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840B1 -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 - Google Patents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840B1
KR100478840B1 KR10-2002-0049079A KR20020049079A KR100478840B1 KR 100478840 B1 KR100478840 B1 KR 100478840B1 KR 20020049079 A KR20020049079 A KR 20020049079A KR 100478840 B1 KR100478840 B1 KR 100478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harging
spring
hous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005A (ko
Inventor
이규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840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충전단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 구조를 이용하여,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충전불안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충전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며, 휴대단말기의 충방전배터리 충전단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내부 일측에 돌출된 원통형 보스와 관통된 개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원통형 보스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를 중심으로 엇대칭되는 위치에 일체로 각기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속부와 지지부가 구비된 스프링단자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를 제공 하므로써, 반발 회전력과 판스프링구조의 탄성에 의하여 접속력이 유지되고, 접속부에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여도 이중으로 인가되는 회전력 및 탄성에 의하여 충전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와, 상기 충분한 접속력에 의하여 충전단자인 접속부에 이물질이 접착되어도 이물질을 별도로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A STRUCTURE OF CHARGING TERMINAL WITH SPRING FOR MOBILE PHONE}
본 발명은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의 충전단자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 구조를 이용하여,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도 충전불안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충전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동하면서 무선으로 통신을 하도록 하는 이동단말기 또는 휴대단말기는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것으로써, 소형제작이 가능하며 이동성이 우수한 배터리(BATTERY)를 동작전원으로 사용하고, 상기 배터리는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충방전용(RECHARGEABLE)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는 상기 충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단자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휴대단말기에 적합한 해당 충전기를 이용하여 상기의 충전단자와 접속하므로써 상기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휴대단말기의 충전단자는 외부로 돌출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충격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될 수 있고, 또한 이물질 등이 부착되어 전기적 접촉성을 저하시키게 되므로, 충전단자의 전기적 접촉성을 제고시키고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계속되고 있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충전단자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1 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블레이드형 충전단자 구조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에 의한 플레이트형 충전단자 구조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블레이드형(BLADE TYPE) 휴대단말기 충전단자는, 이동하면서 통신을 하는 휴대단말기(1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의 하부에 구비되고, 동작 전류를 외부로부터 인가받는 것으로, 상기 인가받은 전류를 전달하는 충전전극(22); 상기 휴대단말기(10)에 기구적으로 고정되기 위한 충전홀(24)을 구비하는 다수의 블레이드 단자(20)와,
상기 블레이드 단자(20)에 공급할 충전전류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하여 생성하고 출력하는 충전기(30)와,
상기 충전기(30)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블레이드 단자(20)와 직접 접촉하여 상기 충전기(30)로부터 출력되는 충전전류를 상기 블레이드 단자(20)에 공급하는 핀단자(40)와,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내부에 구성되고 상기 충전전극(22)을 통하여 인가되는 전류로 충방전 배터리를 충전하며 상기 휴대단말기(10)에 고정되는 기판홀(54)을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50)과,
상기 인쇄회로기판(50)과 상기 충전전극(22)을 접속하는 동시에 상기 기판홀(54) 및 충전홀(24)을 통하여 상기 블레이드 단자(20)와 인쇄회로기판(50)을 휴대단말기(10)에 일체로 고정하는 나사(60)로 구성된다.
또한, 첨부된 도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충전단자는, 상기와 동일하게 휴대단말기(10)의 하부에 구비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전류를 공급받는 것으로, 평평한 형태의 플레이트 단자(70)와,
상기 충전기(30)에 구비되는 것으로써 상기 핀단자(40)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하는 것으로써, 상기 플레이트 단자(70)와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핀단자(45)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 충전단자를 첨부된 도1 및 도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10) 또는 이동단말기는 이동하면서 무선으로 통신을 하는 통신단말기 이고, 상기의 이동통신 기능을 수행하는 내부의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50)이 동작되도록 하는 동작전원은 충방전용 배터리를 통하여 공급받는다.
상기 휴대단말기(10)에 공급되는 충전전류는 충전기(30)에 의하여 생성되고, 상기와 같이 생성된 충전전류는 상기 핀단자(40,45)를 통하여 출력된다.
종래 기술의 일 예로, 휴대단말기의 충방전용 배터리 충전전류를 공급받는 단자로써, 상기 블레이드 단자(2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금속을 프레스 금형 가공을 통하여 제작한다.
