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0509B1 -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 - Google Patents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0509B1
KR100470509B1 KR10-2002-0074896A KR20020074896A KR100470509B1 KR 100470509 B1 KR100470509 B1 KR 100470509B1 KR 20020074896 A KR20020074896 A KR 20020074896A KR 100470509 B1 KR100470509 B1 KR 10047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compression rod
transmission cable
crete
toot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6858A (ko
Inventor
김도운
김수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0509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0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에 관한 것으로, 송전케이블용 스프링 타입의 크리트에 대하여 스프링을 압축할 때, 볼트 체결이 아닌 유압을 사용하여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고, 톱니식 핀에 의한 체결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체결불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가변되는 스프링의 압축길이라도 크리트를 고정할 수 있어 양산이 쉬우며, 크리트의 포설 및 해체시간이 짧아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cleat for high voltage transmission cable}
본 발명은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전케이블용 스프링 타입의 크리트에 대하여 스프링을 압축할 때, 볼트 체결이 아닌 유압을 사용하여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고, 톱니식 핀에 의한 체결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체결불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가변되는 스프링의 압축길이라도 크리트를 고정할 수 있어 양산이 쉬우며, 크리트의 포설 및 해체시간이 짧아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초고압 송전케이블은 사용중에 자중과 열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어 당초 고정위치와 다르게 움직임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고압으로 전송되는 지중 송전케이블의 설치 공사시 크리트(cleat)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외경측에서 감싸면서 지지 및 고정토록 하여 그 내측에 지지되는 케이블의 유동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는 내경이 반원 형태인 2개의 크리트 유닛의 양측 단부를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여 고정하는 구조가 사용되어 왔었다.
그러나, 근래에는 2개의 크리트 유닛 사이에 파지력을 주기 위하여 스프링의 압축력을 사용하는 스프링 타입의 크리트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스프링 타입의 크리트는 케이블에서 발생하는 열, 수축 팽창을 흡수하여 케이블의 절연물에 발생하는 외상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목표한 파지력을 얻기 위해선 일정값의 스프링상수를 가진 스프링의 압축길이를 조절하였으며, 압축과 정확한 압축길이의 조절을 위해서 유압식 압축 또는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이용하였다.
상기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구조를 살펴보면, 스프링의 중간에 삽입된 볼트의 한쪽 끝을 고정하고, 상기 스프링 위에 너트를 위치시켜 너트를 조이면서 스프링을 압축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프링의 압축을 위하여 너트를 조이는 방법을 사용할 경우, 사이에는 반경이 스프링의 외경과 유사한 스페이서를 설치하여 스프링의 휘어짐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 경우 양쪽 스프링의 조임이 동일하도록 정확하게 조절되지 않거나, 상기 스페이서가 평행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스프링의 휘어짐이 발생하여 나사산이 뭉그러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스프링의 압축시 상당한 주의를 요하며 오랜 시간이 소요됨과 아울러 나사산이 뭉그러지는 경우 더 이상의 조임이 불가능하여 원하는 압축길이를 얻지 못하게 되고, 다른 크리트와의 교체를 위해서 볼트와 너트를 절단해 제거해야 하는 추가 작업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추가비용과 시간 및 여분의 부품이 필요하게 되어 현장 적용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크리트의 스프링 압축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또 다른 구조로서, 도 1은 종래 유압식 크리트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유압식 크리트는 송전케이블의 외경측을 감싸도록 그 내경이 반원인 2개의 크리트 유닛, 즉 송전케이블 포설시 바닥에 부착되는 하부크리트(1)와, 유압실린더(10)에 연결되어 스프링(5)을 압축하면서 상기 하부크리트(1) 측으로 접촉되는 상부크리트(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크리트(2)의 양측 내부에는 스프링(5)이 각각 배치되고, 상기 각 스프링(5)의 중앙을 통과하여 압축봉(8)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각 압축봉(8)의 헤드는 