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870Y1 -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870Y1
KR200222870Y1 KR2020000033308U KR20000033308U KR200222870Y1 KR 200222870 Y1 KR200222870 Y1 KR 200222870Y1 KR 2020000033308 U KR2020000033308 U KR 2020000033308U KR 20000033308 U KR20000033308 U KR 20000033308U KR 200222870 Y1 KR200222870 Y1 KR 2002228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dies
building
construction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33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랑
Original Assignee
평산에스아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평산에스아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평산에스아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333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8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8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870Y1/ko

Links

Landscapes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인코너 시공시 적용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적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 일면으로 경사지게 제 1,2결합면(11)(21)이 대향되게 형성된 제 1거푸집(10) 및 제 2거푸집(20); 상기 제 1,2거푸집(10)(20) 양측 내부에는 수평을 유지하여 돌설되고, 끼움공(31)이 형성된 보강판(30); 및 상기 보강판(30)의 끼움공(31)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편(41)과, 상기 삽입편(41)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마감편(42)으로 이루어진 고정부재(4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시공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는 인코너 부위에 시공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제 1,2,3,4거푸집을 제작하여 거푸집을 조립하게 됨으로써 건축 시공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인코너 부위에 따라 간편하게 조립하여 시공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INCORNER ONE'S FIGURE ASSEMBLY APPARATUS OF A BULDING}
본 고안은 건축물의 인코너에 콘크리트를 시공하기 위한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물 시공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는 인코너 부위에 따라 적절하여 조립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거푸집를 제작하게 됨으로써 인코너 부위에 따른 조립이 가능하여 시공작업이 향상되고, 호환성이 우수한 건축물의 콘크리트 인코너 조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벽면, 특히 철근 콘크리트 건물의 외벽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거푸집 공사를 먼저 실시하게 되고, 이러한 거푸집 공사는 시공전에 건물의 면적과 층수가 계산된 설계도면에 의해 거푸집의 사양이 결정되는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의 시공과정은 건축물의 외벽 두께 만큼 간격두고 서로 대향되게 배치하게 되면, 이 사이에 벽면의 두께가 되는 이격된 공간이 발생되고, 이에 콘크리트를 시공하여 적정시간 동안 양생과정을 거쳐 견고하게 굳힌 다음, 거푸집을 제거하게 됨으로써 건물의 외벽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시공되는 거푸집은 벽면이 꺽여지는 모서리 부분의 인코너 경우에는 이에 적절하게 별도로 제작하여 콘크리트 시공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건축물의 인코너용으로 제작되는 거푸집은 건축물의 인코너 시공시 마다 이에 적절한 사이즈로 거푸집을 제작하여야 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과 많은 인력 및 공사기간의 지연이 초래되었으며, 설치 및 해체시 변형 등을 유발하여 건축물 공사에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건축물의 시공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는 모서리부위, 즉 인코너에 적절하도록 다양한 사이즈의 거푸집를 제작하게 되는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건축물의 인코너 시공시 적용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적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 일면으로 경사지게 제 1,2결합면이 대향되게 형성된 제 1거푸집 및 제 2거푸집; 상기 제 1,2거푸집 양측 내부에 수평을 유지하여 돌설되고, 끼움공이 형성된 보강판; 및 상기 보강판의 끼움공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편과, 상기 삽입편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마감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2거푸집을 조립 유지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됨으로써 달성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60,90 : 제 1,2,3,4거푸집 11,21 : 제 1,2결합면
15 : 통공 30 : 보강판
31 : 끼움공 40 : 고정부재
41 : 삽입편 42 : 마감편
50 : 방수턱 패드 51 : 삽입부
52 : 밀착편 61,91 : 결합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 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한 요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상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1)은 제 1,2거푸집(10)(20)으로 이루어지고, 직각을 유지하여 조립 유지되어 건축물의 인코너 시공시 적용된다.
상기 제 1,2거푸집(10)(20)은 적정 길이를 유지하여 형성되고, 그 일면으로 경사지게 제 1,2결합면(11)(21)이 대향되게 형성되며, 양측 내부에는 보강판(30)이 수평을 유지하여 각각 내설된다.
상기 보강판(30)은 제 1,2결합면(11)(12)과 동일하게 일면이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면에는 끼움공(31)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제 1,2거푸집(10)(20)은 제 1,2결합면(11)(12) 측으로 개방되어 보강판(30)의 끼움공(31)을 통하여 고정부재(40)가 삽입되어 상호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재(40)는 보강판(30)의 끼움공(31)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편(41)과, 삽입편(41)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마감편(42)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제 1,2거푸집(10)(20)의 전면 양측에는 한쌍의 통공(15)이 형성되어 방수홈(55)을 형성하기 위한 방수턱 패드(50)가 삽입된다.
