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8571B1 -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 Google Patents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8571B1
KR100308571B1 KR1019990004530A KR19990004530A KR100308571B1 KR 100308571 B1 KR100308571 B1 KR 100308571B1 KR 1019990004530 A KR1019990004530 A KR 1019990004530A KR 19990004530 A KR19990004530 A KR 19990004530A KR 100308571 B1 KR100308571 B1 KR 100308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ipe
water supply
valve
drai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4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5744A (ko
Inventor
박연수
Original Assignee
박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수 filed Critical 박연수
Priority to KR1019990004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8571B1/ko
Publication of KR20000055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5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8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85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3/00Flushing devices operated by pressure of the water supply system flushing valves not connected to the water-supply main, also if air is blown in the water seal for a quick flushing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소변기용 후레시밸브와 수도전의 개폐에 관한 기술로서 대소변기의 고장을 최소화하며 체중이나 소변의 중량에 의해 자동개폐케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수압에너지를 압축공기로 축적했다가 고압의 물을 압출시켜 적은 물로 세척하며, 고인 물이 없어 용변시 물 튐을 막고, 토수구를 변위와 많은 절수 및 생산원가를 절감하기 위해 발명한 것이다.
그 주요 구성은 『공간(16)과 돌출기(20)가 있는 배수관(1)의 환형턱(3) 평면에 끼운 패킹(4)에 밸브집(75)의 후렌지(108)과 접하도록 배수관(1)에 장입시킨 밸브집(75)의 환형턱(74)평면에 패킹(8)을 끼우고, 스프링(15)으로 탄지시킨 밸브(5)의 자루(6)를 배수공(2)에 삽설한 다음 구멍(76)있는 뚜껑(77)을 나합하며, 밸브집(75)상단에 U패킹(7)을 끼우고, 배수관(1)나사에 볼트(109)가 나합된 뚜껑(78)을 나합하며, 배수관(1)에서 분기된 급수관(32)에 연결관(34)을 결합하며, 구멍(175)이 천공된 조정급수관(79)에 조정볼트(80)을 나합하는 급지수부(가)를 구성하고, 롤러(19)가 축설된 레버(14)의 구멍(51)에 구멍(52)(53)을 관통한 축(13)을 관통고정시키며 축(13)양단에 각각 팔(21)(22)을 관삽고정시키고, 두 팔(21)(22)에 각각 축(28)(29)을 축설하고 이 수평부에 비대(66)와 비대뚜껑(67)을 관삽하며, 축(28)(29)하단에 스프링판(35)(35')을 탄지하고 배수관(1)양측구멍(155)(155')을 관통한 축(72)이 밀대(158)의 구멍(156)(156')을 관통 고정시키고, 축(72)의 양단에 관삽고정시킨 밀대(37)(37')를 걸림대(71)로 연결하며, 변기(38)의 압축실(9)에 연결관(34)을 연결한 양변기와 상기 급지수부(가)의 돌출기(20) 공간(16)에 일방치차(82)의 톱니가 자루(6)에 근접토록 일방치차(82)와 역회전방지판(107)을 장착하고, 축받이(85)에 스프링(89)과 물통(99)있는 레버(90), 갈고리(84)를 축설한 소변기』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고장이 적고, 변기바닥에 물이 없어 물툼이 없고, 많은 물을 절수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AAAAA}
본 발명은 대소변기용 후레시밸브의 고장을 최소화하며 체중이나 소변의 중량에 의해 자동개폐됨으로써 사용이 간편하고, 수압에너지를 압축공기에 축적했다가 고압의 물을 압출시킴으로써 적을 물로 세척하며, 변기바닥에 고인 물이 없애서 용변시 물 튐을 방지하는 대소변기와 토수구를 임의로 변위(變位)케 하면서 많은 절수와 생산원가를 절감하는 수도꼭지를 개발할 목적으로 발명한 것이다.
종래의 양변기는 큰 물탱크가 있어 많은 공간을 점유하며 그 안의 내장품으로 고장이 빈발했고, 후레시밸브는 물이 들어가면서 수압차를 해소하는 가는 구멍이 자주 막히는 고장이 많고, 변기바닥에 고여있는 물이 대변 볼 때 튀며, 사용할 때마다 13리터의 많은 물을 소비하는 문제가 있었고, 수도꼭지도 많은 물을 낭비할 뿐만 아니라 토수구가 고정되어 사용이 불편했던 많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많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의 양변기에 있었던 물탱크와 그 안에 내장되던 싸이폰과 볼탑 및 레버를 제거함으로써 고장의 원인을 없애고,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하면서 넓은 공간을 확보하며, 변기 바닥에 고인 물이 없는 상태에서 용변을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 튐이나 소음을 없애면서 세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변기에 앉는 순간 소량의 물이 자동으로 나왔다 멎으면서 변기바닥을 적셔줌으로써 세척을 용인케 하며, 급수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압축되는 공기가 물을 고압으로 압출(壓出)시키기 때문에 소량의 물로 변기를 세척케 하고, 압출되는 물의 양을 임의로 조절하며, 소변기는 소변의 중량에 의하여 세척용 물이 급수되면서 세척하며, 수도꼭지는 몸통을 임의로 회전시키면서 토수구의 위치를 변위하며, 주물은 물론 용접으로 제작함으로써 생산원가를 크게 절감하면서 위에 열거한 문제를 개선케 한 발명이다.
