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176B1 - 영상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4176B1
KR100484176B1 KR10-2002-0069260A KR20020069260A KR100484176B1 KR 100484176 B1 KR100484176 B1 KR 100484176B1 KR 20020069260 A KR20020069260 A KR 20020069260A KR 100484176 B1 KR100484176 B1 KR 100484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nitor
printer
resolution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69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0910A (ko
Inventor
유용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69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4176B1/ko
Priority to US10/701,179 priority patent/US20040130562A1/en
Priority to CNA2003101222862A priority patent/CN1503049A/zh
Publication of KR20040040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09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4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129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splay device, e.g. CRT or LCD moni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Sharing resources, e.g. processing power or memory, with a connected apparatus or enhancing the capability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65Converting image data to a format usable by the connected apparatus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7Selecting or switching between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function and another apparatus or fun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영상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이 방법은 외부에서 주어진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된다고 판단되면, 프린터와 모니터를 연결시키는 단계 및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본체와 모니터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모니터를 본체 또는 프린터에 일일이 연결시킬 필요 없이, 프린터에 전송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요구에 따라 자동적으로 모니터를 본체 또는 프린터에 연결시키도록 한다.

Description

영상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image display}
본 발명은 프린터에 제공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니터를 본체 또는 프린터에 선택적으로 연결시키는 영상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컴퓨터와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는 프린터가 등장하고 있는데 이를 이미지 전용 프린터(예컨대, 포토 프린터라 칭함)라 한다. 이미지 전용 프린터는 디지털 카메라에 마련된 이미지 저장매체(예컨대, 플래쉬 메모리 카드) 등으로부터 이미지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를 전송받아서 직접 인쇄한다. 또한, 컴퓨터와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인쇄 등을 할 수 있는 복합기(MFP:Multi Function Peripheral)가 최근에는 이용되고 있다. 복합기는 컴퓨터와 독립적으로 이미지를 인쇄할 수 있는 인쇄장치 이외에 이미지를 독취할 수 있는 스캐너(scanner)를 갖고 있으며 기타 복사기 등도 갖고 있다. 복합기도 이미지 저장매체 등으로부터 이미지 저장매체 인터페이스를 통해 이미지를 전송받아서 직접 인쇄한다.
이미지 전용 프린터나 복합기를 이용해서 이미지 저장매체에 저장된 이미지를 인쇄하기 위한 경우에, 이미지 저장매체에 저장된 다수의 이미지들 중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만을 인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사용된다.
첫 번째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 등과 같은 이미지 촬영장치에서 이미지의 파일명을 일일이 확인하고 프린터에서 해당 파일명을 찾아서 인쇄한다. 그러나 일반 사용자는 이미지 파일명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여 자신이 인쇄하고자 하는 이미지에 대한 파일명을 알기 어렵고, 인쇄된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서 일일이 인쇄된 이미지를 확인해야 하므로 인쇄용지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두 번째 방법은 디지털 카메라 업계에서 표준화시킨 직접출력주문(DPOF:Digital Print Order Format) 기능이 지원되는 디지털 카메라를 사용하여, 디지털 카메라에서 인쇄될 소정의 이미지에 대한 정보를 이미지 저장매체에 사전에 저장시킴으로써, 프린터에서 소정의 이미지에 대해서만 인쇄하도록 한다. 그러나 역시, 일반 사용자는 이러한 기능에 익숙하지 아니하므로 이용하는데 불편이 뒤따르고, 인쇄된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서 일일이 인쇄된 이미지를 확인해야 하므로 인쇄용지의 낭비가 발생할 수 있다.
세 번째 방법은 다수의 이미지를 한 장에 인쇄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인쇄할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용자의 사용상 어려움은 해소되나 인쇄용지가 소모되고, 인쇄용지의 소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이미지의 크기를 작게 하여 한 장에 인쇄하기 때문에 유사한 이미지를 사용자가 구별하기 어렵다.
네 번째 방법은 프린터 자체 내에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마련함으로써 사용자가 인쇄하기를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사용자가 이용하기도 편하고, 이미지를 직접 인쇄하지 않고도 인쇄되었을 때의 이미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효과가 우수하지만, 이미지 디스플레이 장치를 프린터에 추가함으로써 프린터 비용을 상승시킨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프린터를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예컨대, 텔레비전 또는 컴퓨터의 모니터 등)와 연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디지털 카메라의 이미지 저장매체에서 제공된 이미지가 전술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 되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이미지를 확인하여 인쇄하기를 원하는 이미지를 선택하여 인쇄할 수 있다.
