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454B1 -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 - Google Patents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454B1
KR100484454B1 KR10-2002-0015204A KR20020015204A KR100484454B1 KR 100484454 B1 KR100484454 B1 KR 100484454B1 KR 20020015204 A KR20020015204 A KR 20020015204A KR 100484454 B1 KR100484454 B1 KR 100484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ylinder
piston
pip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15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5129A (ko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주)설화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설화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설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2-0015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454B1/ko
Publication of KR20030075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5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4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03D3/12Flushing devices discharging variable quantities of water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와 자석 및 필터를 응용하여 비데가 내장된 수세식변기를 개발함으로써 절수와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기 위하여 발명한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에 관한 것이다.
그 주요 구성은 『원통형 실린더(1)하단의 배수관(37)에 형성된 환형턱(2)위에 패킹(3)을 놓은 다음 실린더(1) 내부에 피스톤(4)을 내장시키되 이 피스톤(4)의 외주 요홈에 V패킹(11)을 끼우고, 피스톤(4)하단의 환형턱(5)위에 끼운 패킹(6) 위에서 환형턱(5)을 관통시킨 자루(8)가 있는 밸브(7)를 스프링(9)이 밀어주도록 고정판(10)을 피스톤(4)의 내벽 암나사에 결합하며, 실린더(1) 상단에 패킹(33)이 끼워진 뚜껑(23)을 결합하고, 실린더(1)의 후면에 형성된 급수관(15)에서 분기된 수직수로(12) 및 수평수로(13)를 실린더(1)의 벽면에 천공하며, 이 수직수로(12)와 수평수로(13)의 교차점에서 오링(32)이 끼워진 볼트(14)를 수직수로(12)의 상단 암나사에 결합하고, 급수관(15)밑에 형성된 급배수관(16)에 구멍(18)이 있는 관(17)을 결합하며, 실린더(1)의 전면에 축(21)으로 축설한 레버(44)의 축(21) 위에 연질관(20)을 장착하고, 레버(44)의 뒤쪽 실린더(1)의 외벽에 고정시킨 거리조정볼트(39)에 너트(40)(41)를 결합하며, 레버(44)의 두 하단(42)(43) 사이에 밸브(7)의 자루(8)가 위치하도록 하고, 실린더(1)의 배수관(37)은 S자형의 배수로(27)와 속 뚜껑(29) 및 겉 뚜껑(30)이 있는 수세식변기(28)의 배수로(36)에 장착하고, 수세식변기(28) 밑에 형성된 물탱크(24)의 상단 구멍(50)에 오링(121)이 끼워진 상기 관(17)을 삽입한 다음 뚜껑(51)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로서 절수효과 있다.

Description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omitted}
본 발명은 밸브와 자석 및 필터를 응용하여 비데가 내장된 수세식변기를 개발함으로써 절수와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면서 화장실 문화를 개선할 목적으로 발명한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밸브와 자석 및 필터를 응용하여 비데가 내장된 수세식변기를 개발함으로써 절수와 에너지 절감에 기여하면서 화장실 문화를 개선할 목적으로 발명한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세식 변기는 물탱크가 있고, 그 안에 사이폰, 볼탑, 마개, 레버 등이 내장되어 구조가 복잡하므로 생산원가가 높고, 고장이 빈발하며, 저압의 물로 세척하기 때문에 많은 물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부피가 커서 많은 공간을 점유하고, 상수도에서 수양이 줄거나 수압이 낮아지는 경우에는 세척이 불가능하였으며, 비데 사용 시에는 별도로 부설하는 등의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많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밸브와 자석 및 필터를 응용한 후래시 밸브와 비데가 내장된 수세식변기의 하단에 물을 저장하면서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물탱크에 의하여 고압의 물을 순간적으로 압출(壓出)하며, 대변과 소변을 구분하여 최적량(最適量)의 물을 공급함으로써 많은 물과 수돗물 생산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절약하며, 구성의 단순화로 생산원가를 절감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인데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가) 및 제2도(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실린더(1) 하단의 환형턱(2) 밑에 물이 배출되는 배수관(37)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환형턱(2) 위에 패킹(3)을 놓은 다음 실린더(1)의 내부에 피스톤(4)을 내장시켜시 이 피스톤(4)이 상하로 오르내리도록 하되 피스톤(4)의 외주 요홈에 V패킹(11)을 끼운 피스톤(4)이 내려갈 때는 피스톤(4)의 외벽과 실린더(1)의 내별 사이에서 물이 새지 않도록 구성한다.
이 피스톤(4) 하단의 환형턱(5) 상면에 끼운 패킹(6) 위에서 밸브(7)의 자루(8)가 환형턱(5)을 관통케 한 다음 스프링(9)이 밸브(7)를 계속 밀어주도록 하기 위하여 환상형의 고정판(10))을 피스톤(4) 내벽의 암나사로 결합하되 실린더(1)와 피스톤(4), 자루(8), 배수관(37)의 방향이 수세식변기(28)의 배수로(36)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비스듬히 경사가 지도록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스톤(4)의 V패킹(11)이 실린더(1)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피스톤(4)이 상하운동을 하는 실린더(1)의 상단에 패킹(33)이 끼워진 뚜껑(23)을 나사로 결합한다.
