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909B1 - 셀룰러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 통신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셀룰러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 통신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909B1
KR100477909B1 KR10-2002-0008984A KR20020008984A KR100477909B1 KR 100477909 B1 KR100477909 B1 KR 100477909B1 KR 20020008984 A KR20020008984 A KR 20020008984A KR 100477909 B1 KR100477909 B1 KR 10047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station
base stations
signal
base station
contro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8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121A (ko
Inventor
하마베고지로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9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1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9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 H04W52/286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user profile, e.g. mobile speed, priority or network state, e.g. standby, idle or non transmission during data packet transmission, e.g. 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2Outer and inner loo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1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channel quality metrics, e.g. SIR, SNR, CIR, Eb/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where transmission power control commands are generated based on a path parame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386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centralized, e.g. when the radio network controller or equivalent takes part in the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DPCH의 송신 전력의 증가로부터 발생하는 간섭파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여,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증가시키면서 회선 용량을 증가시킨다.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의 DPCH1의 수신 SIR을 기지국의 목표 SIR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수신 SIR이 목표 SIR보다 작은 경우, 기지국은 DPCH1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될 때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도록 이동국에 명령하지만, 기지국은 HS-PDSCH가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될 때 소정의 오프셋값(△)만큼 목표 SIR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이동국은 단지 DPCH1만이 수신되는 경우에 비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HS-PDSCH는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각 이동국으로 송신되므로, 단지 이동국만이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Description

셀룰러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 통신 제어 방법{CELLULAR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셀룰러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고속 다운링크 패킷 송신방식(HSDPA;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에서 제어 정보의 송신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셀룰러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 통신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다운링크 회선 상에서 고속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HSDPA가 3GPP(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연구되고 있다. 이 HSDPA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다운링크 회선 상에서 송신을 위해 고속 다운링크 공용 채널(HS-PDSCH; High-Spee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이 이용된다. 이 HS-PDSCH를 이용하여 각 기지국으로부터 복수의 이동국들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따라서, 기지국 또는 그 제어장치는 복수의 이동국들 각각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스케쥴을 결정하고, 각 이동국에 대해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의 데이터 송신을 제어하기 위해, 각 기지국은 그 자신과 복수의 이동국간에 개별적으로 DPCH(개별 채널; Dedicated Physical Channel)를 설정한다. 이 DPCH를 이용하여 그 다운링크 신호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제어 정보를 송신하고, 역방향으로 업링크 신호에 의해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제어 정보를 송신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된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이동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타이밍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HS-PDSCH의 경우, 그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하고, 기지국과 이동국간의 송신 회선의 상태에 따라 복수의 변조 방식(예를 들어, QPSK, 16QAM, 64QAM)중에서, 목표 비트 에러율을 달성하는 범위내에서 최고속 데이터 송신이 실행되는 것을 가능케하는 변조 방식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기술이 존재하지만, 그 변조 방식의 선택 정보도 제어 정보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된다.
한편,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제어 정보는, 예를 들어, 데이터가 복수의 블록으로 분할되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되는 경우에 각 데이터 블록에 대한 수신 확인 통지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변조 모드를 변경하기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공통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을 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제어 정보로서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하는 경우도 있다.
각 이동국에서, HS-PDSC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는 시간 비율(%)이 작지만,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데이터 수신 대기 상태에서도, DPCH가 이동국과 기지국간에 계속 설정되므로, 데이터 송신이 필요할 때 단시간에 데이터 송신을 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각 기지국이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이동국들의 수는 하나뿐이지만, 다수의 이동국이 대기 상태에 있게 되고, 그들과 기지국간에 DPCH를 설정한다.
셀룰러 시스템에서, 이동국이 복수의 기지국과 동시에 채널들을 설정하는 소프트 핸드오버로 통칭되는 기술이 있다. 각 기지국은 소정의 전력으로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고, 이동국은 공통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이 최대인 기지국과 DPCH를 설정하지만, 소프트 핸드오버에서는, 공통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의 차이가 작은 별개의 기지국이 존재하는 경우, 이동국은 별개의 기지국과 DPCH를 설정하여 복수의 기지국과 DPCH를 설정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DPCH가 설정되는 기지국을 접속 기지국으로 통칭한다.
또한, 셀룰러 시스템에서는, 고속 폐루프형의 송신 전력 제어로 통칭되는 기술이 적용될 수도 있다. 고속 폐루프형의 송신 전력 제어는, DPCH에 대하여 업링크 회선과 다운링크 회선의 일방 또는 쌍방에 적용된다. DPCH의 업링크 회선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의 경우, 기지국은 업링크 신호에 포함된 개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그 수신 SIR(신호 대 간섭비;Signal to Interference Ratio)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을 소정의 목표 SIR과 비교한다. 그 후, 측정값이 목표 SIR 보다 작은 경우, 기지국은 DPCH의 다운링크 신호에 전력 증가를 나타내는 TPC(송신 전력 제어) 비트들을 포함하여 기지국에 통지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기지국은 DPCH의 다운링크 신호에 전력 감소를 나타내는 TPC 비트들을 포함하여 이를 이동국에 통신한다. 그 후, 이동국은 TPC 비트를 수신하고, TPC 비트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업링크 회선의 상기 송신 전력 제어를 소프트 핸드오버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이동국은 복수의 접속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TPC 비트를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TPC 비트가 전력 감소를 나타내는 경우, 이동국은 DPCH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특히, 모든 TPC 비트들이 전력 증가를 나타내는 경우), DPCH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은 송신 전력 제어를 수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접속 기지국에서 업링크 회신 신호의 품질로서 목표 SIR을 달성하게 되고, 업링크 회선 신호의 수신 품질이 모든 접속 기지국들에서 목표 SIR을 초과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업링크 회선의 간섭파 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DPCH의 다운링크 회선에 대한 송신 전력 제어의 경우, 이동국은 다운링크 신호에 포함된 개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그 수신 SIR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값을 소정의 목표 SIR과 비교한다. 그 후, 측정값이 목표 SIR 보다 작은 경우, 이동국은 DPCH의 업링크 신호에 전력 증가를 나타내는 TPC 비트들을 포함하여 기지국에 통지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이동국은 DPCH의 업링크 신호에 전력 감소를 나타내는 TPC 비트들을 포함하여 이를 기지국에 통신한다. 그 후, 기지국은 TPC 비트를 수신하고, TPC 비트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다운링크 회선의 상기 송신 전력 제어를 소프트 핸드오버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경우, 이동국은 복수의 접속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DPCH의 다운링크 회선 신호 비트를 수신하여 이를 합성하고, 다운링크 회선 신호의 그 합성된 수신 SIR을 목표 SIR과 비교하여 TPC 비트들을 측정한다. 그 후, 공통 TPC 비트들은 복수의 접속 기지국으로 송신되고, 각각의 접속 기지국은 TPC 비트들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모든 접속 기지국들이 공통 TPC 비트들에 따라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접속 기지국들 간의 균형을 유지하게 되고, 그 자신과 이동국간의 송신 손실이 최소인 접속 기지국에 의해 송신된 다운링크 회선 신호가 이동국에 의해 양호한 품질로 수신되므로, 다운링크 회선 신호의 송신 전력이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여, 다운링크 회선의 간섭파 전력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술한 송신 전력 제어와 소프트 핸드오버는, 특히 CDMA(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에 기초한 셀룰러 시스템에서, 무선 접속 방식으로서 송신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간섭파 전력을 감소시켜 회선 용량을 증가시키는데 유효한 기술들이다.
FCS(고속 셀 선택; Fast Cell Selection)로 통칭되는 기술이 HS-PDSCH에 적용되는 경우들이 있다. 이러한 FCS는 소프트 핸드오버와 조합하여 이용된다. FCS에서, 이동국으로 송신될 데이터는 각각의 접속 기지국들로 송신된다. 그 후, 이동국은 각각의 접속 기지국들로부터 송신된 공통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수신 전력이 최대인 접속 기지국(이하, 프라이머리 기지국(Primary Base Station;主기지국)으로 통칭함)의 식별 부호를 각각의 접속 기지국들로 통지한다. 한편, 각각의 접속 기지국들은, 통지된 식별 부호가 그 자신 지국의 식별 부호와 동일한 경우 HS-PDSCH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HS-PDSCH에 의해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접속 기지국이 종종 변경됨으로써, 상태가 가장 양호한 송신 회선을 통해 접속 기지국이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송신 전력을 일정하게 하고 복수의 변조 방식들 중에서 하나의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경우 더 고속으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FCS에서, 이동국이 접속 기지국으로 통지하는 식별 부호의 정보도 HS-PDSCH에 의한 데이터 송신을 위해 DPCH의 업링크 회선 신호에 의해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되는 제어 정보이다.
