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3938B1 -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3938B1
KR100483938B1 KR10-2002-0005343A KR20020005343A KR100483938B1 KR 100483938 B1 KR100483938 B1 KR 100483938B1 KR 20020005343 A KR20020005343 A KR 20020005343A KR 100483938 B1 KR100483938 B1 KR 100483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seats
attachment
body frame
motor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832A (ko
Inventor
모리이와다케히토
구와바라유키시게
기노우치데루모토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38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8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3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39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46Luggage carriers forming part of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차체 프레임(11)에 부착하기 위해 수납 박스(14)의 전부에 전부 부착석(72)을 설치하고, 수납 박스(14)의 바닥부에 바닥부 부착석(74)을 설치하고, 수납 박스(14)의 후부에 후부 부착석(55)을 설치하고, 전부 부착석(72)을 수납 박스(14)의 바닥부 벽(73)보다도 윗쪽에 설치했다.
예컨대, 차체 프레임에 엔진을 직접 부착한 경우에는, 엔진의 진동이 수납 박스에 전달되기 쉬워지지만, 수납 박스를 전부 부착석으로 지지함으로써, 수납 박스의 진동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Structure for supporting a luggage box of motorcycle}
본 발명은 수납 박스에 전달하는 진동을 억제하고, 또 수납 박스에 작용하는 하중을 지지하는 것에 적합한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를 지지하는 구조로서는, 예컨대 특개평 11-139372호 공보 「자동 이륜차의 물품 수납실 지지 구조」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공보의 도 4 및 도 5에는 메인 프레임(4) 및 리어 프레임(5)에 헬멧 수납 박스(50)를 헬멧 수납 박스(50)의 전측의 좌우 부착부(53, 53), 후측의 좌우 부착부(54, 54) 및 후드부(51)의 플랜지(51b, 51b)에 부착한 자동 이륜차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기술에서는, 좌우 부착부(53, 53) 및 후측의 좌우 부착부(54, 54)는 헬멧 수납 박스(50)의 바닥에 가까운 위치에 있고, 또 후드부(51)의 플랜지(51b, 51b)는 헬멧 수납 박스(50)의 후부 상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헬멧 수납 박스(50)의 전벽으로서의 측벽(50a), 특히 상부측은 메인 프레임(4)이나 리어 프레임(5)에 지지되어 있지 않다.
또, 상기 기술에서는 헬멧 수납 박스(50)를 지지하는 리어 프레임(5)이 비교적 폭이 넓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지만, 예컨대 차체 폭을 좁게 하기 위해, 리어 프레임(5)의 폭을 좁게 하면, 헬멧 수납 박스(50)의 좌우 부착부(53, 53) 및 좌우 부착부(54, 54)의 간격이 좁아져, 엔진으로부터 헬멧 수납 박스(50)에 진동이 전해진 경우에, 헬멧 수납 박스(50)의 전측의 측벽(50a)의 상부가 크게 진동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 폭이 좁은 슬림한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에서, 수납 박스의 진동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은 차체 프레임에 수납 박스를 부착한 자동 이륜차에서, 차체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해 수납 박스의 전부에 전부 부착석을 설치하고, 수납 박스의 바닥부에 바닥부 부착석을 설치하고, 수납 박스의 후부에 후부 부착석을 설치하고, 전부 부착석을 수납 박스의 바닥부보다 윗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차체 프레임에 엔진을 직접 부착한 경우에는, 엔진의 진동이 수납 박스에 전달되기 쉬워지지만, 수납 박스를 전부 부착석으로 지지함으로써, 수납 박스의 전후 방향의 진동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는, 전부 부착석, 바닥부 부착석 및 후부 부착석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 각각 러버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러버에 의해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수납 박스에 진동을 더 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박스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나 수납 박스로부터 시트를 통해 체감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또, 도면은 부호 방향으로 본 것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수납 박스 지지 구조를 채용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이고, 자동 이륜차(10)는 차체의 전후 방향으로 배치한 차체 프레임(11)과, 이 차체 프레임(11)의 전부 아래쪽에 부착한 엔진(12)과, 이 엔진(12)에 공급하는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클리너(13)와, 차체 프레임(11)의 중간부에 부착한 수납 박스(14)와, 이 수납 박스(14)의 후방에 배치한 연료 탱크(15)와, 이들 수납 박스(14) 및 연료 탱크(15)의 아래쪽으로부터 차체 후부에 걸쳐 배치하는 동시에 후륜(16)의 상부를 덮는 리어 펜더(17)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12a, 12b, 12c는 각각 차체 프레임(11)에 엔진(12)을 부착하기 위한 엔진(12)측의 부착부, 13a은 측부 차체 커버(27)에 에어클리너(13)를 부착하기 위한 에어클리너(13)측의 부착부, 21은 차체 프레임(11)의 전단에 부착한 헤드 파이프, 22는 핸들, 23은 프론트 포크, 24는 전륜, 25는 카부레터, 26은 상부 차체 커버, 27은 측부 차체 커버, 28은 시트, 31은 리어 쿠션 유닛, 32는 차체 프레임(11)에 설치한 피벗축(33)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는 동시에 후부에 후륜(16)을 부착한 리어 포크, 34는 수납 박스(14)에 시트(28)를 개폐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힌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수납 박스 주변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이고, 차체 프레임(11)에 수납 박스(14), 연료 탱크(15) 및 리어 펜더(17)를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다.
