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444B1 - 급지카세트의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가지는화상형성장치 - Google Patents

급지카세트의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가지는화상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444B1
KR100474444B1 KR10-2002-0044428A KR20020044428A KR100474444B1 KR 100474444 B1 KR100474444 B1 KR 100474444B1 KR 20020044428 A KR20020044428 A KR 20020044428A KR 100474444 B1 KR100474444 B1 KR 100474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knock
paper feed
feed cassett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4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1617A (ko
Inventor
강래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4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444B1/ko
Publication of KR20040011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1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00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 B65H1/08Supports or magazines for piles from which articles are to be separated with means for advancing the articles to present the articles to the separat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4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assisting separation or preventing double f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급지카세트의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와, 그 급지카세트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녹업플레이트를 가지며, 녹업플레이트의 승강작동을 규제하는 장치로서, 급지카세트가 장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소정 위치까지 하강된 녹업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록킹장치와, 급지카세트가 장착부에 장착될 때 녹업플레이트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록킹해제장치와, 급지카세트가 장착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될 때 이에 연동하여 녹업플레이트를 록킹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위치까지 스스로 하강시키는 녹업플레이트 자동하강수단을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사용자가 급지카세트를 착탈할 때마다 매번 녹업플레이트를 직접 하강시켜 고정시키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급지카세트의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 { Image forming device having apparatus for ragulating elevation of knock-up plate of paper feeding cassette }
본 발명은 급지카세트가 화상형성장치 본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급지카세트의 녹업플레이트의 승강동작을 규제하는 승강규제장치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00)는 화상구동부(미도시)가 내장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와, 상기 화상구동부에 공급될 다수의 용지(미도시)를 수용하며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의 장착부(13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120)를 포함한다. 상기 급지카세트(120)의 바닥면에는 녹업플레이트(140)가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녹업플레이트(140)는 화상형성장치(100)의 픽업구동시 장착부(130) 내부에 설치된 픽업롤러(미도시)와 상기 용지의 접촉이 소정 크기의 압력하에서 이루어지도록 상기 용지를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서, 급지카세트(120)의 바닥면에 설치된 탄성체(170)에 의해 급지카세트(120)의 상측방향으로 탄성가압된다.
이와 같이 녹업플레이트(140)가 설치된 경우, 급지카세트(120)에 용지를 새로 적재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녹업플레이트(140)를 강제로 하강시키고 계속 그 녹업플레이트(140)를 누르고 있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의 화상형성장치(100)에는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가 마련된다.
상기 승강규제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110)로부터 급지카세트(120)가 분리된 상태에서 녹업플레이트(140)가 소정 위치까지 하강되면 녹업플레이트(140)의 재상승을 자동적으로 억제시키고, 급지카세트(12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110)에 장착되면 이러한 고정을 자동적으로 해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승강규제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이 가능하다.
도 2a는 상기 승강규제장치 중 급지카세트(120)의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동레버(150)와, 장착부(130)의 내측벽에 설치된 가이드부(160)를 포함하는 승강규제장치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승강규제장치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지의 적재를 위해 녹업플레이트(140)를 소정 위치까지 하강시키면, 회동레버(150)가 그 자중에 의해 스스로 회전하여 그 회동레버(160)의 하단에 돌출형성된 고정돌기(153)가 녹업플레이트(140)의 상면과 접촉된다. 이때, 탄성체(170)의 탄성력에 의해 녹업플레이트(140)가 상승되려함에 따라 고정돌기(153)가 가압되더라도 회동레버(150)가 더 회전되지 않도록 회동레버(150)의 하단이 급지카세트(12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27)에 의해 접촉지지된다. 이에 의해, 녹업플레이트(140)는 하강된 위치에서 록킹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녹업플레이트(140)가 급지카세트(120)의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급지카세트(120)가 장착부(130)에 장착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120)의 측벽 외부로 일측 선단이 노출되도록 회동레버(150)로부터 돌출형성된 가이드 돌기(155)가 가이드부(160)와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급지카세트(120)를 장착부(130)의 내측으로 더 밀게 되면, 가이드 돌기(155)와 가이드부(160)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동레버(150)가 화살표 A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고정돌기(153)는 녹업플레이트(14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녹업플레이트(140)의 도피홈(145)상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녹업플레이트(140)는 고정돌기(153)의 방해를 받지 않고 탄성체(170)의 탄성력에 의해 발생된 부상력에 의해 스스로 상승하게 된다. 이때, 상기 녹업플레이트(140)의 상승높이를 제한하기 위해 소정의 상승제한장치가 필요하며, 도 2b에 도시된 형태의 승강규제장치에서는 급지카세트(120)의 내측으로 돌출된 상기 가이드 돌기(155)의 타측단이 완전히 상승된 녹업플레이트(140)의 상면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녹업플레이트(140)의 상승을 제한할 수 있다.
