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705B1 - 복합식 가습기 - Google Patents

복합식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705B1
KR100470705B1 KR10-2002-0043743A KR20020043743A KR100470705B1 KR 100470705 B1 KR100470705 B1 KR 100470705B1 KR 20020043743 A KR20020043743 A KR 20020043743A KR 100470705 B1 KR100470705 B1 KR 100470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dissipation
water
heat
humidifie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3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4274A (ko
Inventor
엄광수
Original Assignee
(주)선보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선보정밀 filed Critical (주)선보정밀
Priority to KR10-2002-0043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7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64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274A/ko
Priority to JP2002244388A priority patent/JP2003074919A/ja
Priority to US10/231,161 priority patent/US6793205B2/en
Priority to EP02019533A priority patent/EP1288584A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24F6/1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heated elec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1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to avoid the formation of condensate, e.g. de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복합식 가습기의 노즐케이스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개량하여 방열핀이 일체로 형성된 한조의 방열커버사이에 발열부 및 스프링판과 패킹체가 개재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므로써, 발열부와 방열커버가 넓은 접촉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무화된 물을 기화시키는 방열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성을 대폭 간소화하여 조립작업성이 더욱 더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방열커버의 방열핀하단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무화된 물입자들이 응집되어 물방울을 형성하더라도 자중에 의해 저절로 떨어져 제거되도록 하므로써, 응집된 물입자에 의해 발생되는 방열핀사이의 통로막힘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가습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합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합식 가습기{Combined humidifier}
본 발명은 복합식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복합식 가습기의 노즐케이스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개량하여 방열핀이 일체로 형성된 한조의 방열커버사이에 발열부 및 스프링판과 패킹체가 개재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므로써, 발열부와 방열커버가 넓은 접촉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무화된 물을 기화시키는 방열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성을 대폭 간소화하여 작업성이 더욱 더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방열커버의 방열핀하단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무화된 물입자들이 응집되어 물방울을 형성하더라도 자중에 의해 저절로 떨어져 제거되도록 하므로써, 응집된 물입자에 의해 발생되는 방열핀사이의 통로막힘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가습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복합식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복합식 가습기는 본체내에 설치된 물탱크로부터 공급된 일정량의 물을 수조내에 저장한 후 수조에 저장된 물을 전열선 등의 히터에 의해 60℃ 내지 70℃로 가열시킨 다음, 수조의 저면부에 설치된 초음파발진기의 초음파진동에 의해 무화(霧化)되는 동시에 본체내부에 설치된 송풍기에 의해 30℃ 내지 40℃ 정도로 강제냉각되어 실내로 강제토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복합식 가습기의 수조내에 가열되어 있는 물이 60℃ 내지 70℃의 온도로 유지되므로 만일 부주의에 의해 가습기가 넘어져 수조내의 가열된 물이 쏟아지게 되면 피부가 연약한 유아 및 어린이에게는 치명적인 화상을 입게 할 우려가 있을 뿐만 아니라, 수조내에 설치된 히터로 수조내의 물을 60℃ 내지 70℃로 1차 가열한 상태에서 재차 송풍기로부터 송풍된 바람에 의해 강제냉각된 다음 초음파진동에 의해 무화되므로 물속의 세균이 완전히 살균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위생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복합식 가습기는 실내로 토출되는 물이 기체상태가 아니라 여전히 