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3145B1 -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3145B1
KR100473145B1 KR10-2005-0002968A KR20050002968A KR100473145B1 KR 100473145 B1 KR100473145 B1 KR 100473145B1 KR 20050002968 A KR20050002968 A KR 20050002968A KR 100473145 B1 KR100473145 B1 KR 1004731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wood waste
wood
cutting
fram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2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병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영
Priority to KR10-2005-0002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31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3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31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4/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 B02C4/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 B02C4/08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oller mills with two or more rollers with co-operating corrugated or toothed crushing-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1/00Use of pick-up or transfer devices or of manipulators for stacking or de-stack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용 바퀴와 받침잭 및 차량연결부가 형성된 판체형상의 프레임 지지부; 프레임 지지부 상에 제 1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이어 임목 가이드가 설치되며, 소정 위치에 임목 폐기물의 절단을 위한 전기톱과 그 전기톱을 상하로 왕복운동시키는 절단 몸체로 이루어진 절단부가 설치되고, 후측으로 임목 폐기물이 투입되는 입구와 스톱퍼가 형성된 투입부; 투입부의 하측에 좌우로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회전 몸체가 설치되고, 그 회전 몸체의 하부면으로 임목 폐기물을 파쇄시키기 위한 파쇄통이 설치된 파쇄기; 파쇄기에 의해 배출되는 임목 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제 2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그 제 2 컨베이어의 이송측 끝단에 이송된 임목 파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 3 컨베이어가 설치된 배출수단; 및 상기 프레임 지지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각 컨베이어와 절단부와 파쇄기에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은 건설현장이나 도로공사 현장등에서 발생한 임목 폐기물의 무단 방치로 인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최대한 저감시킴은 물론, 임목 폐기물의 재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TREATMENT DEVICE OF FOREST TREE WASTE}
본 발명은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설현장이나 도로확장 공사 등의 현장에서 발생된 임목 폐기물의 처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절단부를 통해 일정크기로 임목 폐기물을 절단하고 그 절단된 임목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파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주는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건설 현장이나 도로확장 공사 과정에서 배출되는 폐기물 가운데 산림 훼손에 따라 발생되는 임목 폐기물은 효율적인 적정 처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임목 폐기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발생량의 일부만이 신고된 위탁처리 업체에 의해 처리되고 있기 때문이며, 한편에서는 임목 폐기물을 현행 건설폐기물 보관기준인 90일을 훨씬 넘긴 채 건설현장 곳곳에 장기간 다량으로 방치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와 같이 임목 폐기물이 건설현장에 장기간 방치될 경우, 나무속의 수분이 증발하여 재활용 가치가 크게 떨어짐은 물론 수집이나 운반에 있어서도 어려움이 더욱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단순 매립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었다.
상기와 같이 다량의 임목 폐기물이 공사현장에 단순 매립되는 경우, 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매립된 임목 폐기물의 부패로 인한 지층에 공간이 형성되고, 집중 호우시 토사유출의 위험은 물론 붕괴 위험의 가능성 까지 갖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임목 폐기물의 무단 방치로 인한 자원의 낭비와 그로인한 환경오염이 심각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임목 폐기물의 재처리 시 파쇄기로의 투입전에 임목 폐기물의 크기를 파쇄가 용이한 일정크기로 미리 절단한 후 파쇄기로 투입하여 파쇄시킴으로서 임목 폐기물의 파쇄처리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구조의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는, 길이가 긴 일정 크기의 판체형상으로 하단에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고, 그 이동용 바퀴가 설치된 일측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받침잭이 설치되며, 판체형상의 전방 일측면에 차량에 연결시킬 수 있는 차량연결부가 형성된 프레임 지지부;
상기 프레임 지지부 상에 임목 폐기물의 이송을 위한 제 1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그 제 1 컨베이어의 끝단 부위에 임목 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임목 가이드의 소정 위치에 임목 폐기물의 절단을 위한 전기톱과 그 전기톱을 상하로 왕복운동시키는 절단 몸체로 이루어진 절단부가 설치되고, 그 절단부의 후측으로 임목 폐기물이 투입되는 입구와 스톱퍼가 형성된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측에 좌우로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회전 몸체가 설치되고, 그 회전 몸체의 하부면으로 투입되는 임목 폐기물을 파쇄시키기 위한 파쇄통이 설치된 파쇄기;
상기 파쇄기에 의해 배출되는 임목 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제 2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그 제 2 컨베이어의 이송측 끝단에 이송된 임목 파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 3 컨베이어가 설치된 배출수단; 및
