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348B1 - 방화문틀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방화문틀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348B1
KR100478348B1 KR10-2002-0006496A KR20020006496A KR100478348B1 KR 100478348 B1 KR100478348 B1 KR 100478348B1 KR 20020006496 A KR20020006496 A KR 20020006496A KR 100478348 B1 KR100478348 B1 KR 100478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re door
forming
concave space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6892A (ko
Inventor
엄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2-00064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348B1/ko
Publication of KR2003006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6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3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14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passing between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의 단일소재를 사용하여 순차적인 절곡작업으로 제작이 이루어짐으로 인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자재 절약, 내구성 향상, 외관도 미려하도록 하는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은 두개 편의 소재를 각각 절곡하여 결합위치를 맞추어 용접이음함으로 인건비가 막대하게 낭비되고 변형이 발생되며, 단열 및 방화 기능이 저하되고 내구성을 저하시키며 미관에도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방화문이 위치되는 전방의 문짝부, 상기 전방의 문짝부에 이어지며 방화문의 슬리브 또는 패킹이 삽치되기 위한 사각형의 요입공간 1, 상기 요입공간 1과 직각방향으로 인접하는 사각형의 요입공간 2, 상기 요입공간 2를 형성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담당하고 실내측으로 위치되는 실내부, 상기 문짝부와 실내부의 단부에 부여되며 벽체측에 고정되는 마감부를 하나의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절곡 제작하며, 상기 제작공정은 상기 요입공간 1을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요입공간 2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를 예비형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돌출부를 완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문짝부, 상기 실내부를 완성하는 동시에 마감부를 형성하는 제 4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방화문틀의 제작방법{A Manufacturing Method for Fire Door}
본 발명은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단일소재를 사용하여 순차적인 절곡작업으로 제작이 이루어짐으로 인력과 시간을 획기적으로 감축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자재도 절약되며 내구성도 향상시키고 외관도 미려하도록 하는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파트나 건물 등의 실내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시 화염전파를 차단하도록 하는 방화문(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을 충진재로 채운 금속판재로 구성되며, 이 방화문(2)이 설치되기 위한 방화문틀(100) 또한 금속판재를 이용하여 구성된다.
상기 방화문틀은 벽체에 고정되어 방화문을 지지하고 외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요입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금속판재가 다단으로 절곡형성되어 이루어져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의 방화문틀(100)의 제작과정 및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틀(100)은 방화문의 측면이 접하게 되는 전방의 문짝부(101), 방화문의 슬리브(2a) 또는 패킹(3)이 삽치되기 위하여 직각방향으로 인접하는 사각형의 요입공간 1(102) 및 요입공간 2(103), 그리고 실내측으로 위치되는 실내부(105)가 형성되고, 양단에는 벽체측을 감싸며 고정되도록 하는 마감부(106)(107)로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의 방화문틀 제작방법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짝부(101)와 요입공간부(102)(103)를 이루는 전방부(100a)와 실내부(105)를 이루는 후방부(100b)의 두 편의 소재를 각각 절곡가공한 다음, 두 소재를 용접이음하여 제작하였다.
