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363B1 - 비누조성물 - Google Patents

비누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363B1
KR100477363B1 KR10-2002-0052508A KR20020052508A KR100477363B1 KR 100477363 B1 KR100477363 B1 KR 100477363B1 KR 20020052508 A KR20020052508 A KR 20020052508A KR 100477363 B1 KR100477363 B1 KR 1004773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
weight
chitosan
skin
ceram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525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067A (ko
Inventor
하병조
정명진
신충선
Original Assignee
학교법인 을지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학교법인 을지학원 filed Critical 학교법인 을지학원
Priority to KR10-2002-00525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363B1/ko
Publication of KR200400210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0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3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045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containing substances which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soaps, e.g. light or heat stabilisers or antioxid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26Dry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26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0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22Organic compounds, e.g. vitamins
    • C11D9/38Products in which the composition is not well defined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9/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 C11D9/04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soap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other than soaps
    • C11D9/44Perfumes; Colouring materials; Brightening agents ; Bleaching agents
    • C11D9/442Perfum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0Mixing; Kneading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3/00Making of soap or soap solutions in general; Apparatus therefor
    • C11D13/14Shap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토산(chitosan), 레시틴(lecithin), 세라마이드(ceramide), 녹차 및 그레이프 시드(grape seed)의 추출물인 천연 항산화물질들 및 라벤더 오일(lavender oil)을 포함하는 인체세정용 비누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키토산 성분 0.1 내지 5중량%, 레시틴 0.1 내지 1중량%, 세라마이드 0.1 내지 2중량% 및 잔량으로서 통상의 비누화 방법에 따라 제조된 비누 슬러리로 이루어지는 비누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녹차 및 그레이프 시드로부터 추출된 천연 항산화물질 0.01 내지 1중량% 및 라벤더 오일 0.1 내지 5중량%를 포함시켜서 이루어지며, 세포 보호능, 사용성, 피부염 치유효과 및 피부 안전성 등의 면에서 기 상품화된 종래의 비누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비누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누조성물 {Soap composition}
본 발명은 비누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키토산(chitosan), 레시틴(lecithin), 세라마이드(ceramide), 녹차 및 그레이프 시드(grape seed)의 추출물인 천연 항산화물질들 및 라벤더 오일(lavender oil)을 포함하는 인체세정용 비누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넓은 의미의 비누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우리가 인체 세정용으로 사용하는 비누는 대개 고급 지방산의 알칼리 염으로서, 보통 유지를 알칼리제로 비누화시켜 만든 것이다. 비누 원료인 유지의 종류는 여러 가지 조건으로 한정되어 있다. 그 중 중요한 것은 비누에 사용되는 유지들이 각기 특유한 성질이 있으므로 제품을 만들 때에는 그 사용 목적 등에 따라 여러 종류의 첨가제를 조합하여 적당한 효능, 효과를 갖도록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비누의 개발 경향은 어떤 특이한 기능이 부여된 것을 개발하는 방향으로 추진되어 오고 있다. 따라서, 비누의 종류는 대단히 많으며 그 중 중요한 것을 간추리면 부유 비누, 투명 비누, 면도용 비누, 물 비누, 해수 비누, 칼리 비누, 종이 비누, 약용 비누 등이 있다.
약용 비누는 의약 또는 위생용으로 사용하는 비누를 말하며, 종래 약용 비누에는 과지방제로서 라놀린, 소독 살균제로서 타르, 석탄산, 크레졸, 붕사, 유황, 살리실산, 포르말린 등을 배합하여 왔다. 천연 약용 식물로는 약쑥, 당귀, 알로에 등 다양한 식물 추출물이 이용되어 왔다.
한편, 비누에 있어서 유지를 원료로 한 것은 오랫동안 보존하면 변취, 변색, 자극 등의 경향을 보이는 일이 가끔 있었다. 이러한 산화에 의한 변질은 비누 본래의 효용을 저하시키게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비누에 함유되어 있는 유지 성분은 보존 중 서서히 산화되어 과산화물을 생성하게 되는데, 이런 현상이 발생된 비누를 사용하게 되면 피부에 염증 반응을 일으켜서 피부에 잡티나 얼룩이 침착 되게 할 수 있고, 피부의 저항력을 약화시켜서 각종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기 쉬우며, 또한 활성 산소(active oxygen) 및 프리 라디칼(free radical)의 생성에 의해 피부 노화를 촉진하여 미용적으로 보아 극히 이롭지 못한 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활성 산소 및 프리 라디칼의 생성을 막거나 지연시키기 위해 산화 방지 성분인 항산화물질을 사용하여 왔다. 항산화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 것으로는 공업적으로 화학합성법으로 제조된 물질인 페놀형의 부틸하이드록시톨루엔(butyl hydroxy toluene), 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butyl hydroxy anisole)이 있다. 이외에 천연 항산화물질로는 토코페롤(tocopherol), 엘-아스코르빈산(L-ascorbic acid)이 있고, 레시틴(lecithin)을 공존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레시틴은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과 공존할 때에는 산화 방지 효력을 발휘하고, 토코페롤과 공존할 때에는 토코페롤의 산화 방지 능력을 높여준다. 또한 엘-아스코르빈산은 쿠라민(couramin)과 병용하면 한층 유효하다고 알려져 있다.
