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053B1 - 자동차용 도어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도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053B1
KR100478053B1 KR10-2002-0084712A KR20020084712A KR100478053B1 KR 100478053 B1 KR100478053 B1 KR 100478053B1 KR 20020084712 A KR20020084712 A KR 20020084712A KR 100478053 B1 KR100478053 B1 KR 1004780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anel
retainer
latch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47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8486A (ko
Inventor
정옥태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47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8053B1/ko
Publication of KR20040058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8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6Assembly panels to be installed in doors as a module with components, e.g. lock or window lifter, attached theret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68Fixation or mounting means specific for door compon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20Bolts or det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모듈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도어 패널의 공동에 내장되는 도어 모듈에 있어서 모듈화 패널과 도어 래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도어 인너 패널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도어 래치만을 간편하게 분리하여 사후정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모듈화 패널(1)에 레귤레이터 모터(3) 등을 결합한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2), 도어 인사이드 핸들(4)을 결합하고, 상기 모듈화 패널(1)의 일측에 도어 래치(7)를 설치하여 상기 도어 인사이드 핸들(4)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레버(5)와 도어 세이프티 노브(5')에 연결한 케이블(9')(9)을 도어 래치(7)의 레버 또는 링크에 연결한 후 모듈화 패널(1)을 도어 인너 패널(10)에 결합한 도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7)에 리테이너(20)의 일측을 스크류(21)로 고정하고, 상기 리테이너(20)의 타측과 모듈화 패널(1)의 일측에 결합수단(22)을 설치하여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하고, 상기 결합수단(22)은 도어 인너 패널(10)에 형성한 삽입공간부(11)에 노출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도어 모듈 {DOOR MODUL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도어 모듈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도어 패널의 공동에 내장되는 도어 모듈에 있어서 모듈화 패널과 도어 래치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완성차의 조립에 있어서 조립라인의 축소, 작업성 개선 등을 위하여 단위부품을 집합하여 조립하는 모듈화의 채용이 증가하고 있고, 상기 경향에 따라 도어의 도어 아웃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 사이의 공동에 부설하는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도어 래치 등을 모듈화 패널에 집합하여 조립한 후 상기 모듈화 패널을 도어 인너 패널에 결합하고 있다.
종래의 도어 모듈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화 패널(1)에 레귤레이터 모터(3) 등을 결합한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2), 도어 인사이드 핸들(4)을 결합하고, 상기 모듈화 패널(1)의 일측에 케이블 브라켓(6)과 함께 도어 래치(7)를 스크류(8)로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도어 인사이드 핸들(4)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레버(5)와 도어 세이프티 노브(5')에 연결한 케이블(9')(9)의 튜브 단부를 상기 케이블 브라켓(6)에 형성한 지지돌기(6')에 지지한 후 케이블(9)(9')의 타단을 도어 래치(7)의 레버 또는 링크에 연결하여 도어 모듈을 조립하고, 상기 도어 모듈을 도어 인너 패널(10)에 형성한 삽입공간부(11)를 통하여 도어 아웃터 패널(미도시)과 도어 인너 패널(10)사이에 형성되는 공동에 삽입하고 외측에서 모듈화 패널(1)을 도어 인너 패널(10)에 수개의 스크류(12)로 고정한 것이다.
그러나 모듈화 패널(1)에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2), 도어 래치(7) 등을 모듈화 하면 모듈화의 이점은 달성되지만, 모듈화 부품의 고장시에는 모듈화 패널(1)을 도어 인너 패널(9)에서 분리하여야 함으로 사후정비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도어 래치(7) 부위는 도어 래치(7) 자체 및 케이블(9)(9')의 연결부의 고장이 잦으나 모듈화 패널(1)과 도어 래치(7)는 케이블 브라켓(6)과 함께 스크류(8)로 결합하고, 상기 결합부는 도어 인너 패널(10)에 의하여 은폐되어 있음으로 도어 래치(7)만 고장을 일으켰을 경우에도 모듈화 패널(1)을 도어 인너 패널(10)에서 분리한 후 모듈화 패널(1)에서 도어 래치(7)를 분리하여야 함으로 작업공수가 많이 소요되고 번잡하며, 작업공수를 절감하고 번잡성을 피하기 위하여 도어 모듈 전체를 교환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자원낭비를 초래하고 사후정비 비용이 고가로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도어 인너 패널(10)에 형성하는 삽입공간부(11)를 더욱더 크게 형성하여 스크류(8)를 노출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도어 인너 패널(10)은 측면 충돌시에 강성부재로 작용함으로 삽입공간부(11)를 더욱더 크게 형성하면 강성이 취약하여 탑승자의 골반부위의 상해치가 증가하는 더욱더 큰 다른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여, 도어 인너 패널의 강성을 유지하면서 도어 래치만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는 자동차용 도어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듈화 패널에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도어 인사이드 핸들, 도어 래치 등을 부설한 도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에 리테이너의 일측을 고정하고, 리테이너의 타측과 모듈화 패널의 일측에 결합수단을 설치하여 삽입공간부를 통하여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듈화 패널(1)에 레귤레이터 모터(3) 등을 결합한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2), 도어 인사이드 핸들(4)을 결합하고, 상기 모듈화 패널(1)의 일측에 도어 래치(7)를 설치하여 상기 도어 인사이드 핸들(4)의 도어 인사이드 핸들 레버(5)와 도어 세이프티 노브(5')에 연결한 케이블(9')(9)을 도어 래치(7)의 레버 또는 링크에 연결한 후 모듈화 패널(1)을 도어 인너 패널(10)에 결합한 도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7)에 리테이너(20)의 일측을 스크류(21)로 고정하고, 상기 리테이너(20)의 타측과 모듈화 패널(1)의 일측에 결합수단(22)을 설치하여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하고, 상기 결합수단(22)은 도어 인너 패널(10)에 형성한 삽입공간부(11)에 노출시킨 것이다.
