측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통풍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통풍창 및; 상기 침대몸체의 외면에 상기 통풍공의 일측에 상기 통풍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통풍창이 상기 통풍공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통풍창이 안착되는 안착요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의자고정모포를 이용하여 유아용 의자를 유아용 침대에 필요한 경우 간단히 탈착 시킬 수 있어, 유아를 돌보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낙상을 줄일 수 있고, 이와 같은 위험요소를 피해 안전하게 유아를 돌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아가 신생아 일때에는 침대로 활용하다가 이후 아이가 성장하였을 때, 유아용 침대 및 간단한 이동수단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유아용 침대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지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 안전봉이 침대몸체를 둘러 구비되는 바, 유아가 침대의 둘레부분을 파지한 상태로 유아용 침대의 이동시 장애물에 부딪혀 유아의 손이 다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역시 안전하게 유아를 돌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통풍창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바람의 이동에 의해 별도의 장비 없이 유아용 침대 내부온도를 적절히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의자고정모포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의자고정모포를 침대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보인 일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의자고정모포를 유아용 의자에 설치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일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의 일부구성을 보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의자고정모포의 구성이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의자고정모포를 침대에 고정시키는 상태를 보인 일부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의자고정모포를 유아용 의자에 설치하는 과정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지지부의 일부구성을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침대(100)는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침대몸체(200); 상기 침대몸체(200)의 상면에 설치되는 유아용 의자(400); 및 상기 유아용 의자(400)의 상면전체를 감싸 고정시키고, 그 일부가 상기 침대몸체(200)에 결합되어 상기 유아용 의자(400)을 상기 침대몸체(200)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의자고정모포(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침대몸체(200)는 유아용 침대(100)의 골격을 형상하는 것으로, 도 1에 의하면,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유아가 활동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되는 통형상이다. 본 실시예와 같이 타원형상으로도 가능하고, 사각형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상기 침대몸체(2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구획판(210)에 의해 구획된다. 상기 구획판(210)의 상면에는 아기가 생활하기 위한 침구류(도시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침대몸체(200)에서 상기 구획판(210)에 의해 구획된 공간중 하부는 물건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아용 침대(100)에 의하면, 상기 침대몸체(200)의 외면에서 상기 유아용 의자(400)가 안착되는 구획판(210)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침대몸체(200)의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풍공(220); 상기 통풍공(220)의 일측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통풍공(22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통풍창(230) 및; 상기 침대몸체(200)의 외면에 상기 통풍공(220)의 일측에 상기 통풍창(2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통풍창(230)이 상기 통풍공(220)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통풍창(230)이 안착되는 안착요홈(2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풍공(220)은 상기 구획판(210)의 하면으로 공기가 원활하게 통풍되도록 하는 것으로 더운 날에 유아에게 직접 바람을 쏘이는 것은 유아의 건강상 해로울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통풍공(220)을 통해 바람이 흐르도록 하여 상기 구획판(210)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서 유아가 생활하기 원활한 온도로 맞춰주기 위한 것이다.
상기 통풍공(220)은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서로 마주보는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통풍공(220)은 상기 통풍창(23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통풍창(230)은 상기 통풍공(220)의 일측면에 결합힌지(231)로 결합된 일측면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통풍공(220)에서 상기 통풍창(230)이 결합된 부분의 측면에는 안착요홈(240)이 형성된다. 상기 안착요홈(240)은 상기 통풍창(230)이 상기 통풍공(220)을 개방하였을 때, 외부의 물건에 방해되지 않도록 안착되는 부분으로 상기 안착요홈(240)은 상기 통풍창(23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통풍창(230)이 상기 안착요홈(240)에 안착된 상태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일 방지하기 위해 별도의 고정장치가 구비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일예로 상기 안착요홈(240)의 내면과 상기 통풍창(230)의 외면에는 각각 제1고정장치(241, 242)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장치(241, 242)의 결합에 의해 상기 통풍창(230)이 상기 안착요홈(240)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장치(241, 242)는 벨크로, 암/수버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 상기 통풍창(230)은 제2고정장치(245)에 의해 상기 통풍공(220)을 임의로 개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장치(245)는 일단이 상기 통풍창(230)의 외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침대몸체(200)의 외면에 결합되어 상기 통풍창(230)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장치(245)의 결합된 양단 중 적어도 하나는 탈착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침대몸체(200)의 하면에는 상기 침대몸체(200)를 일정 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25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250)는 상기 유아용 침대(100)가 쉽게 이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유아용 침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지지부(250)는 일정 길이를 가지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제1프레임(251)과 상기 제1프레임(251)의 내부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프레임(25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프레임(253)이 상기 제1프레임(251)의 내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지지부(250)의 전체 길이가 조절되는 것이다.