피부 표면에는 수많은 오염물질이 부착되기도 하고, 신진대사에 의해 배출되는 땀과 각질화에 의해 생성되는 때 등이 있으며, 이것들은 피부를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피부 트러블의 원인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인체 세정용 비누라 볼 수 있다. 그러나, 종래 사용되었던 인체 세정용 비누의 단점으로는 첫째, 수용액에서 알칼리성이 높으므로 피부의 각질층 장벽을 손상시켜 피부에 함유된 지방막과 세포간 지질을 용해하며, 그 결과 피부의 거칠음을 유발하고, 건성화를 촉진시키고; 둘째, 경수에 함유된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또는 다른 중금속이온과 결합하여 물때(scum)를 만들며, 이로 인해 모공과 땀구멍이 막히게 되고 세정력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대부분의 비누에는 순수하게 비누 성분, 상세히는 고급지방산의 염만이 함유된 것이 아니고, 비누의 기능을 보충하고 또한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할 목적으로 여러 가지 물질들이 첨가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비누에 의한 물때를 제거하기 위한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 EDTA)의 염이 있는데, 이것은 칼슘, 마그네슘, 알루미늄 또는 다른 중금속과 킬레이트(chelate) 화합물을 용이하게 형성해준다. 그 결과, 경수는 연화되어 세정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과산화지질의 생성에 촉매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철 이온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비누에 함유된 유지의 산화를 방지하여 변취, 변색 등을 방지해준다. 또한, 공기중의 산소에 의한 변취, 변색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butyl hydroxy toluene; BHT)이나 부틸하이드록시 아니솔(butyl hydroxy anisole; BHA)과 같은 합성 산화방지제를 첨가한다. 그러나, 이들은 몇가지 단점이 있다. 화학합성 물질인 에틸렌디아민 테트라아세트산염과 합성 산화방지제인 부틸하이드록시 톨루엔이나 부틸하이드록시 아니솔은 피부에 대한 약간의 자극이 있어 누적 사용할 경우 트러블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이 된다.
또한, 종래 인체 세정용 비누에는 아로마 오일과 키토산을 사용한 예가 공지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종래 공지된 기술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즉, 천연의 식물성 아로마 오일은 합성 산화방지제와의 상용성이 낮을 뿐 아니라 또한 합성 산화방지제가 함유된 제품을 계속적으로 사용할 경우 합성 산화방지제가 피부에 누적되어 피부의 면역 기능을 저하시켜 피부 트러블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대개의 비누는 알칼리성이 높아 통상 이용되는 고분자 키토산을 첨가할 경우 비누의 알칼리 작용에 의해 석출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세포간 지질성분을 제거하고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인지질을 파괴시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화학합성 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이러한 화학합성 물질을 사용하는 종래의 비누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키토산 올리고당 또는 저분자 키토산과 녹차 및 그레이프시드 추출물들로부터 추출된 천연 항산화물질과 항균성 라벤더 오일을 사용하고, 세포간지질성분인 세라마이드와 세포막의 구성 성분인 레시틴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조성물은, 키토산 성분 0.1 내지 5중량%, 레시틴 0.1 내지 1중량%, 세라마이드 0.1 내지 2중량% 및 잔량으로서 통상의 비누화 방법에 따라 제조된 비누 슬러리로 이루어지는 비누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해 녹차 및 그레이프 시드로부터 추출된 천연 항산화물질 0.01 내지 1중량% 및 라벤더 오일 0.1 내지 5중량%를 포함시켜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녹차 및 그레이프 시드로부터 추출된 천연 항산화물질로는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hin gallate; EGCG), 폴리페놀(polyphenol),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e)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될 수 있다.