유압실린더(10)에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압축봉(8)의 상부 일측에는 스프링(5)에 접촉하여 상기 스프링(5)을 압축할 수 있도록 압축면(9)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크리트(2)의 외측 둘레를 따라서는 고정몸체(12)가 설치되어 상부크리트(2)를 고정 지지하게 되는데, 상기 고정몸체(12)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각 압축봉(8)이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부크리트(1) 및 고정몸체(12)의 각 관통공(14)을 통과한 압축봉(8)의 하부측에는 압축봉(8)의 두께방향을 가로질러 홀(16)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상부크리트(2)를 바닥에 부착된 하부크리트(1)에 접촉시킨 뒤, 유압실린더(10)를 작동시키게 되면, 유압실린더(10)가 압축봉(8)을 하부로 밀어내면서 스프링(5)이 압축되고, 하부크리트(1)를 통과하여 노출된 압축봉(8)의 하부에 형성된 홀(16)을 가로질러 고정핀(20)을 체결해 줌으로써 압축봉(8)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일정한 압축력으로 상,하부크리트(1,2)가 접촉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유압식 크리트에 있어서 종래 고정핀(20)과 홀(16)을 이용한 체결구조에 의하면, 송전케이블의 포설환경에 따른 면압의 차이로 인하여 스프링(5)의 압축길이가 달라질 경우, 고정핀(20)이 체결되도록 압축봉(8)에 형성되는 홀(16)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가변될 수 있는 한계가 정해져 있어 정확한 면압으로 송전케이블을 고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송전케이블용 스프링 타입의 크리트에 대하여 스프링을 압축할 때, 볼트 체결이 아닌 유압을 사용하여 작업효율을 증대시키고, 기존의 고정핀과 홀을 이용한 체결구조가 아닌 톱니식 핀에 의한 체결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체결불량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가변되는 스프링의 압축길이라도 크리트를 고정할 수 있어 양산이 쉬우며, 크리트의 포설 및 해체시간이 짧아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송전케이블 포설시 바닥에 부착되는 하부크리트와, 상기 하부크리트와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그 내부에는 스프링이 배치됨과 아울러 스프링의 중앙을 관통하여 스프링을 압축하는 압축봉이 끼워지는 상부크리트와, 상기 압축봉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송전케이블용 스프링 타입의 유압식 크리트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하부크리트를 통과하는 압축봉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톱니부와, 상기 압축봉의 톱니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톱니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톱니부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봉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톱니식 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톱니식 핀은 그 일측면상에 걸림톱니부가 각각 형성된 한쌍의 핀플레이트가 상기 압축봉의 톱니부 양측에 결합되어 맞물린 뒤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축봉의 톱니부와 톱니식 핀의 걸림톱니부는 일정길이에 걸쳐 톱니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종래의 기술과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명칭을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케이블용 유압식 크리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케이블용 유압식 크리트의 압축봉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종래 기술과 연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송전케이블용 유압식 크리트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전케이블의 외경측을 감싸도록 그 내경이 반원인 상부크리트(2)와 하부크리트(1)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크리트(1)는 송전케이블 포설시 바닥에 부착되고, 상기 상부크리트(2)의 양단 내부에는 파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5)이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을 압축하기 위한 압축봉(8)이 각 스프링(5)의 중앙에 끼워진 상태에서 각 압축봉(8)의 헤드는 유압실린더(10)에 연결되어 가압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상부크리트(2) 및 유압실린더(10) 등은 고정몸체(12)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상기 유압실린더(10)가 작동하게 되면 압축봉(8)은 하부로 밀리면서 각 스프링(5)을 압축하게 됨으로써 상부크리트(2)와 하부크리트(1)가 상호 일정 면압을 가지면서 송전케이블을 잡아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요지구성은 압축봉(8)에 의해 압축된 스프링(5)이 일정 압축길이를 유지하며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5)을 압축하면서 하부크리트(1)를 통과하는 압축봉(8)의 하단부에 톱니부(30)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부(30)에 대응되는 걸림톱니부(46)를 가지면서 상기 압축봉(8)에 체결됨으로써 압축봉(8)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톱니식 핀(4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에서 