제1도(가)는 본 발명 양변기의 전체 사시도
제1도(나)는 본 발명 양변기의 자동개폐부 사시도
제1도(다)는 본 발명 양변기의 자동개폐부 절개도
제2도(가)는 본 발명 양변기의 전체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나)는 본 발명 양변기의 요부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다)는 본 발명 양변기의 요부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라)는 본 발명 소변기의 전체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마)는 본 발명 수도꼭지의 전체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바)는 본 발명 수도꼭지 몸통부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제2도(사)는 본 발명 수도꼭지 토수부 횡단면도
제2도(아)는 본 발명 소변기 종단면도 및 작용원리도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근본적으로 개선키 위하여 발명한 것이데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가)(나)(다)(라) 및 제2도(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간(16)과 돌출기(20)가 형성된 배수관(1)의 내벽 환형턱(3) 좌측평면에 패킹(4)을 끼우고 이 패킹(4)에 밸브집(75)의 후렌지(108)가 접하도록 밸브집(75)을 배수관(1)에 장입시킨다.
밸브집(75)의 환형턱(74) 좌측평면에 패킹(8)을 끼우고 밸브(5)의 자루(6)를 배수공(2)에 삽설한 다음 스프링(15)으로 밸브(5)를 탄지시킨 상태에서 구멍(76)이 있는 뚜껑(77)을 나합한 이 밸브집(75)의 상단외부에 U패킹(7)을 끼우고, 밸브집(75)을 배수관(1)안에 삽설하고나서 배수관(1)암나사에 볼트(109)가 나합된 뚜껑(78)을 나합한다.
배수관(1)에서 분기된 급수관(32)에 연결관(34)을 연결하고, 조정급수관(79)암나사에 조정볼트(80)를 나합하며 조정급수관(79) 측면에 구멍(175)을 천공하여 조정급수관(79)과 배수관(1)을 연결하는 급지수부(給止水部)(가)를 구성한다.
그리고 구멍(51)이 있는 레버(14)의 두 축받이(17)(17') 사이에 롤러(19)를 축(18)으로 축설한 다음 레버(14)의 구멍(51)쪽을 돌출기(20)의 공간(16)에 삽입하여 구멍(51)이 두 축받이(12)(23)의 구멍(52)(53)과 일직선상에 있게 하고, 요홈에 오링(26)(27)이 끼워진 축(13)이 이들 3구멍(52)(51)(53)을 관통하도록 삽설하며, 축(13)과 레버(14)가 헛돌지 않도록 볼트(11)를 나합하고, 축(13)과축받이(12)(23) 사이에서는 오링(26)(27)에 의해 물이 새지 않게 하되 축(13)의 중심점을 중심으로 하여 롤러(19)의 먼 쪽 원주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호(A)와 밸브(5)의 위쪽을 중심으로 하여 자루(6)의 끝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호(C) 및 밸브(5)의 아래쪽을 중심으로 하여 자루(6)의 끝까지를 반경으로 하는 호(B)를 그릴 때 이들 호(A)(C)(B)가 도면과 같이 교차되도록 구성한다.
축받이(12)쪽 축(13)에는 팔(21)의 구멍(58)을 관삽하고 볼트(24)를 나합하여 축(13)과 팔(21)이 헛돌지 않도록 고정시키며, 축받이(23)쪽 축(13)에는 팔(22)의 구멍(65)을 관삽하고 볼트(25)를 나합하여 축(13)과 팔(22)이 헛돌지 않게 고정시킨 다음 두 팔(21)(22)의 끝쪽 측면에 ㄱ자형의 두 축(28)(29)의 수평부에 비대(66)와 비대뚜껑(67)의 구멍을 관삽하고, 구멍(70)이 천공된 축(28)의 수직부를 구멍(70)을 통해 팔(21)에 축(30)으로 축설하며, 구멍(70')이 천공된 축(29)의 수직부를 구멍(70')을 통해 팔(22)에 축(31)으로 축설한 다음 두 축(28)(29)의 수직부 하단을 각각 스프링판(35)(35')으로 탄지 시킨다.
배수관(1)의 양측면 구멍(155)(155')을 관통하는 축(72)이 배수관(1)내부에 내장한 밀판(73)있는자형 밀대(158)의 구멍(156)(156')을 관통케하고, 축(72)과 밀대(158)가 겉돌지 않게 볼트(190)(190')를 나합하며, 구멍(155)(155')과 축(72)사이에 오링(157)(157')처리하여 물이 새지 않게하고, 구멍(155)(155')바깥으로 나온 축(72)양단에자형 밀대(37)의 양쪽 하단 구멍(159)(159')을 관삽시켜 축(72)과 밀대(37)(37')가 겉돌지 않도록 볼트(160)(160')를 나합한다.
그리고 밀대(37)(37')의 중간을 연결하는 걸림대(71)가 축(28)(29)의 수평부상하(上下)에서 전·후진하는 조작부(나)를 구성한다.
S자형 배변구(39)가 있는 변기(38)의 하단에 형성된 압축실(9)의 상하 두 구멍에 각각 볼트관(63)과 급수관(10)을 연결 고정시키고, 변기(38) 양측면턱에 스프링판(35)(35')을 볼트(36)(36')로 고정시킨 변기(38)위에 변기덮개(40)를 덮는 변기부(다)를 구성한다.
그리고 S자형의 배변구(39)에 물이 고이는 부분이 짧게 한다.
급수관(32)에 나합된 연결관(34)을 볼트관(63)에 삽입하고 오링(33)을 끼운 다음 대너트(64)를 나결하며 연결관(34)의 하단과 압축실(9)의 바닥사이에 공간이 생기도록 한다.