그런데, 가정에서 흔히 사용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모니터를 컴퓨터 본체에 연결하여 사용하다가 프린터에 연결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수동으로 모니터 연결케이블을 프린터에 연결해야 하고, 나중에 컴퓨터 본체에서 모니터를 이용해야 할 경우에는 사용자는 모니터 연결케이블을 다시 컴퓨터 본체에 연결해야 한다. 이처럼, 사용자가 프린터에서 인쇄될 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모니터에 연결된 연결 케이블을 수동으로 일일이 연결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프린터에 제공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요구에 따라 자동적으로 모니터를 본체 또는 프린터에 연결시키는 영상 표시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프린터에 제공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요구에 따라 자동적으로 모니터를 본체 또는 프린터에 연결시키는 영상 표시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제어방법은 외부에서 주어진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된다고 판단되면, 프린터와 모니터를 연결시키는 단계 및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본체와 모니터를 연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영상 표시 제어장치는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가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요구 감지부 및 감지신호를 입력받아서 프린터와 모니터를 연결시키고, 감지신호를 입력받지 못했을 때에 본체와 모니터를 연결시키는 스위칭부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표시 제어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표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우차트로서,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가를 판단하여 프린터와 모니터를 연결시키거나 본체와 모니터를 연결시키는 단계(제10 ~ 제16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먼저, 외부에서 주어진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가를 판단한다(제10 단계). 외부에서 주어지는 제1 이미지는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저장된 이미지 저장매체(미도시) 등을 통해 공급되는 것이다. 제1 이미지는 다수의 세부 이미지들을 갖는다. 따라서, 제10 단계에서는 제1 이미지 중에서 모든 세부 이미지들 또는 일부 세부 이미지들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가를 판단한다.
만일,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된다고 판단되면, 프린터와 모니터를 연결시킨다(제12 단계).
제12 단계 후에, 제1 이미지를 연결된 상기 모니터에 제공한다(제14 단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4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14A)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제1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고, 해상도를 조정하고, 파일명 이미지를 합성하고, 색차를 보정하여 모니터에 제공하는 단계(제30 ~ 제40 단계들)로 이루어진다.
제12 단계 후에, 제1 이미지의 크기를 모니터의 크기만큼 조정한다(제30 단계). 제1 이미지의 크기는 모니터의 크기보다 큰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제1 이미지의 크기를 모니터의 크기만큼 조정하여 모니터에 제1 이미지가 모두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이미지의 크기를 조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제30 단계 후에, 모니터의 크기만큼 조정된 제1 이미지의 해상도를 모니터의 해상도만큼 조정한다(제32 단계). 디지털 카메라에서 촬영되어 이미지 저장매체를 통해 전송된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프레임(frame) 당 100만 화소수 이상의 이미지로 구성된다. 이것에 비해서 모니터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수는 전술한 이미지의 화소수보다 훨씬 적다. 따라서, 제1 이미지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시키기 위해서는 제1 이미지의 해상도를 모니터의 해상도만큼 조정해야 한다.
제32 단계 후에, 해상도가 조정된 제1 이미지와 해상도가 조정된 제1 이미지를 나타내는 파일명 이미지를 합성한다(제34 단계). 이미지를 합성하는 것을 통상적으로는 '머지(merge)한다 표현한다. 제1 이미지를 나타내는 파일명 이미지라 함은, 제1 이미지에 마련된 다수의 세부 이미지들을 각각 구분하기 위한 명칭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예를 들어, 제1 이미지 중의 세부 이미지들 중의 하나가 동물을 나타내는 세부 이미지인 경우에 "동물"에 대한 파일명 이미지를 세부 이미지와 합성한다.
제34 단계 후에, 합성된 제1 이미지의 색상과 인쇄되었을 때의 제1 이미지의 색상과의 색차를 보정한다(제36 단계). 제1 이미지가 인쇄되었을 때에 나타나는 색상은 제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되었을 때의 색상과는 색차가 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합성된 제1 이미지의 색상과 인쇄되었을 때의 제1 이미지의 색상과의 색차를 보정할 필요가 있다.
제36 단계 후에, 색차가 보정된 제1 이미지를 모니터의 입력 신호성분과 일치시킨다(제38 단계). 제1 이미지가 모니터에 입력되기 위해서는 모니터로 입력되는 신호성분과 일치되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제38 단계 후에, 모니터의 입력 신호성분과 일치된 제1 이미지를 모니터에 제공한다(제40 단계). 모니터에 제공된 제1 이미지는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제1 이미지를 확인하고 인쇄할 것인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본체와 모니터를 연결시킨다(제16 단계). 모니터가 본체에 연결되면, 모니터는 본체의 제어에 의해 본체에서 제공하는 제2 이미지 등을 디스플레이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표시 제어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표시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모니터(100), 본체(120) 및 프린터(140)와, 프린터(14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 요구감지부(142), 스위칭부(144) 및 이미지 처리부(146)로 구성된다.
