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2022B1 - 포화히드로플루오로카본의정제방법 - Google Patents

포화히드로플루오로카본의정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2022B1
KR100482022B1 KR1019970023395A KR19970023395A KR100482022B1 KR 100482022 B1 KR100482022 B1 KR 100482022B1 KR 1019970023395 A KR1019970023395 A KR 1019970023395A KR 19970023395 A KR19970023395 A KR 19970023395A KR 100482022 B1 KR100482022 B1 KR 100482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gen
purification
process according
hfc
pp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992A (ko
Inventor
쟝-마르 사쥬
에리끄 라크르와
Original Assignee
아토피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토피나 filed Critical 아토피나
Publication of KR980001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2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20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17/395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by treatment giving rise to a chemical modification of at least one compou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펜타플루오로에탄 (R-125) 등의 히드로플루오로카본에 존재하는 올레핀계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불순한 히드로플루오로카본이 촉매 또는 활성탄의 부재하에 산소 처리되었다.
이 방법은 플루오로에탄, 특히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정제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포화 히드로플루오로카본의 정제 방법{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SATURATED HYDROFLUOROCARBONS}
본 발명은 할로겐화 탄화수소 분야, 특히 상업적으로 HFC 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히드로플루오로카본 (hydrofluorocarbon)의 정제에 관한 것이다. 이 화합물들, 예컨대 펜타플루오로에탄 (R-125),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 (R-134a)은, 오존층 감소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R-12)과 같은 CFC (클로로플루오로카본)를 대체하기 위하여 현재 개발되고 있다.
히드로플루오로카본의 제조, 예를 들면, 플루오르화 수소산에 의한 C2 화합물의 플루오르화는, 물론 적절한 촉매와 작용 조건을 요하지만, 최종 생성물의 정제를 고려하는 것 또한 통상적으로 필요하다. 이는, 이들이 비록 높은 수득율과 선택성을 갖더라도, HFC 화합물들의 합성 중 적용되는 촉매와 방법들이, 종래의 방법들, 예컨대 증류, 또는 적당한 용매에 의한 불순물의 선택적 용해에 의하여 제거 또는 분리하기에 종종 곤란한 불순물들을 생성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비록 소량이 존재하는 경우라도, 이 불순물들의 일부는, 그들이 갖는 독성 때문에 제거되어야 한다. 보다 특히는, 이들 불순물 중, 올레핀계 유도체, 특히 수소, 플루오르, 및/또는 염소 원자들의 다양한 성분비를 갖고, 2개 탄소 원자를 함유한 올레핀계 유도체를 언급할 수 있다.
올레핀계 불순물의 제거, 또는 그 함량의 감소에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들이 문헌들에 이미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R-134a 에 함유된 올레핀인 2-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틸렌 (R-1122)은 활성탄에 통과시키거나 (유럽 특허 제 389 334 호) 또는 테트라히드로푸란에서 금속 수소화물로 처리하여 (유럽 특허 제 508 631 호) 제거될 수 있다.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 (R-123)내의 불순물로서 존재하는 올레핀인 CF3-CCl=CCl-CF3, CF3-CCl=CH-CF3, CCl2=CF2 및 CF2=CFCl의 제거에 사용되는 방법은, 유럽 특허 제 357 328 호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R-123을 염기성 과망간산칼륨 수용액에 처리하는 것이다.
유럽 특허 제 370 688호에 따르면, HFC 또는 HCFC(히드로클로로플루오로카본) 화합물 내의 올레핀계 불순물들 함량은, 20 내지 300℃의 온도에서 구리(Ⅱ), 코발트(Ⅱ), 은(Ⅰ), 망간(Ⅱ) 산화물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산화 금속 층 (bed)에 통과함으로써 감소된다.
미국 특허 제 5,001,287호는, 불순한 HFC 화합물을, 수소의 존재하에서 팔라듐/탄소 (Pd/C)와 같은 촉매에 통과시킴으로써, 올레핀계 불순물을 촉매 수소화하는 것을 추천하고 있다.
유럽 특허 제 548,744호는 -80℃ 내지 -40℃ 정도의 온도에서 HFC 또는 HCFC 화합물을 플루오르에 의해 정제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플루오르는 질소 내에서 고도로 희석할 필요가 있을 만큼 반응성이 매우 높아 위험하므로, F2 이원자 형으로의 플루오르의 사용은 산업적으로 매우 어렵다.