상기에서, 키토산의 성분으로는 키토산 올리고당 또는 저분자 키토산을 1종 이상 함유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에서, 세라마이드로는 천연 또는 합성 세라마이드를 1종 이상 함유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은, (1) 통상의 비누화 방법에 따라 비누 슬러리를 제조하는 비누 슬러리 제조단계; (2) 키토산 성분 0.1 내지 5중량%, 레시틴 0.1 내지 1중량%, 세라마이드 0.1 내지 2중량% 및 잔량으로서 상기 비누 슬러리 제조단계에서 수득된 비누 슬러리를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비누혼합물을 수득하는 제1혼합단계; (3) 상기 제1혼합단계에서 수득된 비누혼합물을 진공건조시키는 건조단계; (4) 녹차 및 그레이프 시드로부터 추출된 천연 항산화물질 0.01 내지 1중량%, 라벤더 오일 0.1 내지 5중량% 및 잔량으로서 상기 건조단계에서 수득된 비누혼합물을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 ; 및 (5) 가향, 성형, 포장 등의 후처리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조성물은, 녹차 및 그레이프 시드로부터 추출된 천연 항산화물질 0.01 내지 1중량%, 라벤더 오일 0.1 내지 5중량% 및 잔량의 비누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누 혼합물이 키토산 올리고당 또는 저분자 키토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키토산성분 0.1 내지 5중량%, 레시틴 0.1 내지 1중량%, 세라마이드 0.1 내지 2중량% 및 잔량의 비누 슬러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키토산 성분으로는 키토산의 저분자 화합물인 저분자 키토산 및 키토산 올리고당이 적당하며, 바람직하게는 단량체가 6 내지 50개인 키토산 올리고당이나 저분자 키토산 화합물이 본 말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적합하다. 고분자 키토산이 비누에 배합되면 제품에 상대적으로 높은 항균작용과 사용 후 피부에 매끄러운 감촉을 주고 쉽게 느껴질 수 있는 피막을 형성하는 작용을 하지만, 알칼성인 비누에서 쉽게 석출될 수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세정용 비누의 액성을 중성으로 한다고 하더라도 기포의 지나친 안정화 작용으로 헹굼성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바람직하게는 단량체가 6 내지 50개 이하인 키토산 올리고당 또는 저분자 키토산이다. 키토산은 게, 새우의 갑각류, 오징어 등의 연체동물, 버섯 등의 외피를 이루는 키틴의 아세틸기를 탈아세틸화하여 얻어지는 물질이다. 전 세계적으로 게, 새우껍질은 수산물 폐기물로서 대략 100억톤 정도 폐기되는데, 이를 재활용하게 되면 환경 오염을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자원을 얻을 수 있다. 키토산은 1970년경에 폐수처리용 중금속 흡착제로 최초 사용된 이후 의료용 재료, 식품, 섬유분야 및 화장품 소재 등 다방면으로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키토산은 생분해성이 우수할 뿐 아니라 인체에 대한 독성이 거의 없으며, 면역반응 등의 부작용이 적어 미국, 일본 등에서는 이를 이용한 의료용 신소재 및 약물전달체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인 예로는 인공피부, 수술용 봉합사, 창상치유제, 화상치유제, 약물전달용 담체 등을 들 수 있다. 키틴의 상처치유 효과는 상처 부위에 존재하는 라이소자임(lysozyme)의 가수분해작용으로 생긴 키토산 올리고당에 의해 마크로파지로부터 상피 세포성장인자의 분비가 촉진되기 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일본의 유니티카(Unitika)사는 인공피부와 수술용 봉합사를 상업적으로 개발하여 시판한 바 있다. 이외에 지혈제, 세포이식재료, 면역증강제, 항암보조제 등의 의료용 재료로서 개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키토산은 질병에 대한 면역성 및 저항력을 향상시켜 줄 뿐만 아니라 암에 대한 저항력 및 콜레스테롤 저하능까지 알려져 있어 건강 보조식품으로도 개발된 바 있다. 이외에 야채, 과일을 깎은 후, 키토산 막으로 싸두면 변색이 방지되고 신선도가 오랫동안 유지된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식품용 랩으로도 개발된 바 있다. 이외에 키토산은 피부와의 친밀성이 뛰어나 감촉이 매우 자연스러우며, 피부 보호작용을 동시에 얻을 수 있다. 이런 장점에 착안하여 1979년 독일의 웰라(Wella)는 키토산을 최초로 두발용 화장품에 응용한 바 있다. 키토산이 두발용 화장품에 사용된 가장 큰 이유는 두발에 대한 흡착성에 기인한다. 또한, 최근 발표된 보고에 의하면 키토산은 다양한 균류에 대한 항균활성 및 항진균 작용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키토산을 항균제나 항곰팡이제로 이용하려는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또한 키토산의 저분자 물질인 키토산 올리고당의 항산화능도 알려져 있어 화장품용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따라서 키토산은 샴푸, 헤어린스 혹은 헤어트리트먼트 등의 제품에 사용될 뿐만 아니라, 피부 보호 제품에 배합되면 마크로파지(macrophage)의 증식능에 의해 상처 치유 작용을 나타내며 피부 보호와 항염증 작용도 있다. 또한, 키토산 올리고당은 항균작용에 의해 피부의 위생과 건강을 유지시킨다. 인체 세정용 비누에 배합되는 항균제로는 피부면을 소독하여 청결히 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화합합성 물질인 염화벤잘코늄(benzalkonium chloride), 헥사클로로펜(hexachloropene),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trichlorocarbanilide) 등이 있다. 