실린더(1)에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실린더(1)의 후면에 형성된 급수관(15)은 수평방향이 되도록 하고, 이 급수관(15)에서 분기되어 실린더(1)의 상단 내부와 피스톤(4) 내부에 물이 공급되는 수직수로(12) 및 수평수로(13)가 천공되어 있고, 이 수직수로(12)와 수평수로(13)의 교차점에서 물이 공급되는 양을 조절하는 오링(32)이 끼워진 볼트(14)를 수직수로(12)의 상단 암나사에 결합하며, 급수관(15)밑에 직각으로 형성된 급배수관(16)에 구멍(18)이 있는 관(17)을 나사로 결합하되 관(17)의 외주 요홈에 오링(121)을 끼우도록 구성한다.
실린더(1)의 전면에 축(21)으로 축설한 레버(44)의 축(21) 위에 연질관(20)을 장착하여 물이 축받이(34) 쪽으로 나오지 않도록 구성한다.
레버(44)를 제외한 상기의 모든 부품은 청동이나 황동 주물의 표면을 도금하는 경우와 도금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는데 도금을 하지 않더라도 그 위에 뚜껑(51)을 덮어서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외관상의 문제가 없게 함으로써 그 생산 원가를 절감하며, 실린더(1)와 피스톤(4) 및 이들에 연결되는 부품을 사출물로 만들면 그 생산원가를 더 많이 절감하도록 구성한다. 레버(44)의 상세한 구성은 제2도(라)와 같다.
이와 같은 실린더(1)의 급수관(15)에 연결된 관(17)의 외주 요홈에 오링(121)이 끼워진 관(17)을 S자형의 배수로(27)가 있는 공지의 수세식변기(28) 밑에 형성된 물탱크(24)의 상단 구멍(50)에 장착하여 오링(121) 때문에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고, 레버(44)의 하단이 배수로(36)에 근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환형턱(2) 하단의 배수관(37)을 물탱크(24)의 상단 공간에 결합하여 배수관(37)으로 나오는 물이 외부로 새지 않고 전부 배수로(36)와 배수로(25)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공지의 수세식변기(28) 상단 둘레에는 배수공(38)이 다수 천공된 환상형의 배수로(26)가 있고, 이 배수로(26)에 물을 공급하는 배수로(25)의 입수구가 배수로(36)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수세식변기(28) 위에 덮는 속 뚜껑(29)과 겉 뚜껑(30)은 공지의 수세식변기용과 동일하며, 레버(44)의 위치를 겉 뚜껑(30)의 뒤쪽 중앙에 설치한 목적은 수세식변기(28)에 앉아서 대·소변을 볼 때 소리나는 민망함을 감추기 위하여 레버(44)를 조작하면서 배수시키는 경우에는 많은 물이 낭비되므로 그 낭비를 막기 위한 것이다.
제2도(나)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제2도(가)와 같기 때문에 전체의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것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배수관(37) 하단의 결합관(86)에 온수기(87)의 상단을 결합하되 온수기(87) 안에는 전력이 공급되면 가열되는 히터(88)가 장착되어 있다.
이 히터(8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에 연결된 스위치(122)를 수세식변기(28) 상단에 장착하여 속 뚜껑(29)에 사람이 얹게 되면 스위치(122)가 ON이 되면서 전력이 히터(88)에 공급되도록 하며, 전원코드가 있어 전원에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배수관(89) 상단에 배수공(90)이 있는 환형턱(91) 밑면에 패킹(92)을 끼우고 자루(94)가 있는 밸브(93)가 패킹(92)에 접하도록 한 다음 이 밸브(93)를 스프링(95)으로 탄지 시키며, 자루(94) 하단에는 자석(96)을 고정시키고, 배수공(90)으로 온수를 분출한다.
깨끗한 물을 공급하는 호스(98)를 온수기(87) 하단에 연결하여 깨끗한 물이 온수기(87)에 공급되면서 히터(88)에 의하여 가열되는 물이 고이는 온수기(87)를 물탱크(24) 안에 내장시킨 비대(A)를 구성하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제2도(마)(바)와 같다.
제1도(가) 및 제2도(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원통형의 실린더(1) 하단의 환형턱(2) 위에 패킹(3)을 놓고, 이 실린더(1)의 내부에 피스톤(4)을 내장시켜서 이 피스톤(4)이 상하로 오르내리도록 하되 피스톤(4)의 외주 요홈에 V패킹(11)을 끼워서 피스톤(4)이 내려갈 때 실린더(1)의 내벽과 피스톤(4)의 외벽사이에서 물이 새지 않도록 하고 환형턱(2) 밑면에는 물이 배출되는 배수관(37)이 형성되어 있다.
