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552B1 - 의료화상판독방법및의료화상판독장치 - Google Patents

의료화상판독방법및의료화상판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552B1
KR100473552B1 KR1019970040167A KR19970040167A KR100473552B1 KR 100473552 B1 KR100473552 B1 KR 100473552B1 KR 1019970040167 A KR1019970040167 A KR 1019970040167A KR 19970040167 A KR19970040167 A KR 19970040167A KR 100473552 B1 KR100473552 B1 KR 1004735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information
film sheet
identification cod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40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915A (ko
Inventor
야스히꼬 사사노
야스시 야마나까
요시유끼 이시미쯔
Original Assignee
코니카 미놀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229196A external-priority patent/JP364400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2222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62877A/ja
Application filed by 코니카 미놀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니카 미놀타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80018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 H04N1/0079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 H04N1/00801Circuit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thereof, e.g. using a programmed control device or according to a measured quanti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original
    • H04N1/00809Orient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4Holders for X-ray films
    • G03B42/047Holders for X-ray films provided with mark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39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 G06K7/1443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including a method step for retrieval of the optical code locating of the code in an imag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795Read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시트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의료용 화상 정보를 보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트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상기 의료용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화상 정보를 상기 판독 수단으로 판독하여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한 상기 시트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정보중, 상기 의료용 화상 정보 이외의 화상 정보에서 상기 시트형 기록 매체상에서 기록되어 있는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화상 정보인 방향 판별용 화상 정보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방향 판별용 화상 정보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상기 방향 판별용 화상 정보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판독 수단에서 판독한 상기 시트형 기록 매체의 방향을 판별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의료 화상 판독 방법 및 의료 화상 판독 장치{METHOD OF STORING MEDICAL IMAGE INFORMATION RECORDED IN SHEET SHAPED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시트형 기록 매체상의 화상의 전자 보존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시트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을 판독하여 화상 신호를 얻어서, 이 화상 신호에 적절한 화상 처리를 실시하여 화상을 재생하는 방법이나, 이 판독된 화상 신호를 광디스크 등의 대용량 기록 매체에 파일하여 검색 재생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등이 제안되고 있다.
자동 현상기로부터 나온 필름을 디지타이저의 삽입구에 삽입하거나 혹은 디지타이저의 원고대에 설치하여, 필름상의 화상을 직접 디지털화하는 경우, 삽입 방향, 설치 방향 및 필름의 표리(表裏)가 랜덤해지는 경우가 많다. 즉, 디지타이저로 판독된 필름의 장착 방향(장착 자세)은 삽입 방향, 설치 방향 및 필름의 표리에 따라 다르다. 이 때문에,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배치를 회전하거나 혹은 배치의 표리를 반전시키거나 하여 정상적인 필름 장착 방향에서 판독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재배치하는 것이 X선 화상 데이터 보존 작업 중에서 중요하다. 따라서, 종래 삽입구를 갖는 디지타이저의 경우, 필름을 디지타이저에 삽입하기 전에 인간의 눈으로 미리 삽입 방향을 조정하고 있었다. 오퍼레이터에 의한 방법은 확실하기는 하지만, 자동 현상기로부터 나온 필름을 그대로 디지타이즈하는 경우에는 효율이 나쁘고, 자동 현상기의 스루풋(throughput)에 미치지 못해, 처리 매수의 저하로 이어지고 있었다.
이와 같이, 이들 시스템에 있어서, 그 화상을 기록한 시트형 기록 매체의 정확한 위치 방향을 검지하는 것과 화상을 정확한 위치 방향으로 모으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통상, 의료용 X선 필름을 병원 등에서 촬영하는 경우, 환자의 이름·ID 번호 등이 라벨로서 전사되어 있고, 촬영된 화상이 어떤 환자의 것인지 눈으로 판별할 수 있으며, 현상된 필름에는 그 라벨이 화상 정보의 일부로서 존재한다.
이제까지, X선 필름 등에 기록되어 있는 화상 정보를 디지털화하여 전자적으로 보존하는 경우, 판독된 화상 데이터가 어떤 환자의 것인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오퍼레이터가 판독되는 필름을 확인하여 필름상의 라벨을 판독하고, 그 정보를 기초로 환자 정보나 촬영 정보를 다른 병원 정보 시스템(이하, HIS라 함) 단말로부터 판독하고, 수동으로 환자 정보나 촬영 정보 등을 입력하여 화상 데이터를 전자 매체에 환자 정보와 함께 보존하는 일이 행해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직접 X선 필름 1장씩에 관해 기록된 환자 식별 정보를 인식하여, 그 환자에 부여되어 있는 ID 번호(이하 환자 ID 번호라 함)와, 그에 관련된 환자 정보나 촬영 정보를 입력부로부터 입력했기 때문에, 시간이 걸리고, 단위 시간내에 판독, 보존할 수 있는 화상의 수가 한정되며(1장당 수만큼), 또는 환자 식별 정보나 환자 정보, 촬영 정보 등이 수입력에 의한 입력 오류 등이 발생할 위험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법에서는 오퍼레이터가 오리지널의 X선 필름상의 ID 번호를 확인하기 때문에, 디지털화한 후에도 이 확인(작업)이 종료되기까지는 오리지널 필름으로 진단하고자 하는 의사의 아래에 오리지널 필름을 배부할 수 없다. 따라서, 의사가 환부의 사진을 보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리게 되고, 의사의 병상 판단이 지연되는 등 중대한 문제를 포함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시트형 기록 매체에 노치를 설치하는 등의 새로운 공정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용이한 구성으로 정확하게 화상이 기록된 시트형 기록 매체의 판독 장치로의 정확한 삽입 방향(또는 장치 자세라 함)을 판별하여, 화상을 보존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목적은 환자 ID 번호의 눈에 의한 확인, 수입력의 오조작 등의 트러블을 방지하고, 환자 정보, 촬영 정보, 그 외의 부가 정보를 포함한 시트형 기록 매체상의 의료용 화상의 보존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행함과 더불어, 의료용 화상 정보를 요구한 부서로 단시간에 요구된 의료용 화상 정보를 송부할 수 있는 시트형 기록 매체상의 의료용 화상의 보존 장치 및 보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독 장치에서 판독된 시트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정보중, 의료용 화상 정보 이외의 화상 정보로서 시트형 기록 매체상에서 기록되어 있는 위치가 미리 결정되어 있는 화상 정보인 삽입 방향 판별용 화상 정보의 판독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상에서의 위치를 인식함으로써, 판독 장치에서 판독된 상기 시트형 기록 매체의 삽입 방향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형 기록 매체로부터 판독된 환자 식별 정보와, 미리 데이터 베이스에 보존되어 있던 환자 식별 정보를 비교하고, 판독된 상기 환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환자 식별 정보가 데이터 베이스의 환자 식별 정보중에 있는 경우에는, 그 환자 식별 정보에 대응한 환자 관련 정보와,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시트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의료용 화상 정보를 대응시켜 환자 종합 정보로서 보존 수단에 보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트형 기록 매체로는 X선 화상을 기록한 X선 필름 및 휘진성(輝盡性) 형광체 등을 들 수 있다. 또,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판독 장치로서는 필름 디지타이저 LD-4500(코니카사 제품)이 양호하게 이용된다. 필름 디지타이저 LD-4500은 화상 기록을 갖는 X선 필름을 레이저광으로 스캐닝하여 필름상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신호로 변환한다. 화상 데이터를 축적해 두는 축적 장치는 고 기록 용량을 갖는 컴퓨터용 기록 장치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실시예 1)
이하, 시트형 기록 매체의 방향 판별 장치 및 방법에 관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삽입 방향을 판별하는 장치로는 범용 컴퓨터라면 어떠한 기종도 사용가능하고, 예컨대 Sparc Station(SUN사 제품)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시스템은, 필름을 디지털적으로 판독하는 디지털 화상 판독 장치, 판독 장치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한 화상 기록 장치, 및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디지털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워크스테이션으로 구성된다. 화상 판독 장치가 판독 수단과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수단을 겸하고 있고, 워크스테이션이 삽입 방향 판별용 화상 정보의 필름상의 위치를 인식하는 수단과, 시트형 기록 매체의 삽입 방향을 판별하는 수단,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수정하는 수단을 겸하고 있으며, 화상 기록 장치가 보존하는 수단이다.