항균제라고 해도 그 중에는 자체의 특성으로부터 방부제로 밖에 배합할 수 없는 것과 살균제로 이용될 수 있는 것이 있어서 엄밀한 구별없이 사용목적에 따라 어느 그룹에도 속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중 염화벤잘코늄은 인체에 대한 유해성으로 배합이 금지되었으며, 트리클로로카르바닐리드는 난용성으로 비누에 적합한 목적으로 배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외에 트리클로로살리실아닐리드와 트리브로모살리실아닐리드는 광접촉 피부염이, 역시 할로겐화 살리실아닐리드, 예를들면 트리브로모살란, 디브로모살란, 메타브로모살란의 경우에도 광과민증이 알려져 있다. 종래 사용된 헥사클로로펜은 임신 초기 3개월 중 하루에 10 내지 60회 헥사클로로펜 비누로 손을 씻었을 경우, 신생아가 심한 선천성 기형을 일으킨다는 것이 알려졌는데, 이는 피부에 국소적으로 적용된 헥사클로로펜이 전신적 독성을 지닌 화합물이며 태반벽을 투과할 수 있다는 증거를 제공한 것이라 볼 수 있다. 키토산의 항균작용은 키토산 올리고당이 병원균의 디엔에이(DNA)에서 엠알엔에이(m-RNA)합성을 차단하는 즉, 전사(transcription)를 방해함으로써 유해한 병원균의 증식이 억제되도록 하는 메카니즘과, 세균의 표면에 음하전으로 존재하는 단백질에 키토산이 정전기적 결합을 함으로써 세포벽의 생리적 기능을 방해하여 항균성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병원균의 증식이 억제 또는 사멸하게 되므로 키토산이 세균에 접촉할 기회가 있는 한 항균 효과는 지속된다(참조: 芝崎勳, New Food Industry, 25권, 10호, 28-34쪽). 상기 키토산 성분이 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키토산 성분에 의한 상기한 항균작용 등의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5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다른 성분들의 상대적인 함량 부족에 따른 문제점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토산과 라벤더 오일은 천연 항균성 물질로 합성 항균제와 달리 내성을 유발할 가능성이 낮을 뿐 아니라 향기에 의한 심신의 증진 효과도 알려져 있으므로 일석이조의 효과가 있다. 또한 제품 적응력이 뛰어나고 천연 기원물질을 원료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인체에 대한 안전성 면에서도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인 세라마이드와 레시틴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세포막인 인지질을 보호하고 세포막을 안정화시킬 뿐 아니라, 막 기능을 강화하고 또한 세포막의 결합력을 강화해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세라마이드와 레시틴은 각질층의 보습, 안정화 기능 및 피부 보호기능 또한 쉽게 산화될 수 있는 인지질을 갖는 생체막의 보호 기능으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세라마이드 또는 레시틴의 함량이 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상기한 안정화 기능 및 피부 보호기능 등의 효과를 충분히 기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1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비누의 기포력과 투명성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다른 성분들의 상대적인 함량 부족에 따른 문제점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녹차 및 그레이프시드의 추출물은 그대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한 것은 녹차추출물을 분리 정제하여 얻어진 플라보노이드 성분, 예를 들면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hchin galate), 그리고 그레이프시드에서 분리 정제하여 얻어진 폴리페놀(polyphenol), 프로안토시아니딘(proanthocyanidine)을 혼용 사용하는 것이다. 그레이프시드의 항산화물질은 폴리페놀과 프로안토시아니딘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녹차의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인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와 혼용 사용시 상승적으로 산화 방지 효과를 나타내며, 또한 이들 성분들이 함유된 비누를 사용했을 때 유해한 활성 산소로부터 생체 세포를 보호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참조 : 화학과 공업의 진보, Vol 31. NO 7, P509-512(1991)). 상기 천연 항산화물질이 0.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항산화 효과가 충분치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1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비누의 색상을 짙게 만들고 성분 자체의 냄새가 상대적으로 강해아로마 오일의 향취를 약화시키는 것은 물론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다른 성분들의 상대적인 함량 부족에 따른 문제점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누조성물은 천연 항산화물질과 키토산을 혼용 사용하여 인체에 대한 안전성이 양호한 것과 아울러 과산화지질을 생성하여 피부 장해를 일으킬 염려가 거의 없고, 또한 피부 지방의 과산화에 의한 피부 장해를 예방하는 능력도 우수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세포지질막의 기능 저하에 대응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특히 활성산소(active oxygen), 프리라디칼(free radical)의 공격을 차단해 준다.