이 피스톤(4) 하단의 환형턱(5) 상면에 끼운 패킹(6) 위에서 밸브(7)의 자루(8)가 환형턱(5)을 관통케 한 다음 스프링(9)이 밸브(7)를 밀어주도록 하고 그 위에서 환상형의 고정판(10)을 피스톤(4) 내벽의 암나사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피스톤(4)의 V패킹(11)이 실린더(1)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하운동을 하는 실린더(1)의 상단에 패킹(33)이 끼워진 뚜껑(23)을 나사로 결합한다.
실린더(1)에는 물을 공급하기 위하여 실린더(1)의 후면에 형성된 급수관(15)과 이 급수관(15)에서 분기되어 실린더(1)와 피스톤(4) 내부에 물을 공급하는 수직수로(12) 및 수평수로(13)가 천공되어 있고, 이 수직수로(12)와 수평수로(13)의 교차점에서 물이 공급되는 양을 조절하는 오링(32)이 끼워진 볼트(14)를 수직수로(12)의 상단 암나사에 결합하도록 구성한다.
급수관(15) 밑에 형성된 급배수관(16)의 하단에 구멍(18)이 있는 관(17)을 나사로 결합하고 관(17)의 요홈에 오링(121)을 끼우도록 구성한다.
실린더(1)의 전면 축받이(34)에 축(21)으로 축설한 레버(22)의 하단에 연질관(20)을 장착하고 이 연질관(20)의 일단을 축받이(34)에 고정시킨 관(120)에 끼워서 물이 축받이(34) 쪽으로 나오지 않도록 구성한다.
밸브(7)의 자루(8)가 삽입된 공간(31)이 있는 밀대(19)의 뒤쪽 끝(49)은 환형턱(2)의 하단 배수관(37) 내벽의 구멍에 장착한 밀대(19)가 그 뒤쪽 끝(49)을 중심으로 하여 좌우로 회전하도록 하고, 밀대(19)의 앞쪽에 천공된 구멍(35)에는 레버(22)의 하단을 삽입한다.
이와 같은 실린더(1)의 급수관(15)에 연결된 관(17)의 외주 요홈에 오링(121)이 끼워진 관(17)을 S자형의 배수로(27)가 있는 공지의 수세식변기(28) 밑에 형성된 물탱크(24)의 상단 구멍(50)에 장착하여 오링(121) 때문에 공기가 새지 않도록 하고, 레버(22)의 하단이 배수로(36)에 근접하도록 하기 위하여 환형턱(2) 하단의 배수관(37)을 물탱크(24)의 상단 공간에 결합하여 배수관(37)으로 나오는 물이 외부로 새지 않고 전부 배수로(36)로 배출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공지의 수세식변기(28) 상단 둘레에는 배수공(38)이 다수 천공된 환상형의 배수로(26)가 있고, 이 배수로(26)에 물을 공급하는 배수로(25)의 입수구가 배수로(36)에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레버(22)를 제외한 상기의 모든 부품은 청동이나 황동 주물의 표면을 도금하지 않더라도 그 위에 뚜껑(51)을 덮어서 보이지 않게 함으로써 그 생산 원가를 절감하며, 실린더(1)와 피스톤(4) 및 이들에 연결되는 부품을 사출물로 만들어 그 생산원가가 더 많이 절감되도록 한다.
수세식변기(28) 위에 덮는 속 뚜껑(29)과 겉 뚜껑(30)은 공지의 수세식변기용과 동일하며, 레버(22)의 위치를 겉 뚜껑(30)의 뒤쪽 중앙에 설치한 목적은 수세식변기(28)에 앉아서 대·소변을 볼 때 소리나는 민망함을 감추기 위하여 레버(22)를 조작하면서 배수시키는 경우에 많은 물이 낭비되므로 그 낭비를 막기 위한 것이다.
제2도(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버(44)의 뒤에 수평방향의 긴 볼트의 양단을 실린더(1)의 외벽에 고정시킨 거리조정볼트(39)에 결합한 너트(40)(41)를 좌우로 이동시키면서 레버(44)의 상단을 좌우로 조작할 때 너트(40)(41)가 각각 좌우의 한계점이 되도록 구성한다.
레버(44)의 두 하단(42)(43) 사이에 밸브(7)의 자루(8)가 위치하도록 하며, 축(21)에서부터 두 하단(42)(43)까지 좌우의 거리가 상이하게 함으로써 대소변을 구분하여 배수량이 조정하도록 구성한다.
제2도(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배수공(90)이 있는 온수기(87)의 배수관(89) 상단의 환형턱(91) 밑에 패킹(92)을 끼우고 자루(94)가 있는 밸브(93)를 장착하여 스프링(95)으로 탄지 시키며, 자루(94) 하단에는 자석(96)을 고정시키고, 배수공(90) 안쪽에는 물의 방향과 분산 및 결집을 조절하는 노즐(135)이 내장된 노즐캡(97)이 형성되어 있으며, 정수용 필터(99)가 연결된 호스(98)를 온수기(87)의 하단 뚜껑(100)에 연결한다.
깨끗한 수돗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물탱크(24)의 물이 호스(98)에 연결한 온수기(87)의 하단 뚜껑(100)에 있는 구멍으로 들어가도 되지만 중수도(中水道)를 사용할 때는 깨끗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호스(98)가 반드시 있어야 하며, 물을 깨끗하게 걸러내는 필터(99)가 연결된 호스(98)를 쓰면 더욱 좋다.