본 발명의 필름 등의 시트형 기록 매체의 삽입 방향 판별 방법은, 필름상에 환자 ID 번호 등을 표시한 ID 정보가 X선 화상과 함께 인쇄되어 있는 X선 필름을 디지털화할 때, 미리 필름상의 복수의 영역을 ID 부 후보 영역으로서 등록해 두고, 그들의 후보 영역에서의 화상 데이터의 분산치 또는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분산치 또는 표준편차가 가장 높은 것을 ID 부로 특정화함으로써, 그 특정화된 ID 부의 위치로부터 필름의 방향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이다.
또는, 상기 ID 부 후보 영역의 미분 화상을 작성하고, 그 분산치 또는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그 값이 가장 높은 것을 ID 부로 특정화함으로써, 필름의 삽입 방향을 판별할 수 있는 필름 삽입 방향 판별 방법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본 발명의 시트형 기록 매체의 일례로서 X선 필름(1)을 나타낸다. ID 부(2)가 코니카 KD-W 카세테(코니카사 제품)에 삽입된 X선 필름(1)상에 코니카 KD 네임프린터에 의해 인쇄된다.
이 카세테는 환자의 환부에 밀착되고, X선에 의해 노광되며, 이어서 자동 현상기에 의해 현상된 환자의 환부의 X선 화상(3)이 기록되어 있다. 코니카 KD-W 카세테와 코니카 KD 네임프린터를 이용하면, 예컨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른쪽 위에 문자 정보가 정확하게 읽히도록 ID 부(1)를 세트할 수 있다. 문자가 읽힐 수 있는(왼쪽 문자, 안쪽 문자 등이 아니라 정확한 문자) 방향이 그 화상의 정확한 삽입 방향이다. 따라서, 삽입 방향을 판별하도록 시스템화되어 있다. 다음에, 종래의 방법에 관하여, 도 6의 플로우챠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X선 필름에 ID 정보가 인쇄되고, 이어서 환자의 X선 촬영이 이루어지고 나서 현상된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이 ID 정보를 오퍼레이터가 인식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판독 장치에 정확한 삽입 방향으로 삽입된다. 판독 장치에 의해 디지털화된 의료용 화상 정보 등의 화상 데이터 및 ID 정보는 축적 장치에 축적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도 7에 플로우챠트로서 나타냈지만, 필름 현상까지의 공정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다. 그리고, 현상된 필름은 그대로 기계적으로 필름 디지타이저로 전송되고,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변환된 디지털 데이터는, ID 부(2)가 자동 인식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확한 삽입 방향의 X선 화상의 디지털 데이터로서 축적, 보존된다. ID 부(2)가 자동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단 디지타이즈된 데이터를 표시하고, 오퍼레이터가 ID 부(2)를 인식하며, 그 X선 필름상의 위치 정보를 수동으로 입력하고, 정확한 삽입 방향인 화상의 디지털 데이터로서 축적한다. ID 부(2)가 자동 인식할 수 없고 오퍼레이터가 인식할 수 없는 경우(예컨대 화상이 핀트가 맞지 않는 등)에는, 오퍼레이터가 적절한 처리를 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ID 부(2)의 인쇄는 X선 필름(1)의 크기가 14ㅧ17, 11ㅧ14, 10ㅧ12(인치) 등 직사각형인 경우에는, 도 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의 중심에 ID 정보를 인쇄하는 것은 피하고, 도 2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부에서 X선 기록 화상이 촬영되지 않은 부분에 인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X선 필름(1)의 크기가 20ㅧ20(인치)과 같이 정방형인 경우에는, 도 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X선 기록 화상이 촬영되지 않은 각부에서, 게다가 뒤집어서 90도 오른쪽으로 돌린 때에 ID 정보(2')의 원래 ID 정보(2)와 겹쳐지지 않는 위치에 인쇄된다.
이와 같은 ID 부(2)와 X선 화상(3)이 기록되어 있는 X선 필름을 자동 현상기 등으로 현상 처리를 행한 후, 랜덤하게 필름 디지타이저[예컨대, LD-4500(코니카사 제품)]로 보낸다. 필름 디지타이저의 입구에는, 필름의 종횡 크기를 자동적으로 검지하는 센서가 있기 때문에, 필름이 종방향으로 보내졌는지, 횡방향으로 보내졌는지를 식별하고, 삽입 방향 판별 장치인 범용 컴퓨터에 데이터로서 보내진다.
필름 디지타이저에 보내진 필름의 삽입 방향 또는 장치 자세로는, 도 3의 (a) ∼ 도 3의 (h)에 나타낸 8종류의 삽입 방향의 가능성이 있다. 도 3의 (a)가 정확한 삽입 방향이고, (b)는 180?? 회전한 방향으로 보내지고 있다. 도 3의 (c) 및 도 3의 (d)는 뒤집어진 예이고, 도 3의 (e) ∼ 도 3의 (h)는 횡방향으로 보내진 경우를 나타낸다. 각각 2의 위치에 ID 부가 기록되어 있다.
전송된 필름은, 필름 디지타이저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a(1, 1)에서 a(m, n)까지 스캐닝되고, 각각의 위치의 디지털 데이터를 얻는다.
X선 필름에 인쇄되어 있는 ID 부(2)는, 상술한 바와 같이 X선 기록 화상이 촬영되지 않은 각부에 존재하기 때문에, ID 부(2)의 주위는 비교적 균일한 화상 정보이다. 이에 비해 ID 부(2)는 엣지 정보를 많이 포함하는 문자 정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분산치가 다르다. 여기서, 이 특성을 이용하여 미리 추측되는 ID 부(2)의 후보 영역[도 3의 (a) ∼ 도 3의 (h)에서 2로 나타낸 영역]의 화상 데이터의 분산치 또는 표준편차를 비교하여 그 최대치의 것을 ID 부(2)로 한다. 종횡 크기를 자동적으로 검지하는 센서에 의해, 직사각형의 X선 필름의 경우에는 가로인지 세로인지가 확실하기 때문에, 후보 영역도 도 3의 (a) ∼ 도 3의 (d)나 도 3의 (e) ∼ 도 3의 (h)에 한정되고, 여기에 있는 4개의 ID 부(2)의 영역의 분산치 또는 표준편차를 비교한다. 처리 속도의 향상을 도모하고, 후보 영역내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로부터 분산치를 구할 수도 있다. 상위 2 후보의 분산치 또는 표준편차가 최대치의 1/2 이상인 경우에 한해, 상위 2 후보의 미분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며, 이 미분 화상 데이터의 분산치가 큰 쪽을 ID 부(2)로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구한 ID 부(2)의 위치로부터 필름의 삽입 방향을 판별하여, 도 3의 (a) ∼ 도 3의 (h)중 어느 경우인가를 결정한다.
필름의 종횡 크기를 자동적으로 검지하는 센서로부터, 정방형의 X선 필름이 보내져 온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후보 영역은 도 5의 (a) ∼ 도 5의 (h)로 되지만, 도 2의 (c)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미리 ID 부(2)가 소정의 위치에 인쇄되어 있기 때문에, 도 5의 (a) ∼ 도 5의 (h) 각각의 ID 부(2)가 같은 위치에 오는 일은 없고, 예컨대 도 5의 (a)와 도 5의 (g)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a) ∼ 도 5의 (h)에서의 필름 삽입 방향은 도 3의 (a) ∼ 도 3의 (h) 각각에 대응한다. 따라서 정방형의 경우에는, 8개소의 분산치 또는 표준편차를 비교하여 결정한다.