압축봉의 고정구조를 나타낸 확대부를 참조하면, 스프링(5)을 압축하면서 하부로 이동되는 압축봉(8)은 하부크리트(1) 및 고정몸체(12)의 관통공(14)을 통과하여 밀려나가게 되는데, 노출된 압축봉(8)의 하단부에는 그 외주면을 따라 톱니가 일정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톱니부(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봉(8)의 톱니부(30)측에 체결되어 압축봉(8)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톱니식 핀(40)이 구비되는데, 상기 톱니식 핀(40)에는 상기 톱니부(30)에 맞물릴 수 있도록 톱니부(30)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톱니부(46)가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톱니식 핀(40)은 압축봉(8)의 톱니부(30) 양측에 결합되는 한쌍의 핀플레이트(42,43)로 이루어지며, 상기 각 핀플레이트(42,43)의 일측면상에는 톱니가 일정길이에 걸쳐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걸림톱니부(4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각 핀플레이트(42,43)의 주변부를 따라서는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50)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체결공(48)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한쌍의 핀플레이트(42,43)는 걸림톱니부(46)가 형성된 각 면이 하부크리트(1)를 통과하여 노출된 압축봉(8)의 톱니부(30) 양측에 결합된 뒤, 볼트 등과 같은 고정부재(50)에 의해 서로 체결됨으로써 압축봉(8)을 고정 지지해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는 상부크리트(2)와 하부크리트(1)가 상호 일정 면압을 가지고 송전케이블을 잡아줄 수 있도록 스프링타입으로 이루어지고, 유압실린더(10)를 통해 스프링(5)을 일정 압축길이로 압축하는 유압식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5)이 일정 압축길이를 유지함으로써 상,하부크리트(1 , 2)간에 일정 면압이 유지되도록 하기 위한 구조로서, 상부크리트(2)에 배치된 스프링(5)을 압축하면서 하부크리트(1)를 통과하는 압축봉(8)의 하단부에 톱니부(30)가 형성되고, 상기 톱니부(30)에 대응하는 걸림톱니부(46)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봉(8)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톱니식 핀(40)이 구비된다.
그러므로, 송전케이블의 외경측을 감싸도록 하부크리트(1)와 상부크리트(2)를 접촉시킨 뒤, 유압실린더(10)를 작동시켜 스프링(5)이 일정 압축길이로 압축되도록 하면 압축봉(8)의 하단부가 하부크리트(1)를 통과함으로써 압축봉(8)의 톱니부(30)가 노출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압축봉(8)의 톱니부(30) 양측에 톱니식 핀(40)의 걸림톱니부(46)가 맞물리게 하여 체결시키면, 압축봉(8)이 고정됨으로써 일정한 압축력으로 상,하부크리트(1,2)가 접촉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압축봉(8)의 톱니부(30)와 톱니식 핀(40)의 걸림톱니부(46)는 일정길이에 걸쳐 톱니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다수개의 톱니 중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함으로써 스프링(50)의 압축길이가 달라질 경우 그 길이에 따라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에 의하면, 가변되는 스프링의 압축길이라도 크리트를 고정할 수 있어 양산이 쉽고, 크리트의 포설 및 해체시간이 짧아져 작업효율이 향상되며, 기존 작업에서 발생할 수 있었던 체결불량을 줄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송전케이블용 유압식 크리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케이블용 유압식 크리트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케이블용 유압식 크리트의 압축봉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크리트 2 : 상부크리트
5 : 스프링 8 : 압축봉
10 : 유압실린더 12 : 고정몸체
30 : 톱니부 40 : 톱니식 핀
46 : 걸림톱니부 50 : 고정부재

Claims (3)

  1. 송전케이블 포설시 바닥에 부착되는 하부크리트와, 상기 하부크리트와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그 내부에는 스프링이 배치됨과 아울러 스프링의 중앙을 관통하여 스프링을 압축하는 압축봉이 끼워지는 상부크리트와, 상기 압축봉에 가압력을 전달하는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송전케이블용 스프링 타입의 유압식 크리트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압축하면서 하부크리트를 통과하는 압축봉의 하단부에 형성되는 톱니부와;
    상기 압축봉의 톱니부에 맞물릴 수 있도록 톱니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걸림톱니부가 형성되어 상기 압축봉이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톱니식 핀;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톱니식 핀은 그 일측면상에 걸림톱니부가 각각 형성된 한쌍의 핀플레이트가 상기 압축봉의 톱니부 양측에 결합되어 맞물린 뒤 고정부재에 의해 서로 체결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봉의 톱니부와 톱니식 핀의 걸림톱니부는 일정길이에 걸쳐 톱니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
