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424Y1 - 다기능 아기용 침대 - Google Patents

다기능 아기용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424Y1
KR200451424Y1 KR2020080005933U KR20080005933U KR200451424Y1 KR 200451424 Y1 KR200451424 Y1 KR 200451424Y1 KR 2020080005933 U KR2020080005933 U KR 2020080005933U KR 20080005933 U KR20080005933 U KR 20080005933U KR 200451424 Y1 KR200451424 Y1 KR 2004514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bed
lower bed
housing
upper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9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1419U (ko
Inventor
채준수
Original Assignee
채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준수 filed Critical 채준수
Priority to KR20200800059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424Y1/ko
Publication of KR2009001141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141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4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42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12Cradles ; Bassinets with adjust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00Beds
    • Y10S5/904Beds with sound emit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기능 아기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내부에 시트(13)가 놓여지고 아기가 눕혀지는 안착공간(15)이 형성되는 하 침대(10)와; 상기 하 침대(10)의 일측에 구비되고, 회동축(43)에 의해 상기 하 침대(10)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스토퍼기능을 가진 각도조절레버(45)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아기의 엉덩이를 받치는 착석판(47)이 구비되어 아기가 엎드린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상 침대(40);를 포함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아기가 엎드린 자세를 취할 수 있어 아기에게 엄마품과 같은 안락함을 줄 수 있고, 길이조절 가능한 구성이 구비되므로 아기의 성장에 따라 일정시기까지 연장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이동바퀴 및 지지대가 구비되어 이동 또는 고정이 편리하고, 접을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보관도 편리한 이점이 있다.
아기용 침대, 엄마 품, 길이조절

Description

다기능 아기용 침대{Multifunctional Baby Bed}
본 고안은 아기용 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기에게 수유를 하거나 잠을 재울 경우 엄마 품과 가장 유사한 제반 환경을 제공하고, 아기의 성장에 따라 제한적인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아기용 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기용 침대는 영, 유아를 재우거나 우유를 주는 등의 한정된 공간으로서, 유아가 돌아다니지 못하게 하거나 성인용 침대에서 떨어지는 등의 위험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아기용 침대의 일반적인 형상으로는 사각의 틀로 짜여진 골조의 하부에 매트리스를 삽입하여 되는 것이다.
이러한 아기용 침대는 통상적으로 사각틀의 내부에 있는 매트리스 및 바닥판을 구비하고, 전면의 일측에 개폐문을 힌지에 의해 하부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매트리스에서 아이를 꺼내거나 눕히게 될 때에 전면의 개폐문을 열고, 아이를 재우는 경우에는 개폐문을 닫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아기용 침대는 아이가 있는 보호자가 빨래나 설거지 등의 가사일을 해야 할 경우 아이 돌보기와 가사일의 두 가지를 할 수 없으므로 아기를 재워놓고 다른 볼 일을 보는데 주로 사용된다.
하지만 아기용 침대의 디자인이 사각박스 형태의 단순한 것으로 아기에게 엄마품과 같은 편안함을 주기 어렵고, 아기를 위한 어떠한 편의장치도 설치되지 않아 아기에게 심리적인 안정감을 주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기가 엄마 품에서 자는 것과 같이 비스듬히 엎드려 잘 수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 아기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아기를 위한 다양한 편의장치가 구비되는 다기능 아기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아기의 성장에 따라 길이조절이 가능한 다기능 아기용 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내부에 시트가 놓여지고 아기가 눕혀지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 침대와; 상기 하 침대의 일측에 구비되고, 회동축에 의해 상기 하 침대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스토퍼기능을 가진 각도조절레버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아기의 엉덩이를 받치는 착석판이 구비되어 아기가 엎드린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상기 하 침대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요철부가 구비된 삽입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삽입가이드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선단에는 상기 요철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은 다수개의 요철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하침대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기 삽입가이드부의 양 끝단에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을 향하여 내부로 더 돌출되는 걸이턱이 형성되어 삽입부가 삽입가이드부에서 인출되는 정도를 규제한다.