상기 블레이드 단자(20)의 다른 일측 끝단에는 상기 충전기(30)로부터 생성 출력되고 핀단자(40)로부터 인가되는 충전전류를 전달하는 충전전극(22)이 구비되고, 상기 충전전극(22)의 중심에는 상기 블레이드 단자(20)를 휴대단말기(10) 몸체에 기구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충전홀(24)이 구비된다.
상기 충전전극(22)은 상기 인쇄회로기판(PCB)(50)의 해당 부위에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여 상기의 충전전류를 전달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50)은 기판홀(54)을 통하여 휴대단말기(10) 몸체에 기구적으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 단자(20)와 인쇄회로기판(50)을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몸체에 기구적으로 고정하기 위하여 나사(60)가 사용되며, 상기 나사(60)는 기판홀(54)과 충전홀(24)을 차례로 통과하여 휴대단말기(10) 몸체에 기구적으로 고정된다.
상기 나사(60)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50)과 블레이드 단자(20)가 휴대단말기(10)의 몸체에 기구적으로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충전전극(22)이 인쇄회로기판의 해당 부분에 전기적으로 접촉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휴대단말기(10)의 하부에 일체로 구비되는 블레이드(BLADE) 단자(20)는 상기 충전기(30)에 삽입되므로써 상기 핀단자(40)와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이 유지되고, 상기 충전기(30)로부터 생성되어 출력되는 충전전류가 핀단자(40)를 통하여 블레이드 단자(20)에 인가되며, 상기 블레이드 단자(20)의 충전전극(22)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50)에 인가되므로써, 충방전 배터리를 충전(CHARGE)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블레이드 단자(20)는 나사(60)를 이용하여 휴대단말기(10) 몸체에 고정하여야만, 상기 인쇄회로기판(50)과의 전기적 접촉을 유지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 단자(20)는 휴대단말기(10)의 외부로 약간 돌출되어 있으므로, 충격 등에 의하여 파손 및 변형이 용이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상기와 같이 블레이드 단자(20)에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충전기(30)의 핀단자(40)와 접촉이 양호하지 못하여 충전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불규칙한 접촉의 반복 발생에 의하여 양측 접점에 탄화물이 생성되는 문제 및 돌출된 블레이드 단자(20)에 외부의 이물질이 용이하게 부착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문제를 일부 개선한 것으로, 첨부된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충전단자 구조는, 상기 휴대단말기(10)의 내부로 약간 들어간 상태에서 평평하게 면적이 넓은 상태의 플레이트 단자(70)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 단자(70)를 구비한 휴대단말기(10)를 상기 충전기(30)에 얹어 놓는 경우 해당 핀단자(45)에 의하여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 단자(70)는 프레스 금형 가공을 통하여 제작된다.
상기 다른 일 예에 의한 종래 기술의 플레이트 단자(70)는 외부로 돌출되지 않았으므로, 외부로부터 상기 휴대단말기(10)에 충격 등이 인가되는 경우에도 파손 및 변형이 다소 적게 발생하는 개선점은 있으나, 파손 및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충전기(30)의 핀단자(45)와 기구적 접촉 불안정에 의한 전기적 접촉이 나빠지는 문제를 여전히 개선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충전용 단자를 스프링 구조로 하므로써 충전기의 핀단자와 전기적 접촉성이 개선되도록 하고 접점에 탄화가 발생하지 않으며 충전불안정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충전단자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충방전배터리 충전단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내부 일측에 돌출된 원통형 보스와 관통된 개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원통형 보스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를 중심으로 엇대칭되는 위치에 일체로 각기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속부와 지지부가 구비된 스프링단자부를 포함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된 것으로,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 구조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단자부 구조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과 스프링 단자부의 결합상태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충전상태 단면도 이다.
상기 첨부된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는,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통신을 하는 휴대단말기(200) 또는 이동단말기 내부 일측에 돌출된 상태로 일체 구성되는 원통형의 보스(130)와 일정한 형상의 관통된 개구부(110)가 일체로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하우징(100)과,
상기 하우징(100)의 보스(130)에 고정부(160)가 삽입되며, 상기 고정부(160)와 일체로 돌출형성된 접속부(120)와 지지부(150)를 구성하는 동시에 탄성을 발생하는 스프링단자부(140)로 구성된다.
