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5257Y1 - 의자가 구비된 침대 - Google Patents

의자가 구비된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5257Y1
KR200235257Y1 KR2020010007013U KR20010007013U KR200235257Y1 KR 200235257 Y1 KR200235257 Y1 KR 200235257Y1 KR 2020010007013 U KR2020010007013 U KR 2020010007013U KR 20010007013 U KR20010007013 U KR 20010007013U KR 200235257 Y1 KR200235257 Y1 KR 200235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ed
support shaft
cove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7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수
Original Assignee
김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수 filed Critical 김형수
Priority to KR2020010007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52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5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5257Y1/ko

Links

Landscapes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자가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으로, 침대(1) 일측에 이와 일체로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3)이 형성된 수납함(2)과; 수납함(2)의 수납공간(3) 일측에 고정구비되고 상단에 결합홈(8)이 형성된 고정축(7)과; 하단이 고정축(7)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수납함(2)의 수납공간(3) 내부에 수납 및 고정축(7) 상측으로 세워지는 지지축(9)과; 등받이(13)와 시트(14)가 힌지결합되어 상호 절첩되도록 구비되고 지지축(9) 상단에 상기 힌지결합부위가 고정설치되는 의자(12)와; 수납함(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그 상단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고정축(7)의 대응부위에 지지홈(6)이 형성된 커버(5)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의자가 구비된 침대를 구비하였다.
그러므로, 의자(12)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의자(12)를 접은 후 수납함(2)에 수납시켜 보관하고, 의자(12)를 사용할시에는 커버(5)를 열고 지지축(9)을 일으켜 세우고 커버(5)를 닫어서 지지축(9) 하단 둘레가 커버(5)의 지지홈(6)에 지지되도록 하여서 지지축(9)을 좌우방향으로 지지시킨 후 의자(12)의 등받이(13)와 시트(14)를 펼쳐서 사용하므로, 침대(1)와 책상 사이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서 이들 사이에 의자를 위치시킬 수 없는 경우에 매우 적합하며, 침대에 대충 걸터 앉아서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의자(12)에 반듯하게 앉을 수 있어 신체의 일부에 무리를 주지 않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의자가 구비된 침대 {bed provided with a chair}
본 고안은 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의자가 구비된 침대에 관한 것이다.
침대는 일반가정용 침대· 병원용 침대, 군대용 침대, 차량침대, 계단침대, 알코브 침대, 소파겸용 침대 등이 있고, 크기에 따라 더블침대(2인용), 싱글(1인용), 세미더블(싱글과 더블의 중간형), 어린이용,유아용 등이 있다. 그 밖에 2단침대, 간단히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야전용 목조침대인 아이디얼 베드 등이 있다.
침대의 크기는 매트리스의 치수로 나타내는데, 폭은 싱글 침대 95∼100 cm, 세미더블 침대는 110∼120 cm, 더블침대 140∼150 cm이고, 길이는 195∼200 cm이다.
이러한 침대 문화의 급격한 보급으로 인해 안방은 물론 자녀들의 방에도 각각 침대을 구비한 가정이 비교적 많으며, 이에 따라 비교적 큰 침대가 방의 대부분의 공간을 차지하기 때문에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 들게 된다.
특히 자녀들의 방은 침대 외에 책상 및 걸상이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데, 자녀들의 방은 안방이나 거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기 때문에 침대와 책상을 함께 배치할시 그 공간은 더욱 협소해진다.
때때로 의자가 배치될 공간이 모자라서 책상 전방에 침대가 위치되도록 하여 의자 대신에 침대 모서리에 걸터 앉아 공부하기도 하며, 이러한 경우 바른 자세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어 비교적 장시간 공부할 수 없게 되고, 불안정한 자세로 인해 척추에 무리를 주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의자를 침대 내부에 수납시키거나 침대 외측으로 펼쳐서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의자가 구비된 침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의자가 구비된 침대는, 침대에 있어서, 침대 일측에 이와 일체로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된 수납함과; 수납함의 수납공간 일측에 고정구비되고 상단에 결합홈이 형성된 고정축과; 하단이고정축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수납함의 수납공간 내부에 수납 및 고정축 상측으로 세워지는 지지축과; 등받이와 시트가 힌지결합되어 상호 절첩되도록 구비되고 지지축 상단에 상기 힌지결합부위가 고정설치되는 의자와; 수납함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그 상단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고정축의 대응부위에 지지홈이 형성된 커버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의자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의자를 접은 후 수납함에 수납시켜 보관하고, 의자를 사용할시에는 커버를 열고 지지축을 일으켜 세우고 커버를 닫어서 지지축 하단 둘레가 커버의 지지홈에 지지되도록 하여서 지지축을 좌우방향으로 지지시킨 후 의자의 등받이와 시트를 펼쳐서 사용하므로, 침대와 책상 사이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서 이들 사이에 의자를 위치시킬 수 없는 경우에 매우 적합하며, 침대에 대충 걸터 앉아서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의자에 반듯하게 앉을 수 있어 신체의 일부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 의자가 구비된 침대를 보이는 외관 사시도