분산치 또는 표준편차는, 후보 영역의 화상 데이터로부터 각각의 후보 영역의 평균치(Ave)를 구하고, 이로부터 분산치(??) 및 표준편차(SD)를 구한다.
평균치
Figure PAT00001
분산치
Figure PAT00002
표준편차
Figure PAT00003
상기 경우가 결정되면, 1차 데이터로서 얻어진 a(1, 1) ~ a(m, n)를 정규의 삽입 방향으로 축적한다. 예컨대, 도 3의 (a)라면, a(1, 1) ?? a(2, 1) ?? … ?? a(1, n) ?? … ?? a(m, n)의 순으로 축적하지만, 도 3의 (b)라면 a(m, n) ?? a(m-1, n) ?? … ?? a(1, n) ?? … ?? a(1, 1)의 순으로 축적하면 된다.
이하 축적 순서를 나타내면 하기와 같다.
도 3의 (c) : a(m, 1) ?? -x방향 우선 ?? a(1, n)
도 3의 (d) : a(1, n) ?? x방향 우선 ?? a(m, 1)
도 3의 (e) : a(m, 1) ?? y방향 우선 ?? a(1, n)
도 3의 (f) : a(1, n) ?? -y방향 우선 ?? a(m, 1)
도 3의 (g) : a(m, n) ?? -y방향 우선 ?? a(1, 1)
도 3의 (h) : a(1, 1) ?? y방향 우선 ?? a(m, n)
이렇게 해서 축적된 데이터는, 어느 경우에도 모두 정규의 삽입 방향으로 축적되어 있기 때문에, 의사 또는 X선 기사가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항상 정확한 화상이 얻어진다. 따라서, 필름 디지타이저에 X선 필름을 삽입할 때에, 그 방향에 상관없이 삽입할 수 있다. 더욱이, 좌단 기준이었던 삽입 방법을 중앙 맞춤에 의한 삽입 방법이나 우단의 삽입 방법 등의 실현이 가능하게 되고, 삽입위치의 문제가 없게 된다. 아울러 읽어 들인 영역으로부터 화상 정보만을 정확한 위치에 보존하는 것으로의 응용도 가능하게 되었다. 또, 삽입 방향을 판별하는 정보는 문자를 형성하는 화상 정보만 아니라, 바코드 정보를 나타내는 화상 정보에서도 된다.
(실시예 2)
다음에, 시트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의료용 화상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보존하는 시스템 및 방법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X선 필름이나 휘진성 형광체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X선 화상은 디지털화 장치, 즉 휘진성 형광체 리더, 필름 디지타이저 등에 의해 디지털화하면, 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의 전자적인 불휘발성의 기억 매체에 보존할 수 있고, 컴퓨터를 이용한 검색 시스템이나 전자적인 표시 장치에 표시하며, 진단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표시 장치는 의료용 화상에는 휘도적인 신호 영역에서 우위인 CRT가 주로 이용되고 있지만, 그 외 액정, 플라즈마 방식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X선 화상을 표시할 때, 표시 수단으로는 별도로 준비된 화상 처리 수단에 의해 계조(階調) 변환, 주파수 처리 등을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에 실시하고, 진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우선, 종래의 X선 화상을 디지털화하여 보존하는 방법을 플로우챠트에 나타내면 도 8과 같게 된다. 즉, 촬영하고자 하는 환자의 환자 식별 정보(이하 ID 정보라 함)를 네임프린터 등의 장치에 의해 카세테에 장진된 X선 필름의 소정 위치에 촬영되는 화상이 어떤 환자의 것인지를 식별하기 위해 인쇄된다. 이어서, 환자의 환부의 X선 화상이 그 X선 필름에 촬영되고, 현상된다. 얻어진 ID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은, 디지타이저에 의해 디지털화되고, 표시 수단에 표시된다. 표시 수단에 표시된 화상에는 당연히 그 구석에 복사되어 있는 ID 정보도 X선 화상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그 표시된 ID 정보, 또는 직접 X선 필름에 촬영되어 있는 ID 정보를 오퍼레이터가 육안으로 확인하고, 확인된 ID 정보에 기초하여 오퍼레이터는 환자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병원 정보 시스템(HIS)이나 방사선과에 오는 환자의 정보를 관리하는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RIS)으로부터 환자 관련 정보를 온라인 또는 화면으로 입수하고, 화상 데이터를 보존할 때에 환자 정보나 촬영이 어떠한 조건으로 행해졌는가를 나타내는 촬영 정보 등을 함께 환자 관련 정보, 소위 헤드 정보로서 보존한다. 환자 정보로는 환자명, 성별, 생년월일 등이 고려되고, 또한 촬영 정보로는 예컨대 촬영 일시, 부위, 촬영 조건(전압·mAs치), X선량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정한 것으로는, 예컨대 일본국 후생성의 "전자 보존의 공통 규격I, II"에 정해져 있는 정보가 고려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환자 정보·촬영 정보는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입력하기에는 비교적 양이 많고, 입력간 차이 등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환자 식별 정보(ID 정보)로는, 환자를 식별하는 문자 또는 부호를 들 수 있고, 예컨대 환자명, 바코드, 혹은 환자 ID 번호 등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환자 식별 정보(ID 정보)는 환자에 부여되어 있는 숫자의 환자 ID 번호가 좋다.
본 발명의 일례를 도 9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다. ID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이 디지타이저에 의해 디지털화되고, 표시 수단에 의해 표시되는 장소까지는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오퍼레이터가 ID 정보를 인식하고, 입력 수단으로부터 환자 ID 번호를 입력하면, 온라인에 의해 외부 데이터 베이스(HIS 및/또는 RIS)를 검색하고, 해당하는 환자 관련 정보를 판독 수단으로 판독하여 표시 수단에 표시한다. 얻어진 환자 관련 정보가 틀리면, 디지털 화상 데이터와 함께 환자 종합 정보로서 보존 수단에 보존한다.
HIS 및/또는 RIS로부터 판독된 환자 관련 정보가 틀린 경우에는, ID 정보를 체크하여 정확한 환자 ID 번호로 수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이 때에 HIS 및/또는 RIS로부터 얻어지는 환자 관련 정보의 양을 필요 최소한으로 좁히고 있다. 즉, HIS나 RIS에 등록되어 있는 환자 관련 정보 중에서도 확실하게 촬영될 예정, 또는 촬영된 환자의 정보만을 화상 정보 판독 시스템에 전달한다.
RIS구성으로는, 예컨대 이하와 같은 시스템이 고려된다.
(1) 촬영일 당일 촬영될 환자의 정보(ID 정보를 포함하는)가 RIS에 등록된다(HIS로부터 송신되어 온 경우도 있다면 오퍼레이터가 수동으로 키보드 등으로부터 입력하는 경우도 있다).
(2) 등록된 환자의 정보는 촬영실마다 분배되고, 촬영실내 또는 가깝게 위치되어 있는 단말에 그 촬영실에서 촬영될 예정의 환자명이 표시된다.
(3) 촬영이 종료되면 오퍼레이터가 단말을 조작하고, 촬영 종료의 등록을 행한다.