상기 스프링 단자부(140)는 전도성 있는 금속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160)는 상기 보스(13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지지부(150)는 탄성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PCB)에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접속부(120)는 탄성에 의하여 상기 개구부(110)에 밀착 접촉하는 구성이다.
상기 접속부(120)는 외부의 충전기(190)를 구성하는 해당 충전핀(180)과 접촉하여 충전전류를 인가받고 지지부(150)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충전전류를 전달하는 구성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을 첨부된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이동하면서 통신을 하는 휴대단말기(200)의 외부형상을 구성하는 하우징(HOUSING) 내부 양측단에는 각각 원통형상의 보스(130)가 구비되고, 상기 보스(130)에는 스프링 단자부(140)의 고정부(160)가 삽입되어 기구적으로 스프링 단자부(140)를 고정한다.
상기 첨부된 도4를 참조하면, 스프링 단자부(14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으로, 고정부(160)와 일체로 형성되는 상기 지지부(150)와 접속부(12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면서 금속에 의하여 판스프링의 탄성이 있으며, 금속의 특성에 의하여 전류를 전달한다.
상기 첨부된 도5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00)의 보스(130)에 삽입되는 스프링 단자부(140)를 상세히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접속부(120)가 하우징(100)의 개구부(110)에 위치하고, 관통된 개구부(110)를 통하여 하우징(100)의 외부로부터 충전기(30)의 핀단자(40,45)가 접촉할 수 있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접속부(120)는 스프링 단자부(140)에 의하여 판스프링 기능을 하므로써 탄성에 의하여 하우징(100)의 외부로 밀착되는 동시에 상기 개구부(110)를 막으면서 탄성이 계속 유지된다.
상기 첨부된 도6을 참조하면, 상기 보스(130)에 삽입되고 고정되는 스프링단자부(140)의 지지부(150)가 휴대단말기(200)의 해당 기능을 위하여 구성되는 인쇄회로기판(170)과 기구적 및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스프링단자부(140)의 지지부(150)와 접속부(120)는 탄성을 갖는 판스프링 구조를 하는 동시에 충전용 전류를 전달하는 역할 또는 기능을 한다.
상기 지지부(150)가 인쇄회로기판(170)에 의하여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므로, 상기 하우징(100)의 보스(130)와 회전상태로 고정되는 고정부(160)는 반대편 방향에 구성되는 접속부(120) 쪽으로 회전하므로, 상기 접속부(120)는 하우징(100)의 개구부(110)에 밀착되고 판스프링 기능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탄성을 발생하게 된다.
상기 휴대단말기(200)에 내장되는 충방전용 배터리를 충전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충전기(190)에 상기 휴대단말기(200)를 삽입하면, 상기 충전기(190)를 구성하는 해당 충전핀(180)이 상기 개구부(110)를 통하여 삽입되고, 상기 스프링 단자부(140)의 접속부(120)와 접속하게 된다.
상기 충전기(190)로부터 생성된 충전전류는 상기 충전핀(180)을 통하여 상기 접속부(120)에 인가되고, 상기 접속부(120)에 인가된 전류는 지지부(150)를 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170)에 전달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150)와 접속부(120)는 상기 고정부(160)에 의하여 움직이는 상태로 고정되는 보스(13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반발하는 회전력을 발생하는 동시에 판스프링 기능에 의한 탄성을 발생하는 이중구조이므로, 인쇄회로기판(170)에 고정지지되는 지지부(150)와 충전기(190)의 충전핀(180)과 접속하는 접속부(120)는 서로 기구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한다.