차체 프레임(11)은 헤드 파이프(21)로부터 경사 후부 아래쪽으로 연장한 전부 경사부(35)와, 이 전부 경사부(35)로부터 다시 후방으로 거의 수평으로 연장한 수평부(36)와, 이 수평부(36)로부터 후부 윗쪽으로 수직 상승한 수직 상승부(37)와, 이 수직 상승부(37)로부터 대략 수평으로 후방으로 연장한 후부 수평부(38)로 이루어지고, 헤드 파이프(21)로부터 전부 경사부(35)의 도중까지를 하나의 메인 파이프(41), 전부 경사부(35)의 도중에서 후부 수평부(38)까지를 한 쌍의 리어 파이프(42)로 구성한 것이다.
수평부(36)는 하부에 엔진(12)(도 1 참조) 및 리어 포크(32)(도 1 참조)를 지지하는 피벗 플레이트(43)를 설치한 것이다. 또, 43a는 리어 포크(32)를 스윙가능하게 지지하는 피벗축(33)(도 1 참조)을 부착하기 위해 피벗 플레이트(43)에 열린 리어 포크 피벗축 부착 구멍이다.
또, 차체 프레임(11)은 수납 박스(14)를 부착하기 위해 전부 경사부(35)에 전측 브라켓(44)을 고정하고, 수평부(36)에 부착 플레이트(45)를 고정하고, 수납 박스(14) 및 연료 탱크(15)를 부착하기 위해 수직 상승부(37)의 상부에 후측 브라켓(46)을 고정하고, 연료 탱크(15)를 부착하기 위해 후부 부착부(47)를 설치한 것이다. 또, 48은 연료 탱크(15)의 플랜지이며, 이 플랜지(48)를 차체 프레임(11)에 부착한다.
수납 박스(14)는 차체 프레임(11)의 수평부(36) 및 수직 상승부(37)의 윗쪽에 배치한 것으로, 연료 탱크(15)는 수납 박스(14)의 뒷쪽에 또 후부 경사부(38)의 윗쪽에 배치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수납 박스 주변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로, 차체 프레임(11)은 메인 프레임(41)의 후부에 좌우 한 쌍의 리어 프레임(42, 42)을 부착한 것이고, 리어 프레임(42, 42)은 전부 경사부(35) 및 수평부(36)에서는 좌우 간격(B1)을 좁게 하고, 수평부(36)에 연속한 수직 상승부(37)의 좌우 간격을 서서히 넓게 함으로써, 후부 경사부(38)의 좌우 간격(B2)을 수평부(36)의 간격(B1)보다도 넓게 한 것이다.
수납 박스(14)는 후부에 배터리(51)를 수납하기 위한 배터리 수납부(52)를 구비하고, 배터리 수납부(52)는 수납 박스(14) 내에 격벽(53)을 형성함으로써, 헬멧이나 다른 소품을 수납하는 소품 수납부(54)로부터 배터리(51)를 완전히 격리한 공간이다. 또, 이 도면에서는 배터리(51)의 윗쪽을 덮는 리드를 생략했지만, 다음 도면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 수납 박스(14)는 배터리 수납부(52)의 측방 위치에, 차체 프레임(11)에 부착하기 위한 후부 부착석(55, 55)을 설치한 것이다.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이다.
배터리 수납부(52)는 수납 박스(14)의 후부 상부를 후방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것이며, 배터리(51)의 상부를 덮도록 리드(57)를 설치한 것이다.
리드(57)는 하단을 수납 박스(14)의 단부(61)에 스윙 가능하게 부착하는 동시에, 상단을 수납 박스(14)의 후부 벽(62)에 수지제의 핀(63)으로 고정한 단면에서 보아 L형상의 부재이다.
