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521B1 -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521B1
KR100484521B1 KR10-2001-0072317A KR20010072317A KR100484521B1 KR 100484521 B1 KR100484521 B1 KR 100484521B1 KR 20010072317 A KR20010072317 A KR 20010072317A KR 100484521 B1 KR100484521 B1 KR 100484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toilet seat
power saving
detected
ho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5300A (ko
Inventor
정만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홍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홍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홍테크
Priority to KR10-2001-0072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521B1/ko
Publication of KR20020015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5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5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05D23/1927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05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using a power saving mod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지막 사용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만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절전 모드에서는 특정 온도를 유지한 채 절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비사용중이면 타이머를 구동시키고, 설정 시간 동안 비사용상태가 유지되는지를 체크하여 설정 시간 동안 비사용 상태가 유지되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고, 절전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온수 및 변좌온도를 특정 온도를 설정하며, 설정한 특정 온도와 수온 센서에서 검출한 수온 및 온도 센서에서 검출한 변좌온도를 각각 대비하여 히터 및 열선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절전을 수행한다.

Description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Method for controlling power save in bidet}
본 발명은 비데의 절전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마지막 사용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만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절전 모드에서는 특정 온도를 유지한 채 절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사용자가 용변 후 세척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여 용변부위를 세척하는 기능과, 건조 버튼을 누르면 세척부위에 묻어있는 잔존 물기를 건조시키는 건조 기능, 사용하지 않을 때 전력을 저감시키는 절전 기능을 구비한 장치로 널리 알려져 있다.
도 1은 주지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일반적인 비데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비데는 좌변기(10)에 설치되고, 비데몸체(20)의 일 측에 형성된 조작패널(21)의 조작으로 내부의 온수를 노즐(27)을 통해 분사시켜 항문세정 및 국부세정 또는 마사지 세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며, 세정 후에는 상기 조작패널(21)의 조작으로 온풍을 발생시켜 자동으로 건조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비데몸체(20)의 전방에 사용자가 깔고 앉는 시트(22)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비데몸체(20)의 상단부에 상기 시트(22)를 수용하는 커버(23)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에서, 항문세정은 용변을 본 후에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로 휴지 없이 항문을 세정하는 것이고, 국부세정(또는, 비데세정이라고도 부름)은 온수로 여성들의 국부를 자동으로 세정하는 것이며, 마사지 세정은 세정수가 분사되는 노즐을 연속 반복적으로 전, 후진 시켜 이의 운동으로 마사지 효과를 얻도록 하는 세정이다.
도 2는 종래 비데의 절전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여기서, 참조부호 21은 조작 패널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30은 세정수 저장조내의 수온을 검출하는 수온센서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40은 상기 시트(22)의 내부에 장착되어 시트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50은 상기 조작 패널(21)을 통해 인가되는 기능 신호를 검색하여 그에 대응하는 장치 전체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수온센서(30) 및 온도 센서(40)에서 각각 검출한 수온 및 시트 온도에 따라 히터 및 열선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60은 상기 제어부(50)에서 출력되는 히터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히터(70)를 구동시키는 히터 구동부(60)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80은 상기 제어부(50)에서 출력되는 열선 구동 제어신호에 따라 열선(90)을 동작시키는 열선 구동부(80)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비데의 절전장치는, 제어부(50)에서 조작 패널(21)에서 출력되는 기능 신호를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 사용중이면 수온 센서(30)에서 출력되는 수온과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 온도를 비교하여 히터(70)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 온도가 수온 센서(30)에서 검출한 수온보다 낮을 경우에는 히터 구동부(60)를 동작시켜 히터(70)를 구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히터(70)는 구동을 하면 발열을 하여 세정수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 온도가 수온 센서(30)에서 검출한 수온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기 히터 구동부(60)를 오프 시킨다.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선택한 변좌온도와 온도 센서(40)에서 검출한 시트 온도를 비교하여, 그 대소 여부에 따라 열선 구동부(80)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비 사용중일 경우, 제어부(50)는 무조건적으로 절전 모드로 진입한다.