도2는 커버를 오픈시킨 상태를 보이는 개략적 평면도
도3은 본 고안 의자가 구비된 침대의 요부를 보이는 부분 확대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침대 2 ; 수납함
3 ; 수납공간 5 ; 커버
6 ; 지지홈 7 ; 고정축
9 ; 지지축 12 ; 의자
본 고안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1에서 본 고안 침대는, 침대(1) 전방에 수납공간(3)이 형성된 수납함(2)이 일체로 구비된 것이 특징이다. 이 수납함(2)의 상부에는 커버(5)가 구비되어 있으며, 커버(5) 일측과 수납함(2) 대응 상측은 힌지(4)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 커버(5)가 수납함(2) 내부를 개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버(5) 일측에는 외측으로 개방되고 ㄷ자 형상을 가지는 지지홈(6)이형성되어 있어 후술할 지지축(9)이 지지홈(6) 내부에 위치되어 좌우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한편 수납함(2) 내부에는 지지홈(6) 하측방향으로 고정축(7)이 고정설치되어 있으며, 이 고정축(7)에는 상단에 상측 및 좌우측으로 개방된 형상을 가지는 결합홈(8)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축(7)에는 지지축(9)의 하단이 결합되어 있고, 지지축(9) 상단에는 의자가 설치되어 있는바, 지지축(9)은 하단에 고정축(7)의 결합홈(8)에 끼워지도록 힌지부(10)가 형성되며, 힌지부(10)가 결합홈(8)에 끼워진 상태에서 힌지핀(15)으로 결합되어 있어, 이 결합부위를 중심으로 지지축(9)이 좌우로 회전된다.
지지축(9) 상단에 고정되는 의자(12)는 등받이(13)와 시트(14)로 이루어지고, 이들은 대응 내측면이 맞닿도록 접히거나 90°각도로 펼쳐지도록 힌지(11)에 의해 결합되며, 지지축(9) 상단이 이 힌지(11) 부위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 의자가 구비된 침대는, 평상시에는 도1과 같이 수납함(2) 내에 의자(12)를 수납시켜서, 침대(1) 주변 공간을 넓게 활용하고 실내를 깨끗하게 정돈시킬 수 있다.
한편 의자에 앉아서 작업하거나 공부할시에는, 먼저 도2와 같이 커버(5)를 열고 의자(12)를 일으켜 세우게 되는데, 이때 지지축(9)의 힌지부(10)가 힌지핀(15)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지지축(9)과 고정축(7)이 수직으로 동축을 이룰때까지 회전시킨다.
의자(12)를 일으켜 세운 상태에서 커버(5)를 닫게 되면, 커버(5)의지지홈(6)이 지지축(9) 둘레를 감싸도록 위치되며, 따라서 지지축(9)은 이 지지홈(6)에 의해 좌우로 회동되지 않게 되므로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이와 같이 지지축(9)이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에서 지지되면 의자(12)의 등받이(13)와 시트(14)를 도3과 같이 펼쳐서 의자 형태를 갖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면 침대(1)의 수납함(2) 상부에 의자(12)가 구비된 형태를 이루게 되며, 사용자는 의자(12)에 앉아 기타 여러가지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 의자가 구비된 침대는, 의자(12)가 침대(1) 전방 상부에 구비되므로 의자(12)가 별도의 수평공간을 차지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방이 비교적 협소하여서 침대(1)와 책상 사이의 공간이 확보되지 못한 경우에 매우 적합하다.
보통 침대(1)와 책상 사이의 공간이 협소하여서 별도의 의자를 비치하지 못하는 경우, 침대 모서리부에 걸터 앉아서 공부하므로 좋지 않은 자세로 인해 피로가 가중되고 허리에 무리가 가해졌던 종래와는 달리, 의자(12)를 침대(1) 상부에 펼칠 수 있어 의자(12)에 앉아서 바른 자세로 학습이나 작업할 수 있으므로 피로 및 허리에 무리가 발생하는 것을 최소한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의자(12)를 사용하지 않을 시에는 커버(5)를 열어서 지지홈(6)을 지지축(9)으로부터 분리시키고, 의자(12)의 등받이(13)와 시트(14)를 접은 후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지지축(9) 및 의자(12)가 힌지핀(15)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수납함(2)의 수납공간(3)에 안착된다.
따라서 의자(12)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수납공간(3)에 넣어 보관하므로 의자(1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되어 실내를 단정하게 정리할 수 있게 되고, 의자가 공간을 점유하지 않으므로 침대(1)에 누울시에나 활동시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가 구비된 침대에 의하면, 의자(12)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의자(12)를 접은 후 수납함(2)에 수납시켜 보관하고, 의자(12)를 사용할시에는 커버(5)를 열고 지지축(9)을 일으켜 세우고 커버(5)를 닫어서 지지축(9) 하단 둘레가 커버(5)의 지지홈(6)에 지지되도록 하여서 지지축(9)을 좌우방향으로 지지시킨 후 의자(12)의 등받이(13)와 시트(14)를 펼쳐서 사용하므로, 침대(1)와 책상 사이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서 이들 사이에 의자를 위치시킬 수 없는 경우에 매우 적합하며, 침대에 대충 걸터 앉아서 공부하는 것이 아니라 의자(12)에 반듯하게 앉을 수 있어 신체의 일부에 무리를 주지 않게 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침대에 있어서,
    침대(1) 일측에 이와 일체로 구비되고 내부에 수납공간(3)이 형성된 수납함(2)과;
    상기 수납함(2)의 수납공간(3) 일측에 고정구비되고 상단에 결합홈(8)이 형성된 고정축(7)과;
    하단이 상기 고정축(7) 상단에 힌지결합되어 수납함(2)의 수납공간(3) 내부에 수납 및 고정축(7) 상측으로 세워지는 지지축(9)과;
    등받이(13)와 시트(14)가 힌지결합되어 상호 절첩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지지축(9) 상단에 상기 힌지결합부위가 고정설치되는 의자(12)와;
    상기 수납함(2)의 상부를 개폐하도록 그 상단 일측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고정축(7)의 대응부위에 지지홈(6)이 형성된 커버(5)가 더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가 구비된 침대.
KR2020010007013U 2001-03-15 2001-03-15 의자가 구비된 침대 KR200235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013U KR200235257Y1 (ko) 2001-03-15 2001-03-15 의자가 구비된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7013U KR200235257Y1 (ko) 2001-03-15 2001-03-15 의자가 구비된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5257Y1 true KR200235257Y1 (ko) 2001-10-08