제2도(나)(다)는 제2도(가)와 같은 구성에서 배수관(1)을 포함하는 급지수부(가)를 수직으로 구성한 것으로써 제2도(나)는 레버(14)의 축받이(17)(17')와 축(18), 롤러(19)를 제거해도 되고, 있어도 된다.
제2도(다)는 비대(66)와 이를 연결하는 부품의 위치와 방향이 제2도(나)와 좌우 대칭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간(16)과 돌출기(20)가 형성된 배수관(1)내벽 환형턱(3)의 상면에 바킹(4)을 끼우고 그 상면에 밸브집(75)의 후렌지(108)가 접하도록 한다.
밸브집(75)의 환형턱(74)의 상면에 패킹(8)을 끼우고 밸브(5)의 자루(6)를 배수공(2)에 삽설한 다음 비중 1이하의 역류방지공(105)을 놓고, 구멍(76)이 있는 뚜껑(77)을 나합하며, 밸브집(75)의 상단외부에 U패킹(7)을 끼운 밸브집(75)을 배수관(1)안에 삽설한다.
배수관(1)에서 분기된 급수관(32)에 연결관(34)을 나합하고, 조정급수관(79) 암나사에 조정볼트(80)를 나합하며, 조정급수관(79)상단측면에 구멍(175)을 천공하여 배수관(1)에 연결 한 다음 배수관(1) 암나사에 볼트(109)가 나합된 뚜껑(78)을 나합 고정시킨다.
돌출기(20)의 공간(16)에 일방치차(82)를 축(83)으로 축설하되 일방치차(82)가 회전할 때 각 톱니는 자루(6)를 밀어낼 수 있도록 하며, 돌출기(20)의 내벽면에 고정된 탄성 있는 역회전방지판(107)이 일방치차(82)의 역회전을 방지하게 구성한다.
돌출기(20)의 상단부 벽면의 구멍에 공지의 누름단추(177)를 설치하여 누름단추(177)의 끝이 자루(6)를 밀어주도록 구성한다.
축받이(85)에 스프링(89)과 함께 축(86)으로 축설한 레버(90)를 스프링(89)이 탄지하며, 레버(90)에 축(88)으로 축설한 갈고리(84)가
유도관(170)의 측면 구멍을 관통한 상태에서 일방치차(82)의 톱니에 밀착되도록 스프링(87)으로 탄지 시킨다.
돌출기(20) 하단에 유도관(170)을 나합하고 이 유도관(170)을 소변기(106)의 상단 배수관(92)위에 고정시키며, 급수관(32)과 연결관(34)은 소변기(106)의 최상단 구멍에 삽입 고정시킨다.
배수관(92)에는 배수공(91)이 다수 천공되어 물이 소변기(106)에 고루 배분되도록 구성한다.
배수관(93)에 물받이(95)가 있는 결합관(94)을 나합하여 배수관(93)끝이 물받이(95)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며, 결합관(94)에 형성된 축받이(96)에 축(97)으로 제어판(98)을 축설하여 이 제어판(98)이 중력에 의해 수직하방으로 드리워지도록 한다.
레버(90)의 끝에 형성된 물통(99)의 우측면에 자석(102)을 고정시키고, 소변기(106)의 내벽측면에 자석(103)을 고정시켜서 자석(102)(103) 사이에 인력이 작용토록 자극의 방향을 결정한다.
물통(99)바닥구멍에 밸브(101)의 자루(100)를 삽설하고 밸브(101)가 이탈되지 않도록 망(176)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소변기(106)의 바닥에 걸림판(104)을 설치한다.
제2도(마)(바)(사)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통(110) 전후에 수도꼭지(111)와 샤워관(137)을 형성시키고 수도꼭지(111)에 오링(119)을 끼운 배수관(113)을 밀삽시킨 다음 환형턱(112)의 좌측평면에 패킹(8)을 끼우고 밸브(5)의 자루(6)를 삽설한다.
그 다음 측면갈고리(178)가 형성된 레버(118)의 상단(120)이 자루(6)밑에 있도록 레버(118)를 레버요홈(114)에 삽입하고 ∩자형축(117)을 축요홈(115)에 밀삽시켜서 ∩자형축(117)의 하단이 축요홈(115)의 하단 턱에 고정되게 한다.
자석(121)과 스프링(160)을 수도꼭지(111)에 내부에 넣어 밸브(5)를 탄지시킨 다음 후렌지(133)와 냉수관(135) 및 온수관(136)이 형성된 급수관(132)의 외주면 요홈에 오링(131)을 끼우고 나서 이 급수관(132)을 몸통(110)내부에 밀삽시킨다.
급수관(132)상면에 공지의 카트리지를 장착하던가 아니면 공지의 카트리지용 부품인 고정판(123)과 조정판(124)을 올려놓고 이 조정판(124)위에 핸들(129)이 축받이회전관(127)의 내부에서 축(128)으로 축설된 축받이 회전관(127)을 차례로 잘 맞추어 넣는다.
그 다음에 배수공(122)이 다수 천공되고 후렌지(171)가 형성된 축받이 너트(125)의 외주면 요홈에 오링(126)을 끼우고 이 축받이너트(125)를 몸통(110)의 상단 내부로 밀삽시키면서 급수관(132)의 상단 숫나사에 나합한다.