또한, 상기 라벤더 오일은 키토산과 달리 지용성이므로, 수용성의 키토산 올리고당 또는 저분자 키토산과 혼용 사용할 경우 세포막 내부에는 지용성의 라벤더 오일이 작용하고 세포질에서는 수용성의 키토산 올리고당 또는 저분자 키토산이 작용하게 되므로 상승적인 작용을 예상할 수 있다. 라벤더는 그 어원이 라틴어로 씻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는 약용식물로 이미 수세기 전부터 서양에서는 피부 질환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라벤더의 정유 성분은 대개 지상부를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지며, 발삼 내지는 독특한 허브 향취를 나타낸다. 정유의 주요 성분은 리나롤아세테이트(linalool acetate)이며, 이외에 제라니올(geraniol), 보르네올(borneol), 오시멘(ocimene), 피넨(pinene)이 포함된다. 이러한 정유 성분은 일반적으로 유기합성법으로 얻어진 향료와 달리 자극성과 독성이 낮아 피부 미용분야에도 널리 적용되고 있다. 또한 합성 향료는 단순히 향취만을 목적으로 첨가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본 발명의 라벤더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향취는 물론 피부 질환의 예방과 치유에도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키토산이나 아로마오일만을 단독으로 함유한 세정용 미용 비누와 다르게 키토산, 라벤더 오일, 세라마이드 및 레시틴을 병용하면, 피부에 항산화 작용은 물론 항균 작용, 보습 작용 및 세포막 보호작용을 갖도록 하여 피부가 항상 촉촉하고, 탄력성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하며 피부에 이물질 및 세균의 침투 효과를 막아줌은 물론, 여기에 녹차의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혹은 그레이프시드의 폴리페놀 또는 프로안토시아니딘 성분을 혼용 배합하면 과산화 지질 생성의 원인이 되는 유해한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생체 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라벤더 오일이 0.1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경우, 향취는 물론 피부 질환의 예방과 치유에 충분한 도움이 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5중량%를 초과하는 것은 경제적으로 바람직하지 못하며, 다른 성분들의 상대적인 함량 부족에 따른 문제점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종래 인체 세정용 비누에 오일류를 사용할 시 피부에 대한 흡수성이 좋고, 퍼짐성이 우수하고 사용후 감촉이 비교적 끈적거리지 않는 피막을 형성시켜 주었다. 유성 원료의 도포는 외부 환경으로부터 피부에서 수분이 증발, 확산되는 속도를 늦추어 주기 때문에 아주 유익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오일류에 의해 피부가 부드러워진 것 같은 감각을 느끼는 것은 보습화 보다는 우선의 윤활 작용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예측은 대부분 오일류가 피부 표면에 발라졌을 때, 연속적인 수분 보유 피막을 형성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에 있어서, 키토산, 라벤더 오일, 그레이프 시드 또는 녹차의 천연 항산화물질 및 세라마이드 혹은 레시틴을 혼용 사용했을 때 상승적인 수분 보유 효과 및 생체 세포의 보호 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라벤더의 정유 성분은 친유성으로 소염 및 항균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레이프 시드 또는 녹차의 항산화물질은 유해한 활성 산소 소거능이 탁월하여 생체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나다. 특히 본 발명의 레시틴과 세라마이드는 생체 세포의 구성물질로서 일정한 분자 배열을 갖는 액정(liquid crystal)의 형성과 함께 결정수를 잘 형성하는 능력이 있어 수분이 잘 끌어당겨 유지시켜 주며 세포간 결합력을 강화시켜 준다. 즉, 보습화 능력이라고 평가되는 습윤 및 세포의 안정화 기능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를 피부에 문지르면 매끄러운 감촉을 주며 피부 위에 부드럽고 끈적임 없는 피막을 형성시켜 주며 레시친과 세라마이드의 상승작용으로 피부에 에몰리언트 효과와 피부의 보습 효과를 느낄 수 있게 한다.
한편, 종래 비누의 제조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면, 우지와 야자유 등의 유지 성분과 수산화나트륨 혹은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넣고 가열하여 비누화한 다음, 진한 소금물을 가하여 염석하여 물과 글리세린을 제거한 후, 건조한 비누칩(soap chip)에 산화 방지제, 보색제, 향 및 피부에 영향을 주는 기타 첨가제를 배합하여 비누 성형기에서 압착하여 비누를 제조하여 왔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비누 제조방법은 종래의 방법과 대동소이하나, 그 조성 및 배합 시기에 있어 다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지와 야자유를 수산화나트륨으로 검화한 후, 진한 소금물을 가하여 염석하여 물과 글리세린을 제거하여 정제한 80 내지 90℃의 비누 슬러리 135g에 본 발명 키토산 올리고당(10%) 5g, 세라마이드와 레시틴 각각 0.5g을 차례로 첨가하고, 교반한 후, 진공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비누 슬러리 혼합물 중의 수분을 증발 제거시키면 비누칩 약 120g을 수득할 수 있다.
둘째, 상기 비누칩 98중량부에 프로안토시아니딘 0.05중량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0.05중량부 및 라벤더 오일 1.9중량부를 첨가한 후 잘 혼합시킨다.