KR10-2002-0074896A 2002-11-28 2002-11-28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 KR10047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896A KR100470509B1 (ko) 2002-11-28 2002-11-28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896A KR100470509B1 (ko) 2002-11-28 2002-11-28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858A KR20040046858A (ko) 2004-06-05
KR100470509B1 true KR100470509B1 (ko) 2005-03-10

Family

ID=37342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896A KR100470509B1 (ko) 2002-11-28 2002-11-28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05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783B1 (ko) 2007-02-14 2007-07-04 제일엔지니어링 (주) 지중배전선로관용 보호장치
KR20210043854A (ko) 2019-10-14 2021-04-22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부품의 설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540B1 (ko) * 2017-12-21 2020-02-14 대한전선 주식회사 케이블 클리트
KR102624436B1 (ko) * 2023-01-12 2024-01-15 주식회사 건일이엔지 건축용 케이블 고정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8532U (ko) * 1980-02-12 1981-09-10
JPH0363031U (ko) * 1989-10-17 1991-06-20
KR920007870A (ko) * 1990-10-26 1992-05-27 다카다 쥬우이찌로오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JPH09163565A (ja) * 1995-12-07 1997-06-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線用クランプ
JPH09318856A (ja) * 1996-05-28 1997-12-12 Fujikura Ltd 光ケーブルの固定装置
JPH1042438A (ja) * 1996-07-23 1998-02-13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電線用クランプ
KR980012589A (ko) * 1996-07-31 1998-04-30 문정환 고체 촬상 소자의 구조 및 제조 방법
JP2002514257A (ja) * 1997-05-29 2002-05-14 クラリアント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ィド 1:2クロム錯体染料、その製造及びその使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8532U (ko) * 1980-02-12 1981-09-10
JPH0363031U (ko) * 1989-10-17 1991-06-20
KR920007870A (ko) * 1990-10-26 1992-05-27 다카다 쥬우이찌로오 에어백장치의 모듈커버
JPH09163565A (ja) * 1995-12-07 1997-06-2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線用クランプ
JPH09318856A (ja) * 1996-05-28 1997-12-12 Fujikura Ltd 光ケーブルの固定装置
JPH1042438A (ja) * 1996-07-23 1998-02-13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電線用クランプ
KR980012589A (ko) * 1996-07-31 1998-04-30 문정환 고체 촬상 소자의 구조 및 제조 방법
JP2002514257A (ja) * 1997-05-29 2002-05-14 クラリアント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リミティド 1:2クロム錯体染料、その製造及びその使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3783B1 (ko) 2007-02-14 2007-07-04 제일엔지니어링 (주) 지중배전선로관용 보호장치
KR20210043854A (ko) 2019-10-14 2021-04-22 한국전력공사 배전용 부품의 설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858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329330C (en) Differential thread for transfer of screw thread force
KR100470509B1 (ko) 초고압 송전케이블용 크리트
CN111810498B (zh) 一种电力水泥杆多功能抱箍
CN101582569B (zh) 一种gis用压力平衡型伸缩节
RU159362U1 (ru) Компресси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абельного перехода
KR102198081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방수부재 체결구 및 이의 시공방법
CN210499128U (zh) 过盈配合部件组装用压装装置
KR20110049442A (ko) 유압식 레일 긴장기
CN219796356U (zh) 一种建筑施工管线固定机构
KR20200137608A (ko) 벨로우즈 파이프의 길이조절 장치
CN112963414B (zh) 大型清洁能源装备防松抗弯自动补偿把合螺栓结构
CN107907419B (zh) 一种电磁感应拉拔仪
CN111396637B (zh) 一种建筑施工安装工程给排水管连接固定支架
CN111350879B (zh) 一种建筑施工给排水管连接固定施工工艺
JP4193674B2 (ja) 往復圧縮機のピストンロッド締結構造
JP2018115714A (ja) 配線・配管材の横ずれ防止構造、横ずれ防止具、横ずれ防止装置及び横ずれ防止方法
GB2471563A (en) Device for the application of a predefined axial load
CN108547843B (zh) 一种夹具上使用的多功能螺栓
CN102537625B (zh) 支撑紧固装置
CN220058861U (zh) 一种新型混凝土模板拉杆装置
CN212156227U (zh) 一种便于拆分的补偿器
CN211665564U (zh) 一种桥梁橡胶伸缩缝装置
KR100752359B1 (ko) 2날의 높낮이가 다른 스파이크를 갖는 주철관용 이탈방지압륜
CN110450103B (zh) 一种调平地脚的锁紧装置及其使用方法
CN220093880U (zh) 一种钢筋钻孔用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