삭제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가 용지의 적재시 녹업플레이트를 계속해서 누르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급지카세트(120)를 화상형성장치 본체(110)로부터 분리하여 용지를 적재시킬 때마다 사용자가 녹업플레이트(140)를 손수 눌러 록킹위치까지 하강시켜 그 녹업플레이트(140)를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급지카세트가 분리될 때마다 자동적으로 녹업플레이트가 하강하여 고정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가지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는, 화상형성장치 본체와, 화상형성장치 본체의 장착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와, 그 급지카세트의 바닥면에 탄성적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녹업플레이트를 가지며,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승강작동을 규제하는 장치로서,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소정 위치까지 하강된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고정시키는 록킹장치와,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고정을 해제시키는 록킹해제장치와,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분리되도록 이동될 때 이에 연동하여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상기 록킹장치에 의해 고정되는 위치까지 스스로 하강시키는 녹업플레이트 자동하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급지카세트를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운 인쇄용지를 적재시킬 때마다 사용자가 녹업플레이트를 매번 손수 눌러서 고정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자동하강수단은, 상기 급지카세트의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승강시 그 녹업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되는 제 1 돌기를 가지는 회동레버; 및 상기 급지카세트의 분리시 상기 회동레버를 회동시켜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록킹되는 위치까지 상기 제 1 돌기에 의해 하강되도록 하는 회동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수단은, 상기 회동레버로부터 그 선단이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형성된 제 1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측벽 외측에 노출되는 제 1 가이드 돌기; 및 상기 장착부의 내측벽에 설치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분리될 때 제 1 가이드 돌기의 선단과 접촉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가 상기 경사면에 의해 하향경사지게 안내됨에 따라 상기 제 1 돌기가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회동레버가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록킹장치는, 상기 회동레버로부터 상기 급지카세트의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장착부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상기 고정위치까지 하강되었을 때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에 의해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 2 돌기; 및 상기 제 2 돌기와 녹업플레이트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부상력에 의해 상기 제 2 돌기가 가압됨으로써 상기 회동레버가 회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록킹해제장치는, 상기 회동레버로부터 돌출형성되며, 그 선단이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형성된 제 2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급지카세트의 외측에 노출되는 제 2 가이드 돌기; 및 상기 가이드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급지카세트가 상기 장착부에 장착될 때 상기 제 2 돌기가 상기 녹업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레버가 회동되도록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를 안내하는 걸림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회동억제수단은, 상기 급지카세트의 내벽으로부터 상기 회동레버측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제 2 돌기가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상면을 접촉지지하였을 때 상기 회동레버를 접촉지지하여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상승력에 의한 상기 회동레버가 회동되는 것을 억제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회동레버가 소정 범위에서만 회동될 수 있도록 제 1 및/또는 제 2 가이드 돌기의 이동범위를 한정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는 록킹해제시 그 상면에 접촉되는 제 1 돌기에 의해 소정 높이에서 그 상승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돌기는 상기 회동레버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름롤러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200)는 장착부(230)가 일측에 형성된 화상형성장치 본체(210)와, 그 화상형성장치 본체(210)에 내장된 화상형성부(미도시)에 공급될 용지를 수용하며 상기 장착부(23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220)를 포함한다. 