또한, SSDT(사이트 선택 다이버시티 송신 전력 제어;Site Selection Diversity Transmit Power Control)로 통칭되는 기술이 DPCH에 적용될 수도 있다. 이 SSDT는 FCS와 유사한 기술로서, 소프트 핸드오버와 조합하여 이용된다. 이 SSDT에서, 이동국은 프라이머리 기지국의 식별 부호를 각각의 접속 기지국에 통지하고, 각각의 접속 기지국은, 통지된 식별 부호가 그 자신 지국의 식별 부호와 동일한 경우 DPCH의 다운링크 회선 신호를 송신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DPCH의 다운링크 회선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DPCH의 다운링크 회선 신호를 송신하는 접속 기지국이 종종 변경됨으로써, 상태가 가장 양호한 송신 회선을 통해 접속 기지국이 데이터를 송신하므로, 이동국에서 다운링크 회선 신호의 수신 SIR이 소정의 목표값으로 되도록 다운링크 회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할 때, DPCH의 다운링크 회선 신호의 송신 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회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SSDT는 일본 특허 제2991185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제3047393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HS-PDSCH를 이용한 데이터 송신의 경우, DPCH에 의한 제어 정보의 신뢰도가 낮아지면, 기지국과 이동국에서의 제어 정보 수신 에러가 증가하므로, 데이터 송신의 효율성이 감소된다. HS-PDSCH는, 고속 데이터 송신이 실행되기 때문에 각 DPCH의 다운링크 신호보다 더 큰 송신 전력을 가지므로, 데이터 블록의 송신이 실패한 후 그 블록을 다시 송신하면, 다운링크 회선의 간섭파 전력이 상당히 증가하여 회선 용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데이터 송신의 효율 감소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수신 SIR의 값으로서 이용된 목표 SIR을 고속 폐루프형의 송신 전력 제어에서 최대값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업링크 회선의 송신 전력 제어에서, 기지국이 목표 SIR을 최대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이동국은 최대 전력으로 DPCH의 업링크 회선 신호를 송신하고,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업링크 회선 신호의 수신 SIR이 증가되므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다운링크 회선의 송신 전력 제어에서, 이동국이 목표 SIR을 최대값으로 설정함으로써, 기지국은 최대 전력으로 DPCH의 다운링크 회선 신호를 송신하고, 이동국에 의해 수신된 다운링크 회선 신호의 수신 SIR이 증가되므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상술한 FCS에서, 각각의 접속 기지국들은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프라이머리 기지국의 식별 부호에 대한 판정을 수행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데이터의 송신 여부를 결정한다. 따라서, 제어 정보의 신뢰도가 낮게 되고, 프라이머리 기지국이 식별 부호에 대해 잘못된 판정을 하는 경우, 데이터가 송신되지 않으므로, 데이터 송신의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 또한, 프라이머리 기지국 이외의 접속 기지국이 식별 부호에 대해 잘못된 판정을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경우, 불필요한 데이터가 송신되므로, 간섭파 전력이 증가되고 회선 용량이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접속 기지국에서 업링크 회선 신호의 수신 품질로서 목표 SIR을 달성하기 때문에, 그 FCS가 업링크 회선에서 송신 전력 제어와 조합하여 이용되면, 다른 접속 기지국들에서 업링크 회선 신호의 수신 품질이 목표 SIR 이하로 될 가능성이 있다. 프라이머리 기지국의 식별 부호가 업링크 회선 신호에 제어 정보로서 포함되므로, 식별 부호의 신뢰도가 적어도 하나의 접속 기지국에서는 높지만, 식별 부호의 신뢰도가 다른 접속 기지국들에서는 낮게 된다. 업링크 회선에서 이용된 주파수가 다운링크 회선에서 이용된 주파수와 다른 시스템의 경우, 업링크 회선에 대한 페이징(phasing)이 다운링크 회선에 대한 페이징과 다르고, 프라이머리 기지국의 업링크 회선에서의 전파 손실이 반드시 최소는 아니기 때문에, 프라이머리 기지국에서 식별 부호의 신뢰도가 감소될 수도 있다. 따라서, 업링크 회선의 송신 전력 제어와 조합하여 이용되면, 특히, 식별 부호에 대한 잘못된 판정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데이터 송신 효율이 감소되고 회선 용량이 감소된다.
상기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서, 접속 기지국이 업링크 회선의 송신 전력 제어에서 목표 SIR을 최대값으로 설정함으로써, 다수의 접속 기지국에서 식별 부호의 신뢰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므로, 데이터 송신 효율이 저하하고 회선 용량이 감소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대책으로서, 소프트 핸드오버 동안 업링크 회선의 송신 전력 제어를 상술한 방법과 다른 방법으로 실행하는 방법, 즉, 복수의 접속 기지국 각각으로부터 TPC 비트들을 수신할 때, 적어도 하나의 TPC 비트가 전력 증가를 나타내면 이동국이 DPCH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특히 모든 TPC 비트들이 전력 감소를 나타내는 경우) 이동국이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방법이 3GPP에서 현재 검토되고 있다. 또한, TPC 비트들이 현재 프라이머리 기지국 또는 새 프라이머리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될 때, 적어도 하나의 TPC 비트가 전력 증가를 나타내면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방법도 현재 3GPP에서 검토되고 있다. 이들 방법들을 이용하여, 모든 접속 기지국들과 프라이머리 기지국에서 업링크 회선 신호의 수신 품질을 목표 SIR에 근사하게 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송신 효율이 저하하고 회선 용량이 감소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SSDT에 있어서, 접속 기지국에서, 프라이머리 기지국이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프라이머리 기지국의 식별 부호를 잘못 수신하여 DPCH의 다운링크 회선 신호를 송신하지 않은 경우, 접속 기지국들 중 어느 접속 기지국도 DPCH의 다운링크 회선 신호를 송신하지 않으므로, 제어 정보의 신뢰도가 감소되고, HS-PDSCH에서 데이터 송신의 효율이 저하되며 회선 용량이 감소된다. 상기 문제점에 대한 대책으로서, DPCH에 SSDT를 적용하지 않는 방법을 고려하고 있다.
또한, 업링크 신호에 포함된 개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의 도달 보고를 추정하고, 도달 방향에 대한 지향성 이득(directional gain)이 증가하도록 안테나 지향성 패턴을 적응적으로 형성하며, HS-PDSCH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적응 안테나 기술을 기지국이 이용하는 경우들이 있다. 개별 파일럿 신호는 소정의 부호 계열로 이루어지고, 이를 기준 신호로 이용하여 도달 방향을 추정한다. 이와 같은 적응 안테나 기술은, "적응 어레이 및 이동 통신"(Ⅱ)(전자정보통신학회지, Vol. 82, No. 1, pp. 55-61, 1999년 1월) 및 "적응 어레이 및 이동 통신"(Ⅳ)(전자정보통신학회지, Vol. 82, No. 3, pp. 264-271, 1999년 3월) 등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적응 안테나 기술로 인해, 이동국이 존재하는 위치에서 HS-PDSCH의 수신 전력이 크고, 다른 위치에서는 그 수신 전력이 비교적 작으므로, 다른 셀들에 대한 간섭파 전력을 감소시키면서 만족할 만한 회선 품질을 얻게 된다. 이 때, 복수의 변조 방식들 중에서 최대 속도로 데이터가 송신되는 것을 가능케하는 변조 방식을 선택하여 이용하는 경우, 송신 전력이 일정한 경우에도 더 고속의 데이터 송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셀들에 대한 간섭파 전력이 감소하고, 회선 용량이 증가한다.