상기 프레임 지지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각 컨베이어와 절단부와 파쇄기에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6은 도 1에 따른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사시도와 단면도 및 개략평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는 프레임 지지부(100)와, 투입부(200)와, 파쇄기(300)와, 배출수단(400), 및 엔진부(500)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는 길이가 긴 일정 크기의 판체형상으로 하단에 이동용 바퀴(101)가 다수개 설치되고, 그 이동용 바퀴(101)가 설치된 일측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받침잭(102)이 설치되며, 판체형상의 전방 일측면에 차량에 연결시킬 수 있는 차량연결부(103)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받침잭(102)은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를 지면으로부터 고정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로드가 상하로 승하강되는 실린더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투입부(200)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의 판체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크레인(미도시) 등의 중장비에 의해 올려지는 임목 폐기물의 이송을 위한 제 1 컨베이어(201)가 설치되고, 그 제 1 컨베이어(201)의 끝단 부위에 이송중인 임목 폐기물의 위치 조정을 위한 임목 가이드(202)가 설치되며, 상기 임목 가이드(202)의 소정 위치에 임목 폐기물의 절단을 위한 전기톱(203)과 그 전기톱(203)을 상하로 왕복운동시키는 절단 몸체(204)로 이루어진 절단부(205)가 설치되고, 그 절단부(205)의 후측으로 임목 폐기물이 투입되는 입구(206)와 스톱퍼(207)가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투입부(200)에는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컨베이어(201)로부터 이송되는 임목 폐기물의 안정적인 절단을 위해 상기 임목 가이드(202)가 먼저 위치 조정을 시키고, 이어서 고속 회전하는 전기톱(203)에 의해 이송된 임목 폐기물이 소정 크기로 절단된다.
이때, 상기 전기톱(203)은 상하로 왕복 운동시키는 절단 몸체(204)의 수직 가이드를 따라 상하로 운동되며, 이러한 상기 전기톱(203)은 통상의 제어수단(미도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단 몸체(204)는 그 내부에서 상기 전기톱(203)을 상하로 수직 왕복운동시키기 위한 통상의 구동 실린더(미도시)의 연결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동 실린더의 연결 구성 및 구동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스톱퍼(207)는 상기 제 1 컨베이어(201)을 따라 이송되는 임목 폐기물이 상기 입구(206)로 투입되기전 이송을 일시 중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상기와 같은 스톱퍼(207)는 사용자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하고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투입부(200)내 절단부(205)의 다른 형태의 구성은 도 3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원형의 전기톱(203)과 상기 원형의 전기톱(203)을 일측에서 고정한 상태로 힌지축(미도시)을 통해 상하 수직운동시키는 절단 몸체(204)의 구성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때 상기 절단 몸체(204)의 내부에서 힌지 결합되는 구성은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파쇄기(300)는 상기 투입부(200)의 하측에 좌우로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회전 몸체(301)와, 그 회전 몸체(301)의 하부면으로 투입되는 임목 폐기물을 파쇄시키기 위한 파쇄통(302)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 몸체(301)의 내주면에는 투입되는 임목 폐기물을 상기 파쇄통(302)으로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안내 날개(303)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파쇄통(302)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다수의 타공(304)이 형성된 파쇄 몸체(305)가 형성되고, 그 파쇄 몸체(305)의 내부에서 엔진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306)이 형성되며, 그 회전축(306)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간격유지판(307) 사이로 칼날(308)이 형성된 다수의 칼날부(309)가 다수의 고정핀(310)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상기 파쇄통(302)의 연결구성은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배출수단(400)은 상기 파쇄기(300)에 의해 배출되는 임목 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제 2 컨베이어(401)가 설치되고, 그 제 2 컨베이어(401)의 이송측 끝단에 이송된 임목 파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 3 컨베이어(402)가 설치된 이단구조의 컨베이어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컨베이어(402)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의 후단에 설치된 제 1 실린더(403)에 의해 경사 각도가 조정되고, 그 제 3 컨베이어(402)의 후단면에 설치된 제 2 실린더(404)에 의해 보조 컨베이어(405)가 추가로 길게 연장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 1 실린더(403)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3 컨베이어(402)가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처리 장치의 이동시 사용되고, 상기 보조 컨베이어(406)는 상기 제 2 실린더(40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 3 컨베이어(402)의 내부로부터 인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엔진부(500)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1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각 컨베이어(201, 401, 402)와 절단부(205)와 파쇄기(300) 등의 각 구성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엔진부(500)는 통상의 기어방식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크레인 등의 중장비에 의해 임목 폐기물이 상기 제 1 컨베이어(201) 상에 올려져 이송되는 경우, 그 이송중인 임목 폐기물이 도 2에서 보여지는 상기 임목 가이드(202)에 의해 위치가 똑바로 조정된 후 그 임목 폐기물의 끝이 상기 스톱퍼(207)에 걸려 이송이 일시 중지된다.