모니터(100)는 컴퓨터 등에 연결된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스위칭부(144)에 케이블로 연결된다. 모니터(100)는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체(110)는 모니터(10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CPU:Central Processing Unit)가 구비된 컴퓨터 등을 말하는 것으로서, 스위칭부(144)에 케이블로 연결된다. 본체(120)는 일반적으로 상용되는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프린터(140)는 인쇄용지에 이미지나 텍스트를 인쇄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기술된 프린터(140)는 복합기(MFP:Multi Function Peripheral)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복합기는 이미지나 텍스트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 기능 이외에 이미지를 독취할 수 있는 스캐너(scanner)를 갖고 있으며 기타 복사기 등도 갖고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프린터(140)는 복합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제1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요구 감지부(142)는 외부로부터 프린터(140)에 전송된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가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요구 감지부(142)는 사용자에 의해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는 신호를 입력단자 IN1을 통해 입력받아서,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를 요구하는 신호를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스위칭부(144)로 출력한다.
제12 단계 또는 제16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스위칭부(144)는 디스플레이 요구 감지부(142)로부터 감지신호의 발생 여부에 상응하여, 프린터(140)와 상기 모니터(100)를 연결시키거나 상기 본체(120)와 상기 모니터(100)를 연결시킨다.
스위칭부(144)는 디스플레이 요구 감지부(142)로부터 감지신호를 입력받으면, 제1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될 때까지 프린터(140)와 모니터(100)의 연결을 지속시킨다.
스위칭부(144)는 전술한 모니터(100) 또는 본체(120)와 프린터(140)를 연결하기 위해 두 개 이상의 포트들을 마련하고 있다. 스위칭부(144)는 아날로그 모니터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나 디지털 디스플레이용 커넥터 등의 포트들을 마련하여 모니터(100)와 본체(120) 또는 모니터(100)와 프린터(140)를 선택적으로 연결시킨다.
제14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이미지 처리부(146)는 스위칭부(144)로부터 프린터(140)와 모니터(100)가 연결된 결과를 입력받아서, 제1 이미지를 모니터(1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신호로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출력한다. 제1 이미지는 디지털 카메라 등에서 촬영된 이미지이므로, 제1 이미지가 모니터(100)에 디스플레이 되기 위해서는 데이터 처리나 신호 처리 등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이미지 처리부(146)는 제1 이미지를 모니터(100)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신호로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스위칭부(144)를 통해 모니터(100)로 출력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미지 처리부(146)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146A)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이미지 크기 조정부(200), 해상도 조정부(210), 이미지 합성부(220), 색차 보정부(230), 입력 신호성분 조정부(240) 및 이미지 전송부(250)로 구성된다.
제3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이미지 크기조정부(200)는 제1 이미지의 크기를 모니터의 크기만큼 조정하고, 크기가 조정된 제1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미지 크기조정부(200)는 입력단자 IN2를 통해 프린터(140)와 모니터(100)가 연결된 결과를 입력받아서, 프린터(140)의 이미지 저장부(미도시)나 이미지 저장매체로부터 제공되는 제1 이미지의 크기를 모니터의 크기만큼 조정하고, 크기가 조정된 제1 이미지를 해상도 조정부(210)로 출력한다.
제32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해상도 조정부(210)는 모니터의 크기만큼 조정된 제1 이미지의 해상도를 모니터의 해상도만큼 조정하고, 해상도가 조정된 제1 이미지를 출력한다. 제32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해상도 조정부(210)는 모니터의 크기만큼 조정된 제1 이미지의 해상도를 모니터의 해상도만큼 조정하고, 해상도가 조정된 제1 이미지를 출력한다.
제34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이미지 합성부(220)는 해상도가 조정된 제1 이미지와 해상도가 조정된 제1 이미지를 나타내는 파일명 이미지를 합성하고, 합성된 제1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미지 합성부(220)는 프린터(140) 내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폰트(font)를 읽어들이거나 코드(code)를 참조하여 제1 이미지를 나타내는 파일명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미지 합성부(220)는 파일명 이미지를 생성하여 해상도가 조정된 제1 이미지와 합성하고, 합성된 제1 이미지를 색차 보정부(230)로 출력한다.
