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296B1 - 고밀도전기커넥터 - Google Patents

고밀도전기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296B1
KR100473296B1 KR10-1998-0707413A KR19980707413A KR100473296B1 KR 100473296 B1 KR100473296 B1 KR 100473296B1 KR 19980707413 A KR19980707413 A KR 19980707413A KR 100473296 B1 KR100473296 B1 KR 10047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rminals
housing
electrical connector
row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7828A (ko
Inventor
웨인 사무엘 데이비스
Original Assignee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623,030 external-priority patent/US5761805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623,074 external-priority patent/US5766033A/en
Application filed by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더 휘태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19990087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7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4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 H01R4/2416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 H01R4/242Connection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or cutting insulation or cable strands the contact members having insulation-cutting edges, e.g. of tuning fork type the contact members being plates having a single slot
    • H01R4/2425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 H01R4/2429Flat plates, e.g. multi-layered flat plates mounted in an insulating 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10)는 제 1 및 제 2 열로 배치된 다수의 터미널(40, 42, 44, 46)의 몸체부 둘레에 성형된 하우징(12)을 가진다. 터미널은 각각의 와이어(22, 24)를 위한 IDS 종단부(32, 34, 36, 38)를 가져서 종단커버(26, 28)에 의해 그속으로 재촉 되어지도록 한다. 모든 IDC 종단부는 하우징(12)의 공동측부로부터 공동방향으로 연장하고, 그리고 제 1 열의 IDC 종단부(32, 34)는 제 2 열의 종단부(36, 38)로부터 후방측으로 서로 엇갈려져서 와이어 삽입을 수월하게 한다. 본 발명의 성형 방법은 코어 핀(92, 94)을 제공하여 모울드 절반부들중 일측 절반부(74)로부터 터미널을 지지하도록 하고, 그리고 하부 터미널(40, 42)을 코어핀(94)이 수직으로 정렬된 상부 터미널(44, 46)에 까지 통과 도달하도록 하는 측방향 옵셋(134)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고밀도 전기 커넥터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 보다 상세하게는 고밀도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커넥터에 있어, 다수의 터미널은 절연하우징의 각각의 통로열에 배치되고, 접촉부는 커넥터의 취합면을 따라 노출되고, 그리고 터미널들은 하우징의 후방면을 따라 종단부에서 각각의 도체에 종단되어 있다. 그와 같은 하나의 커넥터가 미국특허 제3,760,335호에 기술되어 있는 바, 이 특허에서 터미널은 각각의 도체에 종단되기 전에 각각의 통로에 삽입되고, 그리고 2열로 배열된다. 일단 통로에 실려지면, 2열 터미널의 종단부는 종단용 하우징(IDC)으로서 알려진 형식으로서, 1쌍의 평행하여 축방향으로 이격된 평판부가 도체의 경로를 횡단하고 그리고 이중 대립된 비임 쌍들 사이에 1쌍의 슬롯을 한정하여 절연 와이어가 터미널의 곁에서 슬롯으로 재촉됨에 따라. 비임 연부는 절연층을 통해 절결되고 그리고 도에체 결합·압착되어서 터미널과 도체간에 1쌍의 전기 접촉부를 형성시킨다. 절연커버는 간격을 유지하면서 도체들간의 적절한 각 열의 모드 도체가 종단을 위한 슬롯에 동시에 재촉되도록 하는데 이용되며, 그런다음 커넥터 하우징에 걸려서 종단부를 보호할 수 있도록 커버하며 아울러 슬롯에 도체를 유지시킨다.