이어서, 상기 절단부(205)의 전기톱(203)이 사용자의 제어수단의 조작에 의해 절단 몸체(204)의 수직 가이드를 따라 하강되어 일시 정지된 임목 폐기물을 절단한 후 상기 절단몸체(204)의 수직 가이드를 따라 다시 상승한다.
상술한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상기 제 1 컨베이어(201)를 통해 이송되는 임목 폐기물의 절단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후, 상기 절단부(205)의 전기톱(203)에 의해 일정 크기로 절단된 임목 폐기물은 상기 입구(206)로 자유 낙하되어 상기 파쇄기(300)로 투입된다.
이어서, 상기 파쇄기(300)는 일정 크기로 절단되어 투입되는 임목 폐기물을 칼날(308)이 형성된 다수의 칼날부(309)의 회전을 통해 파쇄한 후 상기 파쇄 몸체(305)에 형성된 다수의 타공(304)을 통해 하부에 설치된 제 2 컨베이어(401)로 배출시킨다.
이어서, 상기 제 2 컨베이어(401)로 낙하되어 배출된 임목 폐기물은 그 제 2 컨베이어(401)를 타고 상기 제 3 컨베이어(402)로 이송되며, 그 제 3 컨베이어(402)를 통해 외부로 최종 배출됨으로써 완전한 파쇄가 이루어진 임목 폐기물의 처리가 완료된다.
이와 같이 잘게 파쇄 처리가 이루어진 임목 폐기물은 별도의 재처리 과정을 통해 비료로 사용되거나, 기타 가공을 통해 공산품을 만드는 원료 등으로 다양하게 재활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에 의하면, 건설현장이나 도로확장 공사 등의 현장에서 발생된 임목 폐기물의 처리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절단부를 통해 일정크기로 절단하고, 그 절단된 임목 폐기물을 효율적으로 파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해줌으로써 건설현장이나 도로공사 현장등에서 발생한 임목 폐기물의 무단 방치로 인한 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최대한 저감시킴은 물론, 임목 폐기물의 재처리 효율을 향상시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전체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른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중 투입부의 개략요부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의 투입부 구성중 절단부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개략요부사시도,
도 4는 도 1에 따른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따른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종방향으로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따른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평면도,
도 7은 도 1에 따른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중 파쇄기의 요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프레임 지지부 101 : 바퀴
102 : 받침잭 103 : 차량연결부
200 : 투입부 201 : 제 1 컨베이어
202 : 임목 가이드 203 : 전기톱
204 : 절단 몸체 205 : 절단부
206 : 입구 207 : 스톱퍼
300 : 파쇄기 301 : 회전 몸체
302 : 파쇄통 303 : 안내 날개
304 : 타공 305 : 파쇄 몸체
306 : 회전축 307 : 간격유지판
308 : 칼날 309 : 칼날부
310 : 고정핀 400 : 배출수단
401 : 제 2 컨베이어 402 : 제 3 컨베이어
403 : 제 1 실린더 404 : 제 2 실린더
405 : 보조 컨베이어 500 : 엔진부

Claims (4)

  1. 길이가 긴 일정 크기의 판체형상으로 하단에 이동용 바퀴가 설치되고, 그 이동용 바퀴가 설치된 일측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받침잭이 설치되며, 판체형상의 전방 일측면에 차량에 연결시킬 수 있는 차량연결부가 형성된 프레임 지지부;
    상기 프레임 지지부 상에 임목 폐기물의 이송을 위한 제 1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그 제 1 컨베이어의 끝단 부위에 임목 가이드가 설치되며, 상기 임목 가이드의 소정 위치에 임목 폐기물의 절단을 위한 전기톱과 그 전기톱을 상하로 왕복운동시키는 절단 몸체로 이루어진 절단부가 설치되고, 그 절단부의 후측으로 임목 폐기물이 투입되는 입구와 스톱퍼가 형성된 투입부;