액체상태이므로 무화된 물입자의 유동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가습하고자 하는 실내전체의 공간으로 널리 확산되지 못하고 가습기의 주변에만 한정되어 퍼지게 되므로 실내공간의 전체적인 가습효과를 발휘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가습기주변에 만 무화된 물이 가라앉게 되어 가습기 주변이 축축히 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종래의 복합식 가습기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공개공보 제 2001-88754호(2001년 9월 28일 공개) 로 알려져 있는 복합식 가습기를 선출원한 바가 있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복합식 가습기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2)의 내부에 물탱크(3)로부터 유로관(4)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수조(5)와, 수조(5)의 하부에 설치되어 물을 무화시키는 초음파발진기(7)와, 초음파발진기(7)에 의해 무화(霧化)된 물이 안내되는 노즐케이스(8)와, 노즐케이스(8)와 연통되어 무화된 물을 외부로 강제토출시키는 송풍기(9)와, 상기 노즐케이스(8)의 상부에 설치되어 무화된 물의 토출방향을 조정하는 토출부(10)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초음파진동식 가습기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노즐케이스(8)의 상부 내주연에는 단턱부(12)가 형성되며, 상기 단턱부(12)의 상면에는 상기 초음파발진기 (7)에 의해 무화된 물에 열을 가하여 기화시키는 증발기(20)가 설치고정되고, 상기 증발기(20)의 상단에는 증발기(20)를 보호하는 망형상으로 된 스크린판(11)이 설치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증발기(20)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23)와, 상기 발열체(23)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발열체(23)에 전기를 공급하는 도선(25)(25a)이 연결된 전극판(24)(24a)과, 상기 전극판 (24)(24a)의 외측면에는 전극판(24)(24a)전체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절연테이프(26)와, 상기 절연테이프(26)의 외측면에 설치되며 발열체(23)와 전극판(24)(24a)을 보호하는 지지판(27)으로 이루어지는 발열부(33)를 구비하며, 상기 발열부(33)의 외주연에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 발열부(33)가 삽입되는 삽입공(29)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공(29)의 외주연에는 간격을 유지하는 돌출부(30)가 일측면에 형성되 는 복수개의 방열판(28)이 설치되고, 상기 발열부(33)에 삽입된 복수개 방열판(28)의 상단부와 하단부에는 중앙에 복수개의 방열판(28)이 삽입되는 삽입홈(22),(32)이 각각 형성된 설치대(21)와 고정판(31)이 각각 삽입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선출원된 복합식 가습기는 가습기(1)내의 물탱크 (3)로부터 공급되어 초음파발진기(7)에 의해 무화(霧化)된 물을 송풍기(9)로 강제토출시키는 통로상에 설치된 복수개의 방열판(28)이 형성된 증발기(20)에 의해 무화상태로 토출되는 물을 순간적으로 기화(氣化)되도록 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되는 물속에 포함된 세균을 완전히 멸균시켜 위생상태를 향상시키는 동시에 토출되는 물이 무화상태보다 유동성이 원활한 증기상태로 되게 하여 습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실내로 광범위하게 확산되도록 한다.
그러나,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복합식 가습기는 그 요부라고 할 수 있는 증발기(20)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발열체(23)가 내장된 발열부(33)의 외주연에 다수의 방열판(28)이 일일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발열부(33)와 방열판(28)의 접촉면적이 작을 뿐만 아니라 접촉상태에 따라 방열효과가 심하게 저하되는 경우가 많아 무화된 물의 기화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아울러 증발기(20)의 제조시 상기 발열부(33)의 외주연에 낱장으로 된 다수의 방열판(28)을 일일이 삽입하여 조립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좋지 않아 조립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선출원된 복합식 가습기를 사용할 때 상기 수조(5)로부터 초음파진동에 의해 무화된 물입자가 좁은 방열판(28)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무화된 물입자들이 방열판(28)사이를 통과하면서 서로 응집되어 무화된 물입자보다 큰 물방울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러한 응집된 물방울이 쉽게 기화되지 못하고 중력에 의해 방열판(28)의 표면을 따라 방열판(28)하단부로 흘러내려 맺히게 되므로써, 방열판(28)사이에 형성된 통로를 막아 무화된 물이 상승하는 것을 방해하게 되어 가습량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복합식 가습기의 노즐케이스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개량하여 방열핀이 일체로 형성된 한조의 방열커버사이에 발열부 및 스프링판과 패킹체가 개재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므로써, 발열부와 방열커버가 넓은 접촉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무화된 물을 기화시키는 방열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성을 대폭 간소화하여 작업성이 더욱 