다수열의 근접된 터미널이 커넥터 하우징의 공동 측면을 따라서 절연물 배제부를 통해 각 도체에 종단을 행하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아울러 터미널이 하우징의 제위치에 성형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다수열의 터미널의 종단부가 각각의 도체에 종단되기 위해 커넥터의 공동측을 따라 노출되어 있고, 터미널들은 하우징안에 성형되어 있다. 가급적, 종단부는 절연물 배제부(IDC)이고, 모든 도체는 하우징의 공동측으로부터 IDC 종단부에 재촉됨으로써 종단되어지게 되어 있다. 2열의 IDC 종단부는 축방향으로 서로 엇갈려져서 도체들이 종단용 슬롯에 재촉되는 커넥터의 측부로부터 멀리 있는 열은 가까이 있는 열의 IDC 종단부로부터 후방으로 위치되어서 도체 종단용 틈새를 제공하게 된다. 부가적인 열이 유사한 엇갈림을 제공할 수도 있다. 열중에, 서로 인접한 터미널의 IDC 종단부는 축방향으로 이격되어서 터미널들 사이를 보다 큰 밀도를 위해 측방향 간격을 근접시키는 틈새를 제공하도록 한다.
터미널은 도체종단을 위해 IDC 종단부를 노출시키는 방도로 커넥터 하우징안의 제위치에 성형될 수 있고, 그리고 공지의 제조기술에 의해 취합면을 따라 접촉부를 노출시키기도 한다. 그러나, 터미널이 제위치에 정밀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 코어핀(core pin)을 이용하여서 위치 안정성을 위한 성형중 터미널의 몸체부와 결합하도록 한다. 코어핀이 모울드의 동일측면으로부터 연장되도록 하기 위해, 터미널 밀도가 높게 주어지고, 터미널의 몸체부가 양측열들 사이에 정렬되어야만 하고, 그리고 어떤 열의 터미널은 코어핀이 2열의 터미널 부근을 통과하여 수직정렬된 타열의 터미널에 도달하도록 측방향 옵셋을 한정하도록 형성된다. 종단커버는 가급적 종단부의 보호성 절연물 피복부를 제공하는데 그리고 도체를 슬롯에 유지시키는데 이용된다.
본 발명의 1구현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각각의 와이어가 연장된 것을 뒤쪽에서 본 본 발명의 커넥터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2 는 와이어의 종단에 앞서, 종단커버가 커넥터에 적용되도록 배열되어서 각 터미널에 와이어를 종단시키고, 그리고 셸의 부분들이 하우징의 상세부를 보이도록 파단된 것을 보여주는 도 1 의 커넥터 측면도.
도 3 은 삽입 성형 과정후 상, 하부 모울드 절반부가 개방되고 그리고 코어핀이 성형된 하우징으로부터 퇴거된 커넥터 하우징과 터미널의 종단면도.
도 4 내지 도 7 은 상, 하부열의 터미널의 평면도 및 정면도.
도 8 은 와이어 종단에 앞서 도 1 의 어셈블리의 커넥터 하우징과 터미널을 예시하는 사시도.
도 9 는 종단부 커버가 커넥터에 부착되도록 놓인, 도 8 의 커넥터의 후방면의 평면도.
도 10 은 삽입성형후 하우징의 평면도.
도 11 및 12 는 하우징의 삽입 성형후, 도 10 의 11-11선 및 12-12선을 따라 취한 몇 터미널의 IDC 종단부의 부분횡단면도.
도 13 은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2개의 커넥터가 공동셸에 고정되어 4열 커넥터 어셈블리를 형성하도록한 종단면도.
도 1 에 있어, 커넥터(10)는 절연하우징(12)와 그 주변에 취합면(16)으로부터 후방면(18)까지 연장하고, 그리고 종단면(20)을 가지는 셸부재(14)를 가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수의 도체 와이어(22)가 종단면(20)을 따라 제1열 또는 하부열의 터미널에까지 연장하고, 그리고 다수의 도체 와이어가 유사하게 제 2 열 또는 상부열의 터미널에 연장한다. 제 1 및 제2 종단커버(26, 28)가 도 2 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열의 터미널(40, 42)과 상부열의 터미널(44, 46)의 후방단에 있는 절연물 배제 종단부(32, 34, 36, 38)에 재촉된 후에 와이어를 커버하는데 이용된다.