광산화 (photooxidation)에 의해서 또한 올레핀은 제거될 수 있다. 정제될 생성물이 산소의 존재하에서 자외선형 방사선의 조사를 받는 이 방법은, 예를 들어 프랑스 특허 제 2,698,094호에서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R-141b)의 정제에 관해 기재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5,430,205호는 R-134a의 올레핀계 불순물의 제거에 사용되는, 200 내지 300℃에서, 조 R-134a, 플루오르화 수소산 및 산소 또는 공기의 기체 혼합물을 플루오르화 촉매에 통과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나, 이 조건에서 R-134a와 이의 선구 물질인 R-133a (1-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은 부분적으로 연소되어 생산성의 손실을 야기시킬 수 있다.
HCFC에 함유된 할로겐화된 불순물을, 기체상에서, 산소의 존재하에 80 내지 300℃에서 활성탄에 통과시켜 제거하는 방법 또한 알려져 있다 (일본 특허 06 080 592호). 그러나 다량의 불순물이 존재할 경우, 활성탄은 빈번하게 재생되어야 한다.
일본 특허 출원 제 05 000 972호에 따르면, HCFC 또는 HFC 정제에 오존이 사용된다. 그러나, 대기 환경에서 비교적 낮은 함량에서도, 오존은, 인간의 건강에 대하여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는 유독성 기체라는 단점을 나타낸다.
이제 HFC 화합물에 산소 (순수하게 또는 공기의 형태로)를 도입하는 것이 사실상 모든 올레핀계 불순물, 특히 C2 올레핀, 더욱 특히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을 그로부터 제거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함이 발견되었다. 이것은 촉매 또는 활성탄의 존재를 요구하지 않는다. 이것은 적당 온도에서 일어나며 액체상에서 실행되어, 산업적 측면에서 볼 때 특히 유리하다. 따라서 적당량의 산소를 단순히 첨가함으로써,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R-1113 또는 CTFE) 등의 올레핀은 R-125같은 HFC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1 종 이상의 올레핀계 불순물을 포함하는 HFC 화합물의 정제 방법에 있어서, 촉매 또는 활성탄의 부재하에 상기의 불순한 HFC를 산소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제될 HFC 화합물에서, 올레핀(들)의 함량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10000 중량 ppm, 가장 빈번하게는 10 내지 1000 중량 ppm 이다. 비록 이것은 2 내지 5개의 플루오르 원자를 포함하는 플루오로에탄, 바람직하게는 R-125의 정제를 특정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르는 산소 처리는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HFC 화합물의 정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정제될 HFC 화합물에 첨가되는 산소의 양은 10 내지 10000 중량 ppm,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000 중량 ppm에 이를 수 있다. 이는 정제될 생성물 중의 올레핀(들) 함량과 도입된 온도, 압력 조건에 의존함이 명백하다. 일반적으로, 산소의 양은, 산소/올레핀(들)의 몰 비가 1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0, 더욱 특히 1 내지 50 이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좋다.
산소는 정제되는 HFC 화합물에, 순수 산소의 형태로 또는 예를 들면 질소 등 다른 기체에 희석된 공기 형태로, 연속적으로 또는 비연속적으로 도입될 수 있다.
처리 시간은 넓은 한도에서 변할 수 있다 (수 분 내지 수 일). 이는 처리되는 시간이 제거되는 올레핀(들)의 함량, 첨가되는 산소의 양 및 도입된 온도, 압력 조건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처리는 -4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유리하게는 약 실온의 온도에서 실행될 수 있다. 압력은 10 내지 10000 kPa 범위이나,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5000 kPa 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처리는 액체상 또는 기체상에서 실행되나, 실용면에서 볼 때 액체상에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처리 후, 올레핀계 불순물이 제거된 HFC 화합물은, 본래 존재하던 다른 불순물 및/또는 본 발명에 따르는 산소 처리 동안 발생한 생성물인 HF, HCl, CF3COOH, COF2, COFCl, COCl2 등의 잔류물들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른 정제 단계를 거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그 다른 단계는, 예컨대, 알칼리성 수용액으로 세척하거나 활성탄, 특히 알칼리성 활성탄에 통과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제한함이 없이 설명하고 있다. ppm 값은 달리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중량에 관한 표현이다.
실시예 1 (비교)
450 ppm의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 (R-1113), 10000 ppm의 클로로펜타플루오로에탄 (R-115), 285 ppm의 1,1,1-트리플루오로에탄 (R-143a) 및 100 ppm의 1-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 (R-124)을 함유한 2.0 g의 펜타플루오로에탄 (R-125)을, 액체 질소로 트랩된 공기 부재 하에서, 약 8 ㎖ 부피의 유리관에 도입한다. 이어서, 진공 상태이고 액체 질소 온도인 이 유리관을 밀봉하고, 그 후 가열기에 도입하여, 빛으로부터 배제시키고, 흔들어 교반한다. 온도를 48 시간 동안 80℃까지 상승시킨다.