따라서, 이 등록이 행해진 환자에 관해서만 환자 관련 정보를 오퍼레이터가 참조 정보로서 사용하도록 하면, 오퍼레이터는 병원에(또는 HIS에)등록하고 있는 모든 환자에 대해 검색을 행할 필요가 없고, 검색 대상으로 되는 환자 관련 정보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작업 시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촬영 정보에 관해서는 촬영 종료와 동시에 기사가 RIS에 입력하도록 해도 되고, 촬영 장치를 예컨대 RS-232C 등의 온라인 회선으로 RIS와 접속하여 자동적으로 RIS에 입력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2예를 도 10의 플로우챠트로 설명한다. ID 정보를 포함하는 화상이 디지타이저에 의해 디지털화되고, 표시 수단에 표시되는 곳까지는 종래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판독된 화상 정보중 ID 정보의 부분을 검출하고, 환자 ID 번호를 인식하며, 입력하는 ID 번호 인식 장치를 갖춘 인식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자동 현상기와 X선 화상 디지털화 장치가 직결되어 있어 X선 필름상의 ID 정보를 OCR적으로 인식하는 ID 번호 인식 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를 들 수 있다.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고의로 환자 ID 번호를 입력할 필요도 없고, 오퍼레이터는 단지 ID 정보가 들어 있는 X선 화상을 디지털화하는 것만으로, 후에는 ID 번호 인식 수단에 의해 환자 ID 번호가 인식되고, 입력된다. 이 때, OCR에 의한 환자 ID 번호의 인식율은 100%는 아니고, 인식 불완전이나 오인식이 반드시 포함된다.
이를 구제하는 기구로서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데이터 베이스(RIS)에 등록되어 있는 촬영된 환자의 환자 관련 정보가 이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OCR에 의해 자동 인식된 환자 ID 번호에 대한 후보로서 몇 개를 들 수 있고, 우선 순위가 부여되어 있다. 그리고, 실제로 촬영된 환자의 환자 관련 정보만이 RIS로부터 본 화상 정보 판독 시스템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ID 번호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환자 ID 번호가 환자 관련 정보중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오인식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인식된 환자 ID 번호와 촬영 종료 환자 ID 번호를 참조하면서 등록된 촬영 종료 환자의 관련 정보중에서 제일 먼저 인식된 환자 ID 번호와 일치하는 확률이 높은 등록 환자 ID 번호를 인쇄된 환자 ID 번호로서 이용한다.
ID 정보의 인쇄가 나쁘고, OCR에 의해 자동 인식이 불완전한 경우에는, 표시 수단에 화상 데이터를 표시하고, 앞의 실시예의 방법에 따라 데이터의 보존을 행한다. 또한, 도 10의 #1의 경우와 같이, 인식된 환자 ID 번호로부터 추정된 후보 ID 번호가 등록된 촬영 종료 환자의 환자 관련 정보중에 없는 경우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그 원인의 체크를 행하여 정확한 환자 ID 번호를 부여한다. 이렇게 하여, 환자 ID 번호가 인식된 것은 자동적으로 관련된 환자 정보, 촬영 정보가 읽혀지고, 이들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와 함께 보존된다.
도 11에 X선 화상 정보 판독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다. 도 11에서 X선 필름(11)은 촬영 전에 네임프린터 등의 장치에 의해 ID 정보(13)가 인쇄되어 있다. 이 때의 ID 정보(13)에는, 예컨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영 일시, 환자명, 성별, 연령, 환자 ID 번호가 기입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정보는 RIS로부터 미리 프린터에 의해 출력된 라벨 요지를 인화기(코니카 KD-W 등)에 세트하고, 카세테를 인화기에 삽입함으로써 X선 필름(11)의 각부에 인쇄된다. 환자의 환부를 촬영한 후, 도 9의 플로우챠트의 제3단계까지 진행되어 필름 현상되면, X선 화상(12)과 ID 정보(13)를 갖는 X선 필름이 얻어진다. 이 X선 필름은 판독 장치인 필름 디지타이저(14)에 의해 데이터의 디지털화가 행해진다.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으로서 표시하는 표시 수단을 구비하고, 또한 환자에 관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컴퓨터(15)에서 화상이 표시되고, 오퍼레이터는 ID 정보중에서 환자 ID 번호를 인식하여 입력 수단으로부터 환자 ID 번호를 입력하며, 온라인 네트워크에 의해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16: RIS) 및/또는 병원 정보 시스템(17; 오더링 시스템)(RIS 및 HIS를 환자 ID 번호를 포함하는 환자 정보가 기록된 다른 데이터 베이스로도 언급함)을 검색하고, 필요 정보를 입수한다. 이 때, 다른 데이터 베이스의 데이터가 입력된 환자 ID 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9의 플로우챠트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의 입력 미스가 고려되기 때문에, 체크상 정확한 환자 ID 번호를 입력하고 다시 검색한다.
이렇게 해서 입수된 환자 관련 정보는 판독된 X선 화상 데이터와 함께 화상보존 장치(18)에 보존된다.
온라인으로 네트워크되어 있는 RIS 및 HIS에 관하여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그 병원에서 진찰을 받은 환자는 초진시에 병원 정보 시스템(HIS; 17)에 환자 정보(이름·생년월일·성별·증상·병력 등)가 등록된다. 그 중에서, X선 촬영 등이 필요한 환자는 담당 의사에 의한 진찰중에, 촬영 예약 시스템(오더링 시스템, HIS의 일부)을 조작하고, 비어 있는 시간을 확인하여, 그 기일·시간에 환자 ID 번호 및 촬영 부위, 조건 등의 촬영 정보를 등록해 둔다. 그리고, 예약 시스템은 촬영 기일의 오전 0시가 되면 자동적으로 RIS에 대해 환자 ID 번호, 환자 이름, 촬영 정보를 RIS의 호스트 컴퓨터(110)로 송신한다. 예약일이 촬영 당일이면, 당연히 예약과 동시에 전송된다. RIS는 촬영 정보 및 당일의 촬영 환자수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송신되어 온 환자를 적당한 촬영실에 할당하고, 각 촬영실에 설치된 단말기(19)에 그 정보를 표시하여 단말기(19)의 프린터(도시하지 않음)에서 환자의 ID 정보를 출력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그 환자의 촬영시에, RIS가 출력한 상기 ID 정보를 사용하는 카세테를 통해 상기 네임프린터로 필름에 인쇄하고, 촬영이 행해진다. 카세테를 사용하여 촬영된 필름은 암실내에서 매거진으로 이체되고, 매거진을 자동 현상기의 매거진 세트부에 세트함으로써 필름이 1장씩 피드되고, 현상기로 보내진다.
다른 방법으로서, 예컨대 흉부 필름 체인저 등으로 촬영되는 경우도 있고, 체인저에 세트된 라벨 프린터에 의한 ID 정보의 인화를 행할 수도 있다. 또한, 컨베어 시스템에 의해 촬영대·체인저와 현상기가 결합되어 있고, 컨베어의 중간에 이와 같은 인화기가 존재하는 것도 고려된다. 이 때, 촬영대(체인저) ∼ 현상기까지의 컨베어의 중간에 인화기 대신에 LED, CRT, LCD, 레이저 등과 같은 발광 소자에 의한 인쇄 수단을 이용하여 ID 정보를 인쇄하도록 해도 마찬가지인 것은 물론이다.
이렇게 해서 현상기에 넣은 필름은 현상되는 것에 의해 필름상에 ID 정보를 포함한 화상이 형성된다.
도 14에 있어서 촬영된 X선 필름은 필름 매거진(111)에 넣어진 채, 오토 피더(112)에 세트된다. 오토 피더로부터 필름은 자동 현상기(113)로 보내지고, 현상 처리된다. 현상기로부터 나온 X선 필름은 화살표(a)에 따라, 필름 대피 분기로(114), 필름 검출 센서(115)를 경유해서 사람의 손에 닿지 않고 디지타이저(116)로 삽입된다. 이 필름 대피 분기로(114), 필름 검출 센서(115)는 자동 현상기로부터 나온 필름을 디지타이저에 삽입하는 기능만 아니라, 디지타이저에서 필름의 반송 트러블이 생긴 경우 트러블을 신속하게 검지하고, 다음에 자동 현상기로부터 나온 필름을 중간의 필름 대피 분기로(114)에 대피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트러블의 검출은 디지타이저의 필름 판독 수단에 가깝게 설치된 필름 검출 센서(115)로부터의 신호를 감시하고, 일정시간 지나도 필름이 없는 상태로 되지 않으면 트러블이 생긴 것으로 판단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타이저로의 필름의 피드는 행해지지 않고, 대피 분기로(114)에 필름을 보내는 제어이다. 필름 검출 센서는 기계식의 것을 이용하고 있지만, 반사·투과에 의한 광센서, 정전용량센서, 방사선센서, 초음파센서 등을 이용해도 지장은 없다.