이와 같은 적응 안테나 기술에서는, 도달 방향의 정확한 추정을 향상시키기위해 개별 파일럿 신호를 양호한 품질로 수신할 필요가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업링크 회선의 송신 전력 제어에서 기지국이 목표 SIR을 큰 값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업링크 회선의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 기지국에서 업링크 회선 신호의 수신 SIR의 목표값으로서 이용되는 목표 SIR을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 업링크 회선 신호의 송신 전력이 증가한다. 이와 유사하게, 이동국에서 다운링크 회선 신호의 수신 SIR의 목표값으로서 이용되는 목표 SIR을 큰 값으로 설정하는 경우, 다운링크 회선 신호의 송신 전력이 증가한다. 또한, 소프트 핸드오버 동안 업링크 회선의 송신 전력 제어에 있어서, 모든 접속 기지국들 또는 프라이머리 기지국에서 업링크 회선 신호의 수신 품질을 목표 SIR에 근사하게 하기 위해 제어를 실행하는 경우, 업링크 회선의 송신 전력이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이동국이 HS-PDSC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 있고, 그들 자신과 기지국간에 DPCH를 설정하므로, 그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함에 따라 간섭파 전력이 증가하고 회선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송신 전력은, 다른 DPCH들에 있어서 송신 전력의 증가로부터 발생하는 간섭파 전력의 증가로 인해 더 증가한다. 이는, DPCH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회선들의 신호들의 경우, 그들의 수신 SIR들이 소정의 목표값들에 근사하도록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복수의 DPCH간에는, 서로 간섭하기 때문에 동시에 설정된 DPCH들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송신 전력은 지수적으로 증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이동국이 HS-PDSCH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신하지 않는 대기 상태에 있고, 그들 자신과 기지국간에 DPCH를 설정하므로, 다수의 DPCH의 업링크 및 다운링크 회선 신호들의 송신 전력이 증가하면, 간섭파 전력이 지수적으로 증가하고, 회선 용량이 상당히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SSDT로 인해 제어 정보의 신뢰도가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SSDT를 DPCH에 적용하지 않는 방법의 경우, 다수의 이동국이 대기 상태에 있으므로 그들 자신과 기지국간에 DPCH를 설정하지만, 다수의 이동국의 DPCH에 SSDT를 적용할 수 없으므로, SSDT에 의한 다운링크 회선 신호의 송신 전력 저감 효과를 달성할 수 없게 되어, 다운링크 회선에서 간섭파 전력을 증가시키고, 회선 용량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고속 데이터 통신을 실행하기 위해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증가시키면서 DPCH의 송신 전력의 증가로부터 발생하는 간섭파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여 회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셀룰러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 기지국에서 개별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키면서 DPCH의 송신 전력의 증가로부터 발생하는 간섭파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여 회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셀룰러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통신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셀들에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국을 구비한 셀룰러 시스템이고, 상기 기지국은,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공용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이동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업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이동국 자신과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들을 갖는 접속 기지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접속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를 소정의 이동국에 송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의해 송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신뢰도 향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은, 복수의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셀들에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국을 구비한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이고, 상기 기지국에서,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공용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이동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업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 자신과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들을 갖는 접속 기지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접속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를 소정의 이동국에 송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의해 송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신뢰도 향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은, 복수의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셀들에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국을 구비한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이고, 상기 기지국은,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공용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이동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업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이동국 자신과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들을 갖는 접속 기지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를 소정의 이동국에 송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의해 송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신뢰도 향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국은, 복수의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셀들에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국을 구비한 셀룰러 시스템의 이동국이고, 상기 기지국은,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공용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이동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업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이동국 자신과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들을 갖는 접속 기지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를 소정의 이동국에 송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의해 송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신뢰도 향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국으로부터의 업링크 회선의 송신 출력 또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다운링크 회선의 송신 출력이 HS-PDSCH의 송신 동안에만 증가하므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면서 DPCH의 송신 전력 증가로부터 발생하는 간섭파 전력의 증가를 제어하여 회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의 일예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셀룰러 시스템은 기지국(1), 기지국(2) 및 이동국들(3, 4, 5)을 구비한다. 또한, 기지국(1)과 기지국(2)은 서로 다른 셀들에 제공된다.
또한,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이동국들(3, 4, 5)에 대해 2개의 기지국들(1, 2)이 존재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동국들(3, 4, 5)에 대해 3개 이상의 기지국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개의 기지국에 대해 다수의 이동국들이 존재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 송신 시스템에 4개 이상의 이동국들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도 1은 3개의 이동국들(3, 4, 5)이 존재하는 일 예를 나타낸다. 또한, 기지국과 이동국들(3, 4, 5) 간의 접속을 수행하는 무선 접속 방식으로서 CDMA(코드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이 이용된다.
도 1에는, HS-PDSCH의 신호, DPCH1(개별 물리 채널 1)(DL : 다운링크 :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송신)의 신호 및 CPICH1(공통 파일럿 채널 1)의 신호가 기지국(1)으로부터 이동국(3)으로 송신되고, DPCH1(UL : 업링크 :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송신)의 신호가 이동국(3)으로부터 기지국(1)으로 송신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와 유사하게, DPCH2(DL)의 신호 및 CPICH2(공통 파일럿 채널 2)의 신호가 기지국(2)으로부터 이동국(3)으로 송신되고, DPCH2(UL)의 신호가 이동국(3)으로부터 기지국(2)으로 송신되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 DPCH2(UL)는 수신하는 기지국에 대해서는 DPCH1(UL)과 다르지만, 이동국의 송신 신호에 대해서는 DPCH1(UL)과 동일하다.
즉, HS-PDSCH의 신호 및 CPICH의 신호는 단방향 신호들이고, DPCH의 신호는 양방향 신호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HS-PDSCH는 고속 채널이고, 단시간에 동적 화상 등의 큰 파일을 송수신하는데 이용된다. 한편, CPICH는 공통 파일럿 채널(단지 다운링크만)이고, 공통 파일럿 신호들은 상기 채널 상에서 기지국들(1, 2)로부터 이동국(3)으로 정규적으로 송신된다.
또한, DPCH는 개별(물리)채널(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이고, 그 슬롯 구조의 일 예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도 2는 업링크 DPCH의 슬롯 구조의 도면이고, 도 3은 다운링크 DPCH의 슬롯 구조의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업링크 DPCH의 슬롯은 DPCCH(개별 제어 채널; Dedicated Physical Control Channel)와, DPDCH(개별 데이터 채널; Dedicated Physical Data Channel)이고, DPCCH는 개별 파일럿(Pilot), TPC 비트들 및 FBI(피드백 정보; Feedback Information)를 구비하고, DPDCH는 신호들(데이터; Data)을 구비한다. 상기 DPDCH는 데이터부(data)를 갖고, 이 데이터부는 사용자 정보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DPCCH와 DPDCH는 동시에 송신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다운링크 DPCH의 슬롯은 데이터(Data)(DPDCH), 파일럿 신호들(Pilot)(DPCCH), 데이터(Data)(DPDCH) 및 TPC(DPCCH)를 구비한다. 다운링크의 경우, DPDCH와 DPCCH는 교대로 송신된다.
또한, 업링크 DPCH와 다운링크 DPCH 모두의 경우, 사용자 정보 및 제어 정보는 DPDCH의 데이터부(Data)에 포함된다. 업링크 DPCH와 다운링크 DPCH 모두의 경우, DPDCH의 사용자 정보는 파일 송신 요구 정보 등의 비교적 작은 양의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 정보는 HS-PDSCH를 이용한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들을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국(3)은 기지국(1)으로부터 CPICH1을 수신하고 기지국(2)으로부터 CPICH2를 수신하며, 기지국(1)에 대해 DPCH1이 설정되고 기지국(2)에 대해 DPCH2가 설정되는 상태(소프트 핸드오버)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이동국(3)은 기지국(1)과 기지국(2)으로부터 DPCH1, 2의 다운링크 회선 신호들을 수신하고, 이를 다이버시티 합성한다. FCS는 HS-PDSCH에 적용되고, FCS에 대한 제어 정보는 DPCH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교환된다. 또한, HS-PDSCH의 경우, 복수의 변조 방식 중에서 변조 방식을 적응적으로 선택하는 기술이 적용되고, 그 선택을 위한 제어 정보도 DPCH를 이용하여 기지국과 이동국간에 교환된다.
이동국(3)으로부터 DPCH1, 2(UL)를 수신하면, 기지국들(1, 2)은 DPCH1, 2(UL)의 개별 파일럿 신호들을 이용하여 DPCH1, 2의 수신 SIR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기지국들(1, 2)이 갖는 목표 SIR과 비교한다. 그 후, 다운링크의 DPCH1, 2(DL)를 이용하여, 기지국들은 그 측정값이 목표 SIR보다 작은 경우 이동국(3)에 "파워업(Power Up)"의 TCP 비트들을 통지하고, 그 측정값이 목표 SIR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이동국(3)에 "파워다운(Power Down)"의 TCP 비트들을 통지한다. DPCH1, 2(UL)의 경우, 고속 폐루프형의 송신 전력 제어가 소프트 핸드오버와 조합하여 적용된다.