상기 하 침대의 전단에는 이동바퀴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단부가 아치형상이고 탄성부재에 의해 완충력을 갖는 지지대가 구비된다.
상기 상 침대는 상기 하 침대와 마주보는 면이 자체쿠션을 가진 유선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착석판의 선단에는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엉덩이받이가 구비된다.
상기 상 침대의 좌우 양편으로는 쿠션부로 이루어진 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의 선단에는 양 날개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고정벨트가 구비된다.
상기 상 침대의 일측에는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선단에 는 원둘레가 반원보다 큰 장착부가 형성되는 수유용 자바라가 구비된다.
상기 상 침대 또는 하 침대의 어느 일측에는 오디오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본 고안의 아기용 침대는 아기가 누워잘 수 있는 하 침대 및 아기가 비스듬히 엎드려 수유와 동시에 잠들 수 있는 상 침대(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 침대(40)의 구성은 엄마가 아기를 안을 때의 자세인 엎드린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므로 아기에게 엄마품과 같은 안락감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상 침대(40)에 오디오장치 및 고정벨트 등의 다양한 편 의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편의장치는 아기의 정서에 도움이 되는 것은 물론, 아기가 침대에서 떨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아기가 안전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하 침대는 제1하우징에 제2하우징을 결합한 구성을 채용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한적이지만 아기의 신체조건에 맞도록 침대의 길이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접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점유공간을 적게 하여 보관이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살짝 밀어주는 것으로도 부드러운 흔들림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아기가 보다 편안하게 잠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아기용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아기용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아기용 침대가 길이조절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3a 및 도 3b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길이조절 상태가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가 절첩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아기용 침대는 하 침대(10)와 상 침대(40)로 구성된다. 하 침대(10)의 외관과 골격은 하우징(11)이 형성한다. 하우징(11)은 상부가 개구되는 대략 유선형으로 만들어져, 그 내부에는 시트(13)(예컨데, 이불)가 놓여지고 아기가 눕혀지는 안착공간(15)이 형성된다.
하우징(11)은 길이조절 가능하도록 두 부분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하우징(11)은 크게 형성할 경우 보관시 점유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불편함이 있어 아기의 성장에 따라 다단으로 길이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제1하우징(17)에 제2하우징(25)을 결합한 구성을 채용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제1하우징(17)에는 길이방향으로 내측에 삽입가이드부(19)가 형성되고, 삽입가이드부(19)의 양끝단부위에는 내부로 돌출되는 걸이턱(21)이 형성된다. 삽입가이드부(19)에는 후술할 제2하우징(25)의 삽입부(27)가 삽입된다. 걸이턱(21)은 삽입부(27)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을 향하여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구성은 삽입부(27)가 삽입가이드부(19)에서 인출되는 정도를 규제하여 제1하우징(17)과 제2하우징(25)이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삽입가이드부(19)에는 다수개의 요철부(23)가 형성되고, 상기 다수개의 요철부(23) 사이에는 후술할 삽입부(27)의 걸림턱(29)이 선택적으로 끼워져 고정된다. 요철부(23)는 삽입가이드부(19)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배열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삽입부(27)가 삽입가이드부(19)에 삽입되어 겹쳐진 상태를 여러 단계의 간격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2하우징(25)의 일측에는 삽입부(27)가 연장 형성된다. 삽입부(27)는 삽입가이드부(19)에 삽입되어 이동이 안내되며, 삽입가이드부(19)에 삽입된 상태로 요 철부(23) 및 걸이턱(21)에 의해 상기 삽입가이드부(19) 내에 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삽입부(27)의 선단에는 걸이턱(21)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29)이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구성은 삽입가이드부(19)의 내부로 삽입부(27)가 겹쳐지는 정도에 따라 제1하우징(17)과 제2하우징(25)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한다. 그리고 삽입부(27)가 외부로 드러나 있는 부분까지의 길이만큼 제1하우징(17)과 제2하우징(25)의 간격이 유지되게 한다. 즉, 삽입가이드부(19)에 삽입부(27)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1하우징(17)과 제2하우징(25)의 간격이 좁아지고, 삽입가이드부(19)에 삽입되어 있던 삽입부(27)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제2하우징(25)을 당기면, 제1하우징(17)과 제2하우징(25)의 간격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제1하우징(17)과 제2하우징(25)의 간격은 아기의 성장을 고려하여 대략 30cm 정도 늘어날 수 있게 설계된다.