더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방열커버의 방열핀하단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무화된 물입자들이 응집되어 물방울을 형성하더라도 자중에 의해 저절로 떨어져 제거되도록 하므로써, 응집된 물입자에 의해 발생되는 방열핀사이의 통로막힘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가습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이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도 4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식 가습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식 가습기에 설치되는 증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식 가습기에 설치되는 증발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식 가습기에 설치되는 증발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식 가습기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체(2)의 내부에 물탱크(3)로부터 유로관(4)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수조(5)와, 수조(5)의 하부에 설치되는 초음파발진기(7)와, 초음파발진기(7)에 의해 무화(霧化)된 물이 안내되는 노즐케이스(8)와, 노즐케이스(8)와 연통되어 무화된 물을 외부로 강제토출시키는 송풍기(9)와, 상기 노즐케이스(8)의 상부에 설치되어 무화된 물의 토출방향을 조정하는 토출부(10)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케이스(8)의 상부 내주연에는 단턱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12)의 상면에는 상기 초음파발진기(7)에 의해 무화된 물에 열을 가하여 기화시키는 증발기(20)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20)의 상단에는 증발기(20)를 보호하는 망형상으로 된 스크린판(11)이 설치되는 구성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복합식 가습기와 동일한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식 가습기의 요부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은 상기 가습기 (1)의 노즐케이스(8)에 설치되는 증발기(20)의 구성이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40)와 상기 발열체(40)가 삽입되는 발열체가이드(41)와 상기 발열체가이드(4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발 열체(40)에 전기를 공급하는 도선(42a)(42b)이 각각 연결된 전극판(43)(44)과 상기 전극판(43)(44)의 외측면에는 전극판(43)(44)전체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절연테이프 (45)로 이루어지는 발열부(46)를 구비하며, 상기 발열부(46)의 양측에는 중앙에 탄성부(47a)가 형성된 스프링판(47)과 양측단부에 통공(48a)이 형성된 패킹체(48)를 개재하여 일측면에 다수의 방열핀(49)이 형성되며 양측단부에 볼트체결공(50)이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부(51a)(51b)가 일체로 형성된 방열커버(52)(53)가 볼트로써 체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방열커버(52)(53)의 외측에는 상하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하단부내주연에 걸림턱부(55)가 형성되고 외측상하단부에 통공(56a)이 형성된 설치플랜지부(56)와 지지플랜지부(57)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설치케이스(58)가 상기 방열커버(52)(53)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식 가습기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식 가습기의 조립과정중 증발기를 제외한 부분은 선출원된 복합식 가습기의 조립과정과 동일하여 상세한 설명이 중복이 되므로 생략하기로 하며, 여기서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식 가습기의 요부인 증발기의 조립과정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식 가습기에 설치되는 증발기(2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40)를 발열체가이드(41)에 삽입한 후 상기 발열체가이드(41)의 양측에 상기 발열체(40)에 전기를 공급하는 도선(42a)(42b)이 각각 연결된 전극판(43)(44)을 밀착시킨 다음, 상기 전극판(43) (44)전체를 절연테이프(45)로 견고하게 감싸도록 하여 발열부(46)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발열부(46)의 양측에는, 중앙에 탄성부(47a)가 형성된 스프링판(47)과 양측단부에 통공(48a)이 형성된 내열성 실리콘재질로 된 패킹체(48)를 개재한 상태로, 일측면에 다수의 방열핀(49)이 형성되며 양측단부에 볼트체결공(50)이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부(51a)(51b)가 일체로 형성된 방열커버(52) (53)를 각각 밀착시켜 다수의 체결볼트(54)로써 견고하게 결합시킨 후, 설치케이스 (58)의 내부에 삽입하여 상기 방열커버(52)(53)의 결합부(51a)(51b)하단이 설치케이스(58)의 하단부내주연에 형성된 걸림턱부(55)에 걸리도록 하고, 상기 설치케이스(58)를 상기 본체(2)의 노즐케이스(8)에 삽입하여 설치케이스(58)의 설치플랜지부(56)가 노즐케이스(8)의 단턱부(12)에 걸리도록 한 다음, 설치플랜지부(56)에 형성된 통공(56a)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단턱부(12)에 견고하게 고정시키고 그 상부에 스크린판(11)을 설치하게 되면 조립이 완료된다.