셋째, 상기 건식 배합물을 비누 성형기로 압착 성형하여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을 제조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은 쉐이빙 비누, 물 비누, 종이 비누, 약용 비누의 제형으로 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들이 기술되어질 것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를 국한시키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실시예 1
적당량의 우지와 야자유를 배합하여 60 내지 80℃로 가열 용해한 후, 80 내지 90℃에서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였다. 상층에 뜬 비누로부터 하층에 가라앉은 비누화 반응의 부산물인 물, 미반응 수산화나트륨, 글리세린 층을 분리 제거한 후, 진한 소금물로 1 내지 2회 세척하여 비누 속에 있는 잔류 글리세린과 수산화나트륨을 제거하여 비누층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비누층에 키토산 올리고당 5g, 세라마이드 및 레시틴 각각 1g을 차례로 첨가하고, 교반한 후, 진공 건조기에서 건조시켜 비누 슬러리 혼합물 중의 수분을 증발 제거하여 비누칩 약 120g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비누칩 98중량부에 프로안토시아니딘과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각각 0.5중량부, 라벤더 오일 1중량부를 첨가한 후, 잘 혼합하였다. 상기 건식 배합물을 비누 성형기를 이용하여 쉐이빙 비누, 물 비누, 종이 비누, 약용 비누의 제형으로 압착 성형하여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우지와 야자유를 배합하여 60 내지 80℃로 가열용해시킨 후, 80 내지 90℃에서 수산화나트륨을 첨가하여 비누화 반응을 실시하였다. 상층에 뜬 비누로부터 하층의 부산물을 제거한 후, 포화 식염수로 3회 세척하고 48시간 동안 정치하였다. 불순물을 제거한 후 얻어진 비누층에 저분자 키토산 0.3g, 세라마이드 및 레시틴 각각 0.5g을 차례로 첨가하고 잘 혼합한 후 건조하였다. 이런 방법으로 해서 얻어진 비누칩 99중량부에 폴리페놀과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 각각 0.1중량부, 라벤더 오일 0.8중량부를 첨가한 후 잘 혼합하였다. 상기 배합물을 비누 성형기에 넣고 압력을 가해 압출하여 절단한 후 성형하여 마무리 작업 후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비누칩 99중량부에 그레이프시드의 폴리페놀과 녹차의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각각 0.1중량부, 라벤더 오일 0.8중량부를 첨가한 후 혼합기로 잘 혼합하였다. 상기 배합물을 비누 성형기에 넣고 압력을 가해 압출하여 절단한 후 성형하여 마무리 작업 후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비누칩 99중량부에 프로안토시아니딘 각각 0.05중량부, 녹차의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0.4중량부, 라벤더 오일 0.5 중량부를 첨가한 후 혼합기로 잘 혼합하였다. 압출 성형한 후 절단한 후 마무리작업 후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비누칩 97중량부에 그레이프시드의 폴리페놀과 녹차의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각각 0.5중량부, 라벤더 오일 2중량부를 첨가한 후 혼합기로 잘 혼합하였다. 상기 배합물을 비누 성형기에 넣고 압력을 가해 압출하여 절단한 후 성형하여 마무리 작업 후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비누칩 99중량부에 프로안토시아니딘 각각 0.05중량부, 녹차의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0.4중량부, 라벤더 오일 0.5 중량부를 첨가한 후 혼합기로 잘 혼합하였다. 압출 성형한 후 절단한 후 마무리작업 후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세포 보호능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의 세포 보호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의 비누조성물 및 비교예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인 키토산 올리고당, 세라마이드, 레시틴, 라벤더 오일, 그레이프시드 및 녹차의 천연 항산화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종래의 비누에 대한 유해한 활성 산소에 대한 세포 보호능을 측정하였다. 세포 보호능의 측정은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으로 하였다. 즉, 건강한 20대의 성인 남자로부터 채취된 혈액을 원심분리(800rpm, 5분)하고 세척한 후, 얻어진 적혈구를 생리 식염수로 희석하여, 적혈구 현탁액(적혈구 6천만개/3.5㎖)을 제조하였다. 직경 1.0㎝의, 10㎖ 용량의 파이렉스 시험관 8개를 준비하고, 각각에 적혈구 현탁액을 3.5㎖씩 넣었다.
8개의 시험관중 1개는 대조군으로서 에탄올 50㎖씩을 첨가하고 나머지 7개는 처리군(비교예 및 실시예 1 내지 6)으로서 시료를 50㎖씩 첨가하고, 암소에서 30분간 융화시켰다. 융화가 끝난 후, 광증감제로서 헤마토포르피린(Hematoporphyrin)의 수용액(80μM) 50㎕를 첨가하고 입구를 파라필름으로 봉한 후, 내부를 검게 칠한 50㎝*20㎝*25㎝의 직육면체의 상자 안에 20W의 형광등을 장치하고, 형광등에서 5㎝ 거리에 그 시험관들을 배열시키고, 15분 동안 광조사하였다. 광조사가 끝난 후, 시험관들을 암소에 두면서 15분 간격으로 70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 파장에서 적혈구 현탁액의 투광도의 증가는 적혈구 용혈에 비례한다. 모든 실험은 27℃의 항온실에서 실시하였으며, 시료가 활성 산소류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활성은 위의 측정 조건에서 첨가된 적혈구의 50%가 광용혈하는데 소요되는 시간(분)으로 정의하였다. 비교예와 실시예들에 있어 유해 산소에 대한 세포 보호능을 조사한 결과는 표 1과 같다.