상기 절전 모드에서는 이전에 선택한 온수 온도보다 5℃낮게, 아울러 변좌 온도도 이전에 사용자가 선택한 변좌온도보다 5℃낮게 설정한 후, 히터 구동부(60)와 열선 구동부(80)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절전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은 종래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1)와, 사용중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 및 변좌온도 레벨을 검색하는 단계(S12)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 및 변좌온도 레벨에 대응하는 온수 및 변좌온도를 설정하는 단계(S13)와, 상기 온수 설정후 수온을 검출하는 단계(S14)와, 상기 검출한 수온과 설정한 온수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15)와, 상기 검출온도가 상기 설정한 온수 온도보다 작을 경우 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S16)와, 상기 검출한 수온이 상기 설정 온도보다 같거나 높을 경우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S17)와, 상기 변좌온도 설정 후 변좌온도를 검출하는 단계(S18)와,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시트 온도)와 상기 설정한 변좌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19)와, 상기 비교결과 검출한 변좌온도가 설정온도보다 클 경우 열선 구동을 오프시키는 단계(S20)와,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설정한 변좌온도보다 낮을 경우 열선을 동작시키는 단계(S2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계 S11에서 검색한 결과 비 사용중일 경우,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22)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온수 및 변좌온도를 재 설정하는 단계(S23)와, 상기 온수온도 재 설정후 수온을 검출하는 단계(S24)와, 상기 검출한 수온과 재 설정한 온수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25)와, 상기 검출한 수온이 상기 재 설정한 온수온도보다 낮을 경우 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S26)와, 상기 검출한 수온이 상기 재 설정한 온도보다 높을 경우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S27)와, 상기 변좌온도 재 설정후 변좌온도를 검출하는 단계(S28)와,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와 상기 재 설정한 변좌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29)와,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재 설정온도 보다 높을 경우 열선 공급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30)와,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재 설정한 변좌온도보다 낮을 경우 열선을 구동시키는 단계(S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은, 먼저 단계 S11에서 사용중인지 비사용 중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사용 여부의 확인은 사용자가 조작 패널(21)에 구비된 임의의 버튼을 조작하는지를 체크하면, 간단하게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사용중으로 판단이 되면, 단계 S12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 및 변좌온도 레벨을 검색한다.
그런 후 단계 S13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 및 변좌온도 레벨에 대응하게 해당 온수 온도 및 변좌온도를 설정한다. 여기서 온수 온도와 변좌온도는 저, 중, 고라는 3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 단계일 경우 34℃, 중단계일 경우 37℃, 고단계일 경우 40℃로 온도가 각각 설정한다.
이렇게 온도를 설정한 후에는 온수 제어와 변좌온도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데, 여기서 온수 제어와 변좌온도 제어는 우선 순위 없이 별도의 포트를 통해 개별적으로 수행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먼저 온수 제어 과정을 설명하고, 그 다음에 변좌온도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즉, 단계 S14에서 수온 센서(30)를 통해 세정수의 온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단계 S15에서 검출한 수온과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게 설정한 온수온도를 비교한다. 이 비교 결과 검출한 수온이 설정한 온수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단계 S16으로 이동하여 히터 구동부(60)를 동작시켜 히터(70)를 구동시킨다.
아울러 상기 비교 결과 검출한 수온이 설정한 온수온도와 같거나 높을 경우에는 단계 S17로 이동하여 히터 구동부(60)를 오프시켜 히터(70)를 오프시킨다.
다음으로 변좌온도 제어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18에서 온도 센서(40)를 이용하여 변좌온도를 검출하고, 단계 S19에서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와 설정된 변좌온도를 비교한다. 이 비교 결과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설정된 변좌온도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단계 S20에서 열선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설정된 변좌온도보다 작을 경우에는 단계 S21로 이동하여 열선 구동부(80)를 구동시켜 열선(9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열선(90)을 열원을 생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변좌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한편, 비사용 중인 경우, 단계 S22로 이동하여 즉시 절전 모드로 진입한다.