상기 발열체(40)는 통상의 발열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피티시(PTC =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로서, 이 피티시(PTC)는 티탄산 바륨을 모체로 한 저항소자의 일종으로 도선을 연결하여 전류을 흘리게 되면 발열하게 되며, 특정한 급변온도를 초과하게 되면 저항이 크게 되어 전류의 흐름이 감소하여 더 이상 발열하지 않게 되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발열체(40)가 수납되는 발열체가이드(41)는 내열특수수지인 베이클라이트 또는 피피에스(PPS = Polyphenylene Sulfide)재질로 이루어져 고온하에서도 용융되지 않고 상기 발열체(40)가 유동되지 않도록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발열체(40)의 양측에 설치되는 전극판(43)(44)을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어 전극판(43)(44)과 스프링판(47) 및 방열커버(52)(53)간에 전기가 통하지 않도록 하는 절연테이프(45)는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캡톤 테이프이며, 이것은 폴리아미드 필름 위에 실리콘 점착제를 올려놓은 단면 테이프로서 내열성과 내전압 절연성이 우수하여 피시비(PCB)기판용, 항공기부품 절연용, 전자제품 절연용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46)가 내장된 방열커버(52)(53)를 노즐케이스(8)내부에 설치되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설치케이스(58)는 내열성 수지인 PBT(Polybutyrene Terephthalate)수지재질로 형성하므로써, 방열커버(52)(53)에서 발생되는 고온하에서 용융되지 않고 원상태를 유지하여 방열커버(52)(53)를 견고하게 지지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식 가습기의 증발기는 발열체(40)가 내장된 발열부(46)가 방열핀(49)이 일체로 형성된 방열커버(52)(53)와 넓은 면적에 걸쳐 접촉하게 되는 동시에 스프링판(47)의 탄성부(47a)에 의해 더욱 더 밀착되므로써 발열부(46)에서 발생된 열량이 직접 방열핀(49)으로 전달되므로 열손실이 대폭 감소하게 되므로 방열효과가 더욱 더 향상되어 초음파진동에 의해 무화된 물입자의 기화작용이 더욱 더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증발기(20)의 제조시 방열핀(49)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방열커버(52)(53)를 구성하므로써 증발기 (20)의 조립작업성을 용이하게 하여 조립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므로써 생산성이 현저히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식 가습기에 설치되는 증발기의 다른 실시예로서 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방열커버(52)(53)의 방열핀(49)의 하단에 경사부(49a)를 각각 형성하므로써, 복합식 가습기를 사용할 때 무화된 물입자들이 방열핀(49)사이에 응집되어 물방울을 형성하더라도 그 물방울이 흘러내려 상기 방열핀(49)의 하단부에 형성된 경사부(49a)를 따라 경사부(49a)의 끝부분에 모이게 되는 동시에 이와 같이 모여진 물방울이 합쳐져 큰 물방울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큰 물방울이 자중에 의해 더 이상 방열핀(49)하단에 붙어있지 못하고 저절로 수조(5)속으로 떨어져 제거되므로써, 응집된 물입자에 의해 발생되는 방열핀(49)사이의 통로막힘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가습량이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식 가습기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복합식 가습기의 노즐케이스내부에 설치되는 증발기를 개량하여 방열핀이 일체로 형성된 한조의 방열커버사이에 발열부 및 스프링판과 패킹체가 개재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하므로써, 발열부와 방열커버가 넓은 접촉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여 무화된 물을 기화시키는 방열효과를 더욱 더 향상시키는 동시에 구성을 대폭 간소화하여 작업성이 더욱 더 향상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기 방열커버의 방열핀하단부에 경사부를 형성하여 무화된 물입자들이 응집되어 물방울을 형성하더라도 자중에 의해 저절로 떨어져 제거되도록 하므로써, 응집된 물입자에 의해 발생되는 방열핀사이의 통로막힘현상을 방지하여 항상 일정한 가습량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선출원된 복합식 가습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선출원된 복합식 가습기에 설치되는 증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식 가습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복합식 가습기에 설치되는 증발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복합식 가습기에 설치되는 증발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복합식 가습기에 설치되는 증발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습기 2 : 본체 3 : 물탱크
4 : 유로관 5 : 수조 7 : 초음파발진기
8 : 노즐케이스 9 : 송풍기 10 : 토출부
11 : 스크린판 12 : 단턱부 20 : 증발기
40 : 발열체 41 : 발열체가이드 42a, 42b : 도선
43, 44 : 전극판 45 : 절연테이프 46 : 발열부
47 : 스프링판 47a : 탄성부 48 : 패킹체
49 : 방열핀 50 : 체결공 51a, 51b : 결합부
52, 53 : 방열커버 54 : 체결볼트 55 : 걸림턱부
56 : 설치플랜지부 56a : 통공 57 : 지지플랜지부
58 : 설치케이스

Claims (2)

  1. 본체(2)의 내부에 물탱크(3)로부터 유로관(4)을 통해 물이 공급되는 수조(5)와, 수조(5)의 하부에 설치되는 초음파발진기(7)와, 초음파발진기(7)에 의해 무화된 물이 안내되는 노즐케이스(8)와, 노즐케이스(8)와 연통되어 무화된 물을 외부로 강제토출시키는 송풍기(9)와, 상기 노즐케이스(8)의 상부에 설치되어 무화된 물의 토출방향을 조정하는 토출부(10)로 이루어지며,