제36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색차 보정부(230)는 합성된 제1 이미지의 색상과 인쇄되었을 때의 제1 이미지의 색상과의 색차를 보정하고, 보정된 제1 이미지를 출력한다. 색차 보정부(230)는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또는 칼라 매칭(color matching) 등을 통해 제1 이미지의 색상과 인쇄되었을 때의 제1 이미지의 색상간의 색차를 보정한다.
감마 컬렉션 과정은 색상 레벨을 전체적으로 조정하는 과정이고, 칼라 매칭 과정은 각 화소에 대한 가장 근사한 색상값을 찾아내는 과정이다. 색차 보정부(230)는 색차가 보정된 제1 이미지를 입력신호성분 조정부(240)로 출력한다.
제38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입력 신호성분 조정부(240)는 색차가 보정된 제1 이미지를 모니터의 입력 신호성분과 일치시키고, 일치된 제1 이미지를 출력한다. 입력 신호성분 조정부(240)는 제1 이미지를 모니터(100)의 입력 신호성분과 일치시키기 위해 R(red)신호, G(gray)신호, B(black)신호, 수평 주사신호 및 수직 주사신호 등을 일치시킨다.
제4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이미지 전송부(250)는 모니터의 입력 신호성분과 일치된 제1 이미지를 모니터(100)로 전송한다. 모니터(100)에 전송된 제1 이미지는 모니터(100)에서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된 제1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는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모니터를 본체 또는 프린터에 일일이 연결시킬 필요 없이, 프린터에 전송된 이미지의 디스플레이 요구에 따라 자동적으로 모니터를 본체 또는 프린터에 연결시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표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14 단계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표시 제어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이미지 처리부에 대한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모니터 120: 본체
140: 프린터 142: 디스플레이 요구 감지부
144: 스위칭부 146: 이미지 처리부
200: 이미지 크기 조정부 210: 해상도 조정부
220: 이미지 합성부 230: 색차 보정부
240: 입력 신호성분 조정부 250: 이미지 전송부

Claims (10)

  1. 제1 이미지 또는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로 상기 제1 이미지를 제공하는 프린터에서 수행되는 영상 표시 제어방법에 있어서,
    (a) 외부에서 주어진 상기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b) 상기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된다고 판단되면, 상기 프린터와 상기 모니터를 연결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상기 본체와 상기 모니터를 연결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제어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제어방법은
    (d) 상기 (b) 단계 후에, 상기 제1 이미지를 연결된 상기 모니터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모니터 제어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제1 이미지의 크기를 상기 모니터의 크기만큼 조정하는 단계;
    (d2) 상기 모니터의 크기만큼 조정된 상기 제1 이미지의 색상과 인쇄되었을 때의 상기 제1 이미지의 색상과의 색차를 보정하는 단계;
    (d3) 색차가 보정된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모니터의 입력신호 성분과 일치시키는 단계; 및
    (d4) 상기 모니터의 상기 입력신호 성분과 일치된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모니터에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모니터 제어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5) 상기 (d1) 단계 후에, 상기 모니터의 크기만큼 조정된 상기 제1 이미지의 해상도를 상기 모니터의 해상도만큼 조정하고 상기 (d2)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제어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d5) 단계 후에, 해상도가 조정된 상기 제1 이미지와 해상도가 조정된 상기 제1 이미지를 나타내는 파일명 이미지를 합성하고 상기 (d2)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제어방법.
  6. 제1 이미지 또는 본체로부터 제공되는 제2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로 상기 제1 이미지를 제공하는 프린터에 포함되는 영상 표시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의 디스플레이가 요구되는가를 감지하고, 감지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요구 감지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요구 감지부로부터 상기 감지신호의 발생여부에 상응하여, 상기 프린터와 상기 모니터를 연결시키거나 상기 본체와 상기 모니터를 연결시키는 스위칭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제어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표시 제어장치는
    상기 스위칭부로부터 상기 프린터와 상기 모니터가 연결된 결과를 입력받아서,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 되는 신호로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를 출력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제어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제1 이미지의 크기를 상기 모니터의 크기만큼 조정하고, 크기가 조정된 상기 제1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크기 조정부;
    크기가 조정된 상기 제1 이미지의 색상과 인쇄되었을 때의 상기 제1 이미지의 색상과의 색차를 보정하고, 보정된 상기 제1 이미지를 출력하는 색차 보정부;
    색차가 보정된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모니터의 입력신호 성분과 일치시키고, 일치된 상기 제1 이미지를 출력하는 입력신호성분 조정부; 및
    상기 모니터의 입력신호 성분과 일치된 상기 제1 이미지를 상기 모니터로 전송하는 이미지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제어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상기 모니터의 크기만큼 조정된 상기 제1 이미지의 해상도를 상기 모니터의 해상도만큼 조정하고, 해상도가 조정된 상기 제1 이미지를 출력하는 해상도 조정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제어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처리부는
    해상도가 조정된 상기 제1 이미지와 해상도가 조정된 상기 제1 이미지를 나타내는 파일명 이미지를 합성하고, 합성된 상기 제1 이미지를 출력하는 이미지 합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표시 제어장치.