세포 보호능 측정 결과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 대조군
세포보호능(min) 220 205 210 215 213 202 60 50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의 경우 종래의 비누조성물에 비해 세포 보호능이 3배 이상 높았고, 대조군에 비해 4배 이상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사용성(관능시험)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의 효과를 실시예 1 내지 6들과 비교예의 효과와 비교하였다. 본 발명 제조 방법에 따른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들 및 대조 비누에 대한 효과측정을 위해 30 내지 40세의 남녀 40명을 상대로 품평(관능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들 조성물들의 효과는 주로 사용시 피부의 부드러움, 매끈함, 촉촉함에 주목하여 평가하였다. 품평은 사용 직후와 사용후 12시간 경과시의 상태를 비교하여 그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사용성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
사용직후피부상태 부드러움 30 29 28 27 27 26 10
매끈함 25 25 23 23 23 23 15
촉촉함 30 31 30 28 28 28 10
12시간후피부상태 부드러움 31 31 30 29 30 29 9
매끈함 32 32 31 31 31 31 8
촉촉함 30 32 30 29 29 29 10
합 계 178 180 172 167 168 166 6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누조성물들은 키토산 올리고당, 세라마이드, 레시틴, 그레이프시드 및 녹차의 천연 항산화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에 비해 매우 높은 선호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피부염 치유 효과
상기 실시예 1 내지 6 및 비교예에 대한 효과 측정을 위하여, 20 내지 40세 남녀 30명을 상대로 품평을 실시하였다. 이들 조성물들의 효과는 주로 사용시 피부의 부드러움, 촉촉함과 더불어, 특히 여드름이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여드름 등의 발생에 의한 피부염의 치유 등에 주목하여 평가하였다. 품평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한달간 반복하여 사용했을 때, 나타난 효과를 평균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피부염 치유 효과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
부드러움 20 20 18 18 18 17 10
촉촉함 22 23 20 19 20 20 8
피부염 치유 20 19 18 18 18 17 10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들인 키토산 올리고당, 세라마이드, 레시틴, 그레이프시드 및 녹차의 항산화물질 및 라벤더 오일을 함유하는 비누조성물들은 사용시 피부의 부드러움, 매끈함, 촉촉함이 우수하고 계속 사용시에는 여드름 발생 등에 의한 피부염의 치유에도 탁월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피부 안전성
본 발명 세정용 비누조성물들에 의한 피부의 안전성을 측정하기 위해서 정상 피부를 가진 여자 25명을 대상으로 본 발명의 인체세정용 비누조성물(실시예 1 내지 6)과 비교예로서 종래 비누의 1%수용액을 만들어 24시간 폐쇄 첩포하여 패치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비교예는 양성율이 8%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비누조성물들은 음성 반응을 보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 표 4와 같았다.
피부 안전성
구 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
반응율(%) 첩포24시간후 0 0 0 0 0 0 8.0
첩포48시간후 0.4 0.3 0.3 0.2 0.5 0.2 4.0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체 세정용 비누들은 피부의 세포막 보호작용이 있을 뿐 아니라, 피부의 염증이나 여드름 등을 치유하면서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피부의 미용에 도움이 되며, 이외에도 세라마이드와 레시틴의 작용으로 비교예로서의 종래 비누에 비해 피부 부드러움과 촉촉함 등을 도모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세포 보호능, 사용성, 피부염 치유효과 및 피부 안전성 등의 면에서 기 상품화된 종래의 비누조성물에 비하여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비누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5)

  1. 녹차 및 그레이프 시드로부터 추출된 천연 항산화물질 0.01 내지 1중량%, 라벤더 오일 0.1 내지 5중량% 및 잔량의 비누 혼합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비누 혼합물이 키토산 올리고당 또는 저분자 키토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키토산성분 0.1 내지 5중량%, 레시틴 0.1 내지 1중량%, 세라마이드 0.1 내지 2중량% 및 잔량의 비누 슬러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용 비누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 및 그레이프 시드로부터 추출된 천연 항산화물질로 에피갈로카테킨갈레이트, 폴리페놀, 프로안토시아니딘 또는 이들 중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그룹 중에서 선택된 것이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비누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라마이드로는 천연 또는 합성 세라마이드가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비누조성물.