축받이회전관(127)의 원반에 핸들카버(130)를 결합하고, 핸들카버(130)의 측면공을 통해 손잡이(146)를 핸들(129)암나사에 나합한다. 급수관(132)하단 나사에 체결너트(134)를 나합하고, 냉수관(135) 및 온수관(136)끝에 각각 연결관(149)를 연결한다.
샤워관(137) 암나사에 오링(172)을 끼운 엘브(147)를 나합하고, 이 엘브(147)의 수직관(139)암나사에 환형턱(172)이 형성된 내관(141)에 호스(143)와 체결너트(144)를 관삽하여 호스(143)가 해탈되지 않도록 한 다음 환형턱(172)에 패킹(140)을 올려놓고 그 위에서 밸브(138)의 자루(142)를 내관(141) 속으로 삽설하고 체결너트(144)를 수직관(139)의 암나사에 나합한다.
제2도(바)도 제2도(마)와 동일한 구성에서 냉수관(135)과 온수관(136) 및 구부(150)가 형성된 급수관(132)을 암나사가 형성된 수도꼭지의 몸통(110)내부에 삽입하고 급수관(132)에 관삽된 체결볼트(145)를 몸통(110)의 암나사에 나합한다.
그리고 몸통(110)의 상단 암나사에 체결볼트(144)를 나합하여 구부(150)를 중심으로 하여 몸통(110)이 상하좌우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배수공(122)이 다수 천동된 구부(150)의 내부공간에 있는 냉수관(135) 및 온수관(136)의 끝 평면에 공지의 카트리지를 장착하던가 아니면 공지의 카트리지 부품인 고정판(123)과 조정판(124)을 올려놓고 이 조정판(124)위에 핸들(129)이 축받이회전관(127)내부에서 축(128)으로 축설된 축받이회전관(127) 등을 차례로 잘 맞추어 넣은 다음에 축받이볼트관(173)을 구부(150)상단 암나사에 나합한다.
구멍이 있는 핸들카버(130)를 축받이회전관(127)의 상단에 결합하고 손잡이(146)를 핸들(129)의 암나사에 나합한다.
급수관(132)의 외주면 숫나사에 받침너트(148)와 체결너트(134)를 나합하며, 냉수관(135) 및 온수관(136) 끝에 각각 연결관(149)를 나합 연결한다.
제2도(사)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도꼭지(111)의 토수관(179)의 내벽면에 배수관(113)이 접하면서 더 이상 이동되지 못할 정도로 오링(119)이 끼워진 배수관(113)을 수도꼭지(111)안에 밀삽시킨 다음 환형턱(112)의 좌측평면에 패킹(8)을 끼우고 밸브(5)의 자루(6)를 삽설한다. 측면갈고리(178)가 형성된 레버(118)를 레버요홈(114)에 삽입하고 ∩자형축(117)을 축요홈(115)에 밀삽시켜 ∩자형축(117)의 하단이 축요홈(115)의 하단 턱에 고정되는 구성은 제2도(마)에서 상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비자성체로 구성된 배수관(1)의 내벽 환형턱(3) 하평면에 패킹(4)을 끼우고 그 밑에서 자석(188)이 관삽고정된 밸브(5)의 자루(6)를 배수공(2)에 삽설한 다음 스프링(15)으로 밸브(5)를 탄지시키고, 배수관(1)의 하단과 측면에 각각 연결관(34) 및 급수관(182)을 나합하며, 세면대(181)에 연결된 급수관(182)끝에는 레버(118)가 장착된 수도꼭지(111)를 결합한다.
세면대(181)의 배수구와 소변기(106)의 급수관(32)에서 공급되는 물을 배수공(91)이 다수 천공된 배수관(92)에 공급되도록 구성하고, 소변기(106)의 급수관(32)밑에 오링(182) 끼운 배수관(1)의 상단을 연결한다.
배수관(93) 둘레의 숫나사(193)에 물받이(95)가 있는 결합관(94)을 나합하여 배수관(93)끝이 물받이(95) 안으로 들어가도록 하며, 결합관(94)의 하단 구멍에 배수관(185)을 연결한다.
배수관(185)끝의 축받이(96)에 축(97)으로 제어판(98)을 축설하여 이 제어판(98)이 중력에 의해 수직하방으로 드리워지도록 한다. 물통(99)과 물통(184)의 중간에 위치한 분기판(194)의 구멍을 변기하부(189)의 양측벽면축받이에 축(86)으로 축설하여 자유롭게 씨이소 작용을 하도록 한다.
물통(99)의 바닥구멍에 밸브(101)의 자루(100)를 삽설하여 해탈되지 않도록 하고, 물통(184)의 바닥구멍에 밸브(195)의 자루(183)를 삽설하여 해탈되지 않도록 한다.
물통(184)의 하단공간에 자석(102)을 장착하여 두 자석(102)(188)사이에 인력이 작용토록 자극방향을 선정하고, 배수공(187)이 있는 소변물받이(186)의 고정판(191)의 좌측면에 자석(103)을 고정시키되 두 자석(102)(103)간에 인력이 작용토록 자극방향을 정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원리는 제2도(가)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급수관(10)을 수도관에 연결하여 물이 압축실(9)에 공급될 때 압축실(9)에 있는 공기를 압축해서 수압에너지가 압축공기에 축적된다.