상기 결합수단(22)은 합성수지제 리테이너(20)의 타측 상하에 지지판(23)(23')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23)(23')에 횡으로 걸림돌기(24)(24')를 형성하고, 모듈화 패널(1)의 일측에 걸림홈(25)(25')을 형성하여 걸림돌기(24)(24')를 걸림홈(25)(25')에 삽입한 후 리테이너(20)를 도어 래치(7) 측으로 잡아당기면 리테이너(20)의 타측이 모듈화 패널(1)에 결합되는 것이며, 상기 리테이너(20)의 이면에는 케이블 지지돌기(26)(26')를 형성하여 케이블(9)(9')의 튜브 단부를 지지한 것이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24)(24')는 수평의 지지돌기(240)의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돌출되는 걸림턱(24)(24')을 형성하고, 상기 걸림홈(25)(25')은 수평의 지지홈(250)의 양측에 상기 걸림턱(241)(241')과 동일 간격으로 삽입홈(251)(251')을 형성함과 동시에 일측 삽입홈(251') 부위는 상기 지지홈(250)을 일정 길이로 연장한 연장 지지홈(252)을 형성하여 결합시에 상기 삽입홈(251)(251') 사이와 연장 지지홈(252)에 걸림턱(241)(241')이 걸려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력을 증대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 래치(7)는 도어 인너 패널(10)의 측면에 스크류(미도시)로 직접 고정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모듈화 패널(1)에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2) 등을 조립할 때 도어 래치(7)에 리테이너(20)의 일측을 스크류(21)로 고정한 후 리테이너(20)의 타측 상하에 형성한 걸림돌기(24)(24')를 모듈화 패널(1)의 일측에 형성한 걸림홈(25)(25')에 삽입하고 리테이너(20)를 도어 래치(7) 측으로 잡아당기면 지지판(23)(23')과 걸림돌기(24)(24')는 모듈화 패널(1)의 지지홈(250)과 연장 지지홈(252)의 내외측에 지지되면서 결합되고, 상기와 같이 도어 래치(7)를 결합한 후 케이블(9)(9')의 튜브 단부를 케이블 지지돌기(26)(26')에 삽입 지지하면서 케이블(9)(9')의 타단을 도어 래치(7)의 레버 또는 링크에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 모듈을 조립한 후 도어 인너 패널(10)에 형성한 삽입공간부(11)를 통하여 도어 아웃터 패널과 도어 인너 패널(10) 사이에 형성되는 공동에 삽입하고 외측에서 모듈화 패널(1)을 도어 인너 패널(10)에 수개의 스크류(12)로 고정하면 리테이너(20)와 모듈화 패널(1)의 결합수단(20)은 삽입공간부(11)의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도어 모듈을 도어 인너 패널(10)에 결합한 후 도어 래치(7)에 고장이 발생하면 먼저 도어 인너 패널(10)의 측면에서 도어 래치(7)를 고정한 스크류를 분리하고, 드라이버 등으로 걸림돌기(24)(24')를 도어 래치(7)의 반대편으로 밀어서 걸림턱(241)(241')을 삽입홈(251)(251')에 위치시킨 후 걸림턱(241)(241')을 모듈화 패널(1)의 내측으로 밀면 리테이너(20) 및 도어 래치(7)가 모듈화 패널(1)에서 분리됨으로써 고장난 도어 래치(7) 등을 수리하거나, 새 도어 래치(7)를 상기 결합시와 같이 리테이너(20)를 모듈화 패널(1)에 결합함으로써 사후정비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도어 모듈중 도어 래치를 리테이너를 이용하여 모듈화 패널에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함과 동시에 그 결합부위를 도어 인너 패널의 삽입공간부에 노출되게 위치시킴으로써 도어의 강성을 유지하여 탑승자의 골반상해치가 증가되지 않아 안전성을 유지하고, 도어 래치의 고장시 도어 래치만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리 또는 교환할 수 있게 되어 사후정비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도어 모듈 전체를 교환하지 않아도 됨으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치상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 선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것의 측면도.