그리고 배수관(89) 하단에는 굴신(屈伸)이 잘 되는 호스(101)가 연결된 마개(102)를 장착하고, 이 호스(101)의 상단에는 온수가 들어가는 입수공(103)이 있는 뜸통(104)의 배수관(105)을 연결하여 뜸통(104)이 수면을 따라 오르내리면서 대류현상에 의하여 언제나 수면으로 올라가는 온수가 호스(101)와 배수관(89) 및 노즐캡(97)을 통해 배수공(90)으로 분출되도록 구성한다.
온수기(87)의 공간(126)에 자석(107)이 장착된 T자형 레버(108)를 장착하되 그 상단(48)을 온수기(87) 상단 벽면과 수세식변기(28)의 벽면에 천공된 구멍(46)에 축설한 핸들(109)의 축(110)에 결착하여 핸들(109)을 돌리면 자석(107)이 장착된 T자형 레버(108)도 같이 회전하도록 구성하여 자석(107)과 자석(96)이 근접할 때 두 자석(107)(96)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면서 자석(96)이 자석(107)에 의하여 밀려나도록 하고 자석(96)이 밀려나기 때문에 밸브(93)가 열리도록 구성한다.
핸들(109)은 수세식변기(28)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으며 용변 후 핸들(109)을 조작하면서 자석(107)이 자석(96)에 근접하면 두 자석(107)(96)사이에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하여 자석(96)과 자루(94)가 밀리면서 밸브(93)가 열리면 수압에 의하여 배수공(90)으로 분출되는 물이 둔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공간(126)의 하단에 공지의 온풍기(106)를 장착하고 이 온풍기(106)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은 상기 히터(8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에 병렬연결하며, 그 스위치(127)는 제2(바)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석(107)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그 한계점에 도달하는 온수기(87)의 내벽돌출부(47)에 장착하여 자석(107)이 스위치(127)에 접하면서 좀더 밀어주면 ON이 되고, 자석(107)이 스위치(127)에서 분리되면 OFF 되도록 구성한다.
공간(126)의 상단 좌측에는 온풍이 나오는 온풍관(128)을 연결하며, 이 온풍관(128)은 배수로(36)에 연결하여 배수로(36)에서 온풍이 배출되도록 하고, 공간(126)의 상단 우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관(129)이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이 온수기(87)를 배수관(37)의 하단 결합관(86)에 결합한 다음 수세식변기(28)의 물탱크(24)에 장착하면 비대(A)가 되는데 이 비대(A)의 물의 양을 조절하며 온풍을 발생하는 곳은 제2도(바)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마) 및 제2도(바)에서 보는바와 같이 온수기(87)의 공간(126)에 자석(107)이 장착된 T자형 레버(108)를 내장하고 그 상단(48)을 공간(126)의 상단 측면과 수세식변기(28) 벽면의 구멍(46)에 핸들(109)을 축설하여 그 축(110)에 고정시킨 레버(108)의 상단(48)이 축(110)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시켜서 핸들(109)을 돌리면 자석(107)이 장착된 T자형 레버(108)도 같이 회전하면서 자석(107)이 자석(96)에 근접할 때 두 자석(107)(96)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며 자석(96)과 자루(94)이 밀리기 때문에 밸브(93)가 열리도록 두 자석(107)(96)의 자극방향을 결정하고, 핸들(109)은 수세식변기(28)의 외부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성한다.
공간(126)의 하단에 공지의 온풍기(106)를 장착하고 이 온풍기(106)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은 상기 히터(88)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에 병력연결하며, 그 스위치(127)는 자석(107)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한계점의 벽면(47)에 장착하여 자석(107)이 스위치(127)에 밀착되면서 스위치(127)를 더 밀어주면 스위치(127)가 ON이 되고, 자석(107)이 스위치(127)에서 분리되면 스위치(127)가 OFF가 되도록 구성한다.
공간(126)의 하단에 있는 온풍기(106) 위쪽에 있는 벽(149)은 흡입관(129)에서 흡입된 찬 공기가 온풍기(106)에서 가열된 뜨거운 공기의 순환이 잘되도록 돕는 칸막이 일 뿐이다.
공간(126)의 상단과 배수로(36)를 온풍관(128)이 연결하여 온풍이 배수로(36)로 배출되도록 하고, 공간(126)의 상단에는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관(129)을 연결하도록 구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제1도(가) 및 제2도(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관(15)으로 물을 공급하면 피스톤(4)이 하강하면서 이 피스톤(4) 하단이 패킹(3)에 밀착되므로 배수관(37)이 완전 밀폐되기 때문에 급수관(15)에서 공급된 물이 급배수관(16)을 통해 물탱크(24)로 들어가며 그 밑에서부터 고이는 물이 물탱크(24)의 위쪽에 있는 공기를 압축하며 물이 계속 물탱크(24)로 들어간다.