도 5에서 보듯이, 상기 지지부(250)는 일정길이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부(255)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255)는 제2프레임(253)과 상기 제1프레임(251)을 고정시키는 구조로, 상기 제2프레임(253)의 외면에 요입되게 형성되는 고정요홈(253a); 상기 고정요홈(253a)에 설치되고, 상기 제1프레임(251)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고정홀(251a)에 삽입되어 상기 제2프레임(253)과 상기 제1프레임(251)을 고정시키는 고정스위치(253b); 및 상기 고정요홈(253a)과 상기 고정스위치(253b)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스위치(253b)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53d)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스위치(253b)에는 상기 고정홀(251a)에 삽입되는 결합돌기(253c)가 일정길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253c)가 상기 고정홀(251a)에 삽입되어 상기 제1프레임(251)과 상기 제2프레임(253)이 고정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250)의 길이를 변형시키기 위해서 사용자는 상기 고정스위치(253b)를 밀어넣어 상기 고정홀(251a)에서 상기 결합돌기(253c)가 이탈되도록 한 후 원하는 길이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홀(251a)에 상기 결합돌기(253c)가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결합돌기(253c)가 원하는 길이에 해당하는 상기 고정홀(251a)에 위치하면 상기 탄성부재(253d)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스위치(253b)가 이동하고 상기 결합돌기(253c)가 상기 고정홀(251a)에 걸어져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부(255)는 필요에 따라 다수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지지부(250)에는 굴림바퀴(257)가 구비되어 상기 유아용 침대(100)의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의한 유아용 침대가 개시되어 있다. 도6에 의한 유아용 침대는 도 5의 지지부(250)의 구성이 상이한 것으로 다른 구성은 동일한 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의 일부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에 의한 유아용 침대에 의하면, 상기 침대몸체(200)의 측면 하단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게 지지대(1250)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대(1250)는 양측면에 한쌍씩 구비되고, 그 중단이 서로 교차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대(1250)의 타단은 이동프레임(1300)에 결합된다. 상기 이동프레임(1300)은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250)의 타단이 상기 이동프레임(1300)에 결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프레임(1300)에 관통형성되는 슬라이드요홈(1303)에 상기 지지대(1250)의 타단에 절곡 형성되는 삽입돌기(1251)가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이동프레임(1300)에는 굴림바퀴(1310)가 구비되어 이동가능하도록 구현된다.
도 6에서 보듯이 상기 슬라이드요홈(1303)의 하단에는 상기 삽입돌기(1251)의 외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형성되어 상기 삽입돌기(1251)가 걸어지는 걸이요홈(1305)이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1251)가 상기 걸이요홈(1305)에 걸어져 상기 지지대(1250)가 상기 이동프레임(1300)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걸이요홈(1305)은 상기 슬라이드요홈(13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인접하여 다수개 구비된다. 이는 상기 지지대(1250)가 걸어지는 부분에 따라 상기 이동프레임(1300)과 상기 침대몸체(200)의 거리가 조절되어 상기 침대몸체(2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침대몸체(200)의 높이는 한쌍의 상기 지지대(1250)의 삽입돌기(1251)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상기 슬라이드요홈(1303)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걸이요홈(1305)에 고정시키면 상기 침대몸체(200)와 상기 이동프레임(130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어, 상기 침대몸체(200)의 높이가 높아지는 것이다.