    상기 노즐케이스(8)의 상부 내주연에는 단턱부(12)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 (12)의 상면에는 상기 초음파발진기(7)에 의해 무화된 물에 열을 가하여 기화시키는 증발기(20)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20)의 상단에는 증발기(20)를 보호하는 망형상으로 된 스크린판(11)이 설치되는 복합식 가습기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20)는 전기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체(40)와, 상기 발열체(40)가 삽입되는 발열체가이드(41)와, 상기 발열체가이드(4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발열체(40)에 전기를 공급하는 도선(42a)(42b)이 각각 연결된 전극판(43)(44)과, 상기 전극판(43)(44)의 외측면에는 전극판(43)(44)전체를 감싸도록 부착되는 절연테이프(45)로 이루어지는 발열부(46)를 구비하며,
    상기 발열부(46)의 양측에는, 중앙에 탄성부(47a)가 형성된 스프링판(47)과 양측단부에 통공(48a)이 형성된 패킹체(48)를 개재하여 일측면에 다수의 방열핀 (49)이 형성되며 양측단부에 볼트체결공(50)이 관통되게 형성된 결합부(51a)(51b)가 일체로 형성된 방열커버(52)(53)가 볼트로써 체결되어 설치되고,
    상기 방열커버(52)(53)의 외측에는, 상하부가 관통되게 형성되며 하단부내주연에 걸림턱부(55)가 형성되고 외측상하단부에 통공(56a)이 형성된 설치플랜지부 (56)와 지지플랜지부(57)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설치케이스(58)가 상기 방열커버 (52)(53)를 감싸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가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커버(52)(53)의 방열핀(49)의 하단에는 경사부 (49a)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식 가습기.
KR10-2002-0043743A 2001-08-31 2002-07-25 복합식 가습기 KR1004707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743A KR100470705B1 (ko) 2002-07-25 2002-07-25 복합식 가습기
JP2002244388A JP2003074919A (ja) 2001-08-31 2002-08-23 複合式加湿器
US10/231,161 US6793205B2 (en) 2001-08-31 2002-08-30 Combined humidifier
EP02019533A EP1288584A2 (en) 2001-08-31 2002-09-02 Combined humidif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3743A KR100470705B1 (ko) 2002-07-25 2002-07-25 복합식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274A KR20020064274A (ko) 2002-08-07
KR100470705B1 true KR100470705B1 (ko) 2005-02-23

Family

ID=27727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3743A KR100470705B1 (ko) 2001-08-31 2002-07-25 복합식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7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710B1 (ko) * 2002-08-21 2005-02-23 (주)선보정밀 초음파가습기에 설치되는 착탈식 증발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465U (ko) * 1976-06-28 1978-01-13
JPS62179533U (ko) * 1986-05-07 1987-11-14
KR940006079U (ko) * 1992-08-31 1994-03-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증기 가습기의 피티씨(ptc) 소자 체결장치
KR20010088754A (ko) * 2001-08-31 2001-09-28 엄광수 복합식 가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465U (ko) * 1976-06-28 1978-01-13
JPS62179533U (ko) * 1986-05-07 1987-11-14
KR940006079U (ko) * 1992-08-31 1994-03-22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증기 가습기의 피티씨(ptc) 소자 체결장치
KR20010088754A (ko) * 2001-08-31 2001-09-28 엄광수 복합식 가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274A (ko) 2002-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3205B2 (en) Combined humidifier
US4162395A (en) Heating unit for heating fluid
US7345552B2 (en) Constant temperature type crystal oscillator
KR100600911B1 (ko) 자동차용 전기가열장치
AU3165795A (en) Electric evaporator of active substances
KR100470705B1 (ko) 복합식 가습기
WO2023197756A1 (zh) 气溶胶产生装置及其雾化组件
CN216875000U (zh) 电子雾化装置
KR100446217B1 (ko) 복합식 가습기
KR100446218B1 (ko) 흡수증발식 가습기
KR200255280Y1 (ko) 복합식 가습기
TW201127272A (en) Discharge device
KR100470710B1 (ko) 초음파가습기에 설치되는 착탈식 증발장치
JP3492250B2 (ja) 電気炊飯器
KR200410243Y1 (ko) 면상발열체를 구비한 가습기
CN219797481U (zh) 壳体组件及加湿器
CN216481380U (zh) 一种电加热式蒸汽加湿器
CN210275914U (zh) 隔热组件及低温烟具
CN107007159A (zh) 红外煎烤机
JP5251935B2 (ja) 脱臭装置
JP2544309Y2 (ja) 加熱器
KR820001774Y1 (ko) 초음파 가습기
JPS59102471A (ja) 超音波式液体霧化装置
JPS614189A (ja) 除霜用面状発熱体
JPH08210654A (ja) 輻射型電気暖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