이와 같이 들어가는 물로 인하여 물탱크(24) 위에서 압축된 공기의 압력과 급수관(15)에서 공급되는 물의 수압이 같게 되면 급수관(15)에서 공급되는 물은 물탱크(24)로 더 들어가지 못하고 멎게 된다.
이와 같이 상태에서 물탱크(24) 상단에 압축된 공기의 압력을 받으며 물탱크(24)에 고여있는 물에는 언제나 급배수관(16)을 통해 배출되려는 고압의 압력이 작용하게 된다.
급수관(15)에서 물이 공급되면 피스톤(4)이 배수관(37) 쪽으로 이동하면서 이 피스톤(4)의 하단이 패킹(3)에 밀착되는 것은 급수관(15)에서 공급되는 물이 배수관(37)으로 배출되려는 유압(流壓)과 급수관(15)에서 공급되는 물이 수직수로(12)와 수평수로(13)를 통해 실린더(1)와 피스톤(4)안으로 들어가면서 그 수압에 의하여 피스톤(4)을 배수관(37) 쪽으로 밀어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실린더(1)와 피스톤(4) 안으로 물이 많이 들어가면 피스톤(4)은 그 압력에 의하여 빨리 하강하면서 피스톤(4)의 하단이 패킹(3)에 빨리 밀착되므로 배수관(37)이 빨리 밀폐되기 때문에 배수관(37)으로 배출되는 물의 총량이 적어진다.
그리고 실린더(1)와 피스톤(4) 안으로 물이 조금 들어가면 피스톤(4)은 그 압력에 의하여 천천히 하강하면서 피스톤(4) 하단이 패킹(3)에 천천히 밀착되므로 배수관(37)이 천천히 밀폐되기 때문에 배수관(37)으로 배출되는 물의 총량이 많아진다.
이와 같이 수직수로(12)와 수평수로(13)를 통해 실린더(1)와 피스톤(4) 안으로 많은 물이 빨리 들어가도록 하기 위하여 볼트(14)를 돌리면서 수직수로(12)와 수평수로(13)가 많이 열리게 하면 많은 물이 실린더(1)와 피스톤(4) 내부로 빨리 들어가면서 피스톤(4) 하단이 패킹(3)에 빨리 밀착되므로 배수관(37)으로 배출되는 물의 총량이 적어진다.
그리고 수직수로(12)와 수평수로(13)를 통해 실린더(1)와 피스톤(4) 안으로 적은 물이 천천히 들어가도록 하기 위하여 볼트(14)를 돌리면서 수직수로(12)와 수평수로(13)가 조금 열리게 하면 적은 물이 실린더(1)와 피스톤(4) 내부로 천천히 들어가면서 피스톤(4)의 하단이 패킹(3)에 천천히 밀착되기 때문에 배수관(37)으로 배출되는 물이 총량이 많아진다.
이와 같이 배수관(37)으로 배출되는 물의 총량을 조절하는 기본적인 방법은 볼트(14)를 여닫는 정도에 때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14)를 돌려가면서 배수관(37)으로 물이 배출되는 총량을 기본적으로 조절한 상태에서 대변을 세척할 때는 많은 물이 필요하므로 배수관(27)으로 많은 물이 배출되도록 조절해야 하며, 소변을 세척할 때는 적은 물이 필요하므로 배수관(37)으로 적은 물이 배출되도록 조작해야 하는데 그 조작방법은 다음의 제2도(가)(라)에서 보는 바와 같다.
제2도(가)(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변을 세척할 때는 레버(44)를 대변이라는 의미의 『대』자 쪽으로 밀어주면서 레버(44)가 너트(41)에 접하도록 하면 레버(44)의 하단(43)이 축(21)을 중심으로 하여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밸브(7)의 자루(8)를 많이 밀어주기 때문에 밸브(7)가 많이 열리며, 피스톤(4) 안에 있던 물이 많이 배출되므로 피스톤(4)은 그 위쪽 수압이 낮아지면서 많이 상승한다.
이와 같이 많이 상승한 피스톤(4)의 하단이 패킹(3)에서 많이 분리되기 때문에 물이 배수관(37)으로 배출되며, 이와 동시에 수직수로(12)와 수평수로(13)를 통해 물이 실린더(1)와 피스톤(4) 내부로 들이가는 까닭에 피스톤(4)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면서 피스톤(4)을 배수관(37) 쪽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4)이 배수관(37)쪽으로 밀리면서 피스톤(4)의 하단이 패킹(3)에 밀착될 때까지는 많은 시간이 소요되므로 배수관(37)으로 배출되는 물의 총랑이 많아진다.
대변을 세척할 때 더 많은 물이 나오기를 원하면 너트(41)를 돌리면서 왼쪽으로 밀리게 하면 레버(44)의 회전각이 커지며 하단(43)이 밸브(7)의 자루(8)를 많이 밀어주기 때문에 배수관(37)에서 배출되는 물이 많아지는데 그 작용원리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그리고 이 물은 급수관(15)에서 공급되는 물과 물탱크(24)에 고여있던 물이 압축공기에 의하여 고압으로 압출(壓出)되는 물이기 때문에 저압의 물로 세척하는 것 보다 세척이 더 잘되므로 저압의 물로 세척하는 것 보다 깨끗하게 대변을 세척하면서 저압의 물로 세척할 때보다 더 많은 물을 절약 할 수 있다.