압축공기의 압력이 압축실(9)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과 같게 되면 물이 공급되지 못하며, 압축실(9)의 안에 고여있는 물에는 항상 고압의 압력이 가해지기 때문에 물은 고압으로 압출(壓出)될 수 있는 상태로 변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대변을 보기 위해 비대(66)에 앉게 되면 체중에 의하여 축(28)(29)이 ↓표방향으로 하강하면서 스프링판(35)(35')이 휘게 되며, 레버(14)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다가 롤러(19)가 자루(6)에 접하면 자루(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밸브(5)가 열리므로 물이 나오게 된다.
이렇게 되면 배수관(1)안에 있던 물이 빠져 나오며 그 수압이 하강하므로 밸브집(75)외부의 수압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며, 동시에 급수관(32)에서는 물이 계속 공급되므로 밸브집(75)이 뚜껑(78)쪽으로 계속 밀리며 밸브집(75)의 후렌지(108)가 열리게 된다.
후렌지(108)가 연리게 되면 많은 물이 환형턱(3)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데 이와 같은 작용이 계속 진행되다가 롤러(19)의 끝과 자루(6)의 끝이 호(A)와 호(C)의 교차점에 이르게 되면 자루(6)가 롤러(19)에서 분리되므로 수압과 스프링(15)의 탄력에 의해 밸브(5)가 닫히며 물이 멎는다.
밸브(5)가 닫히면 구멍(17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이 밸브집(75)안에 고이면서그 수압이 상증하므로 밸브집(75)의 내부와 외부의 수압차(水壓差)가 감소되다가 그 수압차가 완전히 없어질 때 밸브집(75)이 정지된다.
그러나 구멍(175)을 통해 밸브집(75)으로 계속 들어가는 물 때문에 밸브집(75) 안쪽은 수압이 높아지고, 그 바깥쪽은 환형턱(3)의 구멍을 통해 물이 계속 배출되므로 수압이 낮아지며, 동시에 배출되는 물의 유속(流速)에 의하여 밸브집(75)이 환형턱(3)쪽으로 밀려가다가 후렌지(108)가 패킹(4)에 이르게 되면 밸브집(75)이 정지되면서 물이 멎게 된다.
따라서 밸브(5)가 열릴 때는 소량의 물이 배출되고 밸브집(75)안팍의 수압차에 의하여 후렌지(108)가 열리면 많은 물이 배출되는데 그 총 배출량은 밸브집(75)안팍의 수압차가 지속되는 시간에 정비례한다.
그러므로 총 배출량을 조정하려면 조정볼트(80)를 나해하여 구멍(175)과 조정급수관(79)을 많이 열어서 많은 물이 빨리 밸브집(75)안에 들어가도록 하면 수압차의 지속시간이 단축되므로 총 배출량은 적어지고, 조정볼트(80)를 나합하여 구멍(175)과 조정급수관(79)을 조금 열어서 적은 물이 천천히 밸브집(75)안으로 들어가게 하면 수압차의 지속시간이 연장되므로 총 배출량은 많아진다.
총 배출량을 조절하는 또 다른 방법으로 볼트(109)를 많이 나합하여 밸브집(75)의 이동거리를 단축하면 총 배출량이 감소된다.
조정볼트(80)를 많이 나해하면 많은 물이 통과하므로 구멍(175)이나 조정급수관(79)에 이물질이 끼여서 생기는 고장을 쉽게 고칠 수 있다.
이때 나온 물은 변기(38) 바닥을 적시므로 세척이 쉽게 만들어지며 변기(38)의 바닥에 고여 있는 물이 없기 때문에 물이 튀어 둔부에 묻는 일이 없으며, 용변후 일어서면 스프링판(35)의 탄력에 의해 원상 복귀된다.
이 때 레버(1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롤러(19)가 자루(6)에 접하는 순간 자루(6)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며 밸브(5)가 열리면 위와 같은 작용원리에 의하여 압축실(9)에 있던 물이 압축공기와 수압에 의해 고압으로 압출(壓出)되므로 소량의 물로 변기를 세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지속되다가 롤러(19)끝과 자루(6)끝이 호(A)와 호(B)의교차점에 이르면 자루(6)가 롤러(19)에서 분리되며 밸브(5)는 스프링(15)의 탄력과 수압에 의해 원상 복귀되며 닫히기 때문에 물이 멎는다.
위의 경우는 용변후 아무조작 없이 일어서면 작동하였던 모든 부품이 스프링판(35)(35')의 탄력에 의해 원상복귀되며 자동세척하는 경우지만 반드시 조작을 한 다음에 세척되기를 원할 때는 밀대(37)가 스프링(180)탄력에 의해 앞으로 밀려나오면서 걸림대(71)가 축(28)(29)의 수평부 상단에 걸리면 비대(66)에서 일어서도 축(28)(29)이 원상복귀 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변기를 세척하려면 밀대(37)를 반시계방향으로 밀어주면 축(28)(29)의 수평부 상단에 걸려있던 걸림대(71)가 해탈되면서 작동하였던 모든 부품이 원상복귀 되므로 물이 나오며 대변을 세척하게 된다.
남자가 소변을 볼때는 비대(66)을 열어놓고 그냥 소변을 본 다음 밀대(37)를 뒤로 밀어주면 밀대(158)도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밀판(73)이 자루(6)를 밀어주므로 밸브(5)가 열리며 물이 나와서 소변을 세척하게 되는데 밀대(37)를 밀어주는 동안 자루(6)는 밀판(73)에 계속 접하게 된다.
그리고 밀대(37)를 놓게 되면 작동하였던 모든 부품이 스프링(180)의 탄력에 의해 원상 복귀되므로 물이 멎게 된다.