상기 방수턱 패드(50)는 제 1,2거푸집(10)(20)의 통공(15)에 삽입되는 삽입부(51)와, 삽입부(51)가 양측으로 돌설된 밀착편(52)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방수턱 패드(50)의 밀착편(52)은 제 1,2거푸집(10)(20)의 전면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그 단부가 일치되도록 상호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고정부재(40)로써 직각을 유지하여 조립 유지되는 제 1,2거푸집(10)(20)은 외측면으로 콘크리트 시공을 하게 된다. 즉, 건축물의 인코너 부위가 시공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거푸집(10)(20)의 제 1,2결합면(11)(21)으로 제 3거푸집(60)을 조립시켜 제 1,2거푸집(10)(20) 외측면의 길이를 늘려 건축물 인코너 부위의 면적을 넓히게 된다.
상기 제 3거푸집(60)은 제 1,2거푸집(10)(20)과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고, 제 1,2결합면(11)(21)에 대향되게 양측으로 결합면(61)이 형성되며, 직각을 유지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 3거푸집(60) 내부에는 제 1,2거푸집(10)(20)의 보강판(30)과 동일하게 끼움공(71)이 형성된 보강판(70)이 각각 내설되어 고정부재(80)로써 제 1,2거푸집(10)(20) 사이에 조립된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거푸집(10)(20)의 제 1,2결합면(11)(21)으로 제 4거푸집(90)을 조립시켜 제 1,2거푸집(10)(20) 외측면의 길이를 늘려 건축물 인코너 부위의 면적을 넓히게 된다.
상기 제 4거푸집(90)은 제 1,2거푸집(10)(20)과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고, 제 1,2결합면(11)(21)에 대향되게 양측으로 경사지게 결합면(9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4거푸집(90) 내부에는 제 1,2거푸집(10)(20)의 보강판(30)과 동일하게 끼움공(71)이 형성된 보강판(70)이 각각 내설되어 고정부재(95)로써 제 1,2거푸집(10)(20) 사이에 조립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조립되는 제 1,2거푸집(10)(20)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비하고, 제 3,4거푸집(60)(90)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비하여 건축물 인코너 부위의 면적에 따라 다양하게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대한 인코너 거푸집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제 1,2거푸집(10)(20)의 제 1,2결합면(11)(21)을 밀착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2거푸집(10)(20)의 제 1,2결합면(11)(21)이 상호 밀착되어 직각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2거푸집(10)(20) 양내측에 대향되게 돌설된 보강판(30)이 상호 맞닿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 1,2거푸집(10)(20)의 보강판(30)에 형성된 끼움공(31)에 고정부재(40)의 삽입편(41)을 순차적으로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고정부재(40)의 삽입편(41)이 양측 보강판(30)의 끼움공(31)을 통과하여 삽입됨으로써 제 1,2거푸집(10)(20)이 직각을 유지하여 조립유지 된다. 이때, 제 1,2거푸집(10)(20)의 외측면이 건축물 인코너에 해당된다.
그 다음으로 제 1,2거푸집(10)(20)의 전면 양측에 형성된 통공(15)에 방수턱 패드(50)의 삽입부(51)를 삽입시키게 된다. 그러면, 방수턱 패드(50)의 삽입부(51)가 통공(15)에 삽입되고, 밀착편(52)이 제 1,2거푸집(10)(20)의 전면 양측에 돌출되게 삽입된다. 이때, 밀착편(52)가 제 1,2거푸집(10)(20) 전면을 감싸게 되고, 그 단부가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호 일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콘크리트 시공을 하게 되면, 제 1,2거푸집(10)(20)의 외측으로는 건축물의 인코너 부위가 시공되고, 제 1,2거푸집(10)(20)의 전면 양측에는 방수턱 패드(50)의 밀착편(52)의 두께 만큼 방수홈(55)이 형성되게 되는 데, 이에 방수재를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제 1,2거푸집(10)(20)의 제 1,2결합면(11)(21)으로 제 3거푸집(60)을 조립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2거푸집(10)(20) 외측면의 길이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건축물 인코너 부위의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즉, 제 1,2거푸집(10)(20)과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고, 제 1,2결합면(11)(21)에 대향되게 양측으로 결합면(61)이 형성되며, 직각을 유지하여 형성된 제 3거푸집(60)을 제 1,2거푸집(10)(20) 사이에 밀착시키고, 내부 양측의 보강판(70)의 끼움공(71)과 제 1,2거푸집(10)(20)의 보강판(30)에 형성된 끼움공(31)에 고정부재(80)를 삽입시켜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제 1,2거푸집(10)(20) 외측면의 길이가 제 3거푸집(60)의 길이 만큼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제 1,2거푸집(10)(20)의 제 1,2결합면(11)(21)으로 제 4거푸집(90)을 조립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 1,2거푸집(10)(20) 외측면의 길이가 늘어나게 됨으로써 건축물 인코너 부위의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즉, 제 1,2거푸집(10)(20)과 동일한 길이를 유지하고, 제 1,2결합면(11)(21)에 대향되게 양측으로 결합면(91)이 형성된 제 4거푸집(90)을 제 1,2거푸집(10)(20) 사이에 밀착시키고, 내부 양측의 보강판(70)에 형성된 끼움공(71)과 내부 양측의 보강판(70)에 형성된 끼움공(71)과 제 1,2거푸집(10)(20)의 보강판(30)에 형성된 끼움공(31)에 고정부재(90)를 삽입시켜 고정시키게 됨으로써 제 1,2거푸집(10)(20) 외측면의 길이가 제 4거푸집(90)의 길이 만큼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조립되는 제 1,2거푸집(10)(20)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비하고, 제 3,4거푸집(60)(90)의 길이를 다양하게 구비하여 건축물 인코너 부위의 면적에 따라 다양하게 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에 의하면, 건축물의 시공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되는 인코너 부위에 시공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사이즈로 제 1,2,3,4거푸집을 제작하여 거푸집을 조립하게 됨으로써 건축 시공에 따라 다르게 형성된 인코너 부위에 따라 간편하게 조립하여 시공하게 되어 작업성이 향상되고, 호환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5)