배수관(37)에서 배출되는 물의 일부는 배수로(36)로 배출되고, 일부는 배수로(25)와 배수로(26)로 배출되면서 변기를 세척하며, S자형의 배수로(27)에 고인 물은 정화조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한다.
소변을 세척할 때는 레버(44)를 소변이라는 의미의 『소』자 쪽으로 밀어주면서 레버(44)가 너트(40)에 접하도록 하면 레버(44)의 하단(42)이 축(21)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밸브(7)의 자루(8)를 조금 밀어주기 때문에 밸브(7)가 조금 열린다.
이와 같이 밸브(7)가 조금 열리면 피스톤(4) 안에 있던 물이 조금 배출되므로 피스톤(4)은 그 위쪽의 수압이 조금 낮아지면서 피스톤(4)이 조금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금 상승한 피스톤(4)의 하단이 패킹(3)에서 조금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배수관(37)으로 배출되며, 이와 동시에 수직수로(12)와 수평수로(13)를 통해 물이 실린더(1)와 피스톤(4) 내부로 들어가면 피스톤(4)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는 까닭에 피스톤(4)이 배수관(37) 쪽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와 같이 피스톤(4)이 배수관(37) 쪽으로 밀려나면서 그 하단이 패킹(3)에 밀착될 때까지 단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배수관(37)으로 배출되는 물의 총량이 적어진다.
소변을 세척할 때 더 많은 물이 나오기를 원하면 너트(40)를 돌리면서 오른쪽으로 밀리게 하면 레버(44)의 회전각이 커지며 하단(42)이 밸브(7)의 자루(8)를 많이 밀어주기 때문에 많은 물이 배출된다.
그리고 이 물은 급수관(15)에서 공급되는 물과 물탱크(24)에 고여있던 물이 고압으로 압출(壓出)되는 물이기 때문에 저압의 물로 세척하는 것 보다 세척이 더 잘되므로 깨끗하게 소변을 세척하면서 저압의 물로 세척하는 것보다 많이 절수 할 수 있다.
배수관(37)에서 배출되는 물의 일부는 배수로(36)로 배출되고, 일부는 배수로(25)와 배수로(26)로 배출되면서 변기를 세척하며, S자형의 배수로(27)에 고인 물은 정화조에서 올라오는 악취를 차단한다.
상수도 사정에 의하여 급수관(15)에 공급되는 물이 적던가 수압이 약하더라도 물탱크(24)에 고여 있던 많은 물이 고압으로 압출되기 때문에 변기를 깨끗이 세척할 수 있다.
레버(44)의 위치를 겉 뚜껑(30)의 뒤쪽 중앙에 설치하였기 때문에 수세식변기(28)에 앉아서 대·소변을 볼 때는 레버(44)를 조작할 수 없으므로 수세식변기(28)에 앉아서 대·소변을 보면서 소리나는 민망함을 감추기 위하여 물을 배출시킬 경우에 발생하는 물의 낭비를 막을 수 있다.
제2도(나)(다)의 작용원리도 제2도(가)의 작용원리와 동일하므로 그 전체의 설명은 생략하며, 다만 제2도(다)의 작용원리 중 제2도(가)의 작용원리와 상이한 작용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제2도(다)에서 보는 바와 같이 용변이 끝난 다음에 소변을 세척할 때는 물이 적어도 되므로 소변을 세척하기 위하여 레버(22)의 상단을 시계방향으로 그 한계점까지 밀어주면 레버(22)의 하단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밀대(19)를 조금 밀어주기 때문에 밀대(19)의 구멍(35)에 삽입되어 있는 밸브(7)의 자루(8)가 같은 방향으로 밀리면서 밸브(7)가 조금 열린다.
밸브(7)가 조금 열리면 실린더(1)와 피스톤(4) 안에 있던 물이 조금 배출되기 때문에 피스톤(4) 내부의 수압이 조금 낮아지므로 피스톤(4)이 조금 상승하면서 피스톤(4)의 하단이 패킹(3)에서 조금 분리되는 까닭에 배수관(37)으로 배출되는 적은 물이 소변을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용변이 끝난 다음에 대변을 세척할 때는 물이 많아야 되므로 대변을 세척하기 위하여 레버(22)의 상단을 반 시계방향으로 그 한계점까지 밀어주면 레버(22)의 하단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밀대(19)를 같은 방향으로 많이 밀어주기 때문에 밀대(19)의 구멍(35)에 삽입되어 있는 밸브(7)의 자루(8)가 같은 방향으로 밀리며 밸브(7)가 많이 열리면서 실린더(1)와 피스톤(4) 안에 있던 물이 많이 배출되기 때문에 피스톤(4) 내부의 수압이 많이 낮아진다.
이와 같이 내부의 수압이 많이 낮아진 피스톤(4)은 많이 상승하면서 피스톤(4)의 하단이 패킹(3)에서 많이 분리되므로 배수관(37)으로 배출되는 많은 물이 대변을 세척하게 된다.