또, 배터리 수납부(52)는 리드(57)를 개폐 가능하게 부착한 단부(61)로 빗물 등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폐벽(65)을 배터리 수납부 바닥부(66)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시킨 것이고, 수납 박스(14)의 아래쪽에 배치한 리어 펜더(17)는 상기 차폐벽(65)에 인접시켜 기립벽(67)을 윗쪽을 향해 돌출시킨 것이다.
이들 차폐벽(65) 및 기립벽(67)은 미로 구조를 형성하여, 상술한 단부(61)로의 빗물 등의 비산 방지를 더 높일 수 있다.
수납 박스(14)는 또, 차체 프레임(11)에 부착하기 위해 전부 벽(71)에 전부 부착석(72)을 설치하고, 수납 박스(14)의 바닥부로서의 바닥부 벽(73)에 바닥부 부착석(74)을 설치하고, 후부에 후부 부착석(55, 55)(도 3 참조)을 설치하고, 전부 부착석(72)은, 바닥부 벽(73)으로부터 윗쪽에 설치하는 동시에 착석면(72a)을 경사면으로서 전방 아래쪽으로 지향시킨 것이다. 또, 71a는 힌지(34)(도 1 참조)의 일부를 구성하기 위해 전부 벽(71)에 일체로 형성한 힌지 반체이다.
전부 부착석(72)은, 차체 프레임(11)의 전측 브라켓(44)에 서브 브라켓(76)을 부착하고, 이 서브 브라켓(76)에 너트(77)를 고정하여, 서브 브라켓(76)의 착석면(78)에 러버(81)를 통해 접촉한 부분이며, 전부 부착석(72)에 열린 전부 부착 구멍(82)에 러버(81)를 끼우고, 착석면(78)에 러버(81)를 접촉하여, 볼트(83)를 수납 박스(14)의 내측으로부터 러버(81) 내에 삽입한 플랜지 부착 컬러(84), 및 서브 브라켓(76)을 통해 너트(77)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수납 박스(14)의 전부를 차체 프레임(11)에 부착한다.
전부 부착석(72)은 전부 벽(71)의 높이의 (1/3∼2/3)만큼 바닥부 벽(73)으로부터 윗쪽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3 이상이면, 요동 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2/3 이하이면, 수납 박스(14)의 힌지 반체(71a)에 간섭하지 않는다.
바닥부 부착석(74)은 차체 프레임(11)의 부착 플레이트(45)의 상면에 러버(85)를 통해 접촉한 부분이며, 바닥부 부착석(74)에 열린 바닥부 부착 구멍(86)에 러버(85)를 끼우고, 부착 플레이트(45)에 러버(85)를 접촉하여, 볼트(87)를 수납 박스(14)의 내측으로부터 러버(85) 내에 삽입한 플랜지 부착 컬러(88), 및 부착 플레이트(45)를 통해 부착 플레이트(45)에 고정한 너트(89)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수납 박스(14)의 바닥부를 차체 프레임(11)에 부착한다. 또, 90은 수납 박스(14)의 바닥부와 부착 플레이트(45)와의 사이에 개재시킨 쿠션 러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후부 부착석(55)은 연료 탱크(15)의 플랜지(48)의 전부를 후측 브라켓(46, 46)에 부착한 후에, 이 후부 브라켓(46, 46)에 러버(79)를 통해 접촉한 부분이며, 볼트(91, 91)로 후부 브라켓(46, 46)에 각각 부착한다.
도 4에서, 수납 박스(14)는 소품 수납부(54) 내에 칸막이 벽(92)을 설치하고, 이 칸막이 벽(92)보다 앞쪽에 툴을 수납하기 위한 툴 수납부(93)를 형성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수납 박스의 전부 부착석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4에 도시한 차체 프레임(11)에 전부 부착석(72)을 고정하는 볼트(83)를 두부(頭部)측에서 본 도면이다.
수납 박스(14)의 칸막이 벽(92)은 볼트(83)의 육각 형상의 두부(83a)에 공구(박스 렌치 등)(98)를 끼우기 위해 공구(98)를 삽입하는 슬릿(96)을 설치한 것이다.
이상에 언급한 수납 박스(14)의 전부 부착석(72)의 부착 요령을 다음에 설명한다.
도 6(a)∼(c)는 본 발명에 관한 수납 박스의 부착 요령을 설명하는 작용도이다.