여자가 소변을 볼 때는 밀대(37)를 당기면 받침대(71)가 축(28)(29)의 수평부를 받혀주므로 축(28)(29)이 내려갈 수 없어 물이 나오지 않는다.
소변을 본 다음 밀대(37)를 뒤로 밀어주면 남자가 소변을 보고 세척할때와 같인 작용원리에 의해 소량의 물이 나오며 소변을 세척하게 된다.
S자형 배변구(39)에 물 고이는 부분이 짧기 때문에 공급되는 물이 적어도 고여있던 물을 밀어낼 수 있으므로 소량의 물로 세척할 수 있다.
제2도(나)(다)의 작용원리도 제2도(가)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2도(라)의 작용원리는 아무 조작없이 소변을 보면 배수관(93)을 통해 물받이(95)에 고이며 배수관(93)끝이 물받이(95)의 소변에 잠기므로 냄새가 나지 않으며, 물받이(95)에서 넘친 소변이 물통(99)에 고이면 그 중량에 의해 레버(9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해도 자석(102)(103)의 인력에 의해 그대로 있다가 그 중량이 자석(102)(103)의 인력보다 커지면 결국은 레버(9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갈고리(84)가 일방치차(82)의 톱니를 끌어당기므로 일방치차(82)의 위에 있던 톱니가 자루(6)를 밀어주면서 밸브(5)가 열리면 물이 나오는데 그 작용원리는 제2도(가)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스프링(15)대신 역류방지공(105)이 그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나오는 물이 소변을 세척하며 소변기(106)의 배수구로 흐르는데 이때 제어판(98)을 따라서 물이 흐르기 때문에 제어판(98)은 수직하방으로 드리워진다.
이와 함께 물통(99)의 자루(100)가 걸림판(104)에 걸리면서 밸브(101)가 여리기 때문에 소변이 새면서 그 중량이 감소되므로 물통(99)이 스프링(89)의 탄력에 의해 원상 복귀된다.
그러나 물통(99)이 제어판(98)에 걸리기 때문에 물통(99)이 그 자리 머물러 있다가 배수관(93)으로 나오는 물이 없을 때 제어판(98)에도 흐르는 물이 없게 되므로 수직하방에 드리워지려는 힘이 약화되므로 물통(99)이 제어판(98)을 밀고 원상복귀되면서 1회작동이 완전히 종료된다.
만약에 소변의 양이 적기 때문에 작동이 되지 않았을 때는 누름단추(177)를 누르면 공지의 후레쉬밸브와 같이 작용하며 물이 나온다.
소변의 양이 적기 때문에 작동이 되지 않았을 때 누름단추(177)를 누르지않고 그냥 두어도 그 다음 소변 볼 때의 소변이 물통(99)에 고이면서 위와 같이 작동하므로 물이 공급되며 소변기(016)를 자동 세척하게 된다. 볼트(109)를 나합하거나, 나해하면서도 물이 배출량을 조절한다.
제2도(마)의 작용원리는 레버(118)를 →표 방향으로 밀어주면 레버(118)의 상단(120)이 자루(6)를 쳐들므로 밸브(5)가 열리며 물이 나오고, →표 방향으로 밀어주었던 레버(118)를 놓게 되면 수압에 의하여 원상복귀되며 밸브(5)가 닫히므로 물이 멎는다.
레버(118)를 →표방향으로 밀어준 다음 좌측으로 밀면 측면갈고리(178)가 토수관(179)의 요홈 측면에 걸리면서 물이 계속 나온다.
호스(143)을 당기면 자루(142)도 같은 방향으로 기울어지면서 밸브(138)가 열리며 물이 나오고, 호스(143)를 놓게 되면 밸부(138)가 닫히며 물이 멎는다.
수도꼭지(111)를 좌우로 돌리면서 편리한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제작방법은 주물가공도 되지만 스테인관을 용접해도 되므로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다.
제2도(바)의 작용원리는 제2도(마)와 동일하며, 수도꼭지(111)를 상하좌우로 돌릴 수 있어 더욱 편리하다.
제2도(아)의 작용원리는 레버(118)를 안쪽으로 밀어주면 수도꼭지(11)에서 물이 나오고 놓게 되면 물이 멎는다.
이 때 나온 물은 세면대(181)를 통해 배수관(92)의 배수공(91)으로 흘러가며 소변기(106)를 세척한다.
아무 조작없이 소변기(106)에 소변을 보면 배수관(93)을 통과한 소변이 물받이(95)에 고이며 배수관(93)끝이 물받이(95)의 소변에 잠기므로 냄새가 발산되지 않는다. 물이 나면 물이 그 역할을 한다.
물받이(95)에서 넘친 소변이 물통(99)에 고이면 그 중량에 의해 물통(9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하지만 두 자석(102)(103)의 인력에 의해 그 대로 있다가 소변의 계속 유입되면서 그 중량이 두 자석(102)(103)의 인력보다 커지게 되면 결국은 분기판(194)에 모든 부품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분기판(194)의 상단이배수관(185)끝의 우측으로 이동하며, 제어판(98)은 수직하방으로 드리워지고, 자석(102)은 배수관(1)에 접하면서 자석(188)을 끌어당기기 때문에 밸브(5)가 열리며 물이 소변기(106)를 세척하게 된다.
이와 함께 물통(99)의 자루(100)가 고정판(191) 접하면서 밸브(101)가 열리므로 물통(99)의 소변이 배출되면서 물통(99)의 중량이 감소되는 한편 소변기(106)를 세척한 물이 소변기(106)의 배수관(185)을 통해 제어판(98)을 따라 흐르면서 물통(184)으로 유입되므로 그 중량의 증가하며 분기판(194)에 연결된 모든 부품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고 한다.