이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밀봉된 관을 액체 질소 온도로 냉각하고, 사전에 진공 상태에 놓여져 액체 질소 온도가 유지된 강철 병 (부피: 20 ㎖)에 연결한다. 이어서, 관의 상부를 제거하고 실온까지 서서히 재가열하여, 금속 시험관내 트랩에 의하여 기체를 회수한다.
이와같이 하여 2 g 의 기체가 시험관 안에 회수되었고, 기체상 크로마토그래피(Vapor-Phase Chromatography) 분석은 R-125 조성이 사실상 불변인 채로 남아있음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동일한 R-125에 대하여 실시예 1의 과정이 실행되었으나, 2 g의 R-125에 2700 ppm의 산소, 즉, 기체 R-125에 대하여 1 부피%를 첨가하였다.
48 시간의 반응 후, 회수된 R-125의 분석은, R-1113의 함량이 3 ppm 미만으로 감소하였고, R-115, R-143a, 및 R-124의 초기 함량은 불변인 채로 남아있음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공기 0.5 부피% (즉, 산소 270 ppm)를 13 ppm의 R-1113, 20 ppm의 R-143a 및 675 ppm의 R-134a를 포함하는 불순한 R-125에 첨가하고, 이어서, 이 불순한 R-125를 아연 도금 시이트 금속으로 만들어진 리셉타클(receptacle)에서, 실온(10 내지 20℃)과 1200 kPa의 절대 압력하에 30 일간 보관하였다.
이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생성물의 분석은 R-1113의 함량이 1 ppm 미만으로 감소하고, R-143a, R-134a의 함량은 사실상 불변인 채로 남아있음을 나타내었다.
생성물은 이어서, 처리 동안 형성된 미량의 산도를 없애기 위하여 활성탄에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의하여, 불순한 HFC, 특히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정제 방법으로서, 이 HFC를 산소와 접촉시켜, 촉매 또는 활성탄의 부재하에, 올레핀계 불순물, 특히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을 제거, 정제할 수 있다.

Claims (10)

1 종 이상의 올레핀계 불순물을 포함하는 히드로플루오로카본 (hydrofluorocarbon, HFC)의 정제 방법에 있어서, 촉매 또는 활성탄의 부재하에 불순한 HFC를 산소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 항에 있어서, 올레핀계 불순물이 C2 올레핀인 방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산소/올레핀(들)의 몰 비가 1 내지 1000 인 방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처리가 -40 내지 +200℃ 범위의 온도에서 실행되는 방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처리가 10 내지 10000 kPa 의 압력에서 실행되는 방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그 방법이 액체상에서 실행되는 방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산소가 공기의 형태로 도입되는 방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플루오르 원자수가 2 내지 5인 플루오로에탄의 정제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히드로플루오로카본에 존재하는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제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펜타플루오로에탄에 존재하는 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의 제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23395A 1996-06-06 1997-06-05 포화히드로플루오로카본의정제방법 KR1004820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06992A FR2749581B1 (fr) 1996-06-06 1996-06-06 Procede de purification d'hydrofluorocarbures satures
FR9606992 1996-06-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992A KR980001992A (ko) 1998-03-30
KR100482022B1 true KR100482022B1 (ko) 2005-05-16

Family

ID=949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395A KR100482022B1 (ko) 1996-06-06 1997-06-05 포화히드로플루오로카본의정제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801294A (ko)
EP (1) EP0811591B1 (ko)
JP (1) JP4331273B2 (ko)
KR (1) KR100482022B1 (ko)
CN (1) CN1127459C (ko)
AU (1) AU712937B2 (ko)
CA (1) CA2207993C (ko)
DE (1) DE69704393T2 (ko)
ES (1) ES2155658T3 (ko)
FR (1) FR27495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18856C (en) * 2000-08-10 2011-12-13 Solvay (Societe Anonyme) Process for obtaining a purified hydrofluoroalkane
FR2812869A1 (fr) * 2000-08-10 2002-02-15 Solvay Procede d'obtention d'un hydrofluoroalcane epure
US7074974B2 (en) * 2002-03-11 2006-07-11 Showa Denko K.K.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luoroethane and use of the same
WO2003080549A1 (en) * 2002-03-11 2003-10-02 Showa Denko K. K.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fluoroethane and use of the produced fluoroethane
US8597616B2 (en) * 2007-10-22 2013-12-03 Board Of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Texas System Dry powder drug delivery formulations, methods of use, and devices therefore