종래 기술에서 이와 같이 두 편의 소재를 이음 제작하였던 것은 상기 요입공간 2(103)의 형성을 위한 돌출부(104)를 형성시키는데에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두개 편의 소재를 각각 절곡 가공하여 결합위치를 정확히 맞춘 상태에서 일일이 용접이음 작업이 따라야 함으로 이 용접공정에서 인력 및 그에 따른 인건비가 막대하게 낭비되고, 자재가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두개의 소재가 용접되는 과정에서 굴곡 등의 변형이 발생되고, 용접이음부(100c)에 단차가 생겨 단열 및 방화 기능이 저하되며, 균일하지 못한 용접이음부(100c)가 도장처리 후에도 부식이 발생되는 등 내구성을 저하시키고 미관에도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방화문틀을 제작함에 있어서,
하나의 단일 소재를 사용하여 방화문틀에 구비되는 요소들을 완벽하게 절곡 형성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하여 현저히 공정을 단축, 이에 따른 인력과 시간을 절감하여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외관도 미려하며 내구성도 향상토록 하는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은,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방화문이 위치되는 전방의 문짝부, 상기 전방의 문짝부에 이어지며 방화문의 슬리브 또는 패킹이 삽치되기 위한 사각형의 요입공간 1, 상기 요입공간 1과 직각방향으로 인접하는 사각형의 요입공간 2, 상기 요입공간 2를 형성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담당하고 실내측으로 위치되는 실내부, 상기 문짝부와 실내부의 단부에 부여되며 벽체측에 고정되는 마감부를 하나의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절곡 제작하며,
삭제
상기 하나의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절곡하는 제작공정은,
상기 요입공간 1을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요입공간 2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를 예비형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돌출부를 완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문짝부, 상기 실내부를 완성하는 동시에 마감부를 형성하는 제 4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방화문틀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작단계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은,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방화문(2)이 위치되는 전방의 문짝부(11), 상기 전방의 문짝부(11)에 이어지며 방화문의 슬리브(2a) 또는 패킹(3)이 삽치되기 위한 사각형의 요입공간 1(12), 상기 요입공간 1(12)과 직각방향으로 인접하는 사각형의 요입공간 2(13), 상기 요입공간 2를 완성하는 돌출부(13), 상기 돌출부(13)의 일부를 담당하고 실내측으로 위치되는 실내부(15), 상기 문짝부(11)와 실내부(15)의 단부에 부여되며 벽체측에 고정되는 마감부(16)(17)를 하나의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절곡 제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성의 방화문틀을 하나의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절곡 제작하는 제작공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요입공간 1(12)을 형성하는 제 1단계(a도)와;
상기 요입공간 2(13)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14)를 예비형성하는 제 2단계(b도)와;
상기 돌출부(14)를 완성하는 제 3단계(c도)와;
상기 문짝부(11), 상기 실내부(15)를 완성하는 동시에 양쪽 마감부(16)(17)를 형성하는 제 4단계(d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방화문틀에 구비되어야 하는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단일 소재로서 구성요소들이 형성되기 위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한 제작공정을 단계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방화문틀을 제작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는 금형을 사용하는 금형 절곡장치나 두루마리 형태의 소재공급부로부터 이송공급되어 다단계의 포밍롤러를 통하여 포밍이 자동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포밍 절곡장치를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방화문틀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의 상하좌우의 모든 부분에 적용된다.
이 때 그 소재의 재질은 상부와 좌우의 문틀은 강판재로, 하부 문틀은 스테인레스판재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은 방화문틀을 제작함에 있어서, 하나의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문틀을 완성함으로 종래 기술에서 가장 큰 문제가 되었던 두 편의 소재를 이음하는 용접공정 및 용접이음부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인력과 제작 소요시간을 현저히 절감시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고 생산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케 된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두 소재를 이어주기 위해 소재를 겹쳐서 용접이음하므로 자재가 낭비되었던데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겹침부가 없기 때문에 자재를 절약하게 된다.
그리고 용접을 하지 않음으로 열에 의한 변형 발생이 방지되고, 외관에 용접으로 인한 돌출부가 없음으로 도장시에도 마무리가 깨끗하여 부식의 염려가 그만큼 줄어들어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는 동시에 외관이 미려하게 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은 하나의 단일 소재로서 문틀이 제작되어 종래 기술에서 문제가 되었던 용접이음과정이 배제됨으로써,
종래 기술에 비하여 인력과 제작 소요시간을 현저히 절감시켜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켜 주어 생산비를 대폭 절감시켜주고 자재를 절약케 하는 극히 경제적인 잇점을 갖으며, 변형이 방지되고 내구성을 향상시켜 주는 동시에 외관도 미려함을 갖게 되는 등 여러모로 잇점을 갖는 매우 유익한 기술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방화문과 방화문틀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제작방법을 보이는 절곡과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방화문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작 공정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에 따라 제작된 문틀 2: 방화문
3: 패킹 11: 문짝부
12: 요입공간 1 13: 요입공간 2
14: 돌출부 15: 실내부
16, 17: 마감부 100: 종래 기술의 문틀
100a: 전방부 100b: 후방부
100c: 용접이음부

Claims (2)

  1. 삭제
  2. 금속판재를 절곡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방화문틀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방화문이 위치되는 전방의 문짝부, 상기 전방의 문짝부에 이어지며 방화문의 슬리브 또는 패킹이 삽치되기 위한 사각형의 요입공간 1, 상기 요입공간 1과 직각방향으로 인접하는 사각형의 요입공간 2, 상기 요입공간 2를 형성하는 돌출부, 상기 돌출부의 일부를 담당하고 실내측으로 위치되는 실내부, 상기 문짝부와 실내부의 단부에 부여되며 벽체측에 고정되는 마감부를 하나의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절곡 제작하며,
    상기 하나의 단일 소재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절곡 제작하는 제작공정은,
    상기 요입공간 1을 형성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요입공간 2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돌출부를 예비형성하는 제 2단계와;
    상기 돌출부를 완성하는 제 3단계와;
    상기 문짝부, 상기 실내부를 완성하는 동시에 마감부를 형성하는 제 4단계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화문틀의 제작방법.