반대로 상기 지지대(1250)의 삽입돌기(1251)가 서로 멀어지도록 상기 슬라이드요홈(1303)에서 이동시키고 상기 걸이요홈(1305)에 고정시키면 상기 침대몸체(200)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참고로 도 6의 (b) 도면은 높이가 낮아지도록 조절한 예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유아용 침대(100)에는 의자고정모포(300)가 구비된다. 상기 의자고정모포(300)는 유아용 의자(400)을 감싸서 상기 유아용 침대(100)에,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침대몸체(200)의 상기 구획판(210) 상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보호자가 다른 활동을 위해 아이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서는 유아용 의자(400)에 앉히는 방법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보호자가 활동을 하면서 아이와 비슷한 눈높이에서 교감하여 유아가 안정감을 찾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유아용 의자(400)을 상기 유아용 침대(100)에 설치하는 것이다.
아직 걷지 못하는 유아가 누워있을때는 천정/ 앉아있을때는 한정된 장소 및 양육자와 다른 눈높이로 답답해하고, 지루해하여 수시로 양육자에게만 안겨있으려는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유아가 자유로이 이동하여 다양한 사물을 보고 관찰하고 즐길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로인해 양육자와 유아가 비슷한 눈높이에서 같은 사물을 보고 교감하여 공감대를 느낄 수 있어서, 교육적으로도, 그리고, 양육자의 양육환경도 개선이 될 수 있다.
물론 높은 높이의 유아용 의자(400)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유아가 활동하면서 유아용 의자(400)이 넘어져 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러한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유아용 침대(100)에 상기 유아용 의자(400)을 설치하는 것이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의자고정모포(300)는, 상기 유아용 의자(400)에서 유아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410)를 감싸는 제1모포부(310); 상기 유아용 의자(400)에서 유아가 착석하는 착석부(420) 부분을 감싸는 제2모포부(315); 상기 제1모포부(310)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침대몸체(200)에 그 타단이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벨트(3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고정모포(300)는, 상기 제2모포부(315)에 구비되고, 상기 유아용 의자(400)의 착석부(420) 선단에 일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아가 상기 유아용 의자(400)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단턱(430)을 감싸는 제3모포부(3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였을 때, 일반적으로 유아용 의자(400)의 경우 유아가 착석하기 위한 공간인 착석부(420), 유아의 등을 받쳐주기 위한 등받이부(410)를 구비하고 있고, 최근에는 유아가 임의로 상기 유아용 의자(4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착석부(420)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유아의 가랑이 부분을 지지하는 고정단턱(430)이 형성된 유아용 의자(400)도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의 기본적인 형상을 감싸고, 상기 고정단턱(430)이 형성된 유아용 의자(400)의 경우에도 상기 의자고정모포(300)를 사용할 수 있도록 상기 의자고정모포(300)를 제1모포부(310), 제2모포부(315), 제3모포부(317)로 구성하는 것이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제1모포부(310)는 상단과 하단이 각각 원호형상을 가지고 상단 보다 하단이 작은 호의 길이를 가지는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등받이부(410)의 외면을 감싸는 외부모포부(311)와 상기 외부모포부(311)의 일면에 연결되어 상기 등받이부(410)의 내면을 감싸는 내부모포부(313)를 포함한다.
상기 외부모포부(311)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상단에는 상기 유아용 의자(400)과 상기 의자고정모포(300)의 고정을 위한 탄성고정부(311a)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상기 탄성고정부(311a)가 상기 외부모포부(311)에서 상기 상단과 동일한 길이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외부모포부(311)의 상단의 양끝이 서로 가까워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외부모포부(311)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하단에는 내부모포부(313)가 결합된다. 도 2에서는 상기 내부모포부(313)는 상기 외부모포부(311)와 유사한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의자의 형상에 따라 다르게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내부모포부(313)에서 상기 외부모포부(311)와 연결된 부분의 반대부분에는 제2모포부(315)가 결합된다. 상기 제2모포부(315)는 상기 유아용 의자(400)의 상기 착석부(420)를 감싸는 부분이다.