그리고 단계 S23에서 온수 온도 및 변좌온도를 재 설정한다. 여기서 온수 온도 및 변좌온도는 주지한 바와 같이 저, 중, 고라는 세 가지 레벨로 이루어지며, 절전 모드시에는 이전 온도 레벨에서 5℃를 감산하여 온수 온도 및 변좌온도를 설정한다. 예를 들어, 이전 온도 레벨이 저 레벨일 경우, 34℃ - 5℃ = 29℃로 절전 모드시 온수 및 변좌온도를 설정한다.
그리고 온수 제어시 단계 S24에서 수온 센서(30)를 통해 세정수 온도를 검출하고, 단계 S25에서 검출한 수온과 상기 재 설정한 온도를 비교한다. 이 비교 결과 검출한 수온이 상기 재설정 온도보다 낮을 경우 단계 S26으로 이동하여 히터를 구동시킨다. 이와는 달리 검출한 수온이 상기 재설정 온도와 같거나 높을 경우 단계 S27로 이동하여 히터를 오프 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변좌온도 제어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28에서 온도 센서(40)를 이용하여 변좌온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단계 S29에서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와 상기 재설정 온도를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재설정 온도와 같거나 더 높을 경우 단계 S30으로 이동하여 열선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재설정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단계 S31로 이동하여 열선 전원을 차단하여 열선을 오프 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은, 비사용시 즉시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 이전 설정온도 보다 5℃낮게 온도를 재설정하고 절전 모드를 수행하게 되는 데, 이전 온도 레벨이 저 레벨이고, 절전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소정의 시간(약10분정도)이 경과한 후 사용을 위해 변좌에 앉게되면 냉기를 느끼게 되며, 겨울철에는 온수도 초기에는 차게 느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에서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마지막 사용으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만 절전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고, 절전 모드에서는 특정 온도를 유지한 채 절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은,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중이면 기존과 같은 온수 및 변좌온도 제어 과정을 통해 온수 및 변좌온도를 제어하고, 비사용 중이면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 구동후 설정 시간 동안 비사용 상태가 유지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시간 동안 비사용 상태가 유지되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하면 온수 및 변좌온도를 특정 온도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와 수온 센서에서 검출한 수온 및 온도 센서에서 검출한 변좌온도를 각각 대비하여 히터 및 열선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절전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데의 절전 제어장치는 첨부한 도면 도 1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은 종래 비데의 절전 제어장치에 있어서, 제어부에서 비사용중 상태이면 바로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아니고,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만 절전 모드로 진입을 하고, 절전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는 특정 온도를 유지한 채 절전 기능을 수행하도록 절전 장치를 제어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S101)와, 사용중으로 판단되면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 및 변좌온도 레벨을 검색하는 단계(S102)와,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 및 변좌온도 레벨에 대응하는 온수 및 변좌온도를 설정하는 단계(S103)와, 상기 온수 설정후 수온을 검출하는 단계(S104)와, 상기 검출한 수온과 설정한 온수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105)와, 상기 검출온도가 상기 설정한 온수 온도보다 작을 경우 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S106)와, 상기 검출한 수온이 상기 설정 온도보다 같거나 높을 경우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S107)와, 상기 변좌온도를 검출하는 단계(S108)와,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시트 온도)와 상기 설정한 변좌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109)와, 상기 비교결과 검출한 변좌온도가 설정온도보다 클 경우 열선 구동을 오프시키는 단계(S110)와,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설정한 변좌온도보다 낮을 경우 열선을 동작시키는 단계(S111)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단계 S101에서 검색한 결과 비 사용중일 경우, 내부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단계(S112)와, 상기 비사용 상태가 설정 시간(1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S113)와,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이전에는 이전 사용시 상태대로 온수 및 변좌온도를 제어하는 단계(S114)와,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도 비사용 중이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S115)와,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온수 및 변좌온도를 특정 온도(30℃)로 설정하는 단계(S116)와, 상기 온수온도 설정후 수온을 검출하는 단계(S117)와, 상기 검출한 수온과 설정한 특정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118)와, 상기 검출한 수온이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보다 낮을 경우 히터를 구동시키는 단계(S119)와, 상기 검출한 수온이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보다 높을 경우 히터를 오프시키는 단계(S120)와, 상기 변좌온도 설정후 변좌온도를 검출하는 단계(S121)와,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와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를 비교하는 단계(S122)와,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보다 높을 경우 열선 공급 전원을 차단하는 단계(S123)와,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보다 낮을 경우 열선을 구동시키는 단계(S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101에서 사용중인지 비사용 중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사용 여부의 확인은 사용자가 조작 패널(21)에 구비된 임의의 버튼을 조작하는지를 체크하면, 간단하게 사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확인 결과 사용중으로 판단이 되면, 단계 S102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 및 변좌온도 레벨을 검색한다.