그리고, 급지카세트(220)의 바닥면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 녹업플레이트(240)와, 이 녹업플레이트(240)를 급지카세트(220)의 상방으로 탄성가압하는 탄성체(270; 도 5 참조)와, 상기 녹업플레이트(240)의 승강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는 급지카세트(220)의 분리 동작에 대응하여 녹업플레이트(240)를 하강시켜 고정시킨 후, 급지카세트(220)의 장착시 상기 녹업플레이트(240)의 고정을 해제시켜 녹업플레이트(240)가 소정 높이까지 자유롭게 상승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록킹수단과, 록킹해제수단 및 녹업플레이트 자동하강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녹업플레이트 자동하강수단은 화상형성장치 본체(210)로부터 분리되기 위해 장착부(230)내에서 이동되는 급지카세트(220)에 연동하여 녹업플레이트(240)가 자동적으로 하강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승강규제장치는 회동레버(250)와, 가이드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회동레버(2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카세트(220)의 내측벽에 회전축(251)을 회전중심으로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하단에는 제 1 및 제 2 돌기(253)(254)가 녹업플레이트(240)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그리고, 회동레버(250)의 상단에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돌기(256)(257)가 급지카세트(220)의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253)(254) 각각은 녹업플레이트(240)의 상면과의 접촉시 회전축(251)을 중심으로 회동레버(250)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돌기(253)(254)가 함께 녹업플레이트(240)와 접촉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돌기(253)(254)들 각각과 녹업플레이트(240) 접촉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이 상호 상충되어 회동레버(250)의 회동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녹업플레이트(240)의 고정시 제 1 및 제 2 돌기(253)(254)만으도로 녹업플레이트(240)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돌기(256)(257)의 선단은 급지카세트(220)의 외부에 노출되어야 한다. 이는 제 1 및 제 2 가이드 돌기(256)(257) 각각이 급지카세트(220)의 측벽에 소정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및 제 2 가이드홈(221, 223;도 3 참조)을 관통하도록 회동레버(250)가 설치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260)는 급지카세트(220)의 외측벽에 대응되는 장착부(230)의 내벽상에 형성되며, 급지카세트(220)의 착탈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돌기(256)(257) 각각과 접촉된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256)(257)들과 가이드부(260)의 접촉에 의해 회동레버(250)는 급지카세트(220)의 착탈에 연동하여 소정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가이드부(260)는 장착부(230)의 내벽에 돌기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60)는 상기 급지카세트(220)가 장착부(230)내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 1 가이드 돌기(256)와 접촉되는 부분에 경사면(261)이 하향경사지게 형성되고, 급지카세트(220)의 장착시 제 2 가이드 돌기(257)와 접촉되는 부분에 제 2 가이드 돌기(257)를 직하방향으로 안내할 수 있는 걸림면(26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돌기(256)(257)는 가이드부(260)와의 접촉에 의한 안내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회동레버(25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름롤러의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동레버(250)는 녹업플레이트(240)의 정확한 규제를 위해 급지카세트(220)의 양측벽 각각에 녹업플레이트(240)의 선단에 근접되게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의 동작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급지카세트(22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21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녹업플레이트(240)의 상면은 제 2 돌기(254)와 접촉된다. 이때, 녹업플레이트(240)는 탄성체(270)의 탄성력에 의해 제 2 돌기(254)를 상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회동레버(250)의 회전축(251)을 중심으로 회전력이 발생되어 제 2 돌기(254)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회동레버(250)가 회전되려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회전력에 의한 회동레버(250)의 회전은 회전억제수단에 의해 상쇄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회동레버(250)는 제 2 돌기(254)와 녹업플레이트(240)가 접촉된 상태에서, 제 2 가이드 돌기(257)가 제 2 가이드홈(223)의 일측단(223a)에 의해 접촉지지됨으로써 그 회전이 억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돌기(254)와 회전억제수단이 녹업플레이트(240)를 급지카세트(220)의 바닥면에 록킹시키는 록킹수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억제수단은 앞서 설명된 도 2a에서와 같이 급지카세트(220)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걸림돌기(127; 도 2a 참조)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하게 그 구성이 가능하다.
녹업플레이트(240)가 록킹위치에서 록킹된 상태에서 급지카세트(220)가 장착부(230)에 삽입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가이드 돌기(257)는 가이드부(260)의 걸림면(263)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급지카세트(220)를 장착부(230) 내측으로 더 밀어 넣으면, 제 2 가이드 돌기(257)가 가이드부(260)의 걸림면(263)에 의해 하방향으로 안내됨으로써 도시된 화살표 B 방향으로 회동레버(250)가 회동된다. 이와 같이 회동레버(250)가 회동됨으로써, 제 2 돌기(254)는 녹업플레이트(240)로부터 분리된 후 녹업플레이트(240)의 일부를 절제하여 형성시킨 도피홈(245)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녹업플레이트(240)는 제 2 돌기(254)가 회동되기 위한 여유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탄성체(270)의 압축허용높이만큼 탄성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녹업플레이트(240)의 상면을 가압하는 제 2 돌기(254)의 가압력이 제거됨에 따라 녹업플레이트(240)는 탄성체(270)의 탄성력에 의한 상승이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257)와 가이드부(260)의 걸림면(263)에 의해 앞서 설명된 록킹해제수단의 기능이 수행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급지카세트(220)가 완전하게 장착부(230)에 장착되면, 녹업플레이트(240)는 픽업롤러(미도시)와 접촉되는 용지에 소정 크기의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높이까지만 상승되어야 한다. 