KR10-2002-0069260A 2002-11-08 2002-11-08 영상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 KR100484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260A KR100484176B1 (ko) 2002-11-08 2002-11-08 영상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
US10/701,179 US20040130562A1 (en) 2002-11-08 2003-11-05 Method of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mage display
CNA2003101222862A CN1503049A (zh) 2002-11-08 2003-11-10 控制图像显示的方法和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69260A KR100484176B1 (ko) 2002-11-08 2002-11-08 영상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0910A KR20040040910A (ko) 2004-05-13
KR100484176B1 true KR100484176B1 (ko) 2005-04-18

Family

ID=32677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69260A KR100484176B1 (ko) 2002-11-08 2002-11-08 영상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130562A1 (ko)
KR (1) KR100484176B1 (ko)
CN (1) CN150304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0014B2 (ja) * 2007-05-30 2010-04-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8131A (ja) * 1997-09-03 1999-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タ装置
KR100238846B1 (ko) * 1995-06-09 2000-01-15 윤종용 위지위그를 위한 프린트 출력 확인 방법
KR20010078954A (ko) * 2001-05-25 2001-08-22 윤원영 컴퓨터 주변기기 공유 장치
KR20020018722A (ko) * 2000-09-04 2002-03-09 구자홍 모니터의 외부 기기 지원 장치
KR20030089274A (ko) * 2002-05-17 200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4672A (ja) * 1983-10-17 1985-05-14 Canon Inc 画像処理方法
US5140675A (en) * 1987-10-30 1992-08-18 Canon Kabushiki Kaisha Printer controller apparatus interfacing with external data sources
JPH10126347A (ja) * 1996-10-21 1998-05-15 Canon Inc 中継装置
US6285461B1 (en) * 1997-04-24 2001-09-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mage output system having preview function and method of displaying preview image in image output system
US6831755B1 (en) * 1998-06-26 2004-12-14 Sony Corporation Printer having image correcting capability
US6438273B1 (en) * 1998-12-23 2002-08-20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rotatable templates within look-up tables to enhance image reproduction
US6577311B1 (en) * 1999-12-16 2003-06-10 Picture Iq Corporation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providing a high-resolution rendering of a low resolution digital image in a distributed network
JP4054555B2 (ja) * 2001-10-01 2008-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記録媒体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8846B1 (ko) * 1995-06-09 2000-01-15 윤종용 위지위그를 위한 프린트 출력 확인 방법
JPH1178131A (ja) * 1997-09-03 1999-03-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リンタ装置
KR20020018722A (ko) * 2000-09-04 2002-03-09 구자홍 모니터의 외부 기기 지원 장치
KR20010078954A (ko) * 2001-05-25 2001-08-22 윤원영 컴퓨터 주변기기 공유 장치
KR20030089274A (ko) * 2002-05-17 200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30562A1 (en) 2004-07-08
CN1503049A (zh) 2004-06-09
KR20040040910A (ko) 2004-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82390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printing system, image combining and outputt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US20070041030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JPH11127323A (ja) 画像メモリ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の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が読み出し可能なプログラムを格納した記憶媒体
US75546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image using memory card
US20080106604A1 (en) Image output device,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output and image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fore
US20050231605A1 (en) Output image adjustment of image data
US20050200869A1 (en) Image data color conversion device
JP2007208617A (ja) 画像読取装置および画像読取方法
JPH10126725A (ja) 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
JP2007188238A (ja) プリント注文システム及び注文受付サーバ並びに画像処理方法
KR100484176B1 (ko) 영상 표시 제어방법 및 장치
US804037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for specifying a color material and method thereof
JP2004096508A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画像記録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7221685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その制御方法
JP4546225B2 (ja) 画像読取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026727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印刷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合成出力方法
JP2002344764A (ja) 画像処理装置
JP2009060271A (ja) 画像処理装置
JP4092882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KR100338073B1 (ko) 단색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칼라 화상 스캐닝 장치
KR100497355B1 (ko) 인쇄할 이미지에 이미지 내용 추가방법 및 장치
JP4232360B2 (ja) 画像ファイル生成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ファイル編集装置
JP2004153566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6262162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印刷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印刷方法
JP4182048B2 (ja) ファクシミリ受信装置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