그런 후 단계 S103에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온수 및 변좌온도 레벨에 대응하게 해당 온수 온도 및 변좌온도를 설정한다. 여기서 온수 온도와 변좌온도는 저, 중, 고라는 3단계로 이루어져 있으며, 저 단계일 경우 34℃, 중단계일 경우 37℃, 고단계일 경우 40℃로 온도가 각각 설정한다.
이렇게 온도를 설정한 후에는 온수 제어와 변좌온도 제어를 수행하게 되는 데, 여기서 온수 제어와 변좌온도 제어는 우선 순위 없이 별도의 포트를 통해 개별적으로 수행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먼저 온수 제어 과정을 설명하고, 그 다음에 변좌온도 제어 과정을 설명한다.
즉, 단계 S104에서 수온 센서(30)를 통해 세정수의 온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단계 S105에서 검출한 수온과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대응하게 설정한 온수온도를 비교한다. 이 비교 결과 검출한 수온이 설정한 온수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단계 S106으로 이동하여 히터 구동부(60)를 동작시켜 히터(70)를 구동시킨다.
아울러 상기 비교 결과 검출한 수온이 설정한 온수온도와 같거나 높을 경우에는 단계 S107로 이동하여 히터 구동부(60)를 오프시켜 히터(70)를 오프시킨다.
다음으로 변좌온도 제어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108에서 온도 센서(40)를 이용하여 변좌온도를 검출하고, 단계 S109에서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와 설정된 변좌온도를 비교한다. 이 비교 결과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설정된 변좌온도보다 크거나 같을 경우 단계 S110에서 열선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설정된 변좌온도 보다 작을 경우에는 단계 S111로 이동하여 열선 구동부(80)를 구동시켜 열선(90)에 전원을 공급한다. 그러면 열선(90)을 열원을 생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변좌온도가 상승하게 된다.
한편, 비사용 중인 경우, 단계 S112로 이동하여 내부 타이머를 구동시킨다.
다음으로 단계 S113에서 비상용 상태가 설정 시간(1시간)동안 유지되는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비사용 중일 경우에는 단계 S114로 이동하여 이전에 사용한 레벨(저, 중, 고)에 대응하게 온수 및 변좌온도를 제어한다.
아울러 상기 비사용 상태가 설정 시간 동안 유지되는 경우, 단계 S115로 이동하여 절전 모드로 진입을 한다.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 단계 S116에서는 온수 및 변좌온도를 특정 온도(예를 들어, 30℃)로 설정한다.