상기 제2모포부(315)의 중앙 부분에는 상기 유아용 의자(400)의 상기 고정단턱(430)을 감싸는 제3모포부(317)가 구비된다. 상기 제3모포부(317)는 평면상으로는 돌출되지 않도록 보이나, 도 2의 (b)의 평면도를 참조하였을 때. 상기 제2모포부(315)의 상면을 기준으로 돌출되도록 제작된다.
상기 제3모포부(317)는 상면을 형성하는 사각형상의 상면모포부(317a)와 상기 상면모포부(317a)의 양측면에 결합되어 측면을 형성하고,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측면모포부(317b)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의자고정모포(300)가 결합된 모습은 도 1 및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의자고정모포(300)에는 상기 고정벨트(320)가 구비된다. 좀 더 정확하게는 상기 의자고정모포(300) 중 상기 제1모포부(310)에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벨트(320)는 상기 유아용 의자(400)이 상기 의자고정모포(300)에 덮힌 상태에서 상기 구획판(2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고정벨트(320)의 양단에는 고정구조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구조는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침대몸체(200)의 서로 대응되는 측면에는 상기 고정벨트(320)의 일부가 걸어지도록 관통되게 한 쌍의 결합관통공(201)이 서로 일정높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벨트(320)의 상기 타단에는 같은 면에 구비되어 서로 결합하여 상기 고정벨트(320)가 상기 결합관통공(201)에 걸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한 쌍의 착탈고정부(321, 3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관통공(201)은 상기 고정벨트(320) 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고정벨트(320)의 일부가 걸어지는 부분으로 상기 결합관통공(201)은 상하로 나란하게 한 쌍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한 쌍의 상기 착탈고정부(321, 321')는 서로 결합하여 상기 고정벨트(320)를 고정시키는 구성으로 벨크로, 암/수버튼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서 보듯이, 한 쌍의 상기 착탈고정부(321, 321')는 상기 고정벨트(320)에서 같은 면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 위치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착탈고정부(321, 321') 사이에 위치한 상기 고정벨트(320)의 일부가 상기 결합관통공(201)을 통과하여 걸어지고 상기 착탈고정부(321, 321')가 서로 결합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다른 실시예로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침대몸체(200)에 구비되는 제1착탈고정부; 및 상기 고정벨트(320)에서 구비되어 상기 제1착탈고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의자고정모포(300)를 상기 침대몸체(200)에 고정시키는 제2착탈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착탈고정부와 상기 제2착탈고정부는 벨크로, 암/수버튼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착탈고정부와 상기 제2착탈고정부가 결합하여 상기 의자고정모포(300)가 상기 침대몸체(200)에 고정되는 것이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100)는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침대몸체(200)의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그 양단이 상기 침대몸체(200)의 중단의 서로 대응되는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봉(270); 및 일정면적을 가지는 사각의 천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이 상기 안전봉(27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침대몸체(20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떨어지는 물건을 받을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안전그물망(27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아용 침대(100)는 상기 지지부(250)의 상기 굴림바퀴(257)에 의해 이동가능하다. 이동하는 과정에서 유아가 상기 유아용 침대(100)의 외면을 잡을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주변의 장애물에 부딪혀 유아가 상처를 입게될 수 있다. 상기 안전봉(270)은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유아용 침대(100)외 외면 둘레를 따라 설치되어 유아가 상기 유아용 침대(100)의 외면을 잡더라도 사고가 나지 않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안전봉(270)은 횡단면이 원형인 봉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침대몸체(200)의 둘레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된다. 상기 안전봉(270)의 양단은 대략'ㄱ'자로 절곡되어 절곡된 말단이 상기 침대몸체(200)의 서로 대응되는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안전봉(270)은 결합된 말단을 기준으로 상하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로 서로 대칭이 되도록 한 쌍의 상기 안전봉(270)이 구비된다.