한편, 이동국(3)은 복수의 기지국로부터 TPC 비트들을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TCP 비트 "파워다운"이 통지되면 DPCH1, 2(UL)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모든 TPC 비트들이 "파워업"인 경우) DPCH1, 2(UL)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통상적으로, 기지국들(1, 2)은, HS-PDSCH의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 경우(이동국측으로부터 본 경우, HS-PDSCH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는 경우, 즉, DPCH만이 송수신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송신 전력 제어를 실행하지만, 본 바람직한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HS-PDSCH의 신호가 기지국들(1, 2)로부터 이동국(3)으로 송신되는 경우에는, 신호를 송신하기 전 소정의 오프셋 값(△)만큼 원래값이 증분된 값을 목표 SIR 값으로 설정한다. 따라서, HS-PDSCH의 신호가 기지국들(1, 2)로부터 송신되는 경우, HS-PDSCH의 신호를 수신하는 이동국(3)은 DPCH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그 후, 기지국들(1, 2)은, HS-PDSCH의 신호가 송신이 종료될 때 목표 SIR 값을 원래 값으로 다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국(3)은 HS-PDSCH를 수신하는 동안에만 업링크 DPCH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므로, HS-PDSCH의 수신 동안 뿐만 아니라 HS-PDSCH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서도 모든 이동국들이 DPCH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종래 방법에 비해, 업링크 회선의 간섭파 전력이 증가하는 시간 비율(%)이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업링크 회선의 간섭파 전력의 평균값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소프트 핸드오버 대상인 모든 기지국들에서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을 만족할만한 레벨로 유지하면서 업링크 회선의 회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1 내지 제3 실시예들에서는, HS-PDSCH의 데이터 송신 동안 이동국 또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DPCH의 송신 전력이 증가된다. 특히, 제1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의 목표 SIR이 소정의 오프셋 값(△)만큼 증분됨으로써,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제2 실시예에서는, 현재 프라이머리 지국 또는 새 프라이머리 지국으로부터 TPC 비트들이 수신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TPC 비트가 전력 증가를 나타낼 때 이동국의 송신 전력이 증가한다. 제3 실시예에서는, 이동국의 목표 SIR이 소정의 오프셋 값(△)만큼 증분됨으로써, 기지국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제4 실시예에서는, 송신 전력이 증가되지 않지만, DPCH만이 송수신될 때 후술할 SSDT가 이용되고, HS-PDSCH의 데이터가 송신될 때에는 SSDT가 이용되지 않는다.
우선,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그 시스템 구성의 도면은 도 1과 유사하다(그 시스템 구성의 도면은 후술할 제2 내지 제9 실시예에서도 도 1과 유사하다).
복수의 기지국(BS)은 서비스 지역에 설치되고, 각각의 기지국들의 제어하에 복수의 이동국(MS)이 존재한다. 각 기지국은 공통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에 접속된다. 이 공통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는 기지국들을 제어하고, 종종 기지국 제어장치로 통칭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는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된다.
단계 1 : 각 기지국(BS)은 CPICH를 송신한다. CPICH는 각 셀에 대해 서로 다른 스크램블 부호들에 의해 확산되고, 각 이동국(MS)은 스크램블들의 차이에 따라 셀을 식별한다.
단계 2 :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할 때, 각 이동국(MS)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들(BS)과 DPCH들(업링크 및 다운링크)을 설정하고,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로 된다.
단계 3 : 한 이동국(MS1)은 CPICH의 수신 전력이 최대인 기지국(BS1)과 DPCH를 설정한다.
단계 4 : 기지국(BS1)과 이동국(BS2)간에서 CPICH의 수신 전력의 차이가 소정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이동국(MS1)은 기지국(BS2)과도 DPCH를 설정하고, 이동국이 복수의 기지국들(BS1 및 BS2)과 DPCH를 설정하는 상태(소프트 핸드오버)로 된다.
단계 5 : 업링크 및 다운링크 DPCH들은 소정의 비트 계열들로 이루어진 개별 파일럿 신호들(Pilot)을 포함한다.
단계 6 : 업링크 DPCH의 송신 전력은 고속 폐루프형의 송신 전력 제어에 의해 제어된다. 이와 같은 제어에서, 기지국은 업링크 DPCH의 개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DPCH의 수신 SIR을 측정하고, 그 측정값을 기지국의 목표 SIR과 비교한다. 그 후, 다운링크 DPCH를 이용하여, 기지국은, 그 측정값이 목표 SIR보다 작은 경우 "파워업"의 TPC 비트들을 이동국에 통지하고, 그 측정값이 목표 SIR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에는 "파워다운"의 TPC 비트들을 이동국에 통지한다. 한편, 이동국은 복수의 기지국로부터 TPC 비트들을 수신하고, 적어도 하나의 TPC 비트가 "파워다운"을 나타내는 경우 DPCH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예를 들어, 모든 TPC 비트들이 "파워업"을 나타내는 경우) DPCH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킨다.
단계 7 : 상기 목표 SIR 값이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로부터 각 기지국에 통지된다.
단계 8 : 각 기지국은 HS-PDSCH를 송신한다. 이 HS-PDSCH는 DPCH에 비해 속도가 향상된 채널이며, 다운링크 DPCH의 송신 전력보다 큰 송신 전력으로 송신된다.
단계 9 : 각 기지국은 복수의 이동국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하나의 HS-PDSCH를 이용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 또는 기지국은 데이터를 송신하는 스케쥴을 결정하고, 각 이동국에 대해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특히, 일 예로서, 도 4의 HS-PDSCH의 타이밍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HS-PDSCH는 우선 이동국(MS1)으로 송신되고, 이동국(MS1)으로의 송신이 종료된 후 이동국(MS2)으로 HS-PDSCH가 송신되고, 그 후 이동국(MS2)으로의 송신이 종료된 후 이동국(MS3)으로 HS-PDSCH가 송신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다음 단계들을 설명한다. 도 5는 제1 실시예의 동작들을 나타낸 시퀀스도이다.
단계 10 :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이동국(MS1)으로 송신된 데이터가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에 도달할 때,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는, 이동국(MS1)이 DPCH를 설정한 기지국들(BS1 및 BS2) 모두로 데이터를 송신한다.
단계 11 : 기지국들(BS1 및 BS2)은 DPCH를 이용하여 이동국(MS1)에 데이터 송신의 예고를 한다.
단계 12 : 기지국들(BS1 및 BS2)은 그들의 목표 SIR로서 소정의 오프셋값(△)만큼 원래 값이 증분된 값을 설정한다. 또한, 소정의 오프셋값(△)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로부터 미리 통지된다. 그러나, 소정의 오프셋값(△)도 기지국들(BS1 및 BS2)에 대해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단계 13 :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는 기지국들(BS1 및 BS2)의 식별 부호들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그 식별 부호들은 서로 동일하지 않도록 a, b, c, ..., h 중에서 선택된다. 그 후,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는 기지국들(BS1 및 BS2)에 그들 각각의 식별 부호들을 통지하고, 또한 기지국들(BS1 및 BS2)의 식별 부호들을 이동국(MS1)에도 통지한다.
단계 14 : 이동국(MS1)은 기지국들(BS1 및 BS2)의 CPICH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DPCH를 이용하여 그 수신 전력이 최대인 기지국(이하, "프라이머리(Primary)"로 통칭함;프라이머리 기지국)의 식별 부호를 기지국들(BS1 및 BS2) 모두에 주기적으로 통지한다. 이와 같은 통지는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서도 수행된다.
단계 15 : 기지국들(BS1 및 BS2)은 데이터 송신의 예고를 한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프라이머리의 식별 부호의 통지를 수신하고, 그들 자신의 지국들이 프라이머리인 경우 HS-PDSCH를 이용하여 이동국(MS1)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BS1)이 프라이머리이다. 또한, 프라이머리 기지국이 아닌 지국(이하, "넌-프라이머리"로 통칭함)은 이동국(MS1)에 데이터를 송신하지 않는다.
단계 16 : 데이터 송신 동안, 이동국(MS1)은 프라이머리의 식별 부호를 기지국들(BS1 및 BS2) 모두에 주기적으로 통지한다. 또한, 데이터는 복수의 데이터 블록들로 이루어지고, 업링크 DPCH를 이용하여, 수신된(또는 미수신된) 데이터 블록 번호의 정보를 기지국들(BS1 및 BS2) 모두에 통지한다.