이러한 녹업플레이트(240)의 상승높이의 제한을 위해 녹업플레이트(240)의 상면에 항상 접촉된 상태에 있는 제 1 돌기(253)가 사용된다. 이를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녹업플레이트(240)의 상승시 제 1 돌기(253)가 그 녹업플레이트(240)와 같이 유동됨에 따라 회동레버(250)가 앞선 화살표 B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렇게 녹업플레이트(240)가 상승되다 기설정된 소정 위치까지 상승되면 제 2 가이드 돌기(257)가 제 2 가이드홈(223)의 타측단(223b)에 의해 접촉지지됨으로써 회동레버(250)의 회동이 억제된다. 이에 따라, 녹업플레이트(240)의 상승이 억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회동레버(250)의 회동억제는 앞선 록킹동작시와 마찬가지로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급지카세트(220)가 화상형성장치 본체(210)로부터 이탈되기 시작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선, 제 1 가이드 돌기(256)가 가이드부(260)의 경사면(261)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급지카세트(220)를 장착부(230)로부터 더 빼내게 되면 제 1 가이드 돌기(256)가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261)을 따라 이동하여, 회동레버(250)가,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C 방향으로, 회동하게 된다. 이렇게 회동레버(250)가 회동됨에 따라 녹업플레이트(240)는 그 상면이 제 1 돌기(253)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어 강제로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녹업플레이트(240)의 하강은 제 2 돌기(254)가 녹업플레이트(240)의 상면과 접촉될 때까지 계속해서 진행되며, 이렇게 제 2 돌기(254)와 녹업플레이트(240)가 접촉되면 다시 도 5와 같은 상태로 복귀하게 되어 녹업플레이트(240)가 록킹위치에서 록킹된다.
한편, 본 발명은 본 실시예의 경우에만 꼭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일례로, 각각의 가이드 돌기(256)(257)들을 소정 방향으로만 안내할 수 있다면 장착부(230)의 내벽에 복수의 가이드 레일을 형성시켜 가이드부(260)를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비록 록킹수단, 록킹해제수단 및 녹업플레이트 자동하강수단이 통합된 형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회동레버(250)와 가이드부(260)를 급지카세트(220)의 분리시 녹업플레이트(240)가 자동으로 하강될 수 있게만 구성하고, 록킹수단, 록킹해제수단 각각을 본 실시예의 경우와 다른 형태로 구성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통상적인 록킹수단과 록킹해제수단을 가지는 화상형성장치에 제 1 돌기 및 가이드 돌기(253)(256)를 가지는 회동레버(250) 및 경사면(261)이 형성된 가이드부(260)만 설치한다면 본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한 작동 및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상형성장치 본체로부터 급지카세트가 분리될 때 승강규제장치에 의해 녹업플레이트가 자동으로 하강하여 급지카세트의 바닥면에 고정되고, 급지카세트가 장착될 때 전술된 녹업플레이트의 고정이 자동으로 해제되어 녹업플레이트가 자동으로 상승되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급지카세트에 용지를 적재시키기 위해 매번 녹업플레이트를 급지카세트의 바닥면에 고정시키도록 손수 녹업플레이트를 하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의 사용예를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장치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회동레버를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의 사용예를 순차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200 : 화상형성장치 210 : 화상형성장치 본체
220 : 급지카세트 221 : 제 1 가이드홈
223 : 제 2 가이드홈 230 : 장착부
240 : 녹업플레이트 245 : 도피홈
270 : 스프링 250 : 회동레버
251 : 회전축 253 : 제 1 돌기
254 : 제 2 돌기 256 : 제 1 가이드 돌기
257 : 제 2 가이드 돌기 260 : 가이드부
261 : 경사면 263 : 걸림면

Claims (8)

  1. 화상형성장치장치 본체의 장착부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되는 급지카세트;
    상기 급지카세트의 바닥면에 탄력적인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녹업플레이트; 및
    상기 급지카세트의 장착/분리에 연동하여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승강을 규제하는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는,
    상기 급지카세트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급지카세트의 분리시 상기 녹업플레이트와 접촉되어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제 1 돌기, 및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소정 고정위치까지 하강되었을 때 상기 녹업플레이트와 접촉되어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제 2 돌기를 구비하는 회동레버; 및
    상기 급지카세트의 장착/분리시 상기 회동레버와 접촉되도록 상기 장착부의 내주면에 돌출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분리시 상기 녹업플레이트가 하강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레버를 가이드하며, 상기 급지카세트의 장착시 상기 제 2 돌기가 상기 녹업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회동레버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형성된 제 1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노출되는 제 1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분리될 때 상기 녹업플레이트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레버가 회동되도록 상기 제 1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 하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 각각은,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부상력에 의해 상기 회동레버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는 위치에서 상기 녹업플레이트와 접촉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돌기가 함께 상기 녹업플레이트와 접촉되었을 경우,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부상력에 의해 발생되는 상기 회동레버의 회전력이 상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레버는,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형성된 제 2 가이드홈을 관통하여 상기 급지카세트의 측벽에 노출되는 제 2 가이드 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급지카세트가 분리될 때 상기 제 2 돌기가 상기 녹업플레이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상기 제 2 가이드 돌기를 가이드 하는 걸림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규제장치는,