KR10-2002-0006496A 2002-02-05 2002-02-05 방화문틀의 제작방법 KR100478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496A KR100478348B1 (ko) 2002-02-05 2002-02-05 방화문틀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6496A KR100478348B1 (ko) 2002-02-05 2002-02-05 방화문틀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892A KR20030066892A (ko) 2003-08-14
KR100478348B1 true KR100478348B1 (ko) 2005-03-25

Family

ID=32220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6496A KR100478348B1 (ko) 2002-02-05 2002-02-05 방화문틀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3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149B1 (ko) * 2015-03-11 2016-02-11 (주)한국방화문 도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674B1 (ko) * 2002-09-13 2005-03-10 주식회사 미륭산업 도어 프레임 제조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558U (ko) * 1993-11-16 1995-06-17 박종문 도어 후레임
KR19980064851A (ko) * 1998-01-17 1998-10-07 박호직 복합문틀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05915U (ko) * 1997-07-22 1999-02-18 원린수 압출성형재 문틀부재
KR20000017891A (ko) * 1999-12-28 2000-04-06 김찬근 기존문틀을 덧씌우는 방법 및 그 구조
KR200242646Y1 (ko) * 2001-05-16 2001-10-29 김형건 방화문용 문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4558U (ko) * 1993-11-16 1995-06-17 박종문 도어 후레임
KR19990005915U (ko) * 1997-07-22 1999-02-18 원린수 압출성형재 문틀부재
KR19980064851A (ko) * 1998-01-17 1998-10-07 박호직 복합문틀재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17891A (ko) * 1999-12-28 2000-04-06 김찬근 기존문틀을 덧씌우는 방법 및 그 구조
KR100372352B1 (ko) * 1999-12-28 2003-02-17 김찬근 기존문틀을 덧씌우는 방법 및 그 구조
KR200242646Y1 (ko) * 2001-05-16 2001-10-29 김형건 방화문용 문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149B1 (ko) * 2015-03-11 2016-02-11 (주)한국방화문 도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6892A (ko) 2003-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348B1 (ko) 방화문틀의 제작방법
CN105484633B (zh) 拼装式组合门扇
CN106567509A (zh) 木瓦及其加工方法和组装柱及其组装方法
CN204804106U (zh) 一种结构墙
KR100398672B1 (ko) 조립식 단열판넬의 상단부 마감구조
CN114013060A (zh) 塑钢门自动化生产工艺
CN206957460U (zh) 一种组装式门框
KR20000036905A (ko) 스테인리스 단위패널 제조방법 및 스테인리스 패널수조
KR100443063B1 (ko) 형광등 케이스 제조 방법
KR200259836Y1 (ko) 매입분전반의 케이스
KR100443422B1 (ko) 샌드위치 판넬 도어의 체결구조 및 제조방법
JPH0118780Y2 (ko)
KR100336089B1 (ko) 법랑형세라믹도어의제조방법
KR20100114760A (ko) 각형 파이프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22870Y1 (ko)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KR20120094257A (ko) 다중 색상 표현형 샌드위치 패널 및 그 제조공정
KR100451134B1 (ko) 형광등 케이스 제조 방법
KR200354023Y1 (ko) 방화문의 장식 구조
JP7131888B2 (ja) 複合サッシ
JPH0481036B2 (ko)
KR960005572Y1 (ko) 건축용 외장재
RU30803U1 (ru) Составной профиль для дверной коробки
JP3672407B2 (ja) 枠状構造体の製造方法
JPH07229235A (ja) ガラスブリック
KR100769037B1 (ko) 인조대리석 관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