단계 17 : 데이터 송신 동안 프라이머리 기지국이 변경되는 경우, 새 프라이머리 기지국은 상기 데이터 블록 번호를 이용하여 후속 데이터 블록들을 송신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계 16에서 프라이머리 기지국이 기지국(BS1)으로부터 기지국(BS2)으로 변경된다.
단계 18 : 데이터 송신이 종료되면, 이동국(MS1)은 DPCH를 이용하여 기지국들(BS1 및 BS2) 모두에 데이터 수신의 종료를 통지한다.
단계 19 : 이동국(MS1)으로부터 데이터 수신 종료의 통지를 수신하면, 기지국들(BS1 및 BS2)은 각 목표 SIR을 원래 값(현재 값으로부터 소정의 오프셋값(△)을 감산하여 얻어진 값)으로 복귀시킨다.
단계 20 : 기지국들(BS1 및 BS2)은 이동국(MS1)에 데이터 종료를 통지한다.
이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 기지국들(BS1 및 BS2)은 단계 12에서의 그들의 목표 SIR로서 소정의 오프셋 값만큼 원래 값이 증분된 값을 각각 설정하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은 설정이 실행되지 않는다. 제2 실시예에서는, 목표 SIR을 변경하는 대신, 이동국(MS1)은, 데이터 수신이 개시될 때, 현재 프라이머리 또는 새 프라이머리로부터 TPC 비트들을 수신할 때 적어도 하나의 TPC 비트가 전력 증가를 나타내면 이동국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동작들을 개시한다. 그 후, 데이터의 수신이 완료되면, 원래 제어로 복귀한다.
종래 방법에서는, 단지 DPCH만이 송수신되면, 적어도 하나의 TPC 비트가 "파워다운"을 나타낼 때 DPCH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고, 또는 모든 TPC 비트들이 "파워업"을 나타낼 때 DPCH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지만(제1 실시예의 단계 6 참조), 제2 실시예에서는, DPCH와 HS-PDSCH가 송신되면, 현재 프라이머리 또는 새 프라이머리로부터 송신된 TPC 비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TPC 비트가 "파워업"을 나타낼 때 DPCH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므로, 제1 실시예와 같은 파워-업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업링크 DPCH에 대해 고속 폐루프형의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하지만, 제3 실시예에서는, 다운링크 DPCH에도 고속 폐루프형의 송신 전력 제어를 적용한다. 제1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이 목표 SIR을 갖지만, 제3 실시예에서는 이동국이 목표 SIR을 갖는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HS-PDSCH가 송신될 때 기지국의 목표 SIR로서 소정의 오프셋 값(△)만큼 원래 값이 증분된 값을 설정한다(제1 실시예에서 단계 12 참조). 이로 인해, HS-PDSCH가 송신될 때 이동국의 업링크 DPCH의 송신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한편, 제3 실시예에서는, HS-PDSCH가 송신될 때 이동국의 목표 SIR로서 소정의 오프셋 값(△)만큼 원래 값이 증분된 값을 설정한다(제1 실시예에서 단계 12 참조). 이로 인해, HS-PDSCH가 송신될 때 기지국의 다운링크 DPCH의 송신 전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 오프셋 값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로부터 미리 통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이동국으로 통지된 제어 정보의 신뢰도가 향상되므로, 제어 정보에 포함된 변조 방식의 선택을 위한 정보의 통지를 실패할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고, HS-PDSCH를 이용한 데이터의 송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제4 실시예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는, DPCH의 송신 전력이 증가하지 않지만, 단지 DPCH만이 송수신될 때 DPCH에 SSDT(사이트 선택 다이버시티 송신;Site Selection Diversity Transmission)를 이용하고, HS-PDSCH의 데이터가 송신될 때에는 SSDT를 이용하지 않는 실시예이다.
도 6은 SSDT의 개념도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SSDT에 대한 설명은 일본 특허 제2991185호 공보 및 일본 특허 제3047393호 공보에 포함되어 있다. 도 6은, 이동국(MS1)이 기지국들(BS1 및 BS2)과 DPCH를 설정하는 상태(소프트 핸드오버)를 나타낸다. 이하, 이동국(MS1)이 기지국(BS1)이 존재하는 셀로부터 기지국(BS2)이 존재하는 셀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이동국(MS1)이 도 6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고려한다.
그 후, 이동국(MS1)이 이동함에 따라, 기지국(BS1)으로부터의 CPICH1의 수신 전력 및 기지국(BS2)으로부터의 CPICH2의 수신 전력은, 도 6의 하단부에 설명된 수신 전력 대 거리 특성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번갈아 증가하고 감소하게 된다. 특히, 도 6에서, A 구간에서는 기지국(BS2)으로부터의 CPICH2의 수신 전력이 기지국(BS1)으로부터의 CPICH1의 수신 전력보다 크고, B 구간에서는 그 반대로 되고, C 구간에서는 다시 반대로 되어 수신 전력의 크기 관계가 A 구간과 유사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소프트 핸드오버에서는, 기지국(BS1)으로부터의 CPICH1의 수신 전력과 기지국(BS2)으로부터의 CPICH2의 수신 전력간의 크기 관계가 이동국(MS1)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이동함에 따라 변화하는 경우에도, 이동국(MS1)은 기지국들(BS1 및 BS2) 모두에 DPCH를 송신하고 기지국들(BS1 및 BS2) 모두로부터 DPCH를 수신한다.
한편, 상기 소프트 핸드오버에 SSDT를 이용하면, 구간 A에서, 기지국(BS2)으로부터의 CPICH2의 수신 전력이 기지국(BS1)으로부터의 CPICH1의 수신 전력보다 크므로(기지국(BS2)이 프라이머리), 기지국(BS2)이 다운링크 DPCH를 송신하지만, 기지국(BS1)은 다운링크 DPCH를 송신하지 않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구간 B에서는, 기지국(BS1)으로부터의 CPICH1의 수신 전력이 기지국(BS2)으로부터의 CPICH2의 수신 전력보다 크므로(기지국(BS1)이 프라이머리), 기지국(BS1)이 다운링크 DPCH를 송신하지만, 기지국(BS2)은 다운링크 DPCH를 송신하지 않게 된다. 이와 유사하게, 구간 C에서는, 기지국(BS2)으로부터의 CPICH2의 수신 전력이 기지국(BS1)으로부터의 CPICH1의 수신 전력보다 크므로(기지국(BS2)이 프라이머리), 기지국(BS2)이 다운링크 DPCH를 송신하지만, 기지국(BS1)은 다운링크 DPCH를 송신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에서도 CPICH의 수신 전력이 최대인 기지국으로부터만 다운링크 DPCH가 송신되는 SSDT로 된다.
또한, SSDT에서, 이동국은 CPICH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고, 그 측정된 수신 전력에 기초하여 프라이머리의 식별 부호를 기지국에 통지한다.
그러나, 상기 SSDT를 이용한 경우, 이동국으로부터 통지된 프라이머리의 식별 부호의 잘못된 수신으로 인해, 기지국이 어느 기지국도 프라이머리가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DPCH의 송신이 중단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제4 실시예에서는, HS-PDSCH의 송신시에 SSDT가 이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이동국(MS1)이 기지국들(BS1 및 BS2) 모두로부터 다운링크 DPCH를 수신할 수 있다. 그 후, 이동국(MS1)은 2개의 다운링크 DPCH들을 다이버시티 합성한다. 따라서, HS-PDSCH의 송신시에 DPCH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제4 실시예의 동작들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기지국으로부터의 송수신 데이터가 DPCH인 경우 SSDT가 이용된다. 따라서, 기지국으로부터 DPCH의 송신은 CW(부호 단어;Code Word : 업링크 DPCCH의 FBI에 포함된 정보로서, 프라이머리의 식별 부호를 표시)에 의존하고, 이동국(MS1)에서는, 프라이머리 기지국의 DPCH만이 수신된다. 한편, 송수신 데이터가 DPCH 및 HS-PDSCH(HS-PDSCH는 송신의 경우에만)인 경우에는 SSDT가 이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DPCH는 소프트 핸드오버 상태에서 기지국들(BS1 및 BS2)로부터 정기적으로 송신되고, 이동국(MS1)에서는, 기지국들(BS1 및 BS2)로부터의 DPCH들이 합성되어 수신된다.