(a)에서, 수납 박스(14)의 전부 부착 구멍(82)에 러버(81)를 부착하고, 이 러버(81) 내에 플랜지 부착 컬러(84)를 삽입하고, 서브 브라켓(76)에 러버(81)를 통해 수납 박스(14)의 전부 부착석(72)을 접촉한다.
(b)에서, 툴 수납부(93)의 윗쪽으로부터 볼트(83)를, 플랜지 부착 컬러(84) 및 서브 브라켓(76)에 삽입한다.
(c)에서, 소품 수납부(54) 내로부터 공구(98)를 슬릿(96)을 통해 툴 수납부(93) 내에 삽입하여, 블트(83)에 공구(98)를 끼우고, 공구(98)를 회전시켜 볼트(83)를 너트(77)에 비틀어 넣어 체결한다.
이와 같이, 전부 부착석(72)을 경사시킴으로써 볼트(83)를 용이하게 체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수납 박스의 전부 부착석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전부 부착석(72)에는 시트(28)(도 1 참조)에 착석한 운전자의 체중, 즉 상하 방향의 하중과, 자동 이륜차의 주행 중의 가속시나 감압시에 발생하는 전후 방향의 하중이 작용한다.
전부 부착석(72)에 차량 전후 방향의 하중(FH)이 작용한 경우에는, 전부 부착석(72)은, 하중(FH)의 분력으로 하중(F1)으로 서브 브라켓(76)의 착석면(78)을 수직으로 누르는, 다시 말하면 전부 부착석(72)은 하중(F1)의 반력을 착석면(72a)에서 받는다.
또, 전부 부착석(72)에 상하 방향의 하중(FV)이 작용한 경우에는, 전부 부착석(72)은 하중(FV)의 분력으로서 하중(F2)으로 서브 브라켓(76)의 착석면(78)을 수직으로 누르는, 다시 말하면, 전부 부착석(72)은 하중(F2)의 반력을 착석면(72a)에서 받는다.
따라서, 전부 부착부(72)의 착석면(72a)을 전방 아래쪽으로 지향시킴으로써, 전부 부착석(72)에 작용하는 차량 전후 방향의 하중 및 차량 상하 방향의 하중의 양쪽을 지지할 수 있다.
이상의 도 2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 프레임(11)에 수납 박스(14)를 부착한 자동 이륜차(10)(도 1 참조)에서, 차체 프레임(11)에 부착하기 위해 수납 박스(14)의 전부에 전부 부착석(72)을 설치하고, 수납 박스(14)의 바닥부에 바닥부 부착석(74)을 설치하고, 수납 박스(14)의 후부에 후부 부착석(55)을 설치하고, 전부 부착석(72)을 수납 박스(14)의 바닥부 벽(73)보다 윗쪽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예컨대, 차체 프레임(11)에 엔진(12)(도 1 참조)을 직접 부착한 경우에는, 엔진(12)의 진동이 수납 박스(14)에 전달되기 쉽지만, 수납 박스(14)를 바닥부 벽(73)보다 높은 전부 부착석(72)으로 지지함으로써, 수납 박스(14)의 진동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전부 부착석(72), 바닥부 부착석(74) 및 후부 부착석(55)과 차체 프레임(11)의 사이에 각각 러버(79, 81, 85, 90)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러버(79, 81, 85, 90)에서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 프레임(11)으로부터 수납 박스(14)에 진동을 보다 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박스(14)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수납 박스(14)로부터 시트(28)(도 1 참조)를 통해 체감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수납 박스(14)의 툴 수납부(93)의 바닥부에 전부 부착석(72)을 설치했지만, 수납 박스(14)의 전부 벽(71) 높이의 거의 중앙으로부터 플랜지를 앞쪽으로 돌출시켜, 이 플랜지를 전부 부착석으로 차체 프레임(11)측에 부착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의해 다음의 효과를 발휘한다.