디지타이저는, 여기서는 레이저 디지타이저를 이용하고 있지만, CCD, 비디오 카메라 등에 의한 디지타이저에서도 물론 지장은 없다. 이 때, 사용되는 샘플링 간극은 통상 50 ∼ 200㎛가 선택된다. ID 정보에서 사용되는 문자의 크기(약 3 ∼ 5mm)에 대해, 가로 세로 모두다 10 ∼ 50 정도의 화소수로 디지털화할 수 있는 정도의 샘플링 간극이 적당하다. 또한, 계조에 관해서는 농도 0 3. 5를 디지털값의 0 4095로 판독하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는 ID 인식의 정밀도를 가능한 한 높게 하기 위해, 가능한 한 ID 정보의 문자의 콘트라스트가 두드러지도록 계조 특성을 조정하여 판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예컨대 ID 정보가 존재하는 ID 부가 미리 특정화되어 있고, 환자의 화상과 구별할 수 있는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ID 부에 대해서만 콘트라스트를 높이도록 계조 특성을 다이나믹하게 제어하여(예컨대 0 2. 0을 디지털값 0 4095로 읽음) 판독하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렇게 해서 디지털화된 X선 필름은 필름 배출구로 배출되고, 오퍼레이터에 의해 꺼내지는 것을 대기한다.
디지털화된 X선 화상 데이터는 I/F를 통해 CPU(도 11 컴퓨터(15)로 보내진다.
도 10의 플로우챠트의 발명은, 이후 컴퓨터(15)에서 ID 정보의 인식이 이하의 순서로 행해진다.
(1) 화상 데이터중에서 ID 부의 장소를 검출한다. 미리 설정되어 있는 ID 부의 후보중에서 분산치를 계산하고, 분산치가 가장 높은 부분을 ID 부로 판단한다.
(2) 검출된 ID 부에서, 우선 환자 ID 번호의 장소를 특정화하고, 그 중에서 미리 등록된 패턴과의 참조를 행하면서 숫자를 인식한다. 이 방법에는 소위 SDF법이나, 패턴 매칭법, 또는 뉴트럴에 의한 방법 등이 있고, 어떠한 방법을 이용해도 지장은 없다.
이렇게 해서 인식된 환자 ID 번호를 오리지널로 하여 환자 ID 번호의 후보를 추정한다. 환자 ID 번호의 후보는 각각의 숫자가 인식된 환자 ID 번호와 일치할 확률이 높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한다.
한편, 촬영이 종료된 환자의 ID 정보는 촬영 종료의 등록과 동시에 RIS의 단말기(19; 도 13)로부터 본 화상 정보 판독 시스템의 컴퓨터(15)로 보내진다. 인식된 환자 ID 번호는 촬영이 종료한 몇 개의 환자 ID 번호중에 반드시 존재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확률이 높은 환자 ID 번호 후보로부터 차례로 촬영 종료 환자 ID 번호와 조합된다. 즉, 상기 인식된 환자 ID 번호가 촬영 종료 환자 ID 번호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그 인식된 환자 ID 번호는 오류인 것으로 판정되고, 다음에 확률이 높은 후보의 ID 번호가 조합된다. 이상과 같은 순서를 반복하고, 환자 ID 번호의 인식 정밀도를 확정해 간다.
이상의 수속중에서, 어떠한 이유에 의해 환자 ID 번호를 특정화할 수 없었던 것, 환자 ID 번호의 장소를 특정화할 수 없었던 것, 인식할 수 없었던 것, 또한 촬영 종료 ID 정보중에 인식된 환자 ID 번호가 발견되지 않았던 것에 관해서는 인식실패로서 컴퓨터(15)중에, 인식에 성공한 화상과는 다르게, 예컨대 다른 디렉토리에 일시적으로 보존된다. 이와 같은 화상으로는 예컨대 촬영에 실패해서 필름의 전면이 새하얗거나 또는 새까맣게 된 필름, 또는 네임프린터의 트러블 등에 의해 환자 ID 번호가 핀트 어긋나서 인쇄되기도 하고, 환자 ID 번호의 크기에 대해 판독에 이용되는 샘플링 간극이 큰 것에 의해, 숫자의 정밀감지도가 낮은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인식에 실패한 화상은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의해 표시 수단에 표시되고, 오퍼레이터가 ID 정보를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화상에 관해서 확인하고,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으로부터 ID 정보를 입력한다. 표시 수단에 표시하고, 육안으로도 ID 정보를 확인할 수 없는 화상에 관해서는 촬영된 필름을 참조하거나, 디지털화를 다시 한다. 또한, ID 정보 인식은 성공했음에도, 후보 ID 번호가 다른 데이터 베이스와 조합할 수 없는 경우(도 10의 플로우챠트 #1의 경우)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그 원인을 체크하고, 적절한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에 일어나는 원인중 가장 많은 경우는, 환자 ID 번호의 인식 에러이기 때문에, 오퍼레이터가 인식하여 정확한 ID 번호를 입력하면 해결된다.
이상과 같은 수속으로 인식된 환자 ID 번호에 의해, 컴퓨터(15)는 HIS(17)에 대해 대응하는 환자 정보를, 또한 RIS(16)에 대해 환자 정보를 송신하도록 요구한다. 이들 정보를 온라인으로 입수할 수 없는 경우에는 컴퓨터(15)에 접속된 키보드 등의 입력 수단으로 수동으로 입력한다.
이렇게 해서 환자 정보, 촬영 정보가 입수되고, 디지털화된 화상 데이터는 환자 정보, 촬영 정보 등의 부가 정보와 함께 광자기 디스크 등의 대용량 기억 매체인 화상보존 장치(18)에 기억된다. 이 때, 기억되는 부가 정보(헤드)의 형식(포맷)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은 형식을 이용한다. 그룹 번호로서, 예컨대 0001 인증정보, 0010 환자 정보 등을 들 수 있고, 엘레먼트 번호로서, 예컨대 0010의 환자 정보이면 0010 환자명, 0020 환자 ID 번호 등을 들 수 있다. 이하 데이터 수단에 각각의 데이터를 보존한다.
또한 보존할 때에는 화상 압축 등을 이용하여 데이터량을 축소할 수도 있고, 그 때에는 사용한 압축 방법을 부가 정보의 하나로서 헤드내에 등록해 둔다.
더욱이, 환자 정보, 촬영 정보 및 디지털화된 화상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입수된 시점에서 오퍼레이터는 디지타이저의 필름 배출구로 배출된 X선 필름을 환자의 의료용 화상 정보를 요구한 부서에 배부한다. 그 결과, 환자의 의료용 화상 정보를 요구한 부서는 요구하고 나서 매우 짧은 시간에 의료용 화상 정보를 입수할 수 있다.
(실시예 3)
다음에, 의료용 화상 정보를 기록한 시트형 기록 매체인 필름의 삽입 방향의 판별과, 의료용 화상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인 환자 ID 번호정보를 포함하는 환자 관련 정보와 대응시켜 양쪽을 보존하는 시스템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기재는, 실시예 1에 기재한 바와 같은 필름의 삽입 방향의 판별을 행하는 실시예나, 실시예 2에 기재한 의료용 화상 정보와 환자 식별 정보를 대응시켜 보존하는 실시예 등에 유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환자 식별 정보로는, 환자를 다른 환자와 구별할 수 있는 정보이면 무엇이든지 되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환자명, 환자 ID 번호 등을 들 수 있다. 환자 관련 정보로는 환자에 관련된 정보이면 무엇이든지 되고,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환자 식별 정보도 환자 관련 정보에 포함된다. 환자 관련 정보로는, 예컨대 환자명, 성별, 연령, 환자 ID 번호 등의 환자 식별 정보 및, 환자 정보나 촬영 일시 등의 촬영 정보를 들 수 있다.