도 2 는 또한 취합면(16)을 둘러싸는 시라우드(48)를 제공하는 셸부재(14)를 보여주고 있고, 그리고 터미널의 상, 하부열의 전방 접촉부는 하우징(12)의 지지벽(54)을 따라 배치되고 그리고 대형공동(56, 58)안에 노출되어서 취합커넥터(도시하지 않았음)의 대응 컨택트와 취합하도록 되어 있다. 셸부재(14)는 또한 취합커넥터를 커넥터(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잭스크류와 같은 패스너를 고정시키거나 또는 백셸(도시하지 않았음)의 체결, 또는 이들 양쪽 용도, 또는 패널에 설치하기 위한 플랜지(60)를 포함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셸부재(14)의 하부벽(64)으로부터 후방으로 케이블 타이 지지체(62)가 연장하고 그 주변에는 케이블 타이가 다수의 와이어(22, 24)를 커넥터에 고정시켜 변형을 방지시키는데 적용된다. 아울러 도시된 것은 하우징(12)의 측부를 따라 종단커버(26, 28)의 래치아암(70, 72)의 내향 걸림용 돌기(도 9)와 협동하는 하향 레지(66, 68)를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걸림용 돌기는 종단커버를 하우징에 걸도록 한다.
도 3 에 있어, 하우징(12)의 성형방법을 보여주는 것으로, 상, 하부 모울드 절반부(74, 76)가 서로 결합되었을 때 성형 공간이 한정된다. 이 삽입성형 절차에 있어, 터미널(40, 42, 44, 46)은 터미널의 단지 어떤 특성부가 전기접속, 즉 전방 접촉부(50, 52)와 IDC 종단부(32, 34, 36, 38) 간의 전기접속부를 위해 노출된 상태에서 절연하우징 안에 심어지게끔 되어 있다. 이 커넥터에 중요한 것은 성형 절차가 용융된 플라스틱 수지가 고압하에서 성형공통으로 사출되기 때문에 예정된 위치에서 성형 절차를 정밀하게 행하는 도중에는 터미널이 고정되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성형장치의 절반부들은 그들의 노출된 접촉부와 IDC 종단부에 있는 터미널에 결합한 것을 알 수 있는데, 대체로 삽입 성형 방법이 통상적이다. IDC 종단부(32, 34, 36, 38)은 상부 모울드 절반부의 슬롯(78)에 긴밀한 맞춤 상태로 배치되고, 전방 접촉부(50, 52)는 삽입 성형중에 홈(82) 안에 상부 모울드 절반부의 표면(80)에 의해 결합된다.
부가적으로, 전방 접촉부의 전방단(84)은 코어핀(86)에 의해 지지되고, 이 코어핀은 모울드면(80)과 협동하여 전방 접촉부를 양면으로부터 강력하게 파지한다. 상, 하부 모울드 전방부는 유사하게 터미널의 후방부를 지지한다. 터미널의 터미널 지지체는 전, 후방단부들 사이의 모든 터미널 중간부의 상부면과 맞닿는 상부 모울드 절반부의 리브(88)에 의해 수행되고, 가급적이면 리브(88)는 얕은 홈(90)을 제공하여 터미널들이 이안에 안착되어 성형중 어떠한 측방향 움직임이라도 방지하도록 형상을 갖는다. 하부 모울드 절반부(74)는 팁(96, 98)이 IDC 종단부에 인접하여 터미널의 후방단부를 지지히기 위해, 그리고 상부 모울드 절반부(76)의 리브(88)와 슬롯(78)의 협동으로 그들 사이에 터미널의 후방단부를 붙잡도록 성형공동으로 코어핀 어레이(92, 94)를 포함한다. 구멍(100, 102, 104) 및 슬롯(106)는 성형후 하우징에 남는다. 래치돌기(110)가 조립시 셸부재(14)(도 1 및 도 2)의 윈도우(112)로 걸리는 것을 보여준다.