다음으로, 온수 제어시 단계 S117에서 수온 센서(30)를 통해 세정수 온도를 검출하고, 단계 S118에서 검출한 수온과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30℃)를 비교한다. 이 비교 결과 검출한 수온이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보다 낮을 경우 단계 S119로 이동하여 히터를 구동시킨다. 이와는 달리 검출한 수온이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와 같거나 높을 경우 단계 S120으로 이동하여 히터를 오프 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변좌온도 제어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121에서 온도 센서(40)를 이용하여 변좌온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단계 S122에서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와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를 비교한다. 그 비교 결과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와 같거나 더 높을 경우 단계 S123으로 이동하여 열선 전원을 차단한다. 이와는 달리 상기 검출한 변좌온도가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보다 낮을 경우에는 단계 S124로 이동하여 열선 전원을 차단하여 열선을 오프 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에 따르면, 비사용시 일정 시간(1시간)이 경과한 후에만 절전 모드로 진입하고, 그 전에는 이전의 온수 및 변좌온도를 유지하므로, 기존과 같이 비사용 중이면 무조건 절전 모드로 진입하여 차후 사용자가 냉기를 느끼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절전 모드시에는 특정 온도를 유지한 채 절전 기능을 수행하게 되므로, 절전이 가능하면서도 종래와 같이 장시간 비사용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초기에 발생되는 냉기 발생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비데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 및 본 발명이 적용되는 비데의 절전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고,
도 3은 종래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을 보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조작 패널
30 ..... 수온 센서
40 ..... 온도 센서
50 ..... 제어부
60 ..... 히터 구동부
70 ..... 히터
80 ..... 열선 구동부
90 ..... 열선

Claims (4)

  1.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중이면 기존과 같은 온수 및 변좌온도 제어 과정을 통해 온수 및 변좌온도를 제어하고, 비사용 중이면 타이머를 구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타이머 구동후 설정 시간(1시간) 동안 비사용 상태가 유지되는지를 체크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시간 동안 비사용 상태가 유지되면 절전 모드로 진입하고, 상기 절전 모드로 진입한 상태에서는 온수 및 변좌온도를 특정 온도(30℃)로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한 특정 온도와 수온 센서에서 검출한 수온 및 온도 센서에서 검출한 변좌온도를 각각 대비하여 히터 및 열선의 구동을 제어하면서 절전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설정 시간이 경과하기 전까지 비사용 중일 경우에는 이전에 사용한 레벨(저, 중, 고)에 대응하게 온수 및 변좌온도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1-0072317A 2001-11-20 2001-11-20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 KR100484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317A KR100484521B1 (ko) 2001-11-20 2001-11-20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317A KR100484521B1 (ko) 2001-11-20 2001-11-20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300A KR20020015300A (ko) 2002-02-27
KR100484521B1 true KR100484521B1 (ko) 2005-04-20

Family

ID=19716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317A KR100484521B1 (ko) 2001-11-20 2001-11-20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5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0324A1 (en) * 2011-12-28 2013-07-04 Coway Co., Ltd. Force sensor-based input device and bidet hav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126A (ja) * 1994-05-30 1995-12-05 Inax Corp 便器電装品の制御方法
JP2000104315A (ja) * 1998-09-29 2000-04-11 Toto Ltd トイレ装置
JP2001182131A (ja) * 1999-12-28 2001-07-03 Hitachi Chem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17126A (ja) * 1994-05-30 1995-12-05 Inax Corp 便器電装品の制御方法
JP2000104315A (ja) * 1998-09-29 2000-04-11 Toto Ltd トイレ装置
JP2001182131A (ja) * 1999-12-28 2001-07-03 Hitachi Chem Co Ltd 人体局部洗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5300A (ko) 2002-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8949B1 (ko) 비데의 동작제어방법
KR200424506Y1 (ko) 온수세정기의 변좌커버를 이용한 절전장치
JP2007321440A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KR100484521B1 (ko) 비데의 절전 제어방법
KR200423761Y1 (ko) 인체감지거리 자동조절기능을 갖는 비데
KR20120076825A (ko) 비데 절전 제어 방법 및 그에 의한 비데
KR100962679B1 (ko) 비데의 세정수 가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842242B2 (ja) ビデの節電制御方法
KR20020062861A (ko) 절수 장치 및 그 방법
JP4586947B2 (ja) 人体洗浄装置
KR20030041894A (ko) 비데의 키-락 제어방법
KR100473182B1 (ko) 비데의 절수 방법
KR100439763B1 (ko) 비데의 송풍팬 제어방법
KR950007603B1 (ko) 다기능 비데용 제어 시스템
JP2001348936A (ja) トイレ用機器
JP2597019Y2 (ja) 脱臭装置
KR20030041896A (ko) 비데의 풍량 조절방법
KR100484520B1 (ko) 비데의 건조 제어장치
JP4178590B2 (ja) 人体局部洗浄装置
JP2000287889A (ja) 暖房便座及び衛生洗浄装置
JP2002088872A (ja) 衛生洗浄装置
JP2001182131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20060056099A (ko) 온수세정기의 절전제어 장치와 방법
JPH0727356A (ja) 食器洗浄機を含む複数端末に対して一台の給湯機を用いて給湯するための制御装置
JP2004337498A (ja) トイレ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