    상기 제 2 돌기와 상기 녹업플레이트 상면의 접촉시, 상기 회동레버와 접촉되도록 상기 급지카세트의 내벽으로부터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회동레버의 접촉시 상기 녹업플레이트의 부상력에 의한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7. 제 3 항 또한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회동레버가 소정 범위에서만 회동될 수 있도록 제 1 및/또는 제 2 가이드 돌기의 이동범위를 한정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녹업플레이트는 록킹해제시 그 상면이 회동범위가 한정된 상기 회동레버의 제 1 돌기와 접촉됨으로써 소정 높이에서 그 상승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가이드 돌기는 상기 회동레버상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름롤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KR10-2002-0044428A 2002-07-27 2002-07-27 급지카세트의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가지는화상형성장치 KR100474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428A KR100474444B1 (ko) 2002-07-27 2002-07-27 급지카세트의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가지는화상형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4428A KR100474444B1 (ko) 2002-07-27 2002-07-27 급지카세트의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가지는화상형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617A KR20040011617A (ko) 2004-02-11
KR100474444B1 true KR100474444B1 (ko) 2005-03-08

Family

ID=37319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4428A KR100474444B1 (ko) 2002-07-27 2002-07-27 급지카세트의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가지는화상형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078Y1 (ko) * 2010-02-22 2012-01-18 이동훈 각도조절이 가능한 거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40U (ja) * 1992-08-11 1994-03-08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用紙トレイの収納構造
JPH06135577A (ja) * 1992-10-22 1994-05-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H07101565A (ja) * 1993-10-04 1995-04-18 Tec Corp 画像形成装置の給紙カセット
JPH08208046A (ja) * 1995-02-01 1996-08-13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9990032073U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록업 플레이트의 록킹장치
JP2001002251A (ja) * 1999-06-25 2001-01-09 Fuji Xerox Co Ltd シート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340U (ja) * 1992-08-11 1994-03-08 株式会社田村電機製作所 用紙トレイの収納構造
JPH06135577A (ja) * 1992-10-22 1994-05-17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の給紙装置
JPH07101565A (ja) * 1993-10-04 1995-04-18 Tec Corp 画像形成装置の給紙カセット
JPH08208046A (ja) * 1995-02-01 1996-08-13 Canon Inc シート給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9990032073U (ko) * 1997-12-31 1999-07-26 윤종용 록업 플레이트의 록킹장치
JP2001002251A (ja) * 1999-06-25 2001-01-09 Fuji Xerox Co Ltd シート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1617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096B1 (ko) 급지유닛 및 이를 갖는 화상형성장치
KR100532112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카세트
KR100474444B1 (ko) 급지카세트의 녹업플레이트 승강규제장치를 가지는화상형성장치
CN216736670U (zh) 供纸装置及图像形成设备
CN114460821B (zh) 给纸托盘及图像形成装置
KR100474435B1 (ko) 사무기기의 급지장치
JP2006052090A (ja) 記録媒体のシートをさばき供給する装置
US6072973A (en) Squeeze roller elevating apparatus for liquid electrophotographic printer
JP4045221B2 (ja) 給紙装置
EP1057760B1 (en) Sheet supply apparatus
KR100561374B1 (ko) 가압판 승강기구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JP2000272786A (ja) ロール紙収納装置
KR920002324Y1 (ko) 프린터의 급지장치
KR100343154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CN219312269U (zh) 一种带有防滑键槽的套筒机构
JPH02132023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34279B1 (ko) 인쇄기기의 급지장치
KR100449731B1 (ko) 인쇄기기의 급지 카세트
JP2750199B2 (ja) 給紙装置
JPH0558479A (ja) 給紙カセツト
KR920006991Y1 (ko) 복사기의 대용량 용지적재 카세트
KR101665974B1 (ko) 화상 형성 장치의 수동 급지 유닛용 저판 승강 장치
JPH05330684A (ja) さばきローラ付給紙カセット及びカセット収納装置
KR200280622Y1 (ko) 인쇄기기의급지장치
KR940002123B1 (ko) 프론트 로딩 방식의 급지테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