  5. (1) 비누화 방법에 따라 비누 슬러리를 제조하는 비누 슬러리 제조단계;
    (2) 키토산 올리고당 또는 저분자 키토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키토산 성분 0.1 내지 5중량%, 레시틴 0.1 내지 1중량%, 세라마이드 0.1 내지 2중량% 및 잔량으로서 상기 비누 슬러리 제조단계에서 수득된 비누 슬러리를 80 내지 90℃의 온도에서 혼합하여 비누혼합물을 수득하는 제1혼합단계;
    (3) 상기 제1혼합단계에서 수득된 비누혼합물을 진공건조시키는 건조단계;
    (4) 녹차 및 그레이프 시드로부터 추출된 천연 항산화물질 0.01 내지 1중량%, 라벤더 오일 0.1 내지 5중량% 및 잔량으로서 상기 진공건조단계에서 수득된 비누혼합물을 혼합하는 제2혼합단계 ; 및
    (5) 가향, 성형, 포장의 후처리단계;
    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세정용 비누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2-0052508A 2002-09-02 2002-09-02 비누조성물 KR1004773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508A KR100477363B1 (ko) 2002-09-02 2002-09-02 비누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52508A KR100477363B1 (ko) 2002-09-02 2002-09-02 비누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067A KR20040021067A (ko) 2004-03-10
KR100477363B1 true KR100477363B1 (ko) 2005-03-22

Family

ID=3732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2508A KR100477363B1 (ko) 2002-09-02 2002-09-02 비누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3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843A (ko) * 2009-11-25 2011-06-0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세정제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60134A1 (en) * 2017-11-28 2019-05-30 Muna Abdulrahman Mohamed Abdulrahman Alhammadi Formulations for Cosmetic and Dermatological Applications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520A (ja) * 1988-08-10 1990-02-19 Pola Chem Ind Inc 洗浄料
JPH03251523A (ja) * 1990-02-26 1991-11-11 Kawaken Fine Chem Co Ltd 入浴剤組成物
KR20010011867A (ko) * 1999-07-30 2001-02-15 김광석 화장품용 크림 조성물
KR20010100385A (ko) * 2000-05-01 2001-11-14 최차기 액상 바이오 세라믹스를 이용한 항균 미용비누 제조방법
KR20020011983A (ko) * 1999-05-05 2002-02-09 바이오텍 에이에스에이 무콜라겐 화장용 제제
KR20020063918A (ko) * 1999-12-22 2002-08-05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포도주 양조 유래 잔류물의 화장 용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8520A (ja) * 1988-08-10 1990-02-19 Pola Chem Ind Inc 洗浄料
JPH03251523A (ja) * 1990-02-26 1991-11-11 Kawaken Fine Chem Co Ltd 入浴剤組成物
KR20020011983A (ko) * 1999-05-05 2002-02-09 바이오텍 에이에스에이 무콜라겐 화장용 제제
KR20010011867A (ko) * 1999-07-30 2001-02-15 김광석 화장품용 크림 조성물
KR20020063918A (ko) * 1999-12-22 2002-08-05 코니스 프랑스, 에스.에이. 포도주 양조 유래 잔류물의 화장 용도
KR20010100385A (ko) * 2000-05-01 2001-11-14 최차기 액상 바이오 세라믹스를 이용한 항균 미용비누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7843A (ko) * 2009-11-25 2011-06-01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101684675B1 (ko) 2009-11-25 2016-12-08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067A (ko) 2004-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0157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methods
KR101025330B1 (ko) 해양심층수 및 해양콜라겐을 함유하는 비누 조성물
KR20070079596A (ko) 피부질환 치료 보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IL164434A (en) Topic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proanthocyanidins for the treatment of dermatitis
US20100074963A1 (en) Red Palm Oil and Fish Oil Wound Dressing
CA3067924A1 (en) Topical dermatologic acne treatment cream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CA2882392C (en) Antiseptic, antiseborrheic and exfoliating composition to remove or prevent acne
JP2023522932A (ja) 海産油から構成される新規な無水組成物
KR20160116733A (ko) 카렌듈라 인퓨즈드 오일을 함유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4059876A (ja) 創傷および皮膚障害を治療するためのタラ肝油で構成される局所用組成物
WO2012153466A1 (ja) 化粧液,化粧液の製造方法及び化粧方法
KR100477363B1 (ko) 비누조성물
KR20080081633A (ko) 항균비누 조성물
JP4768097B2 (ja) 活性酸素消去剤、血小板凝集抑制剤、皮膚化粧料および浴用剤
KR101103529B1 (ko) 유아용 기능성 비누 조성물
KR101134153B1 (ko) 황토와 기능성분의 혼합 숙성물을 포함하여 제공되는 황토비누
CN105169463B (zh) 一种阳离子婴儿医用敷料及其制备方法
KR19980027147A (ko) 프로폴리스(propolis)가 첨가된 화장비누
KR20090078082A (ko) 비타민 c와 백년초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각질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0743B1 (ko) 천연 토코페롤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천연 토코페롤 비누
KR950005919B1 (ko) 화장 비누 조성물
KR20160116731A (ko) 로즈메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2006B1 (ko) 해당화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누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950007722B1 (ko) 피부 세정제 조성물
KR20040080007A (ko) 핵산을 함유하는 미용비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