그러나 자석(102)과 자석(188)의 인력으로 회전하지 못하다가 물통(184)쪽 중량이 자석(102)과 자석(188)의 인력보다 커지면 그 때부터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는 자석(188)을 끌어당기던 인력이 없어지므로 스프링(15)의 탄성과 수압에 의하여 밸브(5)가 닫히므로 물이 멎게 된다.
그러나 구멍(2)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없지만 소변기(106)이하의 부분에 있던 물의 유입으로 물통(184)의 중량은 계속 증가하면서 회전이 진행되다가 자석(102)이 자석(103)의 자장권에 이르게 되면 두 자석(102)(103)의 인력에 의해 그 속도가 가속된다.
그러나 소변기(106)를 세척한 물이 제어판(98)을 따라 흐르면서 제어판(98)이 수직하방으로 드리워져 있기 때문에 분기판(194)의 상단이 제어판(98)에 걸리게 되므로 분기판(194)의 회전이 중지된다.
이러한 상태가 지속되다가 제어판(98)으로 흐르는 물이 없게 되면 분기판(194)의 회전을 억제할 힘이 없게 되기 때문에 제어판(98)이 수평상태로 밀리면서 분기판(194)끝이 배수관(185) 끝의 좌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두 자석(102)(103)이 붙게 된다.
이 때 자루(183)가 고정판(191) 좌측면에 접하면서 밸브(195)가 열리므로 물이 빠지며 물통(184)쪽 중량이 감소된다.
분기판(194)의 상단은 배수관(185)끝의 좌측으로 이동되어 있으므로 소변기(106)에 소변을 보면 위와 같이 과정이 다시 반복된다.
만약에 소변량이 적기 때문에 물통(99)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을때는 그 다음 소변 볼 때 작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물탱크와 싸이폰 및 볼탑, 레버가 없으므로 생산원가가 절감되며, 고장이 적고, 공간이 넓어지며, 변기바닥에 물이 고여 있지 않기 때문에 용변 볼 때 물이 튀거나 폭포 같은 소음이 없고, 용변전에 나오는 물로 변기 바닥을 적셔주므로 세척이 용이한 상태로 변하며, 가는 수도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 에너지를 압축공기로 축적하였다가 고압의 물을 압출시키며 소량의 물로 세척할 수 있고, 물의 양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며, 소변기 역시 센서 없이자동공급되는 적은 물로 세척할 수 있고, 수도꼭지도 생산원가를 절감하며 많은 절수를 할수 있는 등의 다양한 작용효과 있다.

Claims (1)

  1. 공간(16)과 돌출기(20)가 있는 배수관(1)의 환형턱(3)평면에 끼운 패킹(4)에 밸브집(75)의 후렌지(108)가 접하도록 배수관(1)에 장입시킨 밸브집(75)의 환형턱(74)평면에 패킹(8)을 끼우고, 스프링(15)으로 탄지시킨 밸브(5)의 자루(6)를 배수공(2)에 삽설한 다음 구멍(76)있는 뚜껑(77)을 나합하며, 밸브집(75)상단에 U패킹(7)을 끼우고, 배수관(1) 나사에 볼트(109)가 나합된 뚜껑(78)을 나합하며, 배수관(1)에서 분기된 급수관(32)에 연결관(34)을 결합하며, 구멍(175)이 천공된 조정급수관(79)에 조정볼트(80)를 나합한 급지수부(가)에 롤러(19)가 축설된 레버(14)의 구멍(51)에 구멍(52)(53)을 관통하는 축(13)을 삽입고정하고 축(13)양단에 팔(21)(22)을 관삽고정하며, 두 팔(21)(22)의 측면에 축(28)(29)을 축설하고, 그 수평부에 비대(66)와 비대뚜껑(67)을 관삽하며, 축(28)(29)하단에 스프링판(35)(35')을 탄지시키고 배수관(1)양측 구멍(155)(155')을 관통하는 축(72)이 밀판(73)있는 밀대(158)의 구멍(156)(156')을 관통고정하고, 축(72)의 양단에 걸림대(71)로 연결한 밀대(37)(37')를 관삽고정하며, 변기(38)의 압축실(9)에 급수관(32)을 연결하며, 상기 급지수부(가)의 돌출기(20)공간(16)에 축설된 일방치차(82)에 역회전방지판(107)과 물통(99)이 형성된 레버(90)에 축설한 갈고리(84)가 접하며, 축받이(85)에 축설된 레버(90)을 스프링(89)이 탄지하고 돌출기(20)에 나합된 유도관(170)을 소변기(106)의 배수관(92)위에 고정시키며, 급수관(32)과 연결관(34)은 소변기(106)의 최상단에 연결하고 배수관(93)에 나합한 물받이(95)가 있는 결합관(94)의 축받이(96)에 제어판(98)을 축설하고, 밸브(101)의 자루(100)를 삽설한 물통(99)과 소변기(106)내벽면에 자석(102)(103)을 고정시키며, 걸림판(104)이 고정된 소변기와 배수관(1)내벽 환형턱(3)평면에 패킹(4)을 끼우고 자석(188)이 고정된 밸브(5)의 자루(6)를 삽설한 다음 스프링(15)으로 탄지시키고, 급수관(32)밑에 배수관(1)을 연결하며 소변기(106)의 숫나사(193)에 물받이(95)가 있는 결합관(94)를 나합하고, 결합관(94)의 구멍에 연결한 배수관(185)의 축받이(96)에 제어판(98)을 축설하고, 통(99)과 물통(184)의 분기판(194)을 변기하부(189)의 축받이에 축설하며, 물통(99)(184)의 바닥구멍에 밸브(101)(195)의 자루(100)(183)를 삽설하고, 물통(184)공간과 고정판(191)좌측면에 자석(102)(103)을 고정시키는 소변기부(나)와 몸통(110)전후에 수도꼭지(111)와 샤워관(137)을 형성된 수도꼭지(111)에 오링(119)을 끼워 밀삽시킨 배수관(113)의 환형턱(112)좌측평면에 패킹(8)을 끼우고 밸브(5)의 자루(6)를 삽설한 다음 측면갈고리(178)가 