청구항 1의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는, 차체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해 수납 박스의 전부에 전부 부착석을 설치하고, 수납 박스의 바닥부에 바닥부 부착석을 설치하고, 수납 박스의 후부에 후부 부착석을 설치하고, 전부 부착석을 수납 박스의 바닥부보다 윗쪽에 설치했으므로, 예컨대, 차체 프레임에 엔진을 직접 부착한 경우에는, 엔진의 진동이 수납 박스에 전달하기 쉬워지지만, 수납 박스를 전부 부착석으로 지지함으로써, 수납 박스의 진동을 용이하게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는, 전부 부착석, 바닥부 부착석 및 후부 부착석과 차체 프레임 사이에 각각 러버를 개재시켰으므로, 러버에서 진동을 흡수하여, 차체 프레임으로부터 수납 박스에 진동을 더 전달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박스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나 수납 박스로부터 시트를 통해 체감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수납 박스 지지 구조를 채용한 자동 이륜차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박스 주변의 구성을 설명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박스 주변의 구성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4는 도 3의 4-4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관한 수납 박스의 전부 부착석 주변의 구조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에 관한 수납 박스의 부착 요령을 설명하는 작용도,
도 7은 본 발명에 관한 수납 박스의 전부 부착석에 작용하는 힘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 이륜차 11 : 차체 프레임
14 : 수납 박스 55 : 후부 부착석
72 : 전부 부착석 72a : 착석면
73 : 수납 박스의 바닥부(바닥부 벽)
74 : 바닥부 부착석 79, 81, 85, 90 : 러버(rubber)

Claims (4)

  1. 차체 프레임에 수납 박스를 부착한 자동 이륜차에서,
    상기 차체 프레임에 부착하기 위해 상기 수납 박스의 전부에 전부 부착석을 설치하고, 수납 박스의 바닥부에 바닥부 부착석을 설치하고, 수납 박스의 후부에 후부 부착석을 설치하고, 상기 전부 부착석은, 상기 수납 박스의 바닥부보다 윗쪽에 설치하고,
    탑승자 시트가 상기 수납 박스의 상부에 힌지되어 있고,
    상기 전부 부착석은 상기 수납 박스 내의 칸막이 벽에 의해 형성된 툴 수납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부착석, 바닥부 부착석 및 후부 부착석과 상기 차체 프레임 사이에 각각 러버를 개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벽에는, 상기 전부 부착석의 볼트를 체결하는 공구를 삽입하기 위한 슬릿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부착석은, 그 전부 벽의 높이의 1/3 내지 2/3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
KR10-2002-0005343A 2001-01-30 2002-01-30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 KR100483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21808A JP3441068B2 (ja) 2001-01-30 2001-01-30 自動二輪車の収納ボックス支持構造及び車体構造
JPJP-P-2001-00021808 2001-0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832A KR20020063832A (ko) 2002-08-05
KR100483938B1 true KR100483938B1 (ko) 2005-04-15

Family

ID=188873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343A KR100483938B1 (ko) 2001-01-30 2002-01-30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441068B2 (ko)
KR (1) KR100483938B1 (ko)
CN (1) CN1200837C (ko)
TW (1) TW5768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12054A (ja) * 2011-11-25 2013-06-10 Bosch Corp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576815B (en) 2004-02-21
KR20020063832A (ko) 2002-08-05
CN1200837C (zh) 2005-05-11
JP3441068B2 (ja) 2003-08-25
CN1369399A (zh) 2002-09-18
JP2002225764A (ja) 2002-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6933B2 (ja)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JP4364341B2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物品収納装置
US7523801B2 (en) Motorcycle with inclination sensor
JP3449702B2 (ja) 自動二輪車の収納ボックス構造及び同収納ボックス
KR100472329B1 (ko) 자동 이륜차의 시트 록 장치 및 그래브 레일의 부착 구조
US7299889B2 (en) Seat supporting structure in motorcycle
US7604382B2 (en) Vehicle component assembly for a straddle type vehicle
JP4766971B2 (ja) 乗物の装備品収納構造
WO2011065424A1 (ja) 自動二輪車のシート支持構造
JP2006315657A (ja) 自動二輪車のマフラとブレーキペダルの配置構造
JP4685527B2 (ja) 自動二輪車の排気装置
KR100483938B1 (ko) 자동 이륜차의 수납 박스 지지 구조
JP4112887B2 (ja)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取付構造
JP3397973B2 (ja) 自動二輪車の燃料タンク構造
EP2017174B1 (en) Straddle type vehicle
JP4762652B2 (ja) 自動二輪車の車体フレーム
JP3367760B2 (ja) 車両の車体構造
JP2017114343A (ja) バッテリ収納部構造
JPH11165677A (ja) 自動二輪車の工具収納装置
WO2017134832A1 (ja) 鞍乗型車両
JP3676798B2 (ja) スクータ型車両の車体構造
WO2023084875A1 (ja) 収納部構造
WO2022185701A1 (ja) 鞍乗り型車両
JPH0338479A (ja) 小型車両の荷物収納箱装置
JP2002187586A (ja) 車両用バッテリボックス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