이하, 제5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 실시예는 제1 및 제3 실시예들에서 채용된 목표 SIR의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1 : 이동국(MS1)은 기지국(BS1)으로부터의 CPICH의 수신 전력(P1)과 기지국(BS2)으로부터의 CPICH의 수신 전력(P2)을 측정하고, 이를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에 통지한다. 이와 같은 통지는, DPCH의 설정 전 또는 설정 후에 주기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단계 2 :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는 수신 전력들(P1 및 P2)을 이용하여 오프셋 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오프셋 값(△)은 수신 전력들(P1 및 P2)간의 차이의 절대값과 같다(여기서 수신 전력들(P1 및 P2)은 데시벨 값들이다).
단계 3 :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는 그 결정된 오프셋 값(△)을 기지국들(BS1 및 BS2)과 이동국(MS1)에 통지한다.
이하, 제6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6 실시예는, 제5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1 실시예에서 채용된 목표 SIR의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1 : 이동국(MS1)은 기지국(BS1)으로부터의 CPICH의 수신 전력(P1)과 기지국(BS2)으로부터의 CPICH의 수신 전력(P2)을 측정하고, 이를 기지국들(BS1 및 BS2)에 통지한다. 이와 같은 통지는 DPCH의 설정 후 실행된다. 상기 통지는 주기적으로 또는 수신 전력들(P1 및 P2)이 변할 때마다 실행된다.
단계 2 : 기지국들(BS1 및 BS2)은 수신 전력들(P1 및 P2)을 이용하여 오프셋 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오프셋 값(△)은 수신 전력들(P1 및 P2)간의 차이의 절대값과 같다.
이하, 제7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7 실시예는, 제5 및 제6 실시예들의 경우에서와 같이, 제3 실시예에서 채용된 목표 SIR의 오프셋 값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계 1 : 이동국(MS1)은 기지국(BS1)으로부터의 CPICH의 수신 전력(P1)과 기지국(BS2)으로부터의 CPICH의 수신 전력(P2)을 측정한다.
단계 2 : 이동국(MS1)은 수신 전력들(P1 및 P2)을 이용하여 오프셋 값(△)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오프셋 값(△)은 수신 전력들(P1 및 P2)간의 차이의 절대값과 같다.
이하, 제8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 실시예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에 의한 목표 SIR의 변경에 관한 것이다. 기지국은 기지국(또는 이동국)에서 목표 SIR을 자율적으로 변경시키지만,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도 이동국(또는 기지국)에 목표 SIR을 통지함으로써 목표 SIR을 변경시킬 수도 있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가 목표 SIR을 기지국(또는 이동국)에 통지할 때의 동작들은 다음과 같다.
1.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로부터 기지국(또는 이동국)에 목표 SIR을 주기적으로 통지하고, 이에 따라 기지국(또는 이동국)은 목표 SIR을 갱신한다.
2. HS-PDSCH를 이용하여 데이터가 송신될 때,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RNC)는 소정의 오프셋 값(△)을 목표 SIR에 더하고, 이를 기지국(또는 이동국)에 통지한다.
이하, 제9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9 실시예에서, RNC는 제8 실시예의 경우 뿐만 아니라 제4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같이 오프셋 값을 결정한다. 제5, 제6, 제7 및 제9 실시예들에서는, 기지국들간의 CPICH의 수신 전력의 차이에 따라 오프셋 값을 결정하고, 수신 전력의 차이가 증가함에 따라 전파 손실의 차이도 커지게 된다. 따라서, DPCH에 대한 전파 경로의 전파 손실에서의 차이가 커짐에 따라, 오프셋 값을 더 큰 값으로 설정하므로, 전파 손실이 큰 DPCH에서 교환된 제어 정보의 소정의 신뢰도로서 고려하기에 필요하고 충분한 오프셋 값을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오프셋 값을 필요 이상으로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간섭파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제10 내지 제12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제10 내지 제12 실시예들에서는, 기지국은 업링크 DPCH의 DPCCH에 포함된 개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안테나 지향성 패턴을 적응적으로 형성하고, 안테나 지향성 패턴을 이용하여 HS-PDSCH를 송신한다. 특히, 기지국은 개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DPCH가 도달하는 방향을 추정하고, 그 도달 방향에서의 지향성 이득이 증가하도록 안테나 지향성 패턴을 형성한다.
제10 실시예는, HS-PDSCH의 안테나 지향성 패턴이 적응적으로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1 실시예는, HS-PDSCH의 안테나 지향성 패턴이 적응적으로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6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2 실시예는, HS-PDSCH의 안테나 지향성 패턴이 적응적으로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9 실시예와 동일하다.
제10 내지 제12 실시예들에서는, 제1, 제6 및 제9 실시예들의 경우에서와 같이, 각각, 소프트 핸드오버 대상인 모든 기지국들에서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을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업링크 회선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지국은, HS-PDSCH가 특정 이동국으로 송신되는 시간 기간 동안 이동국의 업링크 DPCH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목표 SIR로서 소정의 오프셋 값(△)만큼 원래 값이 증분된 값을 설정하고, HS-PDSCH의 신호 송신이 종료될 때 목표 SIR값을 다시 원래 값으로 복귀시킨다. 따라서, HS-PDSCH가 송신되는 시간 기간 동안 이동국으로부터의 개별 파일럿 신호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이동국으로부터의 업링크 DPCH의 신호가 도달하는 방향을 높은 정확도로 추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동국의 방향에서의 안테나 이득이 최대 레벨로 되도록 안테나 지향성 패턴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셀룰러 시스템은, 복수의 기지국들 및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셀들에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국들을 구비한 셀룰러 시스템이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이동국에 공용 채널을 이용하여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 및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업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그 자신과 상기 이동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들을 접속 기지국으로 하여 상기 접속 기지국과 그 자신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접속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를 소정의 이동국에 송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의해 송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신뢰도 향상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증가시키면서 DPCH의 송신 전력의 증가로부터 발생하는 간섭파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여 회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 기지국 및 이동국은 각각 상기 셀룰러 시스템의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갖는다.
이하, 상기 내용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기지국에서 목표 설정값의 변경 및 이동국에서 송신 제어 동작의 전환
이동국은, HS-PDSCH가 송수신될 때에만 업링크 DPCH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HS-PDSCH가 송수신되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모든 이동국들이 DPCH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종래 방법에 비해, 업링크 회선의 간섭파 전력이 증가하는 시간의 비율이 작다. 따라서, 업링크 회선의 간섭파 전력의 평균값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기지국들에서 제어 정보의 수신 품질을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유지하면서 업링크 회선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이동국에 대해 서로 다른 타이밍으로 데이터를 송신하기 때문에 복수의 이동국들이 동시에 업링크 DPCH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없으므로, 업링크 회선의 간섭파 전력의 최대값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다수의 이동국들이 동시에 업링크 회선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경우, 그 각각의 회선들에서 목표 SIR을 만족시키기 위해 업링크 회선의 간섭파 전력은 다수의 이동국들에 대해 지수적으로 증가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단지 하나의 이동국만이 업링크 회선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간섭파 전력의 증가를 피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업링크 회선 용량을 상당히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지 하나의 이동국만이 업링크 회선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이유는, 각 셀에서, 이동국들 각각에 대해 원-바이-원(one-by-one)으로 HS-PDSCH를 이용한 데이터 송신이 실행되기 때문이다.
2.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 및 데이터가 송수되고 있는 상태와 관련하여 DPCH의 SSDT의 이용 및 비이용
SSDT에서는, 이동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통지된 식별 부호의 수신 에러로 인해 어느 기지국들도 프라이머리가 아닌 것으로 판정하여, DPCH의 송신이 중단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데이터의 송수신 동안 SSDT는 "비이용" 상태로 되므로, 그 시간 동안 DPCH의 통신 품질이 향상되어, DPCH에 의해 송신된 제어 정보의 수신 에러로 인해 HS-PDSCH를 이용한 데이터 송신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제거된다. HS-PDSCH는 DPCH에 대한 송신 전력보다 큰 송신 전력으로 송신되므로, HS-PDSCH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 동안, HS-PDSCH의 송신을 제어하기 위해 DPCH를 이용하여 송수신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킴으로써, PDCH의 송신 전력이 증가하는 경우에도, HS-PDSCH에 의한 데이터의 재전송 확률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로서는, 업링크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다른 이동국들에 대한 간섭파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회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데이터 송신으로 인한 간섭파 전력의 증가를 방지하면서 HS-PDSCH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는 다수의 이동국들에 대한 DPCH에 SSDT를 적용할수 있으므로, 전체 시스템으로서 간섭파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회선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3. 이동국에서의 목표 설정값들의 변경
상기 "2" 기재 내용과 같이, 데이터의 송수신 동안, DPCH의 제어 정보의 신뢰도가 향상됨으로써, HS-PDSCH의 데이터 송신 효율이 증가하여 데이터 송신으로부터 발생하는 간섭파 전력의 증가를 억제하고, HS-PDSCH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는 다수의 이동국들에 대한 DPCH에서, 다운링크 DPCH의 송신 전력이 감소하므로, 목표 SIR을 증가시키지 않기 때문에 간섭파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전체 시스템으로서, 간섭파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다운링크 회선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4. 안테나 지향성 패턴의 형성
데이터의 송수신 동안, 업링크 DPCH에 포함된 개별 파일럿 신호에 대한 기지국에서의 수신 품질을 향상시킴으로써, HS-PDSCH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국에 대해 높은 안테나 이득을 얻을 수 있으므로, 데이터 송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기지국은, HS-PDSCH에 의해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대기 상태에 있는 다수의 이동국들의 업링크 DPCH에 대한 목표 SIR을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업링크 DPCH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간섭파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업링크 회선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정보 송신 시스템의 일 예의 블록도.