도 17에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고, 도 16에 그 시스템에서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시트형 기록 매체인 X선 필름(51)에는, 촬영전에 본 실시예에서의 삽입 방향 판별용 화상인 ID 부(53)가 네임프린터 등의 장치에 의해 소정의 필름상의 인쇄 위치에 미리 인쇄된다. 납제의 ID 번호를 본뜬 것을 이용하여, 촬영과 동시에 ID 부(53)를 인쇄하도록 해도 된다. ID 부(53)에는 예컨대, 촬영 일시, 환자명, 성별, 연령, 환자 ID 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환자 식별 정보는 환자를 특정화할 수 있는 정보이면 무엇이든지 되고, 물론 환자 ID 번호만으로도 된다.
이와 같은 정보는 RIS로부터 미리 프린터에 의해 출력된 라벨 용지를 인화기에 세트하고, X선 필름(51)을 수용한 카세테를 인화기에 삽입함으로써 X선 필름(51)의 각부에 인쇄된다.
또한, 삽입 방향 판별용 화상으로는, 시트형 기록 매체인 필름상에 기록되어 있는 위치가 결정되어 있는 화상이면, 환자 식별 정보인 ID 정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화상을 이용해도 된다. 예컨대, 삽입 방향 판별용으로만 이용되는 마크 등을 필름의 소정 위치에 미리 인쇄하도록 해도 된다. 삽입 방향 판별용 화상은, 도 3,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필름의 삽입 방향이 변하는 것에 의해 위치가 변하도록 필름의 각부,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의 근변에 설치하는 것이 좋다.
ID 부(53)가 인쇄된 후, 환자의 환부를 X선 촬영한다. 그리고, X선 촬영을 행한 필름을 현상한다. 필름을 현상하면, 의료용 화상 정보인 X선 화상(52)과 환자식별정보가 기록되는 ID 부(53)를 갖는 X선 필름(51)이 얻어진다.
이 X선 필름(51)상의 의료용 화상 정보인 X선 화상(52)과 환자 식별 정보가 기록되는 ID 부(53)를 포함하는 화상 정보는 판독 수단과 변환 수단을 겸하는 판독 장치로 보내진다. 판독 장치에 보내진 필름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a(1, 1) ∼ a(m, n)까지 스캐닝되고, 각각의 위치의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다. 판독 수단과 변환 수단을 겸하는 판독 장치로는, 본 실시예에서는 필름 디지타이저(54)를 이용한다. 물론, 판독 수단과 변환 수단이 별체의 장치이어도 된다.
필름 디지타이저(54)에 의해 변환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컴퓨터의 CPU(55)에 전송되고, 삽입 방향 판별용 화상인 ID 부(53)가 기록된 ID 부의 위치 및 환자 ID 번호가 자동적으로 인식되고 입력된다. 여기서는, CPU(55)가 삽입 방향 판별용 화상의 위치를 인식하는 인식 수단 및 입력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후보 영역내에서의 분산치나 표준편차 등을 이용하는 ID 부의 인식의 상세는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한, SDF법이나, 패턴 매칭법이나 뉴럴네트 등을 이용하는 환자 ID 번호의 인식의 상세는 실시예 2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ID 부가 자동 인식되지 않은 경우에는, 일단 디지타이즈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표시 수단인 CRT(59)에 화상으로서 표시하고, 오퍼레이터가 ID 부를 인식하며, 그 위치 정보 및 환자 ID 번호를 수동으로 입력 수단인 키보드(60)로부터 입력한다. CRT(59)에 표시된 화상이, ID 정보가 전부 읽히지 않기도 하고, 화상이 없기도 하는 등 이상한 경우에는, ID 정보 및 X선 화상의 디지타이저에서의 판독을 재차 행한다.
ID 부의 위치 및 환자 ID 번호가 자동 인식되거나, 또는 오퍼레이터에 의해 ID 부의 위치 및 환자 ID 번호가 입력됨으로써, 디지털 화상 데이터에서의 방향 판별용 화상의 위치 및 환자식별번호가 인식된다.
메모리(61)에는 미리 방향 판별용 화상의 위치, 즉 ID 부의 위치와, 시트형 기록 매체인 필름의 삽입 방향이 대응되어 기록되어 있고, 메모리(61)로부터 인식된 방향 판별용 화상의 위치에 대응하고 있는 필름의 삽입 방향이 독출됨으로써, 필름 디지타이저(54)에서 판독된 필름의 삽입 방향이 CPU에 의해 판별된다. ID 부의 위치와 시트형 기록 매체인 필름의 종류나 삽입 방향과의 대응에 관한 설명은, 실시예 1에 기술된 바와 같다.
필름 디지타이저(54)에서 판독된 필름의 삽입 방향이 판별된 후, 실시예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지털 화상 데이터가 정확한 소정의 삽입 방향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로 되도록 수정 수단으로 배치된다. 예컨대, 메모리(55)에 일단 필름 디지타이저(54)에서 판독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축적하고, 그 후 수정 수단인 CPU(55)에서 메모리(55)에 축적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정규의 방향으로 하도록 데이터를 재배치한다. 데이터 재배치가 행해지고, 정확한 소정의 삽입 방향으로 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55)에 재차 보존한다. 이 경우, CPU(55)가 삽입 방향 판별용 화상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에서의 위치를 인식하는 수단과, 판독 수단에서 판독된 필름의 삽입 방향을 판별하는 수단,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정규의 삽입 방향의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재배치하는 수단을 겸비하고 있다. 물론, 이들 수단은 각각 다른 장치나 CPU에서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촬영이 종료된 환자의 환자 정보나 촬영 정보나 환자 ID 번호 등을 갖는 환자 관련 정보는 촬영 종료의 등록과 동시에 RIS(56)의 단말기로부터 CPU(55)로 보내진다.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되거나, 또는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환자 ID 번호는, 촬영이 종료된 몇 개의 등록된 환자 ID 번호중에 반드시 존재하지는 않는다. 여기서,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되고,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환자 ID 번호와, 외부 데이터 베이스인 RIS로부터 보내진 등록된 환자 ID 번호가 비교 수단도 겸하는 CPU(55)에 의해 비교되고, 조합된다. 비교, 조합의 결과,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되고,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환자 ID 번호와, 외부 데이터 베이스인 RIS로부터 보내진 등록된 환자 ID 번호중 일치하는 것이 있는 경우에는, 상술한 수정 수단에 의해 소정의 삽입 방향에 재배치된 디지털 화상 데이터는 의료용 화상 정보로서 메모리에 보존된다. 한편, RIS로부터 보내진 그 환자 ID 번호를 갖는 환자 관련 정보(환자 정보나 촬영 정보를 포함하는)가 독출되고, 이 환자 관련 정보와 의료용 화상 정보가 대응되어 광자기 디스크나 하드 디스크 등의 보존 수단인 화상보존 장치(58)에 의해 보존된다. 보존에 관한 설명은 실시예 2에서 기술한 바와 같다. 또한, 환자 ID 번호 등의 환자 식별 정보로서,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환자 식별 정보를 의료용 화상 정보와 대응시켜 보존해도 된다.
인식된 또는 입력된 환자 ID 번호와 일치하는 환자 ID 번호가 등록된 환자번호중에 없는 경우에는, RIS(56)로부터 보내진 등록된 환자 ID 번호중에서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되고,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환자 ID 번호에 가장 근접한 것이 CPU 등의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다. 예컨대, 인식 수단에 의해 환자 ID 번호가 "4126"으로 인식되고, 데이터 베이스중에 "4124", "4125", "4134", "4136"이 있는 경우에는, 제1후보는 "4124", 제2후보는 "4125", 제3후보는 "4136"으로 되고, 제4후보가 "4134"로 된다. 또한, 2와 3을 잘못 읽을 확률("4126"과 "4136"), 6과 4를 잘못 읽을 확률("4126"과 "4124"), 6과 5를 잘못 읽을 확률("4126"과 "4125") 등을 미리 기억시켜 두고, 그 확률을 우선 순위를 결정할 때에 고려해도 된다. 예컨대, 상기의 경우, 2와 3을 잘못 읽을 확률이 가장 높은 경우에는 제1후보가 "4136"으로 된다.
