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150B1 - 링 타입의 식별키를 사용한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 - Google Patents

링 타입의 식별키를 사용한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150B1
KR100485150B1 KR10-2002-0025607A KR20020025607A KR100485150B1 KR 100485150 B1 KR100485150 B1 KR 100485150B1 KR 20020025607 A KR20020025607 A KR 20020025607A KR 100485150 B1 KR100485150 B1 KR 100485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print
ring
key
accessor
identification c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25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7727A (ko
Inventor
황문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코하이텍
Priority to KR10-2002-0025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150B1/ko
Publication of KR2003008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7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arrangements for handling protocols designed for non-contact record carriers such as RFIDs NFCs, e.g. ISO/IEC 14443 and 1809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06K7/14131D bar cod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링 타입의 식별키(링-키)를 사용하여 지문 인식 장치로 사용자의 식별 코드를 입력한다. 링-키는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형태로 제작되며,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코일과 RF 송수신회로가 장착된다. 지문 인식 장치에는 링-키와 RF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 카드 리더기가 장착된다. 사용자는 링-키를 착용한 상태에서 지문 인식 장치로 지문 입력을 위한 동작을 취할 때 자동적으로 지문 인식 장치의 RF 카드 리더기와 링-키간에 무선 송수신이 이루어지며, 이때 링-키로부터 고유의 식별 코드가 전송된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종래와 같이, 별도로 식별 코드를 입력하는 과정을 행하지 않고 편리하게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링 타입의 식별키를 사용한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FINGERPRINT RECOGNITION SECURITY SYSTEM USING RING TYPE IDENTIFICATION KEY}
본 발명은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링 타입의 식별키(링-키)를 이용하여 개인 식별 코드를 용이하게 입력할 수 있는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문 인식 장치를 이용한 보안 시스템은 지문의 모방이 어렵기 때문에 종래의 기계적 전자적 보안 시스템에 비하여 보안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은 지문 인식 장치를 사용하여 출입자의 지문을 읽어들이고, 읽혀진 지문 정보를 시스템에 등록된 지문 정보와 비교하여 허가된 출입자를 판단하게 된다.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에서 등록된 지문 정보가 적은 경우(예를 들어, 가정용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에는 출입자 판단시 입력된 지문 정보와 등록된 지문 정보를 일일이 비교하는 것에 큰 무리가 없다. 그러나 등록된 사용자가 많은 경우(예를 들어, 출입자가 많은 대규모의 건물)에는 모든 등록된 지문 정보와 입력된 지문 정보를 일일이 비교한다는 것은 시스템 동작 성능을 떨어지게 함으로 실제적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럼으로 출입자가 많은 경우에는 등록자마다 별도의 고유 식별 코드(출입자 아이디)를 부여하고 지문 인식 전에 출입자 코드를 입력하게 한다. 출입자는 지문 입력 과정에 앞서 자신의 식별 코드를 먼저 입력한 후 지문을 입력한다. 그럼으로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은 입력된 지문 정보를 해당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등록된 지문 정보와 바로 비교함으로서 출입자 인증처리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은 출입자 식별 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별도의 키 입력 장치를 부가하여 구비한다. 예를 들어, 지문 인식 장치와 더불어 키 입력 장치를 설치한다. 출입자는 먼저 키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식별 코드를 입력하고 이어 자신의 지문을 입력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지문 인식 시스템의 응답 속도는 향상되었으나 출입자들은 매번 출입시 마다 식별 코드를 입력하는 단계와 지문을 입력하는 단계를 이중으로 거처야 하는 번거로움을 감수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별도의 식별 코드 입력 과정과 같은 지문 입력을 위한 전처리 단계를 수동으로 행하지 않아도 되는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은: 출입자의 지문으로부터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문 인식 모듈; 허가된 출입자들의 식별 코드 정보와 등록 지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출입자의 손가락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링 형상의 프레임,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어 프레임을 따라 감겨지는 코일 안테나 및,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며 코일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동작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출입자 