    상기 투입부의 하측에 좌우로 회전하는 원통형상의 회전 몸체가 설치되고, 그 회전 몸체의 하부면으로 투입되는 임목 폐기물을 파쇄시키기 위한 파쇄통이 설치된 파쇄기;
    상기 파쇄기에 의해 배출되는 임목 파쇄물을 이송시키는 제 2 컨베이어가 설치되고, 그 제 2 컨베이어의 이송측 끝단에 이송된 임목 파쇄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제 3 컨베이어가 설치된 배출수단; 및
    상기 프레임 지지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각 컨베이어와 절단부와 파쇄기에 구동을 위한 동력을 전달하는 엔진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몸체의 내주면에는 투입되는 임목 폐기물을 파쇄통으로 유도하기 위한 복수의 안내 날개가 돌출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통은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에 다수의 타공이 형성된 파쇄 몸체가 형성되고, 그 파쇄 몸체의 내부에서 엔진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회전축이 형성되며, 그 회전축 상에 설치되는 다수의 간격유지판 사이로 칼날이 형성된 다수의 칼날부가 다수의 고정핀을 통해 삽입되어 고정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컨베이어는 상기 프레임 지지부의 후단에 설치된 제 1 실린더에 의해 경사 각도가 조정되고, 컨베이어의 후단면에 설치된 제 2 실린더에 의해 보조 컨베이어가 추가로 연장될 수 있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005-0002968A 2005-01-12 2005-01-12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 KR100473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968A KR100473145B1 (ko) 2005-01-12 2005-01-12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2968A KR100473145B1 (ko) 2005-01-12 2005-01-12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73145B1 true KR100473145B1 (ko) 2005-03-10

Family

ID=4366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2968A KR100473145B1 (ko) 2005-01-12 2005-01-12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31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233B1 (ko) 2006-02-15 2006-11-30 (주)모악환경산업 폐목과 폐아스콘이 포함된 건설폐기물의 이동식 파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233B1 (ko) 2006-02-15 2006-11-30 (주)모악환경산업 폐목과 폐아스콘이 포함된 건설폐기물의 이동식 파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943134U (zh) 一种适用于土木工程的建筑废料处理装置
KR102440935B1 (ko) 폐기물 파쇄장치
KR102447202B1 (ko) 폐기물 파쇄장치
KR20100070698A (ko) 폐비닐 압축 절단 시스템
DK172542B1 (da) Komposteringsapparat
KR100473145B1 (ko) 임목 폐기물 처리 장치
KR102384281B1 (ko) 스티로폼의 파쇄 및 이물질 분리장치
KR100526953B1 (ko) 목재 분쇄 장치
JP2006326404A (ja) 破砕作業車
KR102516858B1 (ko) 폐비닐 압축 시스템
KR200381553Y1 (ko) 경량 임목 폐기물 처리용 가이드 장치가 구비된 목재분쇄 장치
CN214973625U (zh) 一种填埋场矿化垃圾综合处理装置
CN110947741A (zh) 一种用建筑垃圾制造混凝土建筑材料的装置
KR20050080227A (ko) 폐비닐 파쇄장치
CN215882239U (zh) 一种破碎的塑料制品回收装置
KR100761390B1 (ko) 건축폐기물 선별 분리장치
KR200262498Y1 (ko) 폐타이어 분쇄장치
CN213377104U (zh) 一种建筑材料粉碎装置
CN212469211U (zh) 一种用于处理生活垃圾的一体化设备
KR20010069851A (ko) 나무 뿌리 파쇄장치
CN220295142U (zh) 一种再生混凝土碎料分选装置
KR101897717B1 (ko) 유기 폐기물 처리장치
CN104475210A (zh) 动物尸体破碎装置
CN218742400U (zh) 一种木板废料输送及粉碎设备
KR102246004B1 (ko) 목재 파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