형성된 레버(118)의 상단(120)이 자루(6) 밑에 있도록 레버(118)를 레버요홈(114)에 삽입하고 ∩자형축(117)을 축요홈(115)에 밀삽시키며, 자석(121)과 스프링(160)을 수도꼭지(111)에 내장한 다음 후렌지(133)와 냉수관(135) 및 온수관(136)이 형성된 급수관(132)요홈에 오링(131)을 끼워서 몸통(110)내부에 밀삽시키고, 급수관(132)상면에 공지의 카트리지나 또는 고정판(123)과 조정판(124) 및 핸들(129)이 축받이회전관(127)내에서 축설된 축받이회전관(127)을 차례로 맞추어 넣고, 배수공(122)이 천공되고 후렌지(171)가 형성된 축받이너트(125)에 오링(126)을 끼워 급수관(132)상단 숫나사에 나합하며, 축받이회전관(127)의 원반에 핸들카버(130)을결합하고, 손잡이(146)를 핸들(129)에 나합하거나, 냉수관(135)과 온수관(136)및 구부(150)가 형성된 급수관(132)을 몸통(110)에 삽입하고 급수관(132)에 관삽된 체결볼트(145)(144)를 몸통(110)의 암나사에 나합한 다음 급수관(132)상면에 공지의 카트리지나 또는 고정판(123)과 조정판(124)및 핸들(129)이 축받이회전관(127)내에 축설된 축받이회전관(127)을 차례로 맞추어 넣고, 배수공(122)이 천공되고 후렌지(171)가 형성된 축받이너트(125)에 오링(126)을 끼운 다음 급수관(132)상단에 나합하며, 축받이회전관(127)의 원반에 핸들카버(130)을 결합하고, 손잡이(146)를 핸들(129)에 나합하며, 샤워관(137) 암나사에 오링(172)을 끼운 엘브(147)를 나합하는 수도꼭지부(다)의 밸브가 개폐되면서 압축공기나 수압 및 소변의 중량에 의해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KR1019990004530A 1999-02-07 1999-02-07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KR100308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530A KR100308571B1 (ko) 1999-02-07 1999-02-07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4530A KR100308571B1 (ko) 1999-02-07 1999-02-07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744A KR20000055744A (ko) 2000-09-15
KR100308571B1 true KR100308571B1 (ko) 2001-09-26

Family

ID=19573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4530A KR100308571B1 (ko) 1999-02-07 1999-02-07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85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454B1 (ko) * 2002-03-17 2005-04-28 (주)설화엔지니어링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
KR102074681B1 (ko) * 2019-08-30 2020-02-07 계림요업주식회사 양변기 몰드 및 이를 이용한 양변기 제조방법
CN113944216B (zh) * 2021-10-12 2023-07-14 广东马岛卫浴有限公司 一种智能家居用具有自动清洁功能的马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5744A (ko) 2000-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357B1 (ko) 절수형 양변기
JP2020524235A (ja) 可変式節水型洋式便器の汚水排出装置
KR100901186B1 (ko) 세척보울과 물탱크 사이에 역류방지 체크밸브를 갖는양변기
US20110113541A1 (en) Water Conserving Improved Toilet
WO2007056937A1 (fr) Chasse d'eau
KR100308571B1 (ko) 자동대소변기와 수도꼭지의 밸브
KR20210034840A (ko) 양변기 단부 세척기 또는 이를 포함한 양변기
KR200349308Y1 (ko)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KR20100071911A (ko) 양변기의 절수를 위한 소형함체 및 보조장치
KR100573960B1 (ko) 악취 제거기능을 겸비한 절수형 양변기
KR200466597Y1 (ko) 가정용 배뇨장치
KR100815206B1 (ko) 남성용 순환식 변기 세정장치
CN115434401B (zh) 一种节水组件及包含其的智能坐便器
KR100300676B1 (ko) 수압 에너지로 생활하수를 양수하는 양수꼭지
CN212248571U (zh) 一种具备防臭效果的高效节水便器
CN112049207B (zh) 一种卫生间马桶
KR100225780B1 (ko) 수세식변기의 용수공급장치
CN210144585U (zh) 无味长通自洗便器
CN208167891U (zh) 冲水阀、冲水机构及马桶
KR100259513B1 (ko) 좌변기의 물 공급장치
KR100484454B1 (ko) 밸브를 응용한 절수용 수세식변기
KR20220105836A (ko) 휴대용 보조 소변기
KR100274817B1 (ko) 자동 수세식 변기
WO2001002654A1 (fr) Wc turcs a systeme de prerinçage
KR100218648B1 (ko) 수세식 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