상기 안전봉(270)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 상기 안전봉(270)을 들어 보호자가 파지할 수도 있다. 보호자가 한쪽의 상기 안전봉(270)을 회전시켜 파지하여 이동하더라도 다른 쪽의 상기 안전봉(270)이 존재하기 때문에 사고위험은 없게 되는 것이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전봉(270)의 회전각도 및 고정은 일반적인 기계구조로 사용자가 설정가능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안전봉(270)의 외면에는 탄성을 가진 재질로 덮혀 질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안전봉(270)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상기 안전봉(270)에는 상기 안전그물망(27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전그물망(273)은 일정 넓이를 가지는 천으로 형성된다. 상기 안전그물망(273)은 그 일단이 상기 안전봉(27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침대몸체(200)의 외면에 결합되어 내부에 떨어지는 물건을 저장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유아가 상기 유아용 침대(100)에서 활동하면서 물건을 던졌을 때, 일정거리로 떨어지는 물건을 상기 안전그물망(273)이 받을 수 있어 보호자의 정리과정이 원활해 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의자착탈식 유아용 침대의 사용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보호자는 필요한 경우 유아용 의자(400)을 유아용 침대(100)의 상면에 설치하게 된다. 이때, 도 4에서 보듯이 먼저 의자고정모포(300)를 유아용 의자(400)을 덮는다. 상기 의자고정모포(300)에는 탄성고정부(311a)가 구비되는 바, 상기 의자고정모포(300)에서 상기 유아용 의자(400)이 삽입되는 입구에 해당하는 부분은 실제 크기보다 작은 상태이다.
보호자는 상기 의자고정모포(300)를 상기 유아용 의자(400)에 덮기 위하여 상기 탄성고정부(311a)를 탄성변형시켜 상기 유아용 의자(400)이 삽입될 수 있도록 벌린다. 이 상태에서 보호자는 상기 유아용 의자(400)에 상기 의자고정모포(300)를 덮고, 상기 유아용 의자(400)의 등받이부(410)가 상기 의자고정모포(300)의 제1모포부(310)에 삽입되고, 상기 유아용 의자(400)의 착석부(420)가 상기 의자고정모포(300)의 제1모포부(310)에 위치하도록 잘 조절한다. 만약 상기 유아용 의자(400)에 고정단턱(430)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의자고정모포(300)의 제3모포부(317)가 상기 고정단턱(430)을 덮도록 조절하여 설치한다.
이 상태에서 보호자는 상기 의자고정모포(300)의 고정벨트(320)를 상기 침대몸체(200)에 고정구조로 결합시킨다. 상기 결합과정은 앞서 설명하였는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유아용 침대 200 : 침대몸체
210 : 구획판 220 : 통풍공
230 : 통풍창 240 : 안착요홈
250 : 지지부 270 : 안전봉
273 : 안전그물망 300 : 의자고정모포
310 : 제1모포부 315 : 제2모포부
317 : 제3모포부 400 : 유아용 의자

Claims (7)

  1. 상측이 개구되고,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통형상의 침대몸체;
    상기 침대몸체의 상면에 설치되는 유아용 의자; 및
    상기 유아용 의자의 상면전체를 감싸 고정시키고, 그 일부가 상기 침대몸체에 결합되어 상기 의자를 상기 침대몸체에 착탈가능하도록 고정시키는 의자고정모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고정모포는,
    상기 유아용 의자에서 유아의 등을 받쳐주는 등받이부 외면을 감싸는 제1모포부;
    상기 유아용 의자에서 유아가 착석하는 착석부 부분을 감싸는 제2모포부;
    상기 제1모포부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침대몸체에 그 타단이 착탈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고정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고정모포는,
    상기 제 2 모포부에 구비되고, 상기 유아용 의자의 착석부 선단에 일정 높이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유아가 상기 유아용 의자에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단턱을 감싸는 제3모포부를 더 포함하는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몸체의 서로 대응되는 측면에는 상기 고정밸트의 일부가 걸어지도록 관통되게 한 쌍의 결합관통공이 서로 일정높이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고정밸트의 상기 타단에는 같은 면에 구비되어 서로 결합하여 상기 고정밸트가 상기 결합관통공에 걸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고정시키는 한 쌍의 착탈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몸체에 구비되는 제 1 착탈고정부; 및
    상기 고정밸트에서 구비되어 상기 제 1 착탈고정부와 결합하여 상기 의자고정모포를 상기 침대몸체에 고정시키는 제 2 착탈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6. 제1항에 있어서,
    봉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침대몸체의 외면 둘레를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되며, 그 양단이 상기 침대몸체의 중단의 서로 대응되는 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안전봉; 및