  1. 건축물의 인코너 시공시 적용되는 거푸집에 있어서,
    적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 일면으로 경사지게 제 1,2결합면(11)(21)이 대향되게 형성된 제 1거푸집(10) 및 제 2거푸집(20);
    상기 제 1,2거푸집(10)(20) 양측 내부에는 수평을 유지하여 내설되고, 끼움공(31)이 형성된 보강판(30); 및
    상기 보강판(30)의 끼움공(31)에 각각 삽입되는 삽입편(41)과, 상기 삽입편(41) 일단에 일체로 형성된 마감편(42)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 1,2거푸집(10)(20)을 조립 유지하는 고정부재(40);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거푸집(10)(20) 전면 양측에는 한쌍의 통공(15)이 형성되고,
    상기 제 1,2거푸집(10)(20)의 통공(15)에는 삽입부(51)와 결합편(52)으로 이루어진 방수턱 패드(50)가 삽입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거푸집(10)(20)의 제 1,2결합면(11)(21) 사이에 제 3거푸집(60)을 조립시켜 상기 제 1,2거푸집(10)(20) 외측면의 길이를 늘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거푸집(60)은 상기 제 1,2결합면(11)(21)에 대향되게 양측으로 결합면(61)이 형성되고, 직각을 유지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거푸집(10)(20)의 제 1,2결합면(11)(21) 사이에는 상기 제 1,2결합면(11)(21)에 대향되게 양측으로 경사지게 결합면(91)이 형성된 4거푸집(90)을 조립시켜 상기 제 1,2거푸집(10)(20) 외측면의 길이를 늘리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KR2020000033308U 2000-11-28 2000-11-28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KR2002228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08U KR200222870Y1 (ko) 2000-11-28 2000-11-28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3308U KR200222870Y1 (ko) 2000-11-28 2000-11-28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870Y1 true KR200222870Y1 (ko) 2001-05-15

Family

ID=73060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3308U KR200222870Y1 (ko) 2000-11-28 2000-11-28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87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492B1 (ko) * 2001-02-20 2003-11-05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코너 거푸집
KR102588569B1 (ko) * 2023-02-07 2023-10-12 윤병주 벽체 인코너 및 벽체와 천정 모서리 거푸집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4492B1 (ko) * 2001-02-20 2003-11-05 에스케이건설 주식회사 코너 거푸집
KR102588569B1 (ko) * 2023-02-07 2023-10-12 윤병주 벽체 인코너 및 벽체와 천정 모서리 거푸집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56242A1 (en) Connector for concrete panels
KR200222870Y1 (ko)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KR200222871Y1 (ko) 건축물의 인코너 거푸집 조립장치
KR20200120005A (ko) 건축용 벽체 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JPH04189938A (ja) パネル
KR100448443B1 (ko) 철근배근 및 단열재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강재패널
KR200357642Y1 (ko) 인코너판넬 보강구조
JPH0533491A (ja) Pc柱型枠
KR200211308Y1 (ko) 조립식 암거의 종방향 결합 구조
JP2017066811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方法
KR100465817B1 (ko) 건축 내장용 벽체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727788B2 (ja) Pc梁型枠
KR200306787Y1 (ko) 건축 내장용 벽체 패널
KR200345038Y1 (ko) 건축용 거푸집
JP3517398B2 (ja) 化粧板ブロック及びその構造体
KR200203651Y1 (ko) 벽체성형 블록
KR102102469B1 (ko) 조립식 돔 하우스
KR200338602Y1 (ko) 복합 패널의 두께 조절구조
KR200186237Y1 (ko) 콘크리트벽체의 연결철물 매립보조구
KR200196815Y1 (ko) 벽체구조물연결장치
JP2008255583A (ja) 型枠連結具、壁面用型枠の形成方法、壁面の形成方法及び建築物の建築方法
KR200361118Y1 (ko) 외장재가 일체화된 블록
KR100687193B1 (ko) 스티로폼 단열판의 이음 구조
JP2710012B2 (ja) 建設用型枠
KR100705393B1 (ko) 미장판넬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