하 침대(10)의 저면 전단에는 한 쌍의 이동바퀴(31)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후단에는 지면을 향해 연장되는 지지대(33)가 설치된다. 지지대(33)는 지면에 지지되는 하단부가 아치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에는 탄성부재(35)를 구비하여 외력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한다. 그에 따라 침대에 일정 외력을 가하면, 침대는 부드러운 흔들림을 유지하고 아기는 편안하게 잠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탄성부재(35)로는 소정의 탄성을 구비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소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코일스프링, 압축스폰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33)가 탄성부재(35)에 의해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는 공지기술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하 침대(10)에는 상 침대(40)가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 침대(40)는 하 침대(10)와 마주보는 면이 자체쿠션을 가진 유선형상으로 형성되고, 반대면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는 아기가 엄마품과 같은 편안함을 느끼면서 엎드려 잘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자체쿠션을 위해 상 침대(40)에서 아기와 접촉되는 부분에 쿠션재질의 섬유재가 충진되며 외면은 친환경적인 소재로 감싸 아기에게 편안함을 주도록 한다.
상 침대(40)는 평면형상으로 된 면이 프레임(41)에 지지되며, 이 프레임(41)을 포함한 상 침대(40)가 회동축(43)에 의하여 하 침대(1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회동축(43)에는 스토퍼기능을 가진 각도조절레버(45)가 구비되어 상 침대(40)를 하 침대(10)에 대해 다양한 각도 범위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각도조절레버(45)에 의해 하 침대(10)에 상 침대(40)가 각도 조절된 상태는 임의로 풀리거나 변경되지 않는다.
상 침대(40)에는 아기의 엉덩을 받치는 착석판(47)이 설치되어 있다. 착석판(47)에는 엉덩이받이(49)가 구비된다. 엉덩이받이(49)는 아기가 상 침대(40)에 엎드린 상태에서 아기의 엉덩이부분을 지지한다. 착석판(47) 및 엉덩이받이(49)는 자체쿠션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사용시에는 상 침대(40)측으로 포개어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 침대(40)의 좌우 양편으로는 두툼한 쿠션부로 이루어진 날개부(51)가 구 비되고, 날개부(51)의 선단에는 양 날개부(51)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고정벨트(53)가 구비된다. 날개부(51)는 아기의 측면을 감싸 허리를 보호할 수 있도록 중앙부분에 쿠션재질의 섬유재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 침대(40)에 재봉에 의해 결합되어 그 결합부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고정벨트(53)의 일측에는 조정구(55)가 구비된다. 조정구(55)는 고정벨트(53)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그 선단에는 각각 암수 부재로 이루어진 체결구(57)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체결구(57)는 체결 또는 해지에 의해서 아기가 상 침대(40)에 엎드린 상태가 고정하거나 해지한다.
이와 같은 상 침대(40)의 구성은 엄마가 아기를 안을 때의 자세인 엎드린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하고, 아기가 잠들 경우 상 침대(40)에서 떨어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 침대(40)의 일측에는 수유용 자바라(59) 가 구비된다. 수유용 자바라(59) 는 쉽게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어 수유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착탈이 가능하다. 수유용 자바라(59)의 선단에는 우유병을 고정하기 위한 장착부(61)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61)는 외주면 일부가 개구되어 C자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원주형상으로 형성되고, 원둘레가 반원보다 커 자체 복원력만으로도 젖병을 고정시킬 수 있다.