식별 코드를 코일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출력하는 RF 송수신 회로를 갖는 링-키; 링-키에 내장된 무선 송수신 회로로 무선으로 동작 전력을 제공하며, 링-키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되는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RF 카드 리더기 및; RF 카드 리더기를 통해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를 그리고 지문 인식 모듈을 통해 출입자 지문 정보를 각각 받아들이고,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등록된 지문 정보와 입력된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자 인증 처리를 수행하며, 출입자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잠금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은: 출입자의 지문으로부터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문 인식 모듈; 허가된 출입자들의 식별 코드 정보와 등록 지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출입자의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링 형상의 프레임을 갖고 프레임의 외측 일면에 바코드가 인쇄된 링-키; 링-키에 인쇄된 바코드를 읽어들이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를 그리고 지문 인식 모듈을 통해 출입자 지문 정보를 각각 받아들이고,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등록된 지문 정보와 입력된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자 인증 처리를 수행하며, 출입자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잠금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로 인해 한정되어 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져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기능을 갖는 링-키와 이와 연계된 지문 인식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링-키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절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시스템은 크게 지문 인식 모듈(14), 지문 인식에 의한 출입자 인증과 이에 따른 잠금 장치(15)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13),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17a)와 등록 지문 정보(17b)가 저장된 메모리(17),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리더기(11) 및 이와 무선으로 접속되는 링-키(20)를 구비한다.
지문 인식 모듈(14)은 지문 인식 장치(10)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12)로 지문 인식창이 노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링-키(20)는 출입자의 손가락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링 형상의 프레임을 갖는다. 프레임의 내부에는 코일 안테나(24)와 RF 송수신 회로(22)가 내장된다. 코일 안테나(24)는 링 형상의 프레임을 따라 감겨져 장착된다. RF 송수신 회로(22)는 RF 송수신을 위한 회로 구성과 함께 출입자 고유의 식별 코드 저장 및 이를 송출하기 위한 회로 구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링-키(20)는 지문 등록한 손가락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문을 등록한 출입자는 지문 등록된 해당 손가락(30)에 링-키(20)를 착용하여 사용한다. 출입자는 링-키(20)를 착용한 손가락을 지문 입력을 위해 지문 인식 장치(10)의 개구부(12)로 삽입하려는 과정에서 RF 카드 리더기(11)는 근접한 링-키(20)로 자기 유도 방식에 의해 전력을 전달한다.
유도 안테나(24)를 통해 동작 전력을 제공받은 링-키(20)의 RF 송수신 회로(22)는 이에 응답하여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를 RF 카드 리더기(11)로 전송한다. RF 카드 리더기(11)는 링-키(20)로부터 입력된 출입자 식별 코드를 제어부(13)로 출력한다. 제어부(13)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를 제공받은 후 연이어 입력되는 지문 정보를 받아들인다.
제어부(13)는 RF 카드 리더기(11)를 통해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를 그리고 지문 인식 모듈(14)을 통해 출입자 지문 정보를 각각 받아들이고, 메모리(17)에 저장된 해당 출입자 식별 코드(17a)에 대응하는 등록 지문(17b)과 입력된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자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출입자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잠금 장치(15)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은 출입자가 링-키(20)를 착용하고 지문 인식을 시도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출입자 식별 코드를 지문 인식 장치(10)가 인식하여 출입자 인증 처리에 사용함으로서 출입자는 종래와 같이 출입자 식별 정보를 수동의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격지 않고 보다 편리하게 지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가 인쇄된 링-키와 이와 연계된 지문 인식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바코드가 부착된 링-키를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시스템은 크게 지문 인식 모듈(54), 지문 인식에 의한 출입자 인증과 이에 따른 잠금 장치(55)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53),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57a)와 등록 지문 정보(57b)가 저장된 메모리(57), 바코드를 읽어 내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51) 및 바코드가 인쇄된 링-키(40)를 구비한다.