선택된 후, 자동적으로 RIS(56)로부터 보내진 환자 관련 정보와, 메모리(61)로부터 읽어 낸 의료용 화상 정보가 대응되어 보존되도록 해도 되지만, 잘못을 방지하기 위해 RIS로부터 보내진 환자 관련 정보와, 메모리셀로부터 읽어 낸 의료용 화상 정보를 CRT에 표시하고, 한번 오퍼레이터가 확인한 후에 보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RIS(56)와의 사이뿐만 아니라, HIS(57)와의 사이에서 정보의 교환을 행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RIS(56)로부터 보내진 환자 관련 정보의 환자 ID 번호에 우선 순위를 부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 2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환자 ID 번호에 기초하여 몇 개의 후보를 미리 인정한다. 후보는 환자 ID 번호의 각각의 숫자가 인식된 환자 ID 번호와 일치할 확률이 높은 것부터 차례로 나열하여 우선 순위를 부친다. 그리고, 그 우선 순위가 높은 것부터 RIS(56)로부터 보내진 환자 관련 정보의 환자 ID 번호 정보와 조합시켜도 된다. 예컨대, 필름을 판독하여 환자 ID 번호를 인식한 결과가 "4126"이고, "4"는 거의 틀리지 않으며, "1"은 거의 "1"이지만, "7"일 가능성도 있고, "2"도 거의 틀리지 않으며, "6"은 거의 "6"이지만, "0"일 가능성도 있다는 판단을 컴퓨터가 한 경우에는, 제1후보가 "4126"으로 되고, 제2후보가 "4726", "4120", 제3후보가 "4720"으로 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숫자간에 일치할 확률 또는 틀릴 확률을 미리 입력해 두어도 된다. 그리고, 그 우선 순위가 높은 것부터 RIS(56)로부터 보내진 환자 관련 정보의 환자 ID 번호 정보와 일치시킨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별체의 장치를 복수 조합시켜 시스템으로 해도 되지만, 일체의 장치에 각 수단을 조립해도 되고, 본 실시예보다도 더 많은 별체의 장치를 조합시킨 시스템으로 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3에 있어서, 실시예 1, 2에 기재된 내용을 유용할 수 있는 것도 물론이다.
또한, 실시예 1, 3에 있어서, 판독 수단에서의 필름의 방향을 판별하는 수단에 의해 판별된 필름의 방향이 정확한 방향인 경우에는,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수정하지 않고서 그대로 보존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트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도면.
도 2의 (a) ∼도 2의 (c)는 시트형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ID 정보의 인쇄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의 (a) ∼ 도 3의 (h)는 시트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화상 데이터 판독에 의해 얻어진 각 화소의 화상 신호를 설명하는 도면.
도 5의 (a) ~ 도 5의 (h)는 정방형의 시트형 기록 매체에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위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종래의 삽입 방향 판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7은 본 발명의 삽입 방향 판별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8은 종래의 X선 화상 정보 판독 시스템의 플로우챠트.
도 9는 본 발명의 X선 화상 정보 판독 시스템의 플로우챠트.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X선 화상 정보 판독 시스템의 플로우챠트.
도 11은 본 발명의 X선 화상 정보 판독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ID 정보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도 13은 방사선과 정보 시스템(RIS)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X선 화상 촬영 후, 디지타이저까지의 처리 시스템의 측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헤드의 포맷을 나타낸 도면.
도 16은 시트형 기록 매체의 삽입 방향 판별과 환자 관련 정보의 보존을 행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17은 시트형 기록 매체의 삽입 방향 판별과 환자 관련 정보의 보존을 행하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X선 필름
2 : ID 부
2' : ID 정보
3 : X선 화상

Claims (10)

  1. 대략 직사각형인 X-선 필름 시트 상의 의료 화상을 판독하는 방법에 있어서,
    비-정방의 대략 직사각형 모양이며, 상기 필름 시트의 두 대향 면들의 중심들을 접속하는 라인 이외의 상기 필름 시트 상의 코너(corner) 근처의 소정의 위치에 집중된, 광으로 대상의 식별 코드를 기록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 시트 상에서 상기 대상을 방사선 촬영하는(radiographing) 단계와;
    상기 필름 시트를 현상하여 상기 대상의 의료 화상과 상기 식별 코드를 시각화하는 단계와;
    판독 디바이스 상에 장착된 상기 필름 시트 상의 상기 시각화된 의료 화상 및 상기 시각화된 식별 코드를 판독하는 단계와;
    상기 필름 시트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의 배치에 대하여 상기 식별 코드의 디지털 데이터의 위치를 인식하는 단계와;
    상기 판독 디바이스 상에 장착된 상기 필름 시트의 방향을 판별하고, 상기 필름 시트가 디지털 데이터의 배치에 대한 상기 식별 코드의 디지털 데이터의 인식된 위치에 기초하여 판독 디바이스에 의해 그 표면으로부터 판독되는지 아니면 그 뒷면으로부터 판독되는지의 여부를 더 판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의료 화상 판독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배치에 대한 상기 식별 코드의 위치들 및 상기 필름 시트의 장착된 방향이 메모리에 상호관련 형식으로 기억되고, 판별 단계에서, 그 메모리가 상기 식별된 코드의 상기 인식된 위치로 어드레싱되는 경우, 상기 필름 시트의 상기 상호관련 장착된 방향은 상기 판독 디바이스에 의해 판독된 필름 시트의 장착된 방향이 판별되도록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되는 의료 화상 판독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된 장착 방향으로 판독된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배치가 소망의 장착 방향으로 판독된 일반 배치로 재배치되도록 상기 판별된 장착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재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일반 배치로 재배치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료 화상 판독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위치에 대한 후보 영역(candidate region)은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배치에 대해 수행되고, 상기 식별 코드의 위치는 상기 후보 영역 내의 데이터로부터 획득된 표준편차 또는 분산치에 기초하여 인식되는 의료 화상 판독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위치에 대한 복수의 후보 영역들은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배치에 대해 미리 결정되고, 상기 분산치 또는 표준편차는 각각의 후보 영역에 대해 획득되고, 상기 식별 코드의 위치는 최대 분산치 또는 최대 표준편차를 갖는 후보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의료 화상 판독 방법.