그리고 제2도(나)의 작용원리 중 제2도(가)의 작용원리와 상이한 작용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제2도(나)(마)(바)에서 보는 바와 같이 온수기(87)를 물탱크(24)안에 내장시킨 비대(A)를 사용할 때는 필터(99)에 의하여 정화된 깨끗한 물이 호스(98)를 통해 온수기(87)에 공급되는데 온수를 사용할 때는 전원을 연결한 다음 대변을 보려고 속 뚜껑(39)에 앉게 되면 체중에 의해 스위치(122)가 ON이 되면서 히터(88)에는 전력이 공급되면서 온수기(87) 안에서 물이 가열된다.
용변이 끝난 다음 온수로 둔부를 세정하려고 핸들(109)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자석(107)이 자석(96)에 접근되면서 두 자석(107)(96) 사이에서 작용하는 척력에 의하여 자석(96)과 자루(94)가 시계방향으로 밀리면서 밸브(93)가 열리기 때문에 수압에 의하여 배수공(90)으로 분출되는 온수가 둔부를 세정하게 된다.
히터(88)에 의해 가열된 물은 대류현상에 의해 언제나 수면으로 올라가면서 뜸통(104)의 급수공(103)으로 들어간 온수가 호스(101)를 통해 배수관(89)에 공급되며, 이 온수가 핸들(109)의 조작에 의해 밸브(93)를 열릴 때 배수공(90)으로 분출되는 온수가 둔부를 세정한다.
둔부의 세정이 끝난 다음 제2도(바)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간(126)의 하단에 있는 온풍기(106)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핸들(109)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자석(107)이 스위치(127)를 밀어주면 ON 이 되면서 온풍기(106)에서 가열된 온풍이 온풍관(128)을 통해 배수로(36)로 배출되며 둔부를 건조시킨다.
그 다음 핸들(109)을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자석(107)이 스위치(127)에서 분리되며 OFF가 된다.
스위치(127)를 OFF 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변기에서 일어서면 속 뚜껑(29)이 약간 들리며 스위치(122)가 원상복귀 되므로 전원이 자동으로 차단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위에서 본 바와 같이 고압의 물로 대·소변을 구분하여 적정량의 물로 세척하며, 물탱크에 저장된 고압의 물로 세척하므로 깨끗이 세척하면서 절수효과가 탁월하고, 그 수량 조절이 용이하며, 변기, 물탕크, 밸브가 일체로 통합되어 시공이 쉽고, 용변 중에는 배수시킬 수 없기 때문에 그만치 절수가 되며,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되면서 비대의 기능이 있어 더욱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작용효과가 있다.
제1도(가)는 본 발명 수세식변기의 절개 사시도
제2도(가)는 본 발명 수세식변기의 종단명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나)는 본 발명 비데 수세식변기 종단명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다)는 본 발명 수세식변기의 종단명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라)는 본 발명 레버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마)는 본 발명 비데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바)는 본 발명 온풍기의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2)

  1. 원통형 실린더(1)하단의 배수관(37)에 형성된 환형턱(2)위에 패킹(3)을 놓은 다음 실린더(1) 내부에 피스톤(4)을 내장시키되 이 피스톤(4)의 외주 요홈에 V패킹(11)을 끼우고, 피스톤(4)하단의 환형턱(5)위에 끼운 패킹(6)위에서 환형턱(5)을 관통시킨 자루(8)가 있는 밸브(7)를 스프링(9)이 밀어주도록 고정판(10)을 피스톤(4)의 내벽 암나사에 결합하며, 실린더(1) 상단에 패킹(33)이 끼워진 뚜껑(23)을 결합하고, 실린더(1)의 후면에 형성된 급수관(15)에서 분기된 수직수로(12) 및 수평수로(13)를 실린더(1)의 벽면에 천공하며, 이 수직수로(12)와 수평수로(13)의 교차점에서 오링(32)이 끼워진 볼트(14)를 수직수로(12)의 상단 암나사에 결합하고, 급수관(15)밑에 형성된 급배수관(16)에 구멍(18)이 있는 관(17)을 결합하며, 실린더(1)의 전면에 축(21)으로 축설한 레버(44)의 축(21) 위에 연질관(20)을 장착하고, 레버(44)의 뒤쪽 실린더(1)의 외벽에 고정시킨 거리조정볼트(39)에 너트(40)(41)를 결합하며, 레버(44)의 두 하단(42)(43) 사이에 밸브(7)의 자루(8)가 위치하도록 하고, 실린더(1)의 배수관(37)은 S자형의 배수로(27)와 속 뚜껑(29) 및 겉 뚜껑(30)이 있는 수세식변기(28)의 배수로(36)에 장착하고, 수세식변기(28) 밑에 형성된 물탱크(24)의 상단 구멍(50)에 오링(121)이 끼워진 상기 관(17)을 삽입한 다음 뚜껑(51)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
  2. 제1항에 있어서 배수관(37)하단의 결합관(86)에 히터(88)와 온풍기(106)가 장착된 온수기(87)의 상단을 결합하되 히터(88)와 온풍기(106)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선이 연결된 스위치(122)를 수세식변기(28) 상단에 속 뚜껑(29)이 근접하도록 장착하며, 배수관(89) 상단에 배수공(90)이 있는 환현턱(91) 밑면에 끼운 패킹(92)에 자루(94)가 형성된 밸브(93)가 접하도록 스프링(95)으로 탄지 시키고, 자루(94)하단에 자석(96)을 고정시키며, 필터(99)가 연결된 호스(98)를 온수기(87)의 하단 뚜껑(100)에 연결하고, 온수기(87)의 공간(126)에 자석(107)이 장착된 T자형 레버(108)를 장착하되 그 상단(48)을 온수기(87)상단 벽면과 수세식변기(28)의 벽면에 천공된 구멍(46)에 축설한 핸들(109)의 축(110)에 결착하며, 두 자석(107)(96) 사이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석(107)을 장착하고, 공간(126) 하단에 장착한 온풍기(106)에 연결된 스위치(127)를 온수기(87)의 내벽돌출부(47)에 장착하고, 온수기(87)의 공간(126) 상단과 배수로(36)를 온풍관(128)으로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