    일정면적을 가지는 사각의 천으로 형성되고, 그 일단이 상기 안전봉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그 타단이 상기 침대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로 떨어지는 물건을 받을 수 있도록 공간을 형성하는 안전그물망을 더 포함하는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대몸체의 외면에서 상기 유아용 의자가 안착되는 구획판의 하측에 구비되고, 상기 침대몸체의 외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통풍공;
    상기 통풍공의 일측에 그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통풍공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통풍창 및;
    상기 침대몸체의 외면에 상기 통풍공의 일측에 상기 통풍창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요입되게 형성되어, 상기 통풍창이 상기 통풍공을 개방하였을 때, 상기 통풍창이 안착되는 안착요홈을 더 포함하는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KR1020140001661A 2014-01-07 2014-01-07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KR1015040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661A KR101504057B1 (ko) 2014-01-07 2014-01-07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1661A KR101504057B1 (ko) 2014-01-07 2014-01-07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4057B1 true KR101504057B1 (ko) 2015-03-24

Family

ID=53027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1661A KR101504057B1 (ko) 2014-01-07 2014-01-07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405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983U (ko) * 1998-11-07 1999-02-25 김동호 보행기충격흡수장치
KR200242866Y1 (ko) 2001-05-17 2001-10-29 김형수 의자가 구비된 침대
FR2881329A1 (fr) 2005-01-28 2006-08-04 Christine Jalbert Sac de couchage de securite de bebe ou de jeune enfant.
KR20100012166U (ko) * 2009-06-03 2010-12-13 최기한 유아용 유모차용 아기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983U (ko) * 1998-11-07 1999-02-25 김동호 보행기충격흡수장치
KR200242866Y1 (ko) 2001-05-17 2001-10-29 김형수 의자가 구비된 침대
FR2881329A1 (fr) 2005-01-28 2006-08-04 Christine Jalbert Sac de couchage de securite de bebe ou de jeune enfant.
KR20100012166U (ko) * 2009-06-03 2010-12-13 최기한 유아용 유모차용 아기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3751B1 (en) Multifunction infant bed
EP3300636A1 (en) Multi-position children's support system
US8117698B1 (en) Diaper changing system
JP2013510619A5 (ko)
US20090031496A1 (en) Crib bumper
KR20140005410U (ko) 헤드쿠션과 넥쿠션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진 아기용 베개.
KR101504057B1 (ko) 의자 착탈식 유아용 침대
KR100930289B1 (ko) 유아 침구
US10531748B2 (en) Devices and methods to protect neonates during bed-sharing and co-sleeping
AU2012100939A4 (en) A pacifier holder
KR200451424Y1 (ko) 다기능 아기용 침대
KR101447831B1 (ko) 영유아용다용도포대기
KR101028579B1 (ko) 아기 수면보호대
KR20150108258A (ko) 공기층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구조체를 이용한 돌연사 방지 기능을 갖는 유아용 매트리스 장치
US20100207435A1 (en) Infant seat adapter
RU190674U1 (ru) Изделие для укрывания детей
KR101721221B1 (ko) 전자파 차폐기능을 갖는 영유아용 침대
KR102201987B1 (ko) 힙시트
GB2459184A (en) Support for Baby Pacifier
CN207574902U (zh) 父母儿童共用床垫
KR101736217B1 (ko) 돌연사 예방 기능을 갖는 영아용 침대
KR101697014B1 (ko) 유아용 호흡 질식 방지보호대
AU2016257494B2 (en) Infant accommodation apparatus
GB2528702A (en) Comforting baby support
JP2014000367A (ja) 細菌及びウイルス防止ガ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