  6. 대략 직사각형인 X-선 필름 시트 상의 의료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비-정방의 대략 직사각형 모양이며, 상기 필름 시트의 두 대향 면들의 중심들을 접속하는 라인 이외의 상기 필름 시트 상의 코너 근처의 소정의 위치에 집중된, 광으로 대상의 식별 코드를 기록하는 프린터와;
    상기 필름 시트 상에 상기 대상을 방사선 촬영하기 위한 방사선 촬영 디바이스와;
    상기 필름 시트를 현상하여 상기 대상 및 상기 식별 코드의 의료 화상을 시각화하기 위한 현상 디바이스와;
    판독 디바이스 상에 장착된 상기 필름 시트에 대한 상기 시각화된 의료 화상 및 상기 시각화된 식별 코드를 판독하고, 그들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판독기와;
    상기 필름 시트에 대응하는 디지털 데이터의 배치에 대하여 상기 식별 코드의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위치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수단과;
    상기 판독 디바이스 상에 장착된 상기 필름 시트의 방향을 판별하고, 상기 필름 시트가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배치에 대한 식별 코드의 상기 디지털 데이터의 인식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판독 디바이스에 의해 그 표면으로부터 판독되는지 아니면 그 뒷면으로부터 판독되는지의 여부를 더 판별하는 판별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배치에 대한 상기 식별 코드의 위치들 및 상기 필름 시트의 장착된 방향이 상호관련 형식으로 기억되고, 상기 판별 수단은 상기 식별 코드의 인식된 위치로 상기 메모리를 어드레싱하고, 상기 판별 수단이 상기 필름 시트의 상기 장착된 방향을 판별하도록 상기 필름 시트의 상호관련 장착 방향을 상기 메모리로부터 판독하는 화상 판독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된 장착 방향으로 판독된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배치가 소망의 장착 방향으로 판독된 일반 배치로 재배치되도록 상기 판별된 장착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를 재배치하기 위한 정정 수단, 및
    상기 일반 배치로 재배치된 상기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을 포함하는 화상 판독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위치에 대한 후보 영역은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배치에 대해 미리 결정되고, 상기 인식 수단은 각각의 후보 영역 내의 데이터로부터 분산치 또는 표준편차를 획득하고, 상기 분산치 또는 상기 표준편차에 기초하여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화상 판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식별 코드의 위치에 대한 복수의 후보 영역들이 상기 디지털 화상 데이터의 배치에 대해 미리 결정되고, 상기 인식 수단은 각각의 후보 영역에 대해 상기 분산치 또는 표준편차를 획득하고,
    상기 최대 분산치 또는 상기 최대 표준편차를 갖는 후보 영역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식별 코드를 인식하는 화상 판독 장치.
KR1019970040167A 1996-08-23 1997-08-22 의료화상판독방법및의료화상판독장치 KR1004735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22290 1996-08-23
JP22229196A JP3644001B2 (ja) 1996-08-23 1996-08-23 シート状記録媒体診断画像保存システム及び保存方法
JP96-222291 1996-08-23
JP8222290A JPH1062877A (ja) 1996-08-23 1996-08-23 シート状記録媒体挿入方向判別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915A KR19980018915A (ko) 1998-06-05
KR100473552B1 true KR100473552B1 (ko) 2005-05-16

Family

ID=26524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40167A KR100473552B1 (ko) 1996-08-23 1997-08-22 의료화상판독방법및의료화상판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98837B1 (ko)
EP (1) EP0825756B1 (ko)
KR (1) KR100473552B1 (ko)
DE (1) DE69732942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13365B1 (en) * 1998-03-31 2004-11-02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confirming method
EP0964362A1 (en) * 1998-04-07 1999-12-1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method,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recognition of irradiation area
EP0952726B1 (en) * 1998-04-24 2003-06-25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exposed radiographic films with proper patient information
JP4018260B2 (ja) * 1998-09-30 2007-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撮影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US6738531B1 (en) * 1999-05-10 2004-05-18 Fuji Photo Film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0330858A (ja) * 1999-05-25 2000-11-30 Fujitsu Ltd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記憶媒体
US6354737B1 (en) * 1999-11-12 2002-03-12 Direct Radiography Corp. Digital image orientation marker
US6912317B1 (en) * 1999-11-24 2005-06-28 General Electric Company Medical image data compression employing image descriptive information for optimal compression
WO2001068764A1 (en) * 2000-03-13 2001-09-20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data
JP3945976B2 (ja) * 2000-11-21 2007-07-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表示方法及び装置
JP2002169233A (ja) * 2000-11-30 2002-06-14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形成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2003024318A (ja) * 2001-07-18 2003-01-28 Konica Corp 放射線画像撮影装置
KR20030012727A (ko) * 2001-08-04 2003-02-12 최형식 의료 영상 정보 분배 저장 및 통신 시스템 및 방법
DE10206190A1 (de) * 2002-02-14 2003-09-04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eines Volumendatensatzes
AU2003260214A1 (en) * 2002-09-04 2004-03-29 Eastman Kodak Company Patient identification method for x-ray film user-interfaces
EP1400909A1 (fr) * 2002-09-16 2004-03-24 Lathuy S.C.S. Détection et correction d'erreur d'orientation d'une image radiographique numérique
US6980680B2 (en) * 2003-02-25 2005-12-27 Howtek Devices Corporation Scanning system for identifying and labeling X-rays
CA2531082A1 (en) * 2003-06-24 2005-01-13 Icad, Inc. Automated computer-assisted diagnosis apparatus
JP2006187419A (ja) * 2005-01-05 2006-07-20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医用画像出力システム、医用画像転送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81908B2 (ja) * 2005-02-14 2011-05-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手術機器コントローラ及びそれを用いた手術システム
US8737702B2 (en) * 2010-07-23 2014-05-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extraction of measurement information in medical video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7811A (en) * 1990-10-10 1991-12-31 Fuji Xerox Co., Ltd. Character and picture image data process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3160B2 (ja) 1987-03-03 1998-11-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S647274A (en) * 1987-06-30 1989-01-11 Toshiba Corp Character reader
US4969049A (en) * 1987-06-30 1990-11-06 Fuji Photo Film Co., Ltd. Radiatio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5133020A (en) * 1989-07-21 1992-07-21 Arch Development Corporation Automated method and system for the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abnormal lesions and parenchymal distortions in digital medical images
US5115326A (en) * 1990-06-26 1992-05-19 Hewlett Packard Company Method of encoding an e-mail address in a fax message and routing the fax message to a destination on a network
JP3134009B2 (ja) * 1990-11-21 2001-02-13 アーチ・デベロップメント・コーポレーション 画像処理方法及び装置
JPH04193153A (ja) * 1990-11-26 1992-07-13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画像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EP0523771B1 (en) * 1991-07-15 1998-01-21 Agfa-Gevaert N.V. Processing method in radiation image recording systems
JP2727265B2 (ja) * 1991-09-26 1998-03-11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情報読取方法および装置
US5282065A (en) 1992-11-06 1994-01-25 Rackman Michael I Facsimile machine for printing documents all with corresponding edges aligned independent of whether individual documents were transmitted top or bottom edge first
JPH06304159A (ja) * 1993-04-27 1994-11-01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の撮影体位認識方法
US5592572A (en) * 1993-11-05 1997-01-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Automated portrait/landscape mode detection on a binary image
US5892840A (en) * 1996-02-29 1999-04-0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rradiation field detection in digital radiographic imag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7811A (en) * 1990-10-10 1991-12-31 Fuji Xerox Co., Ltd. Character and picture image data process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98837B1 (en) 2001-03-06
KR19980018915A (ko) 1998-06-05
EP0825756A2 (en) 1998-02-25
DE69732942D1 (de) 2005-05-12
EP0825756A3 (en) 1998-11-18
EP0825756B1 (en)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3552B1 (ko) 의료화상판독방법및의료화상판독장치
EP0952726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ociating exposed radiographic films with proper patient information
JP4631201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4144177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US7476834B2 (en) Diagnosis system including correlating radiographed image data with patient information
US20090279764A1 (en) Small-scale diagnosis system
US20030110178A1 (en) Method and system of tracking medical films and associated digital images for computer-aided and diagnostic analysis
US7006678B2 (en) Imag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6911988B1 (en) Apparatus, method and memory medium for processing a radiation image
US20040258291A1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bnormality data
JP3594250B2 (ja) Pacs
JP2005305137A (ja) 乳房画像撮影システム及び乳房画像撮影装置
JP3644001B2 (ja) シート状記録媒体診断画像保存システム及び保存方法
EP1447968A2 (en) Medical image processing system, medical image pickup system and method of administrating medical images
US6813365B1 (en) Image confirming method
JP2007260062A (ja) 医用画像情報の処理装置および確認作業支援プログラム
JP2007054382A (ja) 乳房画像撮影システム
JP4623133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04073426A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5104890B2 (ja) 放射線画像生成システム
JP5104889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5035573B2 (ja) 放射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2004242691A (ja) 医用画像処理システム
JPH06285056A (ja) X線透視撮影台
JP2004240362A (ja) 医用画像処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