Family

ID=73097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7013U KR200235257Y1 (ko) 2001-03-15 2001-03-15 의자가 구비된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52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74758B2 (en) Folding cabinet bed with telescoping slide-out support platform
US4985952A (en) Flexibly hinged convertible mattress
US6779208B2 (en) Folding bed
US20060230530A1 (en) Bed
US6929321B1 (en) Fold-up seat
US20140352057A1 (en) Convertible seat/bed having noncoplanar bed base sections
US7013506B2 (en) Convertible bed and cabinet with reduced profile
US2693846A (en) Convertible ottoman
CN208388239U (zh) 一种伸缩型沙发床及床尾凳的组合家具
CA2291176A1 (en) Combination item of furniture and foldable sleeper bed
US6934979B2 (en) Convertible bench
KR200235257Y1 (ko) 의자가 구비된 침대
CN105496071B (zh) 多功能伸缩转换家具
CN216675265U (zh) 一种可折叠单人沙发床
KR910002209Y1 (ko) 다목적 침대
US5038421A (en) Sofabed
KR200242866Y1 (ko) 의자가 구비된 침대
JP4243496B2 (ja) 可動式家具
KR200235510Y1 (ko) 의자가 구비된 침대
US4953242A (en) Padded flare-back sofa
KR200377293Y1 (ko) 접철식 탁자
CN212630368U (zh) 一种多功能沙发
RU2813690C1 (ru) Стол-кровать
US1435960A (en) Combination bed
KR200212434Y1 (ko) 접철식 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