또한, 상기 접속부(120)에 외부의 충격 등이 인가되어 파손되거나 변형이 발생되어도, 회전력과 탄성이 중복되어 인가되는 상기 접속부(120)는 충전전류를 공급하는 외부의 충전핀(180)과 기구적 및 전기적인 접속 또는 접촉이 양호하게 유지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휴대단말기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는 보스에 삽입되는 조정부의 구조에 의하여 반발 회전력이 발생하는 동시에 판스프링구조에 의하여 탄성이 발생하므로 이중의 힘에 의하여 충전핀과의 접속력이 유지되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휴대단말기에 외부로부터 충격 등이 인가되어 충전단자인 접속부에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여도 이중으로 인가되는 회전력 및 탄성에 의하여 충전기의 충전핀과 충분한 접속력이 유지되어 충전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이중으로 발생되는 충분한 접속력에 의하여 충전단자인 접속부에 이물질이 접착되어도 충전핀과의 전기적 접속력이 확보되므로 이물질을 별도로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도1 은 종래 기술의 일 예에 의한 블레이드형 충전단자 구조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의 다른 일 예에 의한 플레이트형 충전단자 구조도 이며,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 구조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단자부 구조도 이며,
도5 는 본 발명에 의한 하우징과 스프링 단자부의 결합상태도 이고,
도6 은 본 발명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충전상태 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200 : 휴대단말기 20 : 블레이드 단자
22 : 충전전극 24 : 충전홀
30 : 충전기 40,45 : 핀단자
50,170 : 인쇄회로기판 54 : 기판홀
60 : 나사 70 : 플레이트 단자
100 : 하우징 110 : 개구부
120 : 접속부 130 : 보스
140 : 스프링 단자부 150 : 지지부
160 : 고정부 180 : 충전핀
190 : 충전기

Claims (5)

  1. 휴대단말기의 충방전배터리 충전단자에 있어서,
    상기 휴대단말기 내부 일측에 돌출된 원통형 보스와 관통된 개구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원통형 보스에 삽입고정되는 고정부와, 이 고정부를 중심으로 엇대칭되는 위치에 일체로 각기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접속부와 지지부가 구비된 스프링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단자부는 전도성 있는 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단자부의 접속부는 외부로부터 충전전류를 인가받고 지지부를 통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충전전류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
  5. 삭제
KR10-2002-0049079A 2002-08-20 2002-08-20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 KR1004788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079A KR100478840B1 (ko) 2002-08-20 2002-08-20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079A KR100478840B1 (ko) 2002-08-20 2002-08-20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005A KR20040017005A (ko) 2004-02-26
KR100478840B1 true KR100478840B1 (ko) 2005-03-25

Family

ID=37322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079A KR100478840B1 (ko) 2002-08-20 2002-08-20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8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994B1 (ko) * 2009-04-13 2009-06-22 주식회사 피앤이솔루션 바테리 충,방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7498A (ja) * 1991-12-16 1993-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装置
KR950004842U (ko) * 1993-07-15 1995-02-18 무선전화기용 충전단자 스프링
KR19980021654U (ko) * 1996-10-22 1998-07-15 김영환 무선전화기의 충전구조
KR19980021652U (ko) * 1996-10-22 1998-07-15 김영환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7498A (ja) * 1991-12-16 1993-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充電装置
KR950004842U (ko) * 1993-07-15 1995-02-18 무선전화기용 충전단자 스프링
KR19980021654U (ko) * 1996-10-22 1998-07-15 김영환 무선전화기의 충전구조
KR19980021652U (ko) * 1996-10-22 1998-07-15 김영환 무선전화기의 충전단자 조립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005A (ko)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1218A (ko) 휴대용 무선통신장치용 안테나
EP2562846B1 (en) Battery, battery holder and battery assembling method
WO1992016030A1 (en) Integral hang-up and battery charging apparatus
CN210724240U (zh) 多用途移动电源及多用途移动电源与电动工具的组件
EP1648045B1 (en) A battery contact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0349875A (ja) 無線通信機および電池パックおよびコネクタ
KR100478840B1 (ko) 휴대단말기의 스프링 충전단자 구조
CN218101371U (zh) 锂电池
CN109861346A (zh) 一种充电系统、充电通信方法及充电座通信装置
CN216015856U (zh) 充电结构及电子笔
CN210489962U (zh) 一种充电连接器及电子装置
CN210429898U (zh) 电池及电子设备
TWI644576B (zh) 助聽器充電結構
CN113675928A (zh) 移动电源
CN1321483C (zh) 端子及使用该端子的便携设备
US20090289597A1 (en) Charging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19516643U (zh) 电动牙刷
CN213601968U (zh) 一种具备多电压等级输出的基站电源
CN216413940U (zh) 移动电源
CN210120641U (zh) 一种充电无线耳机
CN210327161U (zh) 一种多输出接口车载手机无线充电器
CN216698848U (zh) 电源适配器及壳体
CN112739120B (zh) 电子设备及电子设备组件
CN212304793U (zh) 一种插头可折叠的迷你快速充电器
WO2021077257A1 (zh) 电池连接器、电池组件以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