KR10-2002-0015204A 2002-03-17 2002-03-17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 KR100484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204A KR100484454B1 (ko) 2002-03-17 2002-03-17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15204A KR100484454B1 (ko) 2002-03-17 2002-03-17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129A KR20030075129A (ko) 2003-09-22
KR100484454B1 true KR100484454B1 (ko) 2005-04-28

Family

ID=32225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5204A KR100484454B1 (ko) 2002-03-17 2002-03-17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44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751B1 (ko) * 2018-02-01 2019-07-04 권춘화 누수방지기능을 갖는 소변기용 후레시 밸브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929A (en) * 1987-05-01 1989-03-01 Energy Support Corp Water saving device for water closet
KR940002531A (ko) * 1992-07-17 1994-02-17 박연수 절수용 다기능 수도전
JPH0960749A (ja) * 1995-08-22 1997-03-04 Kazumi Doiuchi 節水コマ及びこれを用いるフラッシュバルブ
KR970065916A (ko) * 1996-10-04 1997-10-13 박연수 자동절수용 수세식 변기
KR20000015557U (ko) * 1999-01-08 2000-08-05 송공석 대변기용 급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00055744A (ko) * 1999-02-07 2000-09-15 박연수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KR100274817B1 (ko) * 1997-07-14 2000-12-15 박연수 자동 수세식 변기
KR20020062086A (ko) * 2001-01-17 2002-07-25 박연수 절수를 위한 승압용 후레쉬 밸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2929A (en) * 1987-05-01 1989-03-01 Energy Support Corp Water saving device for water closet
KR940002531A (ko) * 1992-07-17 1994-02-17 박연수 절수용 다기능 수도전
JPH0960749A (ja) * 1995-08-22 1997-03-04 Kazumi Doiuchi 節水コマ及びこれを用いるフラッシュバルブ
KR970065916A (ko) * 1996-10-04 1997-10-13 박연수 자동절수용 수세식 변기
KR100274817B1 (ko) * 1997-07-14 2000-12-15 박연수 자동 수세식 변기
KR20000015557U (ko) * 1999-01-08 2000-08-05 송공석 대변기용 급수밸브의 배수량 조절장치
KR20000055744A (ko) * 1999-02-07 2000-09-15 박연수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KR20020062086A (ko) * 2001-01-17 2002-07-25 박연수 절수를 위한 승압용 후레쉬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5129A (ko) 200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KR200360731Y1 (ko) 양변기의 자동 물내림장치
CN113550395A (zh) 大小便分通道排放的节水座便器
KR100484454B1 (ko)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
CN105696668A (zh) 一种基于电子和手动分别控制的电子马桶
CN104988973A (zh) 节水马桶
KR100499662B1 (ko) 절수가 가능한 변기
CN209144939U (zh) 一种排气装置及具有排气功能的马桶
CN203270752U (zh) 活塞式超节水坐便器
CN105672430A (zh) 一种电子式控制的智能马桶
CN205382543U (zh) 一种基于电子和手动分别控制的电子马桶
KR920008183B1 (ko) 수세식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0455687Y1 (ko) 여성용 수세식 변기
KR200262753Y1 (ko) 수세식 절수 변기
CN215630469U (zh) 大小便分通道排放的节水座便器
KR100308571B1 (ko)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CN204781233U (zh) 一种速热式智能座便器
KR920008182B1 (ko) 양변기의 악취 배출장치
KR20050050967A (ko) 대,소변용 세척수의 분리 배수형 양변기
CN213477062U (zh) 坐便器
KR20020076031A (ko) 좌변기의 급배수 장치
KR0140372Y1 (ko) 절수용 변기
KR100700306B1 (ko) 절수용 소변기
KR200338353Y1 (ko) 악취 제거용 양변기
KR200332451Y1 (ko) 물 절약형 사이폰 없는 평저(平底) 실내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