도 6은 종래의 것의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모듈화 패널 7 : 래치 20 : 리테이너
22 : 결합수단 24, 24' : 걸림돌기 25, 25' : 걸림홈

Claims (3)

  1. 모듈화 패널에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 도어 인사이드 핸들, 도어 래치 등을 부설한 도어 모듈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치에 리테이너의 일측을 고정하고, 리테이너의 타측과 모듈화 패널의 일측에 결합수단을 설치하여 삽입공간부를 통하여 분해할 수 있게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도어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리테이너의 타측 상하에 지지판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지지판에 횡으로 걸림돌기를 형성하고, 모듈화 패널의 일측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걸림돌기를 걸림홈에 삽입한 자동차용 도어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걸림돌기는 수평의 지지돌기의 양측에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돌출되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걸림홈은 수평의 지지홈의 양측에 상기 걸림턱과 동일 간격으로 삽입홈을 형성함과 동시에 일측 삽입홈 부위는 상기 지지홈을 일정 길이로 연장한 연장 지지홈을 형성하여서 된 자동차용 도어 모듈.
KR10-2002-0084712A 2002-12-27 2002-12-27 자동차용 도어 모듈 KR100478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712A KR100478053B1 (ko) 2002-12-27 2002-12-27 자동차용 도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4712A KR100478053B1 (ko) 2002-12-27 2002-12-27 자동차용 도어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486A KR20040058486A (ko) 2004-07-05
KR100478053B1 true KR100478053B1 (ko) 2005-03-23

Family

ID=37350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4712A KR100478053B1 (ko) 2002-12-27 2002-12-27 자동차용 도어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80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50B1 (ko) * 2007-06-12 2008-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래치의 가조립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59602B2 (ja) * 2005-11-30 2011-03-30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ラッチの操作装置
KR101405762B1 (ko) * 2008-05-09 201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도어 모듈 및 그 조립방법
KR101143209B1 (ko) * 2010-03-23 2012-05-18 대동하이렉스 주식회사 도어랫치모듈의 삽입식 장착구조 및 이를 이용한 모듈플레이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250B1 (ko) * 2007-06-12 2008-10-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도어래치의 가조립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8486A (ko) 2004-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16611B2 (en) Door module for a vehicle door, and mounting method
CN103434371B (zh) 结构性门模组
CN101286595B (zh) 车门用电缆连接器
US7743559B2 (en) Modular support for automobile doors, door assembly for an automobil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modular support on a door frame
US7774986B2 (en) Pre-assembly unit for a motor vehicle door
JP2007030706A (ja) 車両用ドア
CN109072639A (zh) 用于机动车的门把手模块
KR100478053B1 (ko) 자동차용 도어 모듈
JP2006057393A (ja) 車両用ドアハンドル
JP2006232017A (ja) 車両用バックドアのガーニッシュ
JP2008149893A (ja) 車体構造
US7805888B2 (en) Adapter for the assembly of a door control module to a motor vehicle door
KR100862250B1 (ko) 차량 도어래치의 가조립 구조
KR100351760B1 (ko) 차량 도어의 도어 트림 결합구조
JP2003221968A (ja) 車両窓ガラス用ホルダ
JP2000272411A (ja) 車両用室内ランプの組付構造及びルーフライニング
JPH09148003A (ja) コネクタ装置およびコネクタ取付方法
KR20060015895A (ko) 자동차의 도어 모듈 결합구조
JP3506110B2 (ja) 車両用外装部品の取付け構造
KR100337817B1 (ko) 커티시램프 취부구조
JP7380281B2 (ja) 電子機器取付構造
JP5024091B2 (ja) グロメット取付構造
JP4631592B2 (ja) 穴閉鎖プラグ
JP2007191051A (ja) 操作系部品の取付構造
KR100482661B1 (ko) 범퍼커버 체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