상 침대(40)에는 프레임(41)의 상부에 결합되어 침대를 밀거나 끌기 위한 손잡이부(63)가 구비된다.
또한, 상 침대(40)에는 아기의 정서적인 발달과 안정을 위한 오디오장치(65) 가 내장되어 있다. 오디오장치(65)는 메모리칩을 내장해 엄마의 심장박동소리 및 육성, 자장가 등을 녹음했다가 아기에게 들려주기 위한 구성이다. 물론, 오디오장치 대신 진동모터 등이 내장될 수도 있다. 진동모터는 침대에 미세한 흔들림을 주어 아기가 편안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아기용 침대의 사용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아기를 상 침대(40)에 재우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도조절레버(45)를 이용하여 상 침대(40)의 각도를 적당한 각도로 조절한다. 그런 다음 아기를 상 침대(40)와 마주보도록 착석판(47)에 앉히고, 상체부분을 상 침대(40)에 비스듬히 눕여 아기가 편안한 자세가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우유병이 장착된 수유용 자바라(59) 를 적당하게 구부려 우유병이 아기의 입 위치에 오도록 한 후 우유병을 아기에게 물린다. 필요에 따라 오디오장치(65) 또는 진동모터 등을 작동시켜 엄마의 육성 및 심장박동소리 등을 들려준다. 이와 같이 하여 아기가 비스듬히 엎드린 자세로 수유를 하면서 잠들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아기가 어느 정도 잠이 들거나 안정된 상태가 되면, 고정벨트(53)를 채워 아기가 침대에서 잠든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한다.
한편, 아기를 하 침대(10)에 재우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트(13)가 놓여진 안착공간(15)에 아기를 눕히면 된다. 그리고, 하 침대(1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하우징(17)의 삽입가이드부(19)에 삽입되어 있던 삽입부(27)가 외부로 드러나도록 제2하우징(25)을 제1하우징(17)의 반대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잡아당기면 된다. 이와 같이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17)과 제2하우 징(25)의 간격이 늘어나고, 아기가 누울 수 있는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 침대(10)는 길이를 조절할 경우 내부의 하우징(11)만 교체하여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아기가 편안함을 느끼도록 침대를 살짝 밀어 일정한 흔들림을 줄 수도 있다. 이때, 침대는 지지대(33)의 하단부 및 지지대(33)에 구비된 탄성부재(35)에 의해 부드러운 흔들림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침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대가 점유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도조절레버(45)의 잠금상태를 해제하여 상 침대(40)가 하 침대(10)측에 접어지도록 한 후 각도조절레버(45)를 다시 잠금상태로 조절하면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다기능 아기용 침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다기능 아기용 침대가 길이조절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 실시예의 길이조절 상태를 보이기 위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가 절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하 침대 11:하우징
13:시트 15:안착공간
17:제1하우징 19:삽입가이드부
21:걸이턱 23:요철부
25:제2하우징 27:삽입부
29:걸림턱 31:이동바퀴
33:지지대 35:탄성부재
40:상 침대 41:프레임
43:회동축 45:각도조절레버
47:착석판 49:엉덩이받이
51:날개부 53:고정벨트
55:조정구 57:체결구
59:수유용 자바라 61:장착부
63:손잡이부 65:오디오장치

Claims (9)

  1. 내부에 시트가 놓여지고 아기가 눕혀지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는 하 침대와;
    상기 하 침대의 일측에 구비되고, 회동축에 의해 상기 하 침대에 대해 회동가능하며, 스토퍼기능을 가진 각도조절레버가 구비되고, 하부에는 아기의 엉덩이를 받치는 착석판이 구비되어 아기가 엎드린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상 침대;를 포함하며,
    상기 하 침대는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다수개의 요철부가 구비된 삽입가이드부가 형성되는 제1하우징과;
    상기 삽입가이드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선단에는 상기 요철부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걸림턱이 형성되는 삽입부가 구비되는 제2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은 다수개의 요철부 사이에 선택적으로 고정되어 하침대의 길이를 조절하며,
    상기 삽입가이드부의 양 끝단에는 상기 삽입부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을 향하여 내부로 더 돌출되는 걸이턱이 형성되어 삽입부가 삽입가이드부에서 인출되는 정도를 규제하며,
    상기 하 침대의 전단에는 이동바퀴가 구비되고, 후단에는 단부가 아치형상이며 탄성부재에 의해 완충력을 갖는 지지대가 구비되며,
    상기 상 침대는 상기 하 침대와 마주보는 면이 자체쿠션을 가진 유선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아기용 침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착석판의 선단에는 아기의 엉덩이를 지지하기 위한 엉덩이받이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아기용 침대.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 침대의 좌우 양편으로는 쿠션부로 이루어진 날개부가 구비되고, 상기 날개부의 선단에는 양 날개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고정벨트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아기용 침대.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 침대의 일측에는 구부리거나 펼 수 있는 재질로 구성되고, 선단에 는 원둘레가 반원보다 큰 장착부가 형성되는 수유용 자바라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아기용 침대.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 침대 또는 하 침대의 어느 일측에는 오디오장치가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아기용 침대.