도 2는 업링크 DPCH의 프레임 블록도.
도 3은 다운링크 DPCH의 프레임 블록도.
도 4는 HS-PDSCH의 타이밍도.
도 5는 제1 실시예의 동작들을 나타낸 시퀀스도.
도 6은 SSDT의 개념도.
도 7은 제4 실시예의 동작들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S : 기지국
MS : 이동국
RNC : 무선 네트워크 제어장치

Claims (35)

  1. 복수의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셀들에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국을 구비한 셀룰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공용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이동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업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이동국 자신과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들을 갖는 접속 기지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시스템은, 상기 접속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를 소정의 이동국에 송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의해 송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신뢰도 향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 전력에 기초한 송신 제어 정보를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은 상기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가 송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은 상기 소정의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수신 SIR을 측정하고, 상기 수신 SIR과 소정의 목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수단은 상기 목표값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복수의 접속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들을 합성하여 수신 SIR을 측정하고, 상기 수신 SIR과 소정의 SIR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수단은 상기 목표값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에 접속되는 기지국 제어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는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값의 변경량을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 또는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수단은 상기 통지에 따라 상기 목표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 전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는 상기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값의 변경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시스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수단은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은 상기 소정의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수신 SIR에 기초한 송신 전력 제어 정보를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의해 서로 다른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제1 전력 제어 수단에 통지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송신 전력 제어 정보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상기 제1 전력 제어 수단; 및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의해 서로 다른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상기 제1 전력 제어 수단에 통지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송신 전력 제어 정보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제2 전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수단은 상기 제1 전력 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전력 제어 수단으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은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 전력에 기초한 송신 제어 정보를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은,
    상기 통지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가 송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송신 제어 수단; 및
    상기 통지에 관계 없이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신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수단은 상기 제1 송신 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송신 제어 수단으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시스템.
  11. 복수의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셀들에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국을 구비한 셀룰러 시스템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공용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이동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업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이동국에서,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이동국 자신과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들을 갖는 접속 기지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접속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를 소정의 이동국에 송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의해 송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신뢰도 향상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 전력에 기초한 송신 제어 정보를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에서 상기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가 송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에서 상기 소정의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수신 SIR을 측정하고, 상기 수신 SIR과 소정의 목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단계에서는 상기 목표값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로부터 송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들을 합성하여 수신 SIR을 측정하고, 상기 수신 SIR과 소정의 SIR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단계에서는 상기 목표값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에 접속되는 기지국 제어장치에서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값의 변경량을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 또는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단계에서는, 상기 통지에 따라 상기 목표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 전력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기지국 제어장치에서 상기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값 또는 상기 목표값의 변경량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서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단계에서는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에서 상기 소정의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수신 SIR에 기초한 송신 전력 제어 정보를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의해 서로 다른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제1 전력 제어 수단에 통지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송신 전력 제어 정보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제1 전력 제어 단계; 및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의해 서로 다른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상기 제1 전력 제어 수단에 통지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송신 전력 제어 정보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제2 전력 제어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전력 제어 단계로부터 상기 제2 전력 제어 단계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서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 전력에 기초한 송신 제어 정보를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통지하는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에서,
    상기 통지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가 송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송신 제어 단계; 및
    상기 통지에 관계 없이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신 제어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단계에서는 상기 제1 송신 제어 단계로부터 상기 제2 송신 제어 단계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21. 복수의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셀들에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국을 구비한 셀룰러 시스템의 기지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공용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이동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업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이동국 자신과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들을 갖는 접속 기지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를 소정의 이동국에 송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의해 송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신뢰도 향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 전력에 기초한 송신 제어 정보를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은, 상기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가 송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은 상기 소정의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수신 SIR을 측정하고, 상기 수신 SIR과 소정의 목표값에 기초하여, 상기 소정의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수단은 상기 목표값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수단은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들 각각은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 전력에 기초한 송신 제어 정보를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은,
    상기 통지에 따라 상기 다운링크 신호가 송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송신 제어 수단; 및
    상기 통지에 관계 없이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제2 송신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수단은 상기 제1 송신 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송신 제어 수단으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27. 복수의 기지국 및 상기 기지국들 각각에 의해 제어되는 셀들에 존재하는 복수의 이동국을 구비한 셀룰러 시스템의 이동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정보를 포함한 제1 신호를 공용 채널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국에 송신하는 수단; 및
    상기 기지국 자신과 상기 이동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업링크 제어 정보를 포함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는 수단; 및
    상기 이동국 자신과 하나 이상의 상기 기지국들을 갖는 접속 기지국간에 개별 채널을 설정하여 상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이 상기 제1 신호를 소정의 이동국에 송신하는 경우, 상기 송신이 실행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의해 송수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와 상기 업링크 신호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된 제어 정보의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신뢰도 향상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업링크 제어 정보 및 상기 다운링크 제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신호의 송신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를 수신하고, 그 수신 전력에 기초한 송신 제어 정보를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은 상기 통지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신호가 송신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들을 합성하여 수신 SIR을 측정하고, 상기 수신 SIR과 소정의 SIR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다운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수단은 상기 목표값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공통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공통 파일럿 신호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수단은 상기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값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2.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기지국들 각각은 상기 소정의 이동국으로부터 송신된 상기 업링크 신호의 수신 SIR에 기초한 송신 전력 제어 정보를 상기 소정의 이동국에 통지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소정의 이동국은,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의해 서로 다른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제1 전력 제어 수단에 통지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송신 전력 제어 정보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상기 제1 전력 제어 수단; 및
    상기 접속 기지국들에 의해 서로 다른 송신 전력 제어 정보가 상기 제1 전력 제어 수단에 통지되는 경우 상기 업링크 신호의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송신 전력 제어 정보에 따라 송신 전력을 제어하는 제2 전력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신뢰도 향상 수단은 상기 제1 전력 제어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전력 제어 수단으로 전환함으로써 상기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국.
  3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업링크 제어 정보로서 개별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개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안테나 지향성 패턴을 적응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룰러 시스템.
  3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은 업링크 제어 정보로서 개별 파일럿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개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안테나 지향성 패턴을 적응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제어 방법.