CN112094172B (zh) * 2020-09-23 2023-10-24 江西佳因光电材料有限公司 三氯溴甲烷粗品提纯方法及装置
CN112174774A (zh) * 2020-11-06 2021-01-05 福建省清流县东莹化工有限公司 一种五氟乙烷的净化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04908A (en) * 1957-08-14 1961-10-17 Haszeldine Robert Neville Treatment of fluorinated hydrocarbons
GB869273A (en) * 1956-08-15 1961-05-31 Robert Neville Haszeldine Purification of fluorinated hydrocarbons
EP0357328A1 (en) * 1988-09-01 1990-03-07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urification of 2,2-dichloro -1,1,1-trifluoroethane
EP0370688B1 (en) * 1988-11-22 1994-07-13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urification of saturated halocarbons
US5001287A (en) * 1989-02-02 1991-03-19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urification of saturated halocarbons
CA2004709A1 (en) * 1989-03-23 1990-09-23 Stephen F. Yates Process for purifying 1,1,1,2-tetrafluoroethane
EP0508631A1 (en) * 1991-04-08 1992-10-14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Production of hydrofluorocarbons
JP2937539B2 (ja) * 1991-04-22 1999-08-23 三井・デュポンフロロケミカル株式会社 塩弗化アルカンの精製方法
JP2601384B2 (ja) * 1991-06-25 1997-04-16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ヒートパイプ作動液の製造方法
JPH05972A (ja) * 1991-06-26 1993-01-08 A G Technol Kk 飽和ハロゲン化炭化水素の精製方法
IT1252659B (it) * 1991-12-23 1995-06-20 Ausimont Spa Procedimento per la depurazione dell'1,1,1-trifluoro-2-fluoroetano e dell'1,1,1-trifluoro-2,2-dicloroetano
FR2698094B1 (fr) * 1992-11-18 1995-01-20 Atochem Elf Sa Purification du 1,1-dichloro-1-fluoroéthane.
FR2711648B1 (fr) * 1993-10-26 1996-01-05 Atochem Elf Sa Procédé de purification du 1,1,1,2-tétrafluoroéth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331273B2 (ja) 2009-09-16
JPH1059879A (ja) 1998-03-03
DE69704393D1 (de) 2001-05-03
ES2155658T3 (es) 2001-05-16
CA2207993A1 (fr) 1997-12-06
AU712937B2 (en) 1999-11-18
AU2471597A (en) 1997-12-11
FR2749581B1 (fr) 1998-08-14
DE69704393T2 (de) 2001-08-23
EP0811591A1 (fr) 1997-12-10
CA2207993C (fr) 2007-08-28
CN1127459C (zh) 2003-11-12
US5801294A (en) 1998-09-01
KR980001992A (ko) 1998-03-30
CN1168875A (zh) 1997-12-31
FR2749581A1 (fr) 1997-12-12
EP0811591B1 (fr) 2001-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01287A (en) Purification of saturated halocarbons
EP0494994B1 (en) Fluorocarbon purification process
US5763706A (en)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1,1,1,3,3-pentafluoropropane and 1,1,1,3,3,3-hexafluoropropane
EP3147273A1 (en) A high purity 2,3,3,3-tetrafluoropropene
US7084316B2 (en) Process for purifying pentafluoroethane,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 thereof
EP1644285B1 (en) Methods of purifying hydrogen fluoride
KR100482022B1 (ko) 포화히드로플루오로카본의정제방법
US6395941B1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1,1,1,2-tetrafluoroethane
US5569797A (en) Method of removing olefinic impurities from hydrochlorofluorocarbons
EP1373173B1 (en) Purification of saturated halocarbons
JP2001058967A (ja) 1,1,1,3,3−ペンタフルオロプロパンの処理方法
JP3862316B2 (ja) 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精製方法
EP0507458A2 (en) Process for the purification of 1,1,1,2-tetrafluoroethane
EP0732315B1 (fr) Procédé d'hydrogénolyse de chlorofluorocarbures et d'hydrochlorofluorocarbures
JPH05286875A (ja) トリクロルエチレン中の安定剤の除去方法
JP4458784B2 (ja) 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用途
US5990364A (en) Purification of pentafluoroethane
JPH08301800A (ja) 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の製造方法及びペンタフルオロエタンに転化するのに適当な組成物
KR20040044484A (ko) 펜타플루오로에탄의 정제방법, 제조방법 및 그 용도
JPH05972A (ja) 飽和ハロゲン化炭化水素の精製方法
JPH04305537A (ja) 飽和ハロゲン化炭化水素の精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