KR2020080005933U 2008-05-06 2008-05-06 다기능 아기용 침대 KR2004514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933U KR200451424Y1 (ko) 2008-05-06 2008-05-06 다기능 아기용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933U KR200451424Y1 (ko) 2008-05-06 2008-05-06 다기능 아기용 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19U KR20090011419U (ko) 2009-11-11
KR200451424Y1 true KR200451424Y1 (ko) 2010-12-17

Family

ID=42931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933U KR200451424Y1 (ko) 2008-05-06 2008-05-06 다기능 아기용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4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329B1 (ko) * 2014-02-20 2015-10-22 오세호 하이브리드 아기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5873B1 (ko) * 2011-03-16 2013-08-12 이의환 유아 수면용 유모차
CN108784131A (zh) * 2018-08-08 2018-11-13 昆山裕星家用品有限公司 一种多功能婴儿旋转床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823A (ja) * 2006-08-30 2008-03-13 Miki:Kk チェア−キッ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4823A (ja) * 2006-08-30 2008-03-13 Miki:Kk チェア−キ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329B1 (ko) * 2014-02-20 2015-10-22 오세호 하이브리드 아기띠
US9357853B2 (en) 2014-02-20 2016-06-07 Se-Ho OH Hybrid baby carri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1419U (ko) 200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95775B2 (en) Travel nursing pillow
US7131156B1 (en) Multipurpose pillow
US11432662B2 (en) Portable lounge
EP1750556B1 (en) Infant support
JP5829214B2 (ja) 玩具取付けシステム及び方法
JP5490822B2 (ja) 授乳クッション
US9756960B2 (en) Child-support device with soothing device
US9776098B2 (en) Pillow with toy attachment system
US20090193582A1 (en) Infant rocker bed
US6952847B1 (en) Adjustable bed rails including an attachable headboard
US20190053635A1 (en)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temporary placement of a living object on a seat
KR200451424Y1 (ko) 다기능 아기용 침대
RU182739U1 (ru) Переносное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оворожденных
US20080209639A1 (en) Formable sleep positioner along with method for adjusting same
US20140215712A1 (en) Child sleep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sleep angle
US7546652B1 (en) Colic swing
US20180310637A1 (en) Therapeutic infant swaddling wrap
KR101196868B1 (ko) 휴대용 유아침대
CN213940357U (zh) 支撑结构及儿童载具
KR101318405B1 (ko) 유아용 가방을 겸한 의자 안전시트
KR101635775B1 (ko) 유아 숙면 보조용 기능성 매트
CN209315434U (zh) 新生儿哺乳靠枕
KR20140133768A (ko) 젖병수유보조장치와 상기 젖병수유보조장치가 장착된 유아용품
JP2007111483A (ja) スリング式子守帯
KR20130009107A (ko) 육아용 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