터미널(40, 42, 44, 46)은 도 5 내지 도 8에서 각각의 절연된 와이어를 측방으로 수용하기 위해 쌍을 이룬 비임(116)(도 11 및 도 12)들 사이에 IDC 슬롯(114)을 가지는 IDC 종단부(32, 34, 36, 38)와 제 1 접촉부(50, 52)를 예시한 것을 보여준다. 하부열의 터미널(40 및 42)은 상부열의 터미널(44 및 46)과 마찬가지로 캐리어 스트립(118, 120) 상에 함께 각인·성형되어 정밀한 간격을 유지하고 그리고 하우징(12)의 성형중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가급적, 캐리어 스트립(118, 120)는 삽입 성형전에 노치(122, 124)에서 절단되고, 전방 접촉부(50, 52)의 얇은 선단(126, 128)은 가급적 커넥터 취합중 취합 컨택트와의 용이한 취합을 위해 상부면에 인접하여 둥근홈을 판 표면을 한정한다. 2열의 터미널은 아울러 상, 하부열 사이에 넓은 "윈도우"를 허용하면서 양방향으로 벌어지는 중간부분을 따라 수직형 옵셋(130, 132)을 가져서 이들 2열의 터미널 사이에 측방향으로 용융된 수지의 유동을 수월하게 하도록 한다.
전방 접촉부(50 및 52)가 수직으로 정렬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하부열의 터미널(40)이 상부열의 터미널(44) 바로 밑에 위치하고, 터미널(42 및 46)도 마찬가지로 위치한다. 본 발명의 1태양에 있어, 측방향 옵셋(134)은 코어 핀994)의 일부분을 허용하는 하부열의 터미널(40 및 42)에 형성되어서 코어핀을 바로 위에 있는 터미널(44, 46)에 도달하여 결합시켜 삽입 성형과정 중에 이들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코어핀(94)은 코어핀(92)에 의해 지지된 IDC종단부(32, 34)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된 하부 터미널(40, 42)을 지지하는 숄더(136)를 포함하여서, 성형중 터미널(40, 42)의 중간부분이 구부러지는 것이 방지된다.
도 8 내지 도 12 에 관련하여 설명하자면, 성형된 하우징(12)은 터미널(40, 42)을 위한 하부열의 IDC 종당부(32, 34)와 터미널(44, 46)을 위한 하부열의 IDC 종단부(32, 34)와 터미널(44, 46)을 위한 상부열의 IDC 종단부(36, 38)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채널(138)은 IDC 종단부의 전후방을 따라 연장된 도체 와이어를 수령하도록 한정된다. 종단커버(26, 28)는 각각 커버가 하우장(12)에 걸릴 때 이때, 종단커버(26, 28)의 래치아암(70, 72)이 양측면을 따라 리세스된 하우징(12)의 레지(66, 68) 밑에 걸리는 걸림 돌기(144)를 한정하는 상태로 도체와이어가 배치되는 홈(142)를 가지는 와이어 페이스(140)을 포함한다.
종단은 와이어(220가 하부열의 IDC 종단부로 재촉되고, 그런다음 와이어가 상부열의 IDC부에 들어가면서 연속적으로 수행되고, 커버는 상부커버(28)가, 와이어(22, 240가 공동 케이블(도시하지 않았음)로부터 연장된 트위스트된 쌍으로 있다면, 상부커버(28)가 제위치에 걸리고 그런다음 상하부 와이어(24 및 22) 사이에 걸려 있는 하부커버(26)에 의해 위치된다. 셸부재의 하부벽(64)은 구멍(94, 96)을 커버하고, 종단커버(26, 28)는 성형중에 형성된 슬롯(106)을 효과적으로 밀폐시킨다.