지문 인식 모듈(54)은 지문 인식 장치(50)의 중심부에 형성된 개구부(52)로 지문 인식창이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링-키(40)는 출입자의 손가락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링 형상의 프레임을 갖고 프레임의 외측 일면에 바코드(42)가 인쇄된다. 바코드(42)는 출입자 고유의 식별 코드이며 바코드 리더기(51)에 의해 읽혀진다.
바코드 리더기(51)는 지문 인식 장치(50)에 구비된 개구부(52)의 상부 영역에 설치된다. 그럼으로 링-키(40)를 착용한 출입자의 손가락(30)이 개구부(52)로 삽입되는 경우 바코드 리더기(51)가 링-키(40)에 인쇄된 바코드(42)를 읽어 들이게 된다. 이 실시예에서, 바코드(42)는 링-키(40)의 상부에 인쇄되고 바코드 리더기(51)는 개구부(52)의 상부에 설치되었으나 이는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링-키(40)의 하부에 바코드(42)를 인쇄하고 바코드 리더기(51)를 개구부(52)의 하부에 설치할 수 있다.
제어부(53)는 바코드 리더기(51)를 통해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를 그리고 지문 인식 모듈(54)을 통해 출입자 지문 정보를 각각 받아들이고, 메모리(57)에 저장된 해당 출입자 식별 코드(57a)에 대응하는 등록 지문(57b)과 입력된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자 인증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출입자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잠금 장치(55)를 제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제어 수순에 따라 지문 인식에 의한 잠금 장치의 제어를 수행한다.
도면을 참조하여, 단계 S10에서 링-키로부터 식별 코드 정보를 획득하고, 이어 단계 S20에서 지문 인식 모듈을 통하여 출입자 지문을 읽어들인다. 단계 S30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해당 출입자 식별 코드에 대응하는 등록 지문과 입력된 지문 정보를 비교한다. 지문이 일치되는 경우에는 단계 S40에서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지하고, 지문이 일치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S50에서 에러 처리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은 출입자가 링-키(20)를 착용하고 지문 인식을 시도하는 경우 자동적으로 출입자 식별 코드를 지문 인식 장치(10)가 인식하여 출입자 인증 처리에 사용함으로서 출입자는 종래와 같이 출입자 식별 정보를 수동의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격지 않고 보다 편리하게 지문 인식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RF 송수신 기능을 갖는 링-키와 이와 연계된 지문 인식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도 1의 링-키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절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코드가 인쇄된 링-키와 이와 연계된 지문 인식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도 4의 바코드가 부착된 링-키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는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지문 인식 장치 14, 54: 지문 인식 모듈
20, 40: 링-키 22: RF 송수신 회로
24: 유도 코일

Claims (2)

  1.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자의 지문으로부터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문 인식 모듈;
    허가된 출입자들의 식별 코드 정보와 등록 지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출입자의 손가락에 착용이 가능하도록 링 형상의 프레임,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어 프레임을 따라 감겨지는 코일 안테나 및,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며 코일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동작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여 출입자 식별 코드를 코일 안테나를 통해 무선으로 출력하는 RF 송수신 회로를 갖는 링-키;
    링-키에 내장된 무선 송수신 회로로 무선으로 동작 전력을 제공하며, 링-키로부터 무선으로 송출되는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RF 카드 리더기;
    RF 카드 리더기를 통해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를 그리고 지문 인식 모듈을 통해 출입자 지문 정보를 각각 받아들이고,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등록된 지문 정보와 입력된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자 인증 처리를 수행하며, 출입자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잠금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
  2.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에 있어서:
    출입자의 지문으로부터 지문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지문 인식 모듈;
    허가된 출입자들의 식별 코드 정보와 등록 지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출입자의 손가락에 착용 가능한 링 형상의 프레임을 갖고 프레임의 외측 일면에 바코드가 인쇄된 링-키;