  3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국으로부터 업링크 정보로서 송신된 개별 파일럿 신호를 이용하여, 안테나 지향성 패턴을 적응적으로 형성하여 상기 제1 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KR10-2002-0008984A 2001-02-21 2002-02-20 셀룰러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 통신 제어 방법 KR1004779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44659 2001-02-21
JP2001044659 2001-02-21
JPJP-P-2001-00341332 2001-11-07
JP2001341332A JP3736429B2 (ja) 2001-02-21 2001-11-07 セルラ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並びに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121A KR20020069121A (ko) 2002-08-29
KR100477909B1 true KR100477909B1 (ko) 2005-03-23

Family

ID=2660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8984A KR100477909B1 (ko) 2001-02-21 2002-02-20 셀룰러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 통신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50671B2 (ko)
EP (3) EP2299760B1 (ko)
JP (1) JP3736429B2 (ko)
KR (1) KR100477909B1 (ko)
CN (1) CN1194569C (ko)
DE (1) DE6021123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7789A1 (en) * 2002-02-09 2003-08-14 Lg Electronics Inc. Dsch power control method for wcdma
US7743115B2 (en) * 2002-02-27 2010-06-22 Motorola, Inc. Software content downloading methods in radio communication networks
KR100630128B1 (ko) * 2002-03-23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역방향 전력 제어를 위한 파일럿 신호필드 위치정보 결정장치 및 방법
KR100605859B1 (ko) * 2002-03-26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채널 품질 지시자 정보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4423836B2 (ja) * 2002-04-03 2010-03-03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移動局
EP1365614A1 (en) * 2002-05-22 2003-11-26 Lucent Technologies Inc. A method of selecting which base station of those in dedicated channel connection with a mobile user terminal is to be in shared channel connection with the mobile user terminal, and a corresponding network for mobile telecommunications
JP3574443B2 (ja) * 2002-08-20 2004-10-0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通信端末装置、基地局装置、およ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3887618B2 (ja) * 2003-08-08 2007-02-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移動局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における受信方法
US7986742B2 (en) 2002-10-25 2011-07-26 Qualcomm Incorporated Pilots for MIMO communication system
US20040081131A1 (en) 2002-10-25 2004-04-29 Walton Jay Rod OFDM communication system with multiple OFDM symbol sizes
US8320301B2 (en) 2002-10-25 2012-11-27 Qualcomm Incorporated MIMO WLAN system
US8208364B2 (en) * 2002-10-25 2012-06-26 Qualcomm Incorporated MIMO system with multiple spatial multiplexing modes
US7606205B2 (en) * 2002-10-28 2009-10-20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on diversity for multicasting content
KR100876812B1 (ko) * 2002-11-05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동기 방식의 부호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목표잡음 증가 대 열 잡음 비 할당을 위한 스케줄링 장치 및방법
MY141897A (en) 2002-11-26 2010-07-16 Interdigital Tech Corp Outer loop power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JP3994870B2 (ja) 2002-12-12 2007-10-24 日本電気株式会社 多値qamを用いた無線装置及びしきい値推定方法
US7515883B1 (en) * 2002-12-16 2009-04-07 Marvell D.S.P.C. Lt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in site selection diversity mode
RU2332797C2 (ru) * 2003-02-04 2008-08-27 Эл 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передачи восходящей линии связи
JP4084683B2 (ja) * 2003-03-04 2008-04-30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制御装置、基地局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4225087B2 (ja) * 2003-03-19 2009-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制御装置及びそれらに用いるアウタループ電力制御方法
KR101155810B1 (ko) 2003-08-25 2012-06-12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소프트 핸드오버에서의 개선된 업링크 동작
US7046648B2 (en) 2003-11-05 2006-05-16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Node-B's and supporting enhanced uplink transmissions during handover
US7808944B2 (en) 2003-11-21 2010-10-05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transmission power of downlink and uplink coded composite transport channels based on discontinuous transmission state values
US9473269B2 (en) 2003-12-01 2016-10-1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efficient control channel structur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3779303B2 (ja) * 2003-12-16 2006-05-24 株式会社東芝 移動局、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同システムの基地局
JP2005318327A (ja) * 2004-04-28 2005-11-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通信端末装置及び送信電力制御方法
JP4595491B2 (ja) 2004-11-04 2010-12-08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ネットワーク制御装置、無線基地局、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834352B2 (ja) * 2005-06-14 2011-12-14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移動局及び電力制御方法
US8238957B2 (en) 2005-06-17 2012-08-07 Nec Corporatio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its control program
US8315633B2 (en) 2005-08-26 2012-11-20 Qualcomm Incorporated Uplink soft handoff support in UMTS TDD systems for efficient uplink power and rate control
CN101361381B (zh) * 2005-11-11 2013-01-23 株式会社Ntt都科摩 控制信道分配装置以及移动通信系统和控制信道分配方法
JP2007195076A (ja) * 2006-01-20 2007-08-02 Nec Corp 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送信電力制御方法および装置
WO2007113267A2 (en) * 2006-03-31 2007-10-11 Andrew Corporation A power control method for soft handover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EP2020154B8 (en) * 2006-05-17 2015-12-23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radio base station with best-effort macro diversity
JP2008098798A (ja) * 2006-10-10 2008-04-24 Nec Corp 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伝送状況判定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08098847A (ja) 2006-10-10 2008-04-24 Nec Corp 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ハンドオーバ制御方法
CN101242206B (zh) * 2007-02-07 2012-07-18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高速下行分组数据接入的数据的发射功率的传递方法
EP2143211B1 (en) * 2007-03-28 2011-11-02 ST-Ericsson SA Wireless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and system
US20090061886A1 (en) * 2007-08-29 2009-03-05 Carmela Cozzo System and Method for Activity-Based Power Control Target Adjust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8804587B2 (en) * 2008-04-28 2014-08-1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downlink multi-carrier power control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JP5085481B2 (ja) * 2008-09-22 2012-11-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電力制御方法、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
US8688156B2 (en) * 2010-01-08 2014-04-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link margin
US8571482B2 (en) * 2010-09-11 2013-10-29 Nokia Corporation Dynamic autonomous resource allocation and channel access in cellular System Uplink
JP5715637B2 (ja) * 2010-10-07 2015-05-13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アメリカ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処理回路
WO2012064100A2 (ko) * 2010-11-09 2012-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전력상태보고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 장치
JP5620888B2 (ja) * 2011-07-26 2014-11-05 京セラ株式会社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JP5711065B2 (ja) * 2011-07-26 2015-04-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US9276629B2 (en) * 2011-11-17 2016-03-01 Intel Deutschland Gmbh Rake receiver circuit and method for operating a rake receiver circu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8575A2 (en) * 1997-04-22 1998-10-29 Ericss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emergency calls in hierarchical cell structures
WO2001005066A1 (fr) * 1999-07-09 2001-01-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erminal de communication et procede de regulation de la puissance d'e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185A (ja) 1983-06-30 1985-01-23 株式会社ナブコ 自動扉開閉制御方法並びに自動扉用検出器
SE511536C2 (sv) 1996-04-29 1999-10-11 Radio Design Innovation Tj Ab Förfarande och arrangemang för att konvertera ett mobilt telekommunikationssystem
JP2991185B2 (ja) 1997-06-09 1999-12-20 日本電気株式会社 セルラ通信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移動機と基地局
US6693952B1 (en) * 1999-03-16 2004-02-17 Lucent Technologies Inc. Dynamic code allocation for downlink shared channels
US6606341B1 (en) 1999-03-22 2003-08-12 Golden Bridge Technology, Inc. Common packet channel with firm handoff
EP1169800A4 (en) 1999-04-12 2002-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MITTENT TRANSMISSION DEVICE AND METHOD IN CDMA TELECOMMUNICATION SYSTEM
JP3426218B2 (ja) 2001-01-19 2003-07-1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基地局装置及び符号化/変調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8048575A2 (en) * 1997-04-22 1998-10-29 Ericss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emergency calls in hierarchical cell structures
WO2001005066A1 (fr) * 1999-07-09 2001-01-1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Terminal de communication et procede de regulation de la puissance d'e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299760B1 (en) 2012-06-06
US20020115467A1 (en) 2002-08-22
EP1235454B1 (en) 2006-05-10
EP2299760A1 (en) 2011-03-23
JP2002325063A (ja) 2002-11-08
EP1653765B1 (en) 2018-09-12
US6950671B2 (en) 2005-09-27
JP3736429B2 (ja) 2006-01-18
DE60211234T2 (de) 2007-05-10
DE60211234D1 (de) 2006-06-14
CN1194569C (zh) 2005-03-23
EP1235454A2 (en) 2002-08-28
EP1653765A1 (en) 2006-05-03
EP1235454A3 (en) 2003-01-02
KR20020069121A (ko) 2002-08-29
CN1383339A (zh) 2002-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7909B1 (ko) 셀룰러 시스템, 기지국, 이동국 및 그 통신 제어 방법
US7133682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8228866B2 (en) 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system, base station, mobil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during a soft handover
EP1681781B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radio network controller, and power control method
EP2007025B1 (en) Mobile sta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EP1169785A1 (en) Adaptive power control in a mobile radio communications system
KR100357265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공유채널(dsch)에 대한tfci 필드의 전력 제어방법
US7062290B2 (en) Method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ptimal cell ID code
JP4858601B2 (ja) セルラ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基地局、移動局
KR100355830B1 (ko) 3gpp시스템의 핸드오버 시의 dsch채널을 위한tfci필드의 전력 제어방법
GB2408420A (en) Determining a power relationship linking the transmit powers of user data and associated control data
KR20050031550A (ko) 광대역시디엠에이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역방향 외부 루프전력 제어방법
KR20030035605A (ko)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패킷 접속서비스 지시자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기법
MXPA99011142A (en) Modified downlink power control during macrod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