본 발명의 부가적인 구현예가 도 13 에 예시되어 있다. 4-열 커넥터(200)는 시라우드(218)안에 배치된 취합면의 2 하우징 블레이드(214, 216)를 따라 4열의 터미널 전방 접촉부(206, 208, 210, 212)를 보여주는, 공동 셸부재(204)안에 함께 샌드위치된 1쌍의 하우징(202)을 포함한다. 4열의 IDC 종단부(220, 222, 224, 226)는 후방단부를 따라 있고, 각 하우징(202)의 IDC 종단부는 양방향으로 대면하여 도 1 내지 도 12의 커넥터에 대해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228)에 대해 종단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예컨대 전방 하우징부의 각 측부를 따라 34개의 전방접촉부를 보여주고, 2열의 터미널이 중심선으로부터 0.8mm의 간격으로 이격된 수직으로 정렬된 상태로 있는 68개의 터미널을 가지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도체 와이어의 중심선은 0.8mm의 간격으로 이격되고, IDC 종단부는 대략 0.97mm 폭으로 되어 있고, 이들 열을 이룬 종단부는 대략 1.3mm로 수직으로 엇갈려 있다. 터미널은 대략 0.25mm의 두께, 대략 0.44mm의 폭, 및 대략 9.3mm 내지 16.6mm 사이의 길이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12 에 도시한 본 발명의 따라 만들어진 일예의 커넥터에 있어, 각 하우징의 전체 폭은 셸부재(14)의 설치용 플랜지(60)로부터 대략 33.9mm이고, 그의 높이는 설치용 플랜지로부터 대략 5.2mm, 그리고 그이 길이는 대략 18.1mm로서 아주 소형이고, 이 고밀도 커넥터는 각기 34개로된 2열의 68개의 터미널을 가진다.
와이어 종단후, 커넥터 어셈블리는 필요한 경우 IDC 종단부, 와이어 및 밀봉을 위한 종단 커버를 매입하는, 셸 부재의 설치용 플랜지로부터 후방으로 커넥터 주변에 도기재료가 배치된다. 아울러, 필요한 경우 커넥터위, 케이블의 인접부분, 그리고 셸부재의 플랜지의 후방측으로 부착될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삽입 성형 프로세스는 물론 터미널이 절연물 배제와 더불어 와이어에 종단될 필요가 없는 곳에 사용될 수 있고, 그리고 2열 이상의 터미널을 가지는 커넥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각 열에 절연물 배제부를 갖춘 2열 이상의 터미널을 포함할 수도 있다.

Claims (7)

  1. 다수의 터미널(40, 42, 44, 46)이 절연물 배제부를 통과하는 전기도체 와이어(22, 24)에 종단되는 형식의 것으로, 취합면(16)과 후방면(18)을 가지는 절연 하우징(12)을 가지며, 그를 통해 다수의 터미널이 2열로 배치되고, 각 터미널(40, 42, 44, 46)은 취합면(16)에는 전방 접촉부(50, 52)를 그리고 그의 후방단에는 절연물 배제부(32, 34, 36, 38)를 가지며, 그리고 각 터미널의 절연물 배제부는 터미널의 몸체부로부터 횡방향으로 연장하여 있는 전기 커넥터(10)에 있어서,
    적어도 2열의 터미널의 절연물 배제부(32, 34, 36, 38)가 상기 절연 하우징(120의 동일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연장하여 상기 하우징(12)의 공동측부를 따라 노출되어지게 되며, 공동측부는 따라서 각각의 도체 와이어(22, 24)를 위한 종단면(20)을 한정하여서 상기 종단면(20)의 측방향으로부터 슬록(114) 속으로 삽입되어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하우징이 상기 전방 접촉부와 상기 절연물 배제부(32, 34, 36, 38)를 노출하는 방도로 상기 터미널(40, 42, 44, 46)의 몸체부 둘레에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열의 터미널(40, 42 및 44, 46)에 인접한 상기 절연물 배제부(32, 34 및 36, 38)가 축방향으로 서로 엇갈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종단면(20)이 상기 터미널의 절연물 배제부(32, 34, 36, 38)의 각각의 것들과 정렬된 도체 수용채널(13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열의 터미널의 절연물 배제부(32, 34, 6, 38)가 서로 타측 열의 어레이에 대해 축방향으로 엇갈린 어레이를 가지며, 각 어레이는 상기 하우징(12)의 종단면(20)을 따라 수직으로 서로 엇갈린 줄을 이룬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전기 커넥터.