    링-키에 인쇄된 바코드를 읽어들이기 위한 바코드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를 통해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를 그리고 지문 인식 모듈을 통해 출입자 지문 정보를 각각 받아들이고, 출입자 식별 코드 정보에 대응하는 등록된 지문 정보와 입력된 지문 정보를 비교하여 출입자 인증 처리를 수행하며, 출입자 인증 처리 결과에 따라 잠금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
KR10-2002-0025607A 2002-05-09 2002-05-09 링 타입의 식별키를 사용한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 KR100485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607A KR100485150B1 (ko) 2002-05-09 2002-05-09 링 타입의 식별키를 사용한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25607A KR100485150B1 (ko) 2002-05-09 2002-05-09 링 타입의 식별키를 사용한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727A KR20030087727A (ko) 2003-11-15
KR100485150B1 true KR100485150B1 (ko) 2005-04-22

Family

ID=32382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5607A KR100485150B1 (ko) 2002-05-09 2002-05-09 링 타입의 식별키를 사용한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15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196A (ja) * 1990-05-16 1992-01-24 Hitachi Ltd 情報記録媒体
KR19980073694A (ko) * 1997-03-14 1998-11-05 피터 링크 지문확인카드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 신원확인시스템
KR19990000921U (ko) * 1997-06-13 1999-01-15 김영신 반지 잠금장치
JP2001344658A (ja) * 2000-05-31 2001-12-14 Star Micronics Co Ltd バーコード読取装置
KR20020030553A (ko) * 2000-10-18 2002-04-25 윤성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신용카드의 지문인식시스템구성방법
KR20020090200A (ko) * 2002-10-31 2002-11-30 신용식 핑거마우스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1196A (ja) * 1990-05-16 1992-01-24 Hitachi Ltd 情報記録媒体
KR19980073694A (ko) * 1997-03-14 1998-11-05 피터 링크 지문확인카드를 포함하는 무선주파수 신원확인시스템
KR19990000921U (ko) * 1997-06-13 1999-01-15 김영신 반지 잠금장치
JP2001344658A (ja) * 2000-05-31 2001-12-14 Star Micronics Co Ltd バーコード読取装置
KR20020030553A (ko) * 2000-10-18 2002-04-25 윤성 이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신용카드의 지문인식시스템구성방법
KR20020090200A (ko) * 2002-10-31 2002-11-30 신용식 핑거마우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7727A (ko) 2003-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7800B2 (en) Biometric identification device and methods of use
US895278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 control using dual biometric authentication
EP1839273B1 (en) Enhancing the response of biometric access systems
KR102367791B1 (ko) 공격 방지 바이오메트릭 인증 장치
US7392943B2 (en) Identification system
US20140237581A1 (en) Authentication platform and related method of operation
Sreedevi et al. Image processing based real time vehicle theft detection and prevention system
KR100485150B1 (ko) 링 타입의 식별키를 사용한 지문 인식 보안 시스템
JP2007226741A (ja) 顔照合システム
KR200433667Y1 (ko) 개인 인증 수단이 구비된 알에프아이디 단말기
KR200236033Y1 (ko) 도어록 해정장치
JP2009205393A (ja) 生体認証装置
KR20220056356A (ko) 생체 인식 가능한 스마트 아이디 카드와 그를 포함하는 출입 관리 시스템
KR100634567B1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 개폐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을 기록한 기록매체
JP2007054263A (ja) 個人認証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入退室管理装置および方法
JP2006146359A (ja) 個人認証装置
KR200188799Y1 (ko) 출입관리장치
JP2007293396A (ja) 行動体操作管理システム,ゲートの入退出管理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携帯端末
JP2006331355A (ja) 認証装置
KR200214333Y1 (ko) 지문인식 전자카드키
US20010009589A1 (en) Fingerprint recognition system
JP2007087140A (ja) 認証システム
JP2002081242A (ja) 時計型生体認証端末機およびこれを用いた入退室管理システム
JP4347648B2 (ja) 不正監視装置
JP2903047B2 (ja) 個人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