  6. 제 1 항에 있어서, 종단부 커버(26, 28)가 상기 절연물 배제부(32, 34 및 36, 38)의 어레이 각각과 관련되고, 그리고 상기 각각의 절연물 베재부의 슬록(114)에 재촉되어서 상기 하우징(12)에 부착된 도체 와이어(22, 24)를 커버하게끔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전기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모여 한 쌍을 이룬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쌍을 이룬 커넥터가 공동 셀부재(204)에 배치되고, 일측 커넥터의 각 터미널(40, 42, 44, 46)의 절연물 배제부(220, 222, 224, 226)는 타측 커넥터의 것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밀도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1998-0707413A 1996-03-28 1997-03-18 고밀도전기커넥터 KR1004732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23,030 US5761805A (en) 1996-03-28 1996-03-28 Method of making a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8/623,074 1996-03-28
US8/623,030 1996-03-28
US08/623,074 1996-03-28
US08/623,074 US5766033A (en) 1996-03-28 1996-03-28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08/623,030 1996-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7828A KR19990087828A (ko) 1999-12-27
KR100473296B1 true KR100473296B1 (ko) 2005-08-24

Family

ID=2708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413A KR100473296B1 (ko) 1996-03-28 1997-03-18 고밀도전기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90203B1 (ko)
JP (1) JP2000507384A (ko)
KR (1) KR100473296B1 (ko)
CN (1) CN1214805A (ko)
DE (1) DE69705115T2 (ko)
WO (1) WO199703635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194B1 (ko) * 2007-12-28 2010-01-28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단말기용 소켓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8342B2 (ja) * 2001-08-24 2008-12-17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シールドケーブルの電気コネクタ、そのコネクタ本体及びこの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DE10227602B4 (de) * 2002-06-20 2017-06-22 Lisa Dräxlmaie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teckverbinders für Flachleiter
JP4374288B2 (ja) * 2004-04-19 2009-12-02 ケル株式会社 電線圧接型コネクタ
US7347717B2 (en) * 2006-04-12 2008-03-25 Illinois Tool Works Insulation displacement system
CN105655778B (zh) * 2014-12-01 2021-06-08 安费诺富加宜(亚洲)私人有限公司 用于电连接器的组织器
CN111509436B (zh) * 2020-05-07 2021-04-30 泰州市航宇电器有限公司 一种阶梯排布刺破接线的多芯连接器
JP7480073B2 (ja) 2021-01-25 2024-05-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された端子を備える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54872A (en) * 1988-04-29 1990-09-04 Altair International, Inc. Electrical contact stabilizer assembly
JP3078616B2 (ja) * 1991-08-30 2000-08-21 ケル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358424A (en) * 1993-08-11 1994-10-25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for high density ribbon cable
JP2942979B2 (ja) * 1994-11-21 1999-08-30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9194B1 (ko) * 2007-12-28 2010-01-28 케이. 에이. 이 (주) 이동통신단말기용 소켓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14805A (zh) 1999-04-21
DE69705115D1 (de) 2001-07-12
EP0890203B1 (en) 2001-06-06
DE69705115T2 (de) 2001-11-15
KR19990087828A (ko) 1999-12-27
JP2000507384A (ja) 2000-06-13
EP0890203A1 (en) 1999-01-13
WO1997036351A1 (en) 1997-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6033A (en)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5761805A (en) Method of making a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
US4781615A (en) Cable terminating cover retention system
US5632634A (en) High frequency cable connector
US9356401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ground frame
EP0590667B1 (en) High-density cable connector
US4255009A (en) Two row electrical connector
US4025141A (en) Electrical connector block
EP0778637B1 (en) Connector unit
US6368148B1 (en) Ribbon cable connector with ground bus
US6582255B2 (en) High-density plug connector for twisted pair cable
JPS6313311B2 (ko)
US6250959B1 (en) Connector for coaxial cables with very fine conductors
US6893295B1 (en) Connector with integrated strain relief
KR100473296B1 (ko) 고밀도전기커넥터
US5308258A (en) Planar modular interconnect system
JPH10189120A (ja) 多極の遮蔽されたケーブルプラグ
JP2579149B2 (ja) 電気コネクタ
EP0203365A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terminating cable
US5419718A (en) Mixed coaxial connector
US6045391A (en) Multi-pole connecting terminal for electrical conductors
US7374463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locking member
US20110189884A1 (en) Cable assembly with improved terminating means
KR20030085581A (ko) 상호접속용 전선을 위한 